KR20110002012U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012U
KR20110002012U KR2020090010940U KR20090010940U KR20110002012U KR 20110002012 U KR20110002012 U KR 20110002012U KR 2020090010940 U KR2020090010940 U KR 2020090010940U KR 20090010940 U KR20090010940 U KR 20090010940U KR 20110002012 U KR20110002012 U KR 201100020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substrate
touch sensing
layer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티 양
Original Assignee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090010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012U/ko
Publication of KR20110002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는 투명 기판, 기판의 에지들 상에 형성된 칼라 프레임, 및 기판 상에 절연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감지 유니트를 포함한다. 접촉 감지 유니트의 에지들 상에 형성된 신호 배선들은 칼라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한다. 칼라 프레임은 5 ㎛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박막이다. 따라서, 어셈블리는 간단하고 얇아지며, 이에 따라 비용은 감소되고 제품 수율을 증가한다. 또한, 제품의 광학 특성은 개선되고, 제품의 두께는 감소한다. 접촉 감지 유니트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분리층 또는 차폐층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조절층 또는 기능성막이 기판의 표면에 배치된다.
접촉 패널, 캐패시티브, 칼라 프레임, 광조절층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Transparent touch panel capable of being arranged before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접촉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상호작용 작동을 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에 관한 것이다.
패널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하여, 현재의 접촉 패널들은 크게 개선된 품질을 가지고 또한 낮은 가격이므로, 이에 따라 모바일 폰, 디지털 카메라, 미디어 플레이어(MP3),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및 글로벌 위치추적 시스템(GPS)과 같은 소비자용 전자 기기들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입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접촉 패널들이 디스플레이의 앞면에 배치되어, 이에 따라 작동 효율을 개선하고, 인터페이스를 익숙하게 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종래의 평평한 접촉 패널(500)은 그 상에 부착된 장식 평판(600)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부착된다. 종래의 접촉 패널(500)은 상측 기판(502)과 하측 기판(503) 사이에 배치된 접촉 감지 유니트(501)를 포함한다. 장식 평판(600)은 투명층이고, 또한 색상 장식 프레임(601)은 장식 평판(600)의 주변에 형성되어, 이에 따라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의 에지들 상에 형성된 신호 배선들(501a)을 덮는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촉 패널은 사용자들이 접촉 패널을 접촉하거나 가압하여 신호 입력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들의 디스플레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식 평판(600) 및 접촉 패널(500)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투명 접착층(700)(광학 접착제)에 의하여 함께 부착된다. 이러한 공정은 복잡하고, 또한 상기 광학 접착제는 고가이다. 비용과 물질이 소비되는 것 이외에도, 어셈블리의 두꺼운 두께가 광학 특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접촉 패널의 개선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칼라 프레임과 접촉 감지 유니트는 접촉 패널의 기판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이에 따라 종래의 장식 평판, 투명 평판, 및 접착층을 생략한다. 비용과 제조 공정이 절약되고 간단하게 되고, 수율과 광학적 특성이 증가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물리적으로 투명하고 얇은 평판인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의 주변에 형성되고, 불투명하거나 또는 거의 불투명한 박막인 칼라 프레임; 상기 기판의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감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의 에지들 상의 신호 배선들은 상기 칼라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를 접촉함에 의하여 감지 신호들이 발생되고, 이어서 상기 감지 신호들은 상기 에지들 상에 배치된 신호 배선들에 의하여 전송된다.
상기 기판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스테르(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들(COC)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얇은 평판이다. 상기 기판은, 평면의 얇은 평판 또는 비평면의 얇은 평판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칼라 프레임은, 잉크, 착색 포토 레지스트, 유기물 또는 무기물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칼라 프레임은, 5 ㎛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박막이다.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는, 캐패시티브 접촉 감지 유니트, 저항성 접촉 감지 유니트, 또는 전자기성 접촉 감지 유니트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기판의 표면은, 편광 박막, 위상 시프트 박막, 및 광학 등방성막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막들이다. 상기 기판의 표면의 상측에 기능성막이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막은 분무막 또는 하드 코팅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의 표면에 투명 분리층이 배치된다. 상기 분리층은 절연층이다.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층의 외측 표면에 투명 차폐층이 배치된다.
상술한 접촉 패널은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지시에 따라 상기 접촉 패널의 특정 위치를 접촉함으로써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손가락 또는 도전체가 상기 투명 기판 상의 특정한 위치를 접촉할 때에, 캐패시티브 감지 유니트에 의하여 캐패시티브 신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캐패시티브 신호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고안은 종래의 접촉 패널의 상측 상에 배치된 투명 평판과 접착층 및 상기 종래의 접촉 패널에 배치된 하측 기판이 제거되어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착 공정이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수율이 개선되고, 제품의 광학적 특성이 개선되고, 두께가 감소된다.
칼라 프레임과 접촉 감지 유니트는 접촉 패널의 기판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이에 따라 종래의 장식 평판, 투명 평판, 및 접착층을 생략한다. 비용이 절약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지고, 제품의 수율과 광학적 특성이 증가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고안을 더 이해하도록, 하기에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들과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고안의 대상들, 형상들, 특성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후속의 실시예는 캐패시티브(capacitive) 접촉 패널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캐패시티브 접촉 패널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항성(resistive) 접촉 패널 또는 전자기성(electro-magnetic) 접촉 패널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패널 어셈블리는 투명 기판(10), 칼라 프레임(20, color frame), 및 접촉 감지 유니트(30)를 포함한다. 투명 기판(10)은 물리적으로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얇은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들(Cyclo-Olefin Copolymers, COC)과 같은 다른 가요성 얇은 평판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물질외에도, 투명 기판(10)은 또한 다른 부드럽거나, 단단하고,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한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칼라 프레임(20)은 잉크, 착색 포토 레지스트(color photo resistance), 및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구성되지만, 그러나 상술한 물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물질들은 프린팅, 코팅, 또는 금속 증착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투명 기판(10)의 하측 표면의 주변에 배치된다. 약 1 ㎛의 두께를 가지는 불투명 박막이 칼라 프레임(20)에 형성되고, 반면 공정은 상술한 방법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 감지 유니트(30)는 투명 기판(10)과 칼라 프레임(20)의 하측 표면들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접촉 감지 유니트(30)의 에지 상의 신호 배선들은 칼라 프레임(20)의 하측에 위치한다. 칼라 프레임(20)은 접촉 감지 유니트(30)의 신호 배선을 덮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패널의 외관이 개선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유니트(30)는 단일층의 캐패시티브 접촉 감지 장치이다. 접촉 감지 유니트(30)는 캐패시티브 감지층(12), 분리층(13), 및 감응층(14, inducting layer)을 포함한다. 캐패시티브 감지층(12)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로 구성된 전도성 투명 박막이다. 캐패시티브 감지층(12)은 그 사이에 고정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투명한 X 축 트레이스들(121)을 포함하고, 또한 그 사이에 고정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투명한 Y 축 트레이스들(122)을 포함한다. X 축 트레이스들(121) 및 Y 축 트레이스들(122)은 매트릭스 형태로 서로 교차한다. 유도 지점들(121a, 유도 지점)이 각각의 X 축 트레이스(121) 상에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또한 유도 지점들(122a)이 각각의 Y 축 트레이스 상에 형성되지만, 간극들을 가지고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X 축 트레이스 각각의 단부 및 상기 Y 축 트레이스의 각각의 단부는 기판(10)의 에지들 상에 형성된 금속 전도 배선들(15a, 15b)에 개별적으로 도전 연결되고, 신호 출력 단자(미도시)에 도전 연결된다. 상술한 연결들을 통하여, 캐패시티브 감지층(12) 상의 X 축 트레이스들(121) 및 Y 축 트레이스들(122)에 의하여 발생한 감지 신호들은 후속의 신호 처리 회로로 전송될 수 있다. 분리층(13)은 약 3의 유전율 및 약 1.5 ㎛의 두께를 가지는 매우 투명한 폴리실렌 데레프탈레이트(poly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복수의 배분된 작은 면적의 절연막을 포함하고, 분리층(13)의 절연막 각각은 Y 축 트레이스(122)의 두 개의 인접한 유도 지점들(122a) 사이에 위치한 X 축 트레이스(121)의 유도 지점들(121b)을 적어도 덮는다. 감응층(14)은 상기 Y 축 트레이스들의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전도 배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 배선 각각은 15 ㎛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불투명 금속 전도체로 구성된다. 감응층(14)의 상기 전도 배선 각각의 양 단부들 상에, 상기 전도 배선에 비하여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는 전기 연결부(141)가 형성된다. 감응층(14)의 상기 전도 배선 각각이 분리층(13)의 상기 절연막 각각의 상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도 배선의 전기 연결부(141)가 상기 절연막의 외측에 배치되어, 이에 따라 상기 절연막의 하측에서 두 개의 인접한 유도 지점들(122a)을 연결한다. 캐패시티브 감지층(12), 분리층(13), 및 감응층(14)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분리층(13)의 상기 절연막들이 Y 축 트레이스들(122)의 두 개의 인접한 유도 지점들(122a) 사이에 위치한 X 축 트레이스들(121)의 부분들을 덮을 수 있고, 또한 Y 축 트레이스들 상의 상기 유도 지점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감응층(14)의 상기 전도 배선들 상의 전기 연결부들(141)은 Y 축 트레이스들(122)의 두 개의 인접한 유도 지점들(122a)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스트립들(129)은, 캐패시티브 감지층(12) 상의 X 축 트레이스들(121) 유도 지점들(121a)과 Y 축 트레이스들(122)의 유도 지점들(122a) 사이에 배치된다. 장식 스트립들(129)과 유도 지점들(121a, 122a) 사이에 간극(129a)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장식 스트립들(129) 은 상기 유도 지점들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간극(129a)은 통상적으로 20 ㎛ 내지 50 ㎛ 범위이다. 장식 스트립들(129)은 인듐 주석 산화물의 전도성 투명 박막인 유도 지점들(121a, 122a)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캐패시티브 감지층(12)의 투명도가 균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단일층의 캐패시티브 접촉 감지 유니트(30)의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인듐 주석 산화물의 전도성 투명 박막인 캐패시티브 감지층(42)을 포함한다. 복수의 대략적으로 삼각형인 유도 지점들(42a)은 그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서로 엇갈려 형성된다. 각각의 유도 지점(42a)의 단부는 투명 기판(10)의 에지들에 분리되어 형성된 금속 전도 배선(42b)과 연결되고, 이에 따라 신호 출력 단자(미도시)와 도전 연결된다. 상술한 연결들을 통하여, 유도 지점들(42a)에 의하여 발생한 감지 신호들은 후속의 신호 처리 회로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장식 스트립들(49)은 유도 지점들(42a) 사이에 배치된다. 장식 스트립들(49)과 유도 지점들(42a) 사이에 간극(49a)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장식 스트립들(49)은 유도 지점들(42a)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간극(49a)은 통상적으로 20 ㎛ 내지 50 ㎛ 범위이다. 장식 스트립들(49)은 유도 지점들(42a)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 패널은 접착층(9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92)의 전측(front)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92) 상에 표시된 지시에 따라 디스플레이(92)의 특정한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손가락 또는 도전체가 투명 기판(10) 상의 특정한 위치를 접촉하는 경우에는, 캐패시티브 감지 유니트(30)에 의하여 캐패시티브 신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캐패시티브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종래의 접촉 패널의 상측 상에 배치된 투명 평판과 접착층 및 상기 종래의 접촉 패널에 배치된 하측 기판이 제거되어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투명 기판(10)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칼라 프레임(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기판과 상기 종래의 접촉 패널의 장식 평판을 접착하는 접착 공정이 생략되고, 이에 따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품의 광학적 특성이 개선되고, 두께가 감소된다.
그러나, 상술한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른 작동 조건들에 대하여 상기 접촉 패널에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투명 절연층(40)이 접촉 감지 유니트(30)의 하측 표면에 배치된다. 절연층(40)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포토레지스트 또는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다. 접촉 감지 유니트(30)의 하측 표면은 투명 절연층(40)에 의하여 긁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참조하면, 접촉 감지 유니트(30)는 투명 전극층(30a) 및 금속 전도 배선(30b) 사이에 배치된 투명 절연층(40)을 포함한다. 투명 보호 차폐층(50)이 금속 전도 배선(30b)의 하측 표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투명 전극층(30a)과 금속 전도 배선(30b)은 상기 접촉 패널에 절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투명 전극층(30a)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또는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luminum zinc oxide) 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층(40)과 보호 차폐층(50)는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포토레지스트 또는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어셈블리에 기초하여, 차폐층(60, shielding layer)이 투명 보호 차폐층(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차폐층(60)은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인듐 아연 산화물과 같은 전도성 투명 물질로 구성된다. 접지 전위를 도전하는 차폐층(60)은 접촉 감지 유니트(30)에 대한 전자기파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5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4 실시예에 기초하여, 투명 보호 차폐층(70)이 투명 기판(10)과 칼라 프레임(20)의 하측 부분과 접촉 감지 유니트(30)의 투명 전극층(30a) 사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부착을 매끄럽게 하고, 칼라 프레임(20)의 에지들 상에 잔존하는 거품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차폐층(70)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포토레지스트 또는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6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5 실시예에 기초하여, 광조절층(80)은 투명 기판(10)의 상측 표면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선명성을 개선한다. 광조절층(80)은 편광(polarized) 박막, 위상 시프트(phase shift) 박막, 및 광학 등방성(optical isotropic)막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제6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10에 도시된 제7 실시예는 광조절층(80) 상에 기능성막(90, functional film)을 포함한다. 기능성막(90)은 분무 막(nebulizing film), 하드 코팅(hard coating), 또는 다른 박막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패널의 반사율을 낮추거나, 또는 긁힘(scratching)과 마찰(rubbing)로부터의 경도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제7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11에 도시된 제8 실시예는 상측 투명 전극층(30a1), 하측 전극층(30a2), 및 상기 두 개의 전극층들 사이의 투명 절연층(30a3)을 가지는 이중 전극층들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및 하측 전극층들은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로 구성된다. 절연층(30a3)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포토레지스트 또는 다른 물질들로 구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화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평면 기판(10)을 대신하여, 특정한 작동 조건들에 대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평판 또는 비평면 평판이 상기 접촉 패널에 적용된다. 이러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모든 변형들은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층의 캐패시티브 접촉 감지 유니트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일층의 캐패시티브 접촉 감지 유니트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투명 기판, 12: 캐패시티브 감지층, 13: 분리층
14: 감응층, 15a, 15b: 금속 전도 배선, 20: 칼라 프레임
30: 접촉 감지 유니트, 30a: 투명 전극층, 30b: 금속 전도 배선
30a1: 상측 투명 전극층, 30a2: 하측 전극층, 30a3: 투명 절연층
40: 투명 절연층, 42a: 유도 지점, 42b: 금속 전도 배선
49: 장식 스트립, 49a: 간극, 50: 투명 보호 차폐층
60: 차폐층, 80: 광조절층, 90: 기능성막
91: 접착층, 92: 디스플레이, 121: X 축 트레이스
121a, 121b, 122a: 유도 지점, 122: Y 축 트레이스들
129: 장식 스트립, 129a: 간극, 141: 전기 연결부,
500: 접촉 패널, 501: 접촉 감지 유니트, 501a: 신호 배선
502: 상측 기판, 503: 하측 기판, 600: 장식 평판
601: 색상 장식 프레임, 700: 투명 접착층

Claims (11)

  1. 물리적으로 투명하고 얇은 평판인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의 주변에 형성되고, 불투명하거나 또는 거의 불투명한 박막인 칼라 프레임(color frame); 및
    상기 기판의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감지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의 에지들 상의 신호 배선들은 상기 칼라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를 접촉함에 의하여 감지 신호들이 발생되고, 이어서 상기 감지 신호들은 상기 에지들 상에 배치된 신호 배선들에 의하여 전송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assembly).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또는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들(Cyclo-Olefin Copolymers, COC)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얇은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평면의 얇은 평판 또는 비평면의 얇은 평판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프레임은, 잉크, 착색 포토 레지스트(color photo resistance), 유기물 또는 무기물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프레임은, 5 ㎛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는, 캐패시티브(capacitive) 접촉 감지 유니트, 저항성(resistive) 접촉 감지 유니트, 또는 전자기성(electro-magnetic) 접촉 감지 유니트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은, 편광(polarized) 박막, 위상 시프트(phase shift) 박 막, 및 광학 등방성(optical isotropic)막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막들인 광조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의 상측에 기능성막(functional film)이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막은 분무막(nebulizing film) 또는 하드 코팅(hard coating)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유니트의 표면에 투명 분리층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절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층의 외측 표면에 투명 차폐층(shielding layer)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패널의 어셈블리.
KR2020090010940U 2009-08-21 2009-08-2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 KR201100020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40U KR20110002012U (ko) 2009-08-21 2009-08-2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40U KR20110002012U (ko) 2009-08-21 2009-08-2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12U true KR20110002012U (ko) 2011-03-02

Family

ID=4420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940U KR20110002012U (ko) 2009-08-21 2009-08-2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는 투명 접촉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01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3971U (ja) タッチパッド
US20110012841A1 (en) Transparent touch panel capable of being arranged before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JP5746619B2 (ja) ウィンドウパネル一体型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ー及び製造方法
US9229600B2 (en) Multi-touch active display keyboard
KR101328368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1782820B (zh) 触摸屏面板
US20130141386A1 (en) Capacitive Touch Panel
US20110254778A1 (en) Slim type touch device
US9423912B2 (en) Touch panel
US10452219B2 (en) Touch sensor
KR20130078065A (ko) 터치패널
CN103425333A (zh) 触摸面板以及使用了该触摸面板的输入装置
JP2014529376A (ja) 薄膜センサ、それを有する容量性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端末製品
US20150227170A1 (en) 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858107A (zh) 触控显示装置
US20140062908A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03158A (ko) 패턴층을 갖는 터치 패널
JP2015018532A (ja) タッチセンサ
US20110012839A1 (en) Stacking assembly of a touch panel
CN103677385A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US20150049259A1 (en) Touch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11340A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저항 방식 터치 센서
KR20140078455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8435U (ko) 개선된 터치패널의 구조
KR20130128711A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