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839U - 작업용 착용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용 착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839U
KR20110001839U KR2020090010765U KR20090010765U KR20110001839U KR 20110001839 U KR20110001839 U KR 20110001839U KR 2020090010765 U KR2020090010765 U KR 2020090010765U KR 20090010765 U KR20090010765 U KR 20090010765U KR 20110001839 U KR20110001839 U KR 201100018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user
upper side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헌광
Original Assignee
손헌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헌광 filed Critical 손헌광
Priority to KR2020090010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839U/ko
Publication of KR20110001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Abstract

본 고안은 농촌이나 어촌 등지의 각종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할 때 의자가 작업자의 엉덩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착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되며 상면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 개방부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대응되는 함몰면이 형성된 상판 뚜껑과, 상기 몸체의 전방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대와, 상기 전방지지대 보다 약 3배 이상 긴 길이로 혀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후방지지대와, 상기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다리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밀착 고정되는 고무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농어촌, 작업의자, 엉덩이, 이동, 밀착

Description

작업용 착용 의자{A chair for work}
본 고안은 농촌이나 어촌 등지의 각종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할 때 의자가 작업자의 엉덩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착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이나 어촌 등지에서는 밭이나 갯벌 작업 등 실외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쪼그리고 앉은 상태로 각종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작업자의 체중이 모두 다리로 전달됨에 따라 작업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실외 작업은 잦은 이동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데 통상의 소형의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의자를 들고 이동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농촌이나 어촌 등지에서 채소나 어패류의 재배 및 수확 작업 및 각종 실외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신체적인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의자가 작업자의 엉덩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착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되며 상면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 개방부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대응되는 함몰면이 형성된 상판 뚜껑과, 상기 몸체의 전방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대와, 상기 전방지지대 보다 약 3배 이상 긴 길이로 혀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 상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후방지지대와, 상기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다리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밀착 고정되는 고무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몸체의 하부 측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외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상판 뚜껑의 외측면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고정되는 잠금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무벨트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작업용 의자가 작업자의 몸체 밀착 고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적인 부담을 대폭 줄이면서도 작업이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이 극대화되고, 몸체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작업 과정에서 이용되는 각종 소도구들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각 부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농촌이나 어촌 등지에서 각종 야외 작업을 할 때, 작업용 의자가 작업자의 엉덩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착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하중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판 뚜껑(1)과, 상기 몸체(2)의 전,후면 상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전방지지대(3) 및 후방지지대(4)와, 상기 전,후방지지대(4)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다리에 감김 고정되는 고무벨트(7)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장갑이나 가위, 칼, 수건 등의 각종 작업용 소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폐쇄된 하면이 지면에 접촉되면서 작업자의 하중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상판 뚜껑(1)은 상기 몸체(2)의 상면 개방부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술한 수용공간을 개폐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엉덩이에 밀착되어 작업자의 체중이 상술한 몸체(2)로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몸체(2)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 뚜껑(1)에는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위하여 상면에 작업자의 엉덩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 형태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판 뚜껑(1)의 중앙부에는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통구멍(6)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엉덩이에 흐른 땀이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착탈부는 상기 상판 뚜껑(1)이 몸체(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간편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몸체(2)의 외측 상단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9)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 뚜껑(1)의 외측 둘레를 따라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돌기(9)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잠금편(8)을 구비함으로써, 잠금편(8)의 회전되면서 고정돌기(9)와 맞물려 몸체(2)와 상판 뚜껑(1)이 결합되거나 반대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몸체(2)와 상판 뚜껑(1)은 나선 등의 통상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잠금편(8)에는 상기 고정돌기(9)가 삽입되는 고정홈(11)을 형성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전방지지대(3) 및 후방지지대(4)는 상술한 몸체(2)가 작업자의 신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편안한 착용감을 가지면서도 작업자가 이동 할 때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지지대(3)는 상기 몸체(2)의 전방 상부측으로 돌출 고정되도록 하되 작업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지지대(4)는 상기 몸체(2)의 후방 상부측으로 돌출 고정되도록 하되 작업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방지지대(3) 및 후방지지대(4)는 각각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도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판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후방지지대(4)의 길이가 전방지지대(3)의 길이보다 3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용 착용 의자를 착용할 때, 전방지지대(3)에 의한 이물감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후방지지대(4)가 작업자의 허리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대(3) 및 후방지지대(4)는 상술한 몸체(2)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방지지대(3)와 후방지지대(4)가 측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지지대(3)와 후방지지대(4)에 고정구멍(10)을 형성하고, 고정구멍(10)을 관통하여 몸체(2)에 고정되는 고정고리핀(5)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벨트(7)는 작업용 착용 의자가 작업자의 다리 및 엉덩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통상의 고무벨트(7)로 형성되도록 하되,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면서 상술한 전방지지대(3)와 후방지지대(4)에 각각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전방지지대(3) 및 후방지지대(4)에는 고무벨트 고정요홈(12)을 각각 형성하여 고무벨트(7)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자가 상술한 전방지지대(3) 및 후방지지대(4)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분리된 고무벨트(7) 사이에 다리를 집어넣고 몸체(2)를 엉덩이까지 끌어올리면 고무벨트(7)가 작업자의 다리에 밀착됨과 동시에 몸체(2) 및 상판 뚜껑(1)이 작업자의 엉덩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몸체(2)의 하면 폐쇄부에는 외측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용 착용 의자를 이용하여 진흙 또는 습기가 많은 땅 위에 앉았다가 일어설 때에도 작업용 착용 의자에 들러붙는 흙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고무벨트(7)에는 링 형태의 고무벨트(7)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상의 버클(13)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용 착용 의자를 작업자의 몸체(2)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무벨트(7)가 파손된 경우에는 통상의 노끈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다리 및 엉덩이에 작업용 착용 의자를 고정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각 부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뚜껑 2 : 몸체
3 : 전방지지대 4 : 후방지지대
5 : 고정고리핀 6 : 공기통구멍
7 : 고무벨트 8 : 잠금편
9 : 고정돌기 10 : 고정구멍
11 : 고정홈 12 : 고무벨트 고정요홈
13 : 버클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되며 상면이 개방된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상면 개방부에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대응되는 함몰면이 형성된 상판 뚜껑(1)과,
    상기 몸체(2)의 전방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2)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대(3)와,
    상기 전방지지대(3) 보다 약 3배 이상 긴 길이로 혀성되고, 상기 몸체(2)의 후방 상부측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2)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후방지지대(4)와,
    상기 전방지지대(3) 및 후방지지대(4)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다리 및 엉덩이를 감싸면서 밀착 고정되는 고무벨트(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착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하부 측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착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몸체(2)의 상부 외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9)와, 상기 상판 뚜껑(1)의 외측면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고정돌기(9)에 걸림 고정되는 잠금편(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착용 의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벨트(7)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착용 의자.
KR2020090010765U 2009-08-17 2009-08-17 작업용 착용 의자 KR201100018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65U KR20110001839U (ko) 2009-08-17 2009-08-17 작업용 착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65U KR20110001839U (ko) 2009-08-17 2009-08-17 작업용 착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39U true KR20110001839U (ko) 2011-02-23

Family

ID=4420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65U KR20110001839U (ko) 2009-08-17 2009-08-17 작업용 착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8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48Y1 (ko) * 2011-04-15 2014-02-04 류동주 휴대할 수 있는 작업용 간이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48Y1 (ko) * 2011-04-15 2014-02-04 류동주 휴대할 수 있는 작업용 간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053B1 (en) Knee-spacing garment assembly
KR20120059742A (ko) 작업용 방석의자
KR20160004375U (ko) 애완동물용 캐리어
US20170304683A1 (en) Swim fin
EP2114194A1 (en) Amenities case
KR20110000415U (ko)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US20110312231A1 (en) Swim Fin Boot
KR20110001839U (ko) 작업용 착용 의자
KR101562177B1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US20160143366A1 (en) Self-supporting garment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CN201504718U (zh) 一种可将手机固定在腿脚上的手机套
KR102148493B1 (ko)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JP5212957B1 (ja) 椅子として兼用できる靴
KR102278241B1 (ko) 물건을 부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풋웨어 제품
KR200462875Y1 (ko) 광고효과를 갖는 휴대용 작업 의자
KR20180110773A (ko) 작업용 의자
JP2017225505A (ja) 装着具一体型下衣
CN207940537U (zh) 一种宝宝游戏桌椅
KR20170133248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KR200205718Y1 (ko) 착용벨트가 구비된 깔판
KR20180016225A (ko) 작업용 의자
KR200470364Y1 (ko) 작업용 방석
JP6731035B2 (ja) 携帯用椅子
KR200336096Y1 (ko) 이동 작업용 휴대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