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684U -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684U
KR20110001684U KR2020090010496U KR20090010496U KR20110001684U KR 20110001684 U KR20110001684 U KR 20110001684U KR 2020090010496 U KR2020090010496 U KR 2020090010496U KR 20090010496 U KR20090010496 U KR 20090010496U KR 20110001684 U KR20110001684 U KR 201100016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cissors
handle portion
coupl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환
Original Assignee
우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환 filed Critical 우영환
Priority to KR2020090010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684U/ko
Publication of KR20110001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1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재배 및 조경 목적에 사용되는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일측 손잡이부의 하단에는 탄성재질의 고정끈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끈의 타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돌기를 잡고 고정끈의 타단을 타측 손잡이부의 하단에 걸어줄 경우, 좌,우 손잡이부와 함께 가위날이 오므려진 상태가 되므로, 비사용중에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회전축(2)에서 교차하는 두개의 가위날(1)과, 상기 가위날(1)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4)와, 상기 가위날(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4)의 내측에 장착되는 탄성체(5)로 구성되는 전지가위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4)의 상부 내측에는 코일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체(5)가 위치하여야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4)의 상단은 상기 가위날(1)의 하단과 결합수단(3)에 의해 결합되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손잡이부(4)는 상단이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선단에서 상기 가위날(1)의 하단과 결합수단(3)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상기 좌, 우 손잡이부(4)의 일측 하단에는 탄성재질의 고정끈(10)이 고정부(10)에 의해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끈(10)의 타단에는 외측에 돌기(8)가 형성되어져서 사용자가 이를 잡고 타측 손잡이부(4)의 하단에 걸어서 좌,우 손잡이부(4)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 위에 관한 것이다.
전지가위, 가위날, 고정끈, 손잡이부, 돌기, 홈부, 미끌림방지부

Description

전지가위{A pair of secateurs}
본 고안은 과수재배 및 조경 목적에 사용되는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일측 손잡이부의 하단에는 탄성재질의 고정끈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끈의 타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돌기를 잡고 고정끈의 타단을 타측 손잡이부의 하단에 걸어줄 경우, 좌,우 손잡이부와 함께 가위날이 오므려진 상태가 되므로, 비사용중에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전지가위는 가지치기나 정원수의 수형을 가꾸기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상의 조경 목적이외에도 과수재배에서 미발육 과실치기, 또는 가지 다듬기 및 원예에서 싹자르기, 꽃자르기, 그리고 잔가지 치기 등 여러가지 목적에 사용되어진다. 일반적으로 꽃밭이나 정원의 관리에는, 간단히 흙을 파거나 북을 돋아주기 위한 꽃삽과 같은 농업용 작업도구와, 가지치기나 정원수의 수형을 가꾸기 위한 전지가위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전지가위는 이상의 조경목적외에도 과수재배에서 미발육 과살치기, 가지 다듬기와, 원예에서 싹자르기, 꽃자르기, 그리고 잔가지 치기 등 여러가지 목적 에 사용된다.
전지가위는 회전축에서 교차하는 두개의 가위날과, 상기 가위날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좌, 우 손잡이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한 탄성체가 결합되어있으므로 가위날은 평상시 좌,우로 벌려진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전지가위를 사용한 후에는 원래 위치(가위날이 좌,우로 벌려진 상태)로 자동 복원되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평상시 날카로운 가위날이 노출되어진 상태가 되므로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에도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지가위가 고안된 적이 있었으나, 안전장치가 견고하지 못하거나 풀러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널리 보급화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지가위의 좌,우 손잡이부 사이에는 탄성체가 결합되어있어서 작업도중 자동으로 벌어지되도록 하되, 작업완료후에는 손잡이부 하단에 위치한 고정끈을 사용하여 좌,우 손잡이부와 가위날이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작업중에는 날카로운 가위날이 노출되지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안전장치로서 고정끈을 구비하되, 고정끈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두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은,
일측 손잡이부의 하단에는 탄성재질의 고정끈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끈의 타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돌기를 잡고 고정끈의 타단을 타측 손잡이부의 하단에 걸어줄 경우, 좌,우 손잡이부와 함께 가위날이 오므려진 상태가 되므로, 비사용중에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의 상부 내측에는 코일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체가 위치하여야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의 상단은 상기 가위날의 하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손잡이부는 상단이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선단에서 상기 가위날의 하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져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지가위의 좌,우 손잡이부 사이에는 탄성체가 결합되어있어서 작업도중 자동으로 벌어지되도록 하되, 작업완료후에는 손잡이부 하단에 위치한 고정끈을 사용하여 좌,우 손잡이부와 가위날이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작업중에는 날카로운 가위날이 노출되지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예방의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장치로서 고정끈을 구비하되, 고정끈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는 것이 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지가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가위날이 벌어진 상태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전지가위는, 회전축(2)에서 교차하는 두개의 가위날(1)과, 상기 가위날(1)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4)와, 상기 가위날(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4)의 내측에 장착되는 탄성체(5)로 구성된다.
전지가위는 가지치기나 정원수의 수형을 가꾸기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상의 조경 목적이외에도 과수재배에서 미발육 과실치기, 또는 가지 다듬기 및 원예에서 싹자르기, 꽃자르기, 그리고 잔가지 치기 등 여러가지 목적에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가위날(1)은 스텐레스강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손잡이부(4) 역시 금속재를 주로 사용하는데 그 위에는 고무, 직물 등의 부드러운 재질에 의한 미끌림방지부(6)가 피복되어진다.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4)의 상부 내측에는 코일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체(5)가 위치하여야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4)의 상단은 상기 가위날(1)의 하단과 결합수단(3)에 의해 결합되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손잡이부(4)는 상단이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선단에서 상기 가위날(1)의 하단과 결합수단(3)에 의해 결합되어진다.
상기 좌, 우 손잡이부(4)의 일측 하단에는 탄성재질의 고정끈(10)이 고정부(10)에 의해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끈(10)의 타단에는 외측에 돌기(8)가 형성되어져서 사용자가 이를 잡고 타측 손잡이부(4)의 하단에 걸어서 좌,우 손잡이부(4)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8)는 손가락으로 잡기에 용이하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어있다.
한편, 상기 돌기(8)의 반대편, 즉 상기 고정끈(10)의 타단 내측에는 돌출부(9)가 형성되고, 손잡이부(4)의 상기 돌출부(9)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홈부(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끈(10)을 타측 손잡이부(4)의 하단에 걸어 고정할 경우에 상기 고정끈(7)이 상기 손잡이부(4)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않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끈(10)은 사용중에 쉽게 끊어지지않아야 하므로 인장강도가 비교적 높은 재질이어야하며, 상기 손잡이부(4)로부터 쉽게 미끌어지지않고 탄성도 어느정도 가져야할 것이므로, PVC,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재를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지가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지가위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가위날이 벌어진 상태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위날 2 : 회전축
3 : 결합수단 4 : 손잡이부
5 : 탄성체 6 : 미끌림방지부
7 : 고정끈 8 : 돌기
9 : 돌출부 10 : 고정부
11 : 홈부

Claims (2)

  1. 회전축(2)에서 교차하는 두개의 가위날(1)과, 상기 가위날(1)의 하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4)와, 상기 가위날(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4)의 내측에 장착되는 탄성체(5)로 구성되는 전지가위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4)의 상부 내측에는 코일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체(5)가 위치하여야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부(4)의 상단은 상기 가위날(1)의 하단과 결합수단(3)에 의해 결합되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손잡이부(4)는 상단이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선단에서 상기 가위날(1)의 하단과 결합수단(3)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상기 좌, 우 손잡이부(4)의 일측 하단에는 탄성재질의 고정끈(10)이 고정부(10)에 의해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끈(10)의 타단에는 외측에 돌기(8)가 형성되어져서 사용자가 이를 잡고 타측 손잡이부(4)의 하단에 걸어서 좌,우 손잡이부(4)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8)는 손가락으로 잡기에 용이하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8)의 반대편, 즉 상기 고정끈(10)의 타단 내측에는 돌출부(9)가 형성되고, 손잡이부(4)의 상기 돌출부(9)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홈부(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끈(10)을 타측 손잡이부(4)의 하단에 걸어 고정할 경우에 상기 고정끈(7)이 상기 손잡이부(4)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않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위.
KR2020090010496U 2009-08-12 2009-08-12 전지가위 KR201100016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496U KR20110001684U (ko) 2009-08-12 2009-08-12 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496U KR20110001684U (ko) 2009-08-12 2009-08-12 전지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84U true KR20110001684U (ko) 2011-02-18

Family

ID=4420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496U KR20110001684U (ko) 2009-08-12 2009-08-12 전지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684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2742A (zh) * 2012-11-20 2015-09-09 韩国(农村振兴厅长) 农用剪刀
KR20190043691A (ko) 2017-10-19 2019-04-29 이종웅 묘목 자동 손질장치
KR20210096757A (ko) 2020-01-29 2021-08-06 송준복 가위와, 이를 이용한 유인끈의 유인 안내장치
KR20210132854A (ko) 2020-04-28 2021-11-05 김용만 전지가위용 결속클립의 조립구조
KR20230009729A (ko) 2021-07-09 2023-01-17 김규석 적과 및 다목적가위
KR20230142283A (ko) 2022-04-01 2023-10-11 김규석 왼손 전지가위
KR20240028857A (ko) 2022-08-25 2024-03-05 김규석 전지가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2742A (zh) * 2012-11-20 2015-09-09 韩国(农村振兴厅长) 农用剪刀
KR20190043691A (ko) 2017-10-19 2019-04-29 이종웅 묘목 자동 손질장치
KR20210096757A (ko) 2020-01-29 2021-08-06 송준복 가위와, 이를 이용한 유인끈의 유인 안내장치
KR20210132854A (ko) 2020-04-28 2021-11-05 김용만 전지가위용 결속클립의 조립구조
KR20230009729A (ko) 2021-07-09 2023-01-17 김규석 적과 및 다목적가위
KR20230142283A (ko) 2022-04-01 2023-10-11 김규석 왼손 전지가위
KR20240028857A (ko) 2022-08-25 2024-03-05 김규석 전지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1684U (ko) 전지가위
US8910386B2 (en) Multiple cut zone blade assembly for a hand operated cutting tool
US1323980A (en) William i
US298926A (en) Samuel watson
CN204518579U (zh) 园林绿化修剪刀
US2015109A (en) Tool
KR200458892Y1 (ko) 전지가위
US9433248B2 (en) Protective clothing to keep a user clean when using yard care power tools
KR20180000192U (ko) 제초 및 전지용 칼
KR200472495Y1 (ko) 조경용 전지 가위
JP2000024340A (ja) 剪定鋏の鞘
US20140013516A1 (en) Gardening Implement
US483588A (en) Pruning implement
US2802264A (en) Toe hoe
US1244746A (en) Combined cutter and cultivator.
CN214545814U (zh) 一种园林绿化专用的园林剪
CN209824331U (zh) 一种多功能铁铲
KR101246152B1 (ko) 과채류 다목적 수확용 가위
US541963A (en) Combined cutting-tool
KR20100000154U (ko) 개량형 갈고리
JP6194501B2 (ja) 作物等の根部、切り向き専用、ノコ刃▲状▼手持鎌
EP3945777A1 (en) Lopper having improved cutting performance
US1192097A (en) Hoe.
KR102356327B1 (ko) 손가락 착용형 잡초 제거기 및 손가락 착용형 잡초 제거기가 구비된 작업용 장갑
CN213127181U (zh) 一种园林枝叶修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