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556A - 냉장고 및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556A
KR20110001556A KR1020090059125A KR20090059125A KR20110001556A KR 20110001556 A KR20110001556 A KR 20110001556A KR 1020090059125 A KR1020090059125 A KR 1020090059125A KR 20090059125 A KR20090059125 A KR 20090059125A KR 20110001556 A KR20110001556 A KR 2011000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hole
tab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556A/ko
Priority to US12/662,195 priority patent/US20100326114A1/en
Priority to DE102010028118A priority patent/DE102010028118A1/de
Priority to CN201010169800.8A priority patent/CN101935086B/zh
Publication of KR2011000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3Single elongated lamp located on the central axis of a turbular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및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투명관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형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투명관의 외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복수 개의 격벽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격벽에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정수장치{Refrigerator and Water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정수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한다.
근래에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추가기능을 갖춘 냉장고가 개발 및 생산되고 있으며,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워터 디스펜서 기능은 이러한 추가기능 중의 하나이다. 물을 정수하는 방법으로 필터(filter)정수, 자외선 정수 등이 대표적이다.
자외선 정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물 속에 포함된 대장균, 바이러스, 박테리아, 적리균, 티브스균, 콜레라균, 결핵균, 녹농균, 파상풍균 등의 해로운 미생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도 1a 및 도 1b에는 각각 종래의 자외선 정수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외선 정수유닛(1)은 유입구(2a) 및 유출구(2b)가 구비되는 하우징(2)과, 하우징(2) 내부에 수용되는 석영관(3)과, 석영 관(3)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4)와, 석영관(3)을 감싸며 마련되는 나선형 베인(5)을 포함하며, 유입구(2a)로 유입된 물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살균램프(4)로부터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 후에 유출구(2b)에 나오게 된다. 이때,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나선형 베인(5)을 따라 선회하므로 물이 하우징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살균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도면부호 t는 유출구(2b)에 결합되는 탭을 나타낸다.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자외선 정수유닛(6)은, 하우징(7) 내부에서 물이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나선형 튜브(8)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외선 정수유닛들에서는 유동저항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경우, 물의 원활한 취출을 위해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거나 펌프의 출력을 올려야 하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된다. 물론, 유동저항 증가는 소음 및 진동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저항 증가는, 특히, 나선형 튜브를 이용하는 도 1b의 자외선 정수유닛(6)에서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외선 정수유닛은 실제로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자외선 정수유닛의 나선형 베인(5)은 석영관(3)이 삽입되는 공간의 주위를 베인이 연속적으로 감기는 구조로서, 사출성형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아니하다. 금속판재를 변형시켜 제작하는 경우에는 재료비, 작업공수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매우 낮다. 아울러, 선회하며 일측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베인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나선형 베 인과 석영관 사이 또는 나선형 베인과 하우징 사이가 기밀성 있게 결합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일부의 물은 나선형 베인을 따라 선회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자외선 정수유닛(6)의 나선형 튜브(8) 역시 구조상 사출성형이 어렵다. 탄성재질의 투명성 수지로 제작하여 나선형으로 감는 방법이 있으나, 자외선에 의한 수지의 탈색이 발생하거나 자외선의 투과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역시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유리관으로 성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제작비가 지치게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동저항이 감소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정수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살균효율이 향상되는 정수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및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및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투명관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형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투명관의 외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복수 개의 격벽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격벽에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격벽들 중 이웃하는 격벽들에 형성된 연통공들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웃하는 격벽들에 형성된 연통공들은 상기 투명관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투명관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 각각 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도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도어의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탭(tab)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탭을 관통하는 물에는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제1공과, 상기 제1공을 통해서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제2공과, 상기 제1공과 상기 제2공을 연결하는 관통유로와,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상기 관통유로에 작용되도록 형성되는 제3공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은 상기 제1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관통유로가 형성된 탭(tab)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탭은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관통유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관통유로에 마련되는 차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하나 이상의 벽(wal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자외선이 차폐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상기 관통유로의 내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의 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관통유로의 출구의 단면적 이 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작동시점부터 소정시간 동안 상승한 후 소정 값으로 하강하여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유닛을 통한 물의 흐름이 소정시간 동안 정지되는 경우에 상기 살균램프는 주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물체가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정수유닛의 상기 살균램프는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는 정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투명관을 둘러싸며 상기 투명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 개 마련되는 정수챔버들을 구비하며, 서로 이웃하는 정수챔버들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상기 투명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물은 연속되는 연속되는 상기 정수챔버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연통공들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상기 투명관의 길이방향 연장선이 서로 경사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들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및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정수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탭(tab)을 구비하며, 상기 탭을 관통하는 물에는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작용되어 상기 탭을 통한 물의 취출이 용이해 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탭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제1공과, 상기 제1공을 통해서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제2공과, 상기 제1공과 상기 제2공을 연결하는 관통유로와,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상기 관통유로에 작용되도록 형성되는 제3공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은 상기 제1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부재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및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물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탭(tab)을 구비하며, 상기 탭은 물이 관통하는 관통유로와,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관통유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관통유로에 마련되는 차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하나 이상의 벽(wal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자외선이 차폐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상기 관통유로의 내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의 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관통유로의 출구의 단면적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유동저항이 감소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살균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중간격벽(11)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제1저장실(20) 및 제2저장실(30)을 갖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내상(13)과 외상(14)을 구비하며, 내상(13)과 외상(14) 사이에는 발포부재가 충진된다.
제1저장실(20) 및 제2저장실(30)은 전면이 개방되며, 상부의 제1저장실(20)은 제1저장실도어(40)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의 제2저장실(30)은 제2저장실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제1저장실(20)의 내측 후방에는 제1저장실(20)의 냉각을 위한 제1저장실증발기(21)와 제1저장실(20)의 냉기순환을 위한 제1저장실순환팬(22)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저장실(20) 내측 후방에는 제2저장실(30)의 냉각을 위한 제2저장실증발기(31)와 제2저장실(30)의 냉기 순환을 위한 제2저장실순환팬(32)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2는 제1저장실증발기(21) 및 제2저장실증발기(31)에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나타낸다.
제1저장실도어(40) 및 제2저장실도어(50)는 좌우로 회동되어 제1저장실(20) 및 제2저장실(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제1저장실, 제2저장실 및 각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치 및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에는 3개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될 수 있고, 각 저장실의 온도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60)와, 워터 디스펜서(60)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100)을 더 포함한다.
워터 디스펜서(60)는 제1저장실도어(40)에 마련되며, 사용자는 도어를 열지 아니하고 워터 디스펜서(60)를 통하여 정수, 탄산수 등의 물을 취출할 수 있다. 레버(61)가 컵 등의 용기 또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되면, 워터 디스펜서(60)를 통한 물의 취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내상(13)과 외상(14) 사이에 마련되는 정수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정수유닛(100)에서는 물에 포함된 각종 세균 등이 제거된다. 정수유 닛(100)은 내상(13)과 외상(14) 사이가 아닌, 내상(13)의 표면 또는 외상(14)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정수유닛(100)은 도어가 아닌,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7b는 도 3의 정수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유닛(100)은 하우징(110)과, 투명관(120)과, 살균램프(130)와, 유로형성부재(14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물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111) 및 물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타측에 마련된 유출구(112)를 갖는다. 하우징(110)은 수지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될 수도 있고,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투명관(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그 내부에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130)가 수용된다. 투명관(120)은 살균램프(13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투명관(120)은 석영관이 될 수 있다. 또한, 투명관(120)은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다.
살균램프(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관(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투명관(120)과 하우징(110) 사이를 통과하는 물에 자외선을 방사한다. 자외선은 210[nm] 내지 329[nm] 대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살균램프(130)로부터 방사되는 살균광은 자외선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살균광은 플라즈마가 될 수도 있고, 이 외의 살균기능을 가지는 다른 종류의 광이 될 수도 있다.
유로형성부재(140)는 하우징(110)과 투명관(12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물의 하우징(110)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물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물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율은 증가하게 된다.
유로형성부재(140)는 복수 개의 격벽(141)들과, 복수 개의 격벽(141)들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프레임(142)을 구비한다. 격벽(141)은 투명관(120)의 외면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투명관(1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며, 각각의 격벽(141)에는 연통공(143)이 형성된다. 격벽(141)은 투명관(120)의 외면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마련되므로, 격벽(141)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되는 사각지대(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살균유닛을 참조하면, 나선형 베인(5)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되는 사각지대가 발생된다)가 발생되지 아니한다. 또한, 각 격벽(141)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바, 유로형성부재(140)를 사출성형하여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출성형을 통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프레임(142)에 의해 복수 개의 격벽(141)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생산할 수 있고, 프레임(142)이 생략된 상태로 별개 생산되어 투명관(120)의 외면 또는 하우징(110)의 내면에 부착 될 수도 있다. 물론, 격벽(141)은 투명관(120) 또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141), 투명관(120)의 외면 및 하우징(110)의 내면에 의해 투명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정수챔버(150)(도 7a 및 도 7b 참조)가 형성된다. 정수챔버(150)는 고리형태로 투명관(120)을 둘러싸며, 정수챔버(150) 내의 물은 각 격벽(141)에 형성된 연통공(143)을 통해 이어지는 정수챔버(150)로 유동된다.
이때, 복수 개의 격벽(141)들 중 이웃하는 격벽(141)들에 형성된 연통공(143)들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도 7b 참조), 격벽(141a)에 형성된 연통공(143a)은 이웃하는 격벽(141b) 및 격벽(141c)에 형성된 연통공(143b) 및 연통공(143c)과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연통공(143a)과 연통공(143b)을 서로 잇는 연장선(L1) 및 연통공(143a)과 연통공(143c)을 서로 잇는 연장선(L2)이 각각 투명관(120)의 길이방향 연장선(L3)과 서로 경사지도록, 연통공(143)들은 각 격벽(141)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격벽(141)들에 형성된 연통공(143)들은 투명관(12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41)의 연통공(143)을 통과한 물은 투명관(120)을 돌아서, 즉 선회하여 격벽(141)의 연통공(143)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물이 투명관(120)을 선회하는 만큼의 체류시간이 더 증가하게 되고, 체류시간이 더 증가하는 만큼 살균효율도 증가한다.
물이 투명관(120)을 선회하지 아니하고 유로형성부재(140)와 투명관(120)의 사이 또는 유로형성부재(140)와 하우징(11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아니하도록, 유로형성부재(140)는 투명관의 외면 및 하우징의 내면 각각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된다. 연속하여 이어지는 나선형 베인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유로형성부재(140)의 격벽은 투명관(120)의 외면 및 하우징(110)의 내면에 직교하도록 복수 개 마련되는 바, 투명관(120)의 외면 및 하우징(110)의 내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유로형성부재(140)를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정수유닛(100)은 하우징(110)의 유출구(112)에 결합되며 하우징(110)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탭(tab)(160)을 더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160)은 실린더 형상을 이루며, 일측에 마련되는 제1공(161)과 타측에 마련되는 제2공(162)과, 제1공(161)과 제2공(162)을 연결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유로(164)를 구비한다. 실린더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탭(160)은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제1공(161)은 하우징(110)의 유출구(112)와 결합되며, 하우징(110)을 통과한 물이 제1공(161)을 통해 유입된다. 제1공(161)을 통해 유입된 물은 관통유로를 거쳐 제2공(162)으로 흘러 나오게 되어 용기 또는 이어지는 관로로 흐르게 된다.
정수유닛(100)이 작동을 중지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진공상태와 같은 저압공간이 형성되어, 탭(160)의 관통유로(164)에는 소량의 물이 정체될 수 있다. 수도꼭지를 잠근 후에 수도꼭지의 끝단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관통유로(164)에 물이 정체되는 경우, 워터 디스펜서(60)가 동작되지 아니하는 동안에 관통유로(164)에 정체된 물이 떨어져 워터 디스펜서(60)의 주위를 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유닛(100)의 살균램프(13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은 관통유로(164)에 정체된 물에 용이하게 도달되지 아니하므로, 관통유로(164)에 정체된 물은 재오염 되기 쉽다.
탭(160)의 관통유로(164)에 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탭(160)은 탭(160)의 외부 대기압이 관통유로(164)에 작용되도록 형성되는 제3공(163)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제3공(163)은 하우징(110)의 유출구(112)와 결합되는 제1공(16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구멍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탭(160)을 관통하는 물에는 탭(160)의 외부 대기압이 작용하고, 탭(160)의 관통유로(164)에 물이 정체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상기한 문제들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제3공(163)의 형태,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또한, 탭(160)은 살균램프(13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관통유로(164)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도록 관통유로(164)에 마련되는 차폐부(165)를 구비한다. 차폐부(165)는 제1벽(165a)과 제2벽(165b)을 구비하며, 제1벽(165a)에서 차폐되지 아니한 자외선은 제2벽(165b)에서 차폐된다. 제1벽(165a) 및 제2벽(165b)은 관통유로를 향해 돌출되는 다양한 형태의 벽(wall)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벽(165a) 및 제2벽(165b)은 물의 유동방향(f)과 직교하는 평면 또는 소정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평면이 될 수 있다. 물의 유동저항을 고러하여, 본 실시예의 제1벽(165a) 및 제2벽(165b)은 물의 유동방향(f)과 소정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1벽(165a) 및 제2벽(165b)은 곡면이 될 수 도 있 다. 또한, 차폐부(165)는 3개 이상의 벽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벽의 형태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유닛(100)의 하우징(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투명관(1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정수챔버(1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정수챔버(1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투명관(120)의 내부에 수용된 살균램프(13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에 물은 노출되고, 물 속의 각종 세균들은 제거된다. 이때, 각 격벽(141)에 형성된 연통공(143)들은 서로 이웃하는 연통공(143)들과 어긋나게 형성되고, 연통공(143)을 통과한 물은 다음 연통공(143)을 향해 투명관(120)을 선회하게 되는 바, 하우징(110) 내부에서의 물의 체류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모든 정수챔버(150)를 통과한 물은 하우징(110)의 유출구(112)로 유출되고, 탭(160)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00)에서는, 유로형성부재(140)에 의해 자외선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서 물의 체류시간이 증가되는 바, 정수유닛(100)의 살균효율이 상승된다. 도 1b에 도시된 나선형 튜브를 구비하는 정수유닛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재를 구비하는 정수유닛 사이의 성능시험을 한 결과에서도 이와 같은 살균효율의 상승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1b의 정수유닛에서는 15 [W]의 전력을 소모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사용한 경우 미생물 살균효율이 99.94 [%] 정도이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유닛에서는 5 [W]의 전력을 소모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사용하였음에도 미생물 살균효율은 99.98 [%]이었다. 즉, 전력소모는 30 [%] 감소되었음에 도 살균효율은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하우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손실이 도 1b의 정수유닛에서는 236 [mmAq]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유닛에서는 214 [mmAq] 발생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정수유닛에서는 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저항이 종래의 정수유닛과 비교하여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00)에서는, 정수챔버(150)들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141)은 투명관(120)의 외면에 직교하여 설치되는 바, 격벽(141)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되는 사각지역의 발생이 방지되는 바, 정수유닛의 살균효율은 더욱 상승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00)에서는, 유로형성부재(140)의 격벽(141)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바, 사출성형에 의한 유로형성부재(140)의 대량생산이 용이해진다. 유로형성부재(140)를 별도의 부재로 생산할 수 있고, 격벽(141)을 복수 개 생산하여 투명관(120)의 외면 또는 하우징(110)의 내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물론, 격벽(141)을 투명관(120) 또는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결론하여,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에서는 유로형성부재(140)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바, 생산단가 및 생산공수 절감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00)에서는, 탭(16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유로(164)에 대기압이 작용되므로, 탭(160)의 내부에 물이 잔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워터 디스펜서(60)의 작동 중지 시에 물방울이 탭(160)으로부터 떨어져 서 워터 디스펜서(60) 주위를 오염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탭(160)의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재오염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00)에서는, 탭(160)의 관통유로(164)를 통해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시간에 따른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9는 휴지(休止)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유닛의 살균램프는 2단계로 작동될 수 있다. 1단계에서,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소정시간 동안 피크값(V1) 까지 상승한 후에 소정 값, 즉 정상값(V2)으로 하강한다. 2단계에서,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정상값(V2)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피크값(V1)은 정상값(U2)의 2배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유닛(100)의 워밍업(warming-up) 시간이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취출명령이 입력되면, 정수유닛(100)은 소정시간 동안 살균램프(130)를 가동시킨 후에 워터 디스펜서를 통해 물을 방출시킨다. 이는, 정수유닛(100)이 동작되지 아니하는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정수유닛(100) 속의 물이 재오염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유닛(100)에서는, 정수유닛(100)의 살균램프(13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강도가 정수유닛(100)의 작동초기에 정상작동 상태의 강도 보다 대략 2배 이상 까지 상승되는 바, 워밍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워터 디스펜서(60)는 워터 디스펜서(60)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감지센서(62)에 의해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정수유닛(100)의 살균램프(130)는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유닛(100)이 워밍업 되는 동안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물을 취출하기 위해 용기를 워터 디스펜서(60)로 접근시키면, 용기의 접근은 감지센서(62)에 의해 감지되고 정수유닛(100)의 워밍업 동작은 시작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워터 디스펜서(60)의 레버를 동작시키면, 워밍업 동작이 먼저 시작된 시간 만큼 물은 빨리 취출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에서는 정수유닛(100)을 통한 물의 흐름이 소정시간 동안 정지되는 경우에 살균램프(130)는 주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유닛(100) 내에 체류되는 물이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정수유닛(100)의 워밍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도 7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로형성부재(240)의 각 격벽(241)에는 2개의 연통공(243)들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연통공들은 9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격벽(241a)에는 0도 및 180도에 연통공(243a) 및 연 통공(243b)이 형성되고, 격벽(241a)에 이웃하는 격벽(241b)에는 90도 및 270도에 연통공(243c) 및 연통공(243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로형성부재의 격벽에 형성되는 연통공의 위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탭(360)의 차폐부(365)는 자외선이 차폐되는 바디부(365a)와, 바디부(365a)를 관통유로(164)의 내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365b)를 구비한다. 이때, 자외선의 효과적인 차폐를 위해, 차폐부(165)의 바디부(365a)의 단면적은 관통유로(364)의 출구(364b)의 단면적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부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정수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수유닛은 냉장고 이외에도 정수장치, 일반 수도관 등 다양한 장치,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자외선 정수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7b는 도 3의 정수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시간에 따른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휴지(休止)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1 중간격벽
12 압축기 13 내상
14 외상 20 제1저장실
30 제2저장실 40 제1저장실도어
50 제2저장실도어 60 워터 디스펜서
61 레버 62 감지센서
100 정수유닛 110 하우징
120 투명관 130 살균램프
140 유로형성부재 141 격벽
142 프레임 143 연통공
150 정수챔버 160 탭
161 제1공 162 제2공
163 제3공 164 관통유로
165 차폐부

Claims (26)

  1.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및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투명관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형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투명관의 외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복수 개의 격벽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격벽에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격벽들 중 이웃하는 격벽들에 형성된 연통공들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격벽들에 형성된 연통공들은 상기 투명관을 중심으로 서로 반 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투명관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 각각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도어의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탭(tab)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탭을 관통하는 물에는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제1공과, 상기 제1공을 통해서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제2공과, 상기 제1공과 상기 제2공을 연결하는 관통유로와,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상기 관통유로에 작용되도록 형성되는 제3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은 상기 제1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관통유로가 형성된 탭(tab)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탭은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관통유로를 통해 외 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관통유로에 마련되는 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하나 이상의 벽(wa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자외선이 차폐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상기 관통유로의 내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관통유로의 출구의 단면적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작동시점부터 소정시간 동안 상승한 후 소정 값으로 하강하여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을 통한 물의 흐름이 소정시간 동안 정지되는 경우에 상기 살균램프는 주기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물체가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정수유닛의 상기 살균램프는 작동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정수유닛을 포함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투명관을 둘러싸며 상기 투명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 개 마련되는 정수챔버들을 구비하며,
    서로 이웃하는 정수챔버들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상기 투명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물은 연속되는 연속되는 상기 정수챔버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연통공들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상기 투명관의 길이방향 연장선이 서로 경사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들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9.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및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정수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탭(tab)을 구비하며,
    상기 탭을 관통하는 물에는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작용되어 상기 탭을 통 한 물의 취출이 용이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제1공과, 상기 제1공을 통해서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제2공과, 상기 제1공과 상기 제2공을 연결하는 관통유로와, 상기 탭의 외부 대기압이 상기 관통유로에 작용되도록 형성되는 제3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은 상기 제1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재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및 상기 워터 디스펜서로 취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물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물이 관통하는 탭(tab)을 구비하며,
    상기 탭은 물이 관통하는 관통유로와,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관통유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관통유로에 마련되는 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하나 이상의 벽(wa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자외선이 차폐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상기 관통유로의 내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관통유로의 출구의 단면적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59125A 2009-06-30 2009-06-30 냉장고 및 정수장치 KR20110001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25A KR20110001556A (ko) 2009-06-30 2009-06-30 냉장고 및 정수장치
US12/662,195 US20100326114A1 (en) 2009-06-30 2010-04-05 Refrigerator and water purification device
DE102010028118A DE102010028118A1 (de) 2009-06-30 2010-04-22 Kühlschrank und Wasserreinigungsvorrichtung
CN201010169800.8A CN101935086B (zh) 2009-06-30 2010-04-29 制冷机和净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25A KR20110001556A (ko) 2009-06-30 2009-06-30 냉장고 및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56A true KR20110001556A (ko) 2011-01-06

Family

ID=4337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125A KR20110001556A (ko) 2009-06-30 2009-06-30 냉장고 및 정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326114A1 (ko)
KR (1) KR20110001556A (ko)
CN (1) CN101935086B (ko)
DE (1) DE1020100281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85B1 (ko) * 2011-01-07 2011-07-04 김태형 냉장고용 살균 정수장치
WO2016022391A1 (en) * 2014-08-06 2016-02-11 Lvd Acquisition, Llc Cold water dispenser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KR20160117095A (ko)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1450A (ko)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워터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
KR20120097454A (ko) * 2011-02-22 2012-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탈착식 정수 필터부를 갖는 냉장고
DE202011000503U1 (de) 2011-03-08 2011-10-14 Brita Gmbh Auslassstück für eine Vorrichtung zum Aufbereiten einer Flüssigkeit
GB201106239D0 (en) * 2011-04-13 2011-05-25 Waterlogic Internat Ltd Water dispensing apparatus
CN102338534A (zh) * 2011-10-27 2012-02-01 海尔集团公司 冰箱
CN102538383B (zh) * 2012-03-01 2013-12-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灭菌保鲜控制方法
US9499415B2 (en) * 2014-08-14 2016-11-22 Chiyoda Kohan Co., Ltd 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DE102014217224A1 (de) 2014-08-28 2016-03-03 Skf Blohm + Voss Industr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einer mit Inhaltsstoffen belasteten Flüssigkeit
CN105486008A (zh) * 2014-10-07 2016-04-13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冰箱
US11497824B2 (en) * 2016-04-25 2022-11-15 Safe Foods Corporation UV disinfectant system
WO2021117929A1 (ko) * 2019-12-11 2021-06-17 이혜인 오존발생용 uv램프를 이용한 냉장고용 살균장치
EP4269363A1 (en) * 2022-04-25 2023-11-01 Watersprint AB A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9498A (en) * 1960-07-15 1963-02-26 Ruffin Hoebel Corp Swimming pool water purifier
GB2161467A (en) * 1984-05-14 1986-01-15 Kenneth Greenwood Lickiss Water/purifier/sterilizer/chiller
US5004541A (en) * 1986-05-09 1991-04-02 Electrolux Water Systems, Inc. Fluid purification system
US5230792A (en) * 1990-01-24 1993-07-27 Christian Sauska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variable intensity control
KR100187283B1 (ko) * 1995-12-19 1999-05-01 김광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US6139726A (en) * 1998-12-29 2000-10-31 Uv Cooling Technologies Treated water dispensing system
WO2003006381A1 (fr) * 2001-07-12 2003-01-23 Dynaflo Co., Ltd. Purificateur d'eau
US6946651B1 (en) * 2002-04-16 2005-09-20 Mark F. Bohne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JP4915979B2 (ja) * 2004-12-03 2012-04-1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流体浄化装置
US7261815B2 (en) * 2005-10-12 2007-08-28 Whirlpool Corporation Water filter for refrigerator water dispenser
CN101074123A (zh) * 2006-05-20 2007-11-21 广州神阳高新技术有限公司 紫外线液体净化处理器
CN101162121A (zh) * 2006-10-11 2008-04-16 海尔集团公司 电冰箱净水装置
US7601960B2 (en) * 2006-12-29 2009-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for UV water disinfection
KR100774565B1 (ko) * 2007-07-09 2007-11-08 뉴엔텍(주) 상하수의 자외선 살균장치
US7862728B2 (en) * 2007-09-27 2011-01-04 Water Of Life, Llc.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JP2011502896A (ja) * 2007-11-09 2011-01-27 バンポ ディストリビュ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節電型飲用水安全排出装置
US20090242075A1 (en) * 2008-03-31 2009-10-01 Zohar Waterworks, Llc Bottle fill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85B1 (ko) * 2011-01-07 2011-07-04 김태형 냉장고용 살균 정수장치
WO2016022391A1 (en) * 2014-08-06 2016-02-11 Lvd Acquisition, Llc Cold water dispenser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KR20160117095A (ko)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28118A1 (de) 2011-02-10
CN101935086B (zh) 2013-12-18
US20100326114A1 (en) 2010-12-30
CN101935086A (zh)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1556A (ko) 냉장고 및 정수장치
US9216914B2 (en) Water filter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833100B2 (en) Water reservoir pressure vessel
US9115920B2 (en) Water filter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RU2412407C2 (ru) Холодильник
CN105180573A (zh) 蒸汽杀菌冰箱
US20110056222A1 (en) Refrigerator
KR100633077B1 (ko) 냉장고
KR20040086890A (ko) 냉장고
JP2010096410A (ja) 冷蔵庫
CN110006205A (zh) 冰箱
KR101669662B1 (ko)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204902408U (zh) 蒸汽杀菌冰箱
US20090113921A1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87816B1 (ko) 물 공급기
WO2020151592A1 (zh) 冷藏冷冻装置
RU2463533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оборудованный каналом для воздуха в двери
JP2011257045A (ja) 冷却貯蔵庫の排水装置
KR20090005960U (ko)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757405B1 (ko) 와인냉장고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JP7441817B2 (ja) 冷蔵庫及び紫外線照射装置
CN216824248U (zh) 一种具有通风冷却功能的灭菌器
KR100756660B1 (ko) 식품 저장고
WO2018159151A1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