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118U -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118U
KR20110001118U KR2020100010769U KR20100010769U KR20110001118U KR 20110001118 U KR20110001118 U KR 20110001118U KR 2020100010769 U KR2020100010769 U KR 2020100010769U KR 20100010769 U KR20100010769 U KR 20100010769U KR 20110001118 U KR20110001118 U KR 201100011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filter
moxibustion
induction pipe
worm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441Y1 (ko
Inventor
김향숙
Original Assignee
김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숙 filed Critical 김향숙
Priority to KR2020100010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4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Abstract

본 고안은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방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쑥뜸기 사용시 발생하는 연기를 자동으로 흡입함과 함께 연기에 함유된 진액 부분이 모터와 연결된 회전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여과망을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여과망은 몸체 내부에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내측 받침턱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유도관을 타고 유입되는 연기를 여과하여 배출시킴은 물론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 부분을 걸러 모터 회전팬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wormwood moxacautery smoke purific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방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쑥뜸기 사용시 발생하는 연기를 자동으로 흡입함과 함께 연기에 함유된 진액 부분이 모터와 연결된 회전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여과망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여과망은 흡입구 내부와 몸체 내부에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내측 받침턱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유도관을 타고 유입되는 연기를 여과하여 배출시킴은 물론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 부분을 걸러 모터 회전팬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에서 인체의 일정부위에 열을 가해줌으로써 그 부위의 경혈을 자극하여 치료를 하는 방안으로 뜸을 놓게 된다.
또한, 상기 뜸은 쑥이나 약재를 태운 연기로 필요로 하는 부위의 경혈을 자극할 수 있다.
그리고,쑥뜸은 쑥을 환부의 근접 부위에 놓고 태워 줌으로써 그 연기가 환부를 지나면서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뜸치료의 대표적인 기구는 온구기이며, 상기 온구기는 쑥을 담아서 연소시킬 때에 발생하는 연기를 피시술자의 환부에 접촉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쑥은 연소 되면서 특유의 독특한 방향성 취기를 발생시키면서 상당히 자극적인 향기를 발산하게 된다.
따라서, 쑥 향기는 실내의 공기 중에 방출되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를 혼탁하게 하고, 시술자와 피시술자의 후각을 자극시켜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쑥뜸시 발생 되는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 부분이 실내 가구에 묻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아니면 온기구 내부에 쌓여 기기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쑥뜸 사용시 발생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함과 아울러 쑥뜸 연기에 함유된 진액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쑥뜸시 발생하는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장치는 한방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쑥뜸기 사용시 발생하는 연기를 자동으로 흡입함과 함께 연기에 함유된 진액 부분이 모터와 연결된 회전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여과망을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여과망은 몸체 내부에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내측 받침턱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유도관을 타고 유입되는 연기를 여과하여 배출시킴은 물론 연기에 함유된 진액 부분을 걸러 모터 회전팬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쑥뜸시 발생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어 쑥뜸시 주위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유도관을 타고 유입되는 연기를 여과하여 배출시킴은 물론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 부분을 걸러 모터 회전팬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 도 4와 같이 형성된 쑥뜸기 사용시 발생하는 연기는 몸체(10) 상측에 형성된 흡입구(31)과 연결된 유도관(30) 내부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이때, 흡입구(31)과 유도관(30)의 연결부분에는 연기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한 탈부착 형태의 필터소킷(32)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관(30)은 자바라 형태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관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소킷(32)에 사용되는 필터는 섬유직물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을 걸러낼 수 있음과 함께 상기 필터는 물 세척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유도관(30)으로 유입되는 연기는 몸체(10) 내부에 형성된 모터(1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팬(15) 작용으로 몸체(10) 내부로 바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한편, 몸체(10) 내부 일 측에는 유도관(30)을 통하여 유입되는 연기를 2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부재(21)와 여과망(22)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21)와 여과망(22)은 몸체(10) 내부 공간부(12)에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11) 내측 받침턱(13)에 올려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21)와 여과망(22)의 소재는 부직포 및 활성탄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어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관(30)을 타고 유입되는 연기를 여과하여 배출시킴은 물론 연기에 함유된 진액 부분을 걸러 모터(14) 회전팬(15)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흡입구(31)의 외주연에는 걸림링(34)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걸림링(34) 부분은 몸체(10)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20) 홈(33)에 끼워 평상시 보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몸체(10)의 상부측에는 모터(14)를 작동시키기 위한 ON/OFF 스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환자의 환부에 쑥 뜸을 하게 되면서 연기는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와 연결된 흡입구(31)를 환부 위에 위치시킨 후, 모터(14)를 작동시키면 회전팬(15)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연기를 유도관(30)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ON/OFF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14)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은 도 2와 같이 흡입구(31)와 유도관(30)을 연결한 필터소킷(32) 부분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다음, 유도관(3)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는 몸체(10) 내부 공간부(12)에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11) 내측 받침턱(13)에 올려진 필터부재(21)와 여과망(22)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21)와 여과망(22)의 소재는 부직포 및 활성탄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어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기에 함유된 진액이 모터(14) 회전팬(15)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몸체(10)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20) 홈(33)에 흡입구(3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링(34)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쑥뜸시 발생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어 쑥뜸시 주위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유도관을 타고 유입되는 연기를 여과하여 배출시킴은 물론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 부분을 걸러 모터 회전팬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몸체 11. 고정 플레이트
12. 공간부 13. 받침턱
14. 모터 15. 회전팬
20. 고정부재 21. 필터부재
22. 여과망 30. 유도관
31. 흡입구 32. 필터 소킷
33. 홈 34. 걸림링
35. 배출구

Claims (3)

  1. 쑥뜸기 사용시 발생하는 연기를 유도관과 연결된 흡입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30)과 흡입구(31)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있는 필터소킷(32)을 형성하되,
    상기 필터소킷(32)은 흡입구(31)와 유도관(30)의 연결지점 내부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필터소킷(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는 몸체(10) 내부에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11) 내측 받침턱(13)에 올려지는 필터부재(21)와 여과망(22)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되면서 연기에 함유된 진액 부분이 모터(14)와 연결된 회전팬(15)에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20) 홈(33)에는 흡입구(3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링(34)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소킷(32), 필터부재(21), 여과망(22)은 섬유직물 또는 부직포, 활성탄의 혼합물로 형성되어 연기에 함유된 쑥 진액을 걸러낼 수 있음과 함께 상기 필터, 여과망은 물 세척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KR2020100010769U 2010-10-21 2010-10-21 쑥뜸 연기 및 진액의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KR200463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69U KR200463441Y1 (ko) 2010-10-21 2010-10-21 쑥뜸 연기 및 진액의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69U KR200463441Y1 (ko) 2010-10-21 2010-10-21 쑥뜸 연기 및 진액의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118U true KR20110001118U (ko) 2011-02-01
KR200463441Y1 KR200463441Y1 (ko) 2012-11-05

Family

ID=4420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69U KR200463441Y1 (ko) 2010-10-21 2010-10-21 쑥뜸 연기 및 진액의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4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83B1 (ko) * 2012-09-14 2014-08-14 문영보 미세공기조절이 가능한 무연 좌훈교상
KR200481432Y1 (ko) * 2016-09-02 2016-09-29 허궁 쑥뜸 제연장치
CN106265056A (zh) * 2016-09-23 2017-01-04 烟台煊堂艾灸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明火除烟艾灸仪
CN108479225A (zh) * 2018-05-07 2018-09-04 扬州大学附属医院 手术烟气收集过滤装置
CN111437189A (zh) * 2020-03-19 2020-07-24 杭州市中医院 一种改良型督脉灸排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158Y1 (ko) * 1999-12-07 2000-05-15 이윤기 쑥뜸 연기 정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83B1 (ko) * 2012-09-14 2014-08-14 문영보 미세공기조절이 가능한 무연 좌훈교상
KR200481432Y1 (ko) * 2016-09-02 2016-09-29 허궁 쑥뜸 제연장치
CN106265056A (zh) * 2016-09-23 2017-01-04 烟台煊堂艾灸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明火除烟艾灸仪
CN108479225A (zh) * 2018-05-07 2018-09-04 扬州大学附属医院 手术烟气收集过滤装置
CN111437189A (zh) * 2020-03-19 2020-07-24 杭州市中医院 一种改良型督脉灸排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441Y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075Y1 (ko) 이동식 뜸 집연장치
KR20110001118U (ko) 쑥뜸 연기 및 진액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CN107233588A (zh) 一种护理科用环保型医疗器械消毒装置
CN201529481U (zh) 艾烟净化器
CN205569358U (zh) 一种预防传染病的灭菌设备
CN205948030U (zh) 净烟艾灸仪
KR101519376B1 (ko) 기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112545815A (zh) 一种防臭安全性妇产床
KR20200012233A (ko)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20100095778A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1457050B1 (ko) 숙뜸 연기 여과장치
KR200362549Y1 (ko) 부항기의 부항컵
CN106236563A (zh) 一种智能化艾灸治疗装置
CN107638118A (zh) 一种便于移动设有除臭装置的坐便椅
KR20190108249A (ko) 공기 집진기
KR102244493B1 (ko)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기
CN211835355U (zh) 一种艾灸仪
CN210699328U (zh) 一种艾灸烟气处理装置
KR20140035118A (ko) 악취 및 공기 정화방법 및 그 장치
JP2000288054A (ja) 気泡発生装置
CN209004685U (zh) 一种艾灸净烟一体机装置
CN206113135U (zh) 一种撞击流滤芯自清洗空气净化系统
CN214968975U (zh) 一种中医护理用艾灸盒装置
KR101722260B1 (ko) 위생적인 신체 건조장치
KR200465144Y1 (ko) 욕조용 에어버블 공급구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