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79A -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79A
KR20110000879A KR1020090058193A KR20090058193A KR20110000879A KR 20110000879 A KR20110000879 A KR 20110000879A KR 1020090058193 A KR1020090058193 A KR 1020090058193A KR 20090058193 A KR20090058193 A KR 20090058193A KR 20110000879 A KR20110000879 A KR 2011000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clay
wood flour
wood
w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수
박병섭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879A/ko
Publication of KR2011000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분자 매트릭스로 폴리에틸렌 30~60 중량부, 목분 40~70 중량부, 그리고 폴리에틸렌 총량에 대해 상용화제0MA-g-PE) 1~10 중량부, 그리고 나노필러로 점토를 PE/목분/상용화제 총중량에 대해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목분/점토나노복합체를 제공하므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Eco-friendly polyethlene/wood flour/clay nanocomposites with good thermal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a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안정성이 및 치수안정성이 취약한 폴리올레핀/목분 복합체 제조에 새로운 가공방법(재료)의 도입으로 나노클레이 (Nanoclay)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종래 기술보다 더욱 우수한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을 발현하는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환경 및 자원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다양한 종류의 천연필러(natural filler)로 보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산업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WPCs(Wood Plastic Composites)산업은 PP, HDPE, LDPE, PVC 등의 열가소성수지와 목분 등의 천연섬유질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복합 소재로서, 건축자재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WPC는 건축재로 사용했던 폐목재 및 원목을 가공하는 관정에서 발생되는 많은 양의 톱밥을 환경 친화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되어 왔으며 목분을 열가소성 수지에 넣어 용융블렌딩하는 가공법이 가장 많이 연구 되고 있다.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고분자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 및 일반 생활용품 재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는 주로 목재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로 많은 양의 플라스틱 재료는 건축재뿐만 아니라 가구제조 등의 목재 사용분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천연재료인 목재는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수급도 불안정하며 또한 최근의 전 세계적인 관심사인 지구 온난화라는 환경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 목재가 사용되던 많은 부분을 플라스틱 및 그 복합체가 대체해 가고 있다.
WPC는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체로서 주로 외부의 건축자재로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수분, 주위 온도, 자외선, 균, 곤충 등의 의해서 그 제품의 물성이 감소 될 수 있다. 그 중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많이 받는 치수안정성은 물체에 열을 가했을 때, 즉 온도를 높여 주었을 때 원래 물체가 가지고 있는 치수의 변형률의 크고 작음에 따라 판단하게 되는데, 주로 외부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들은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의 변형률이 작아 치수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건축재는 주위의 온도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뒤틀림, 갈라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재료인 플라스틱은 금속 및 무기재료에 비해 비중이 낮고, 가공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대부분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유기물질로 불에 쉽게 연소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적 안정성 및 내연소성 등의 취약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연소로 인하여 초래되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이고, 연소 가스나 공정과정에 파생되는 환경적인 문제의 해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복합체의 취약한 난연 특성의 보강을 위해 단순히 난연제를 혼합하는 것은 난연성 향상에는 효과가 있으나 성능이 우수한 할로겐계 난연제의 경우 고온가공 또는 화재 시 부식성이 큰 다량의 할로게수소를 생성시킬 뿐만 아니라 산소가 없는 조건하에서 연소시킬 경우 인체에 매우 해로운 맹독성의 발암 물질을 발생시켜 현재 환경오염 및 인체유해 물질로 유럽을 중심으로 규제되고 있다. 또한 난연제의 첨가는 고분자 수지 자체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는 PE 기반 WPC 복합체의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 향상을 위해 나노필러로 점토를 도입하여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를 제작함으로써 치수안정성 및 열안정성 뿐만 아니라 난연성 문제도 같이 해결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제작에 사용되는 PE와 상용화제의 용융지수(melt flow index)가 낮은 것을 사용하여 용융된 PE 수지에 나노클레이를 분산시키고, 목분을 순차적으로 용융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위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친수성인 목분과 친유성인 고분자 수지의 계면결합력을 높이고, 나노클레이(Nanoclay)의 삽입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상용화제인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 그라프티드(Maleic anhydride grafted) PE (MA-g-PE)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에 나노클레이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PE 선택을 통하여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향상된 WPC복합 건축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특허 (열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프로필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제조 방법)에서 사용된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기존의 재료에서는 구분하지 않았던 폴리머 및 상용화제의 용융지수가 낮은 것을 사용하여 용융된 PE 수지에 나노클레이를 분산시키고, 목분을 순차적으로 용융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종래기술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노필러로 점토가 함유된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로서, 고분자 매트릭스로 폴리에틸렌 30~60 중량부와, 목분 40~70 중량부와, 폴리에틸렌 중량부에 대해 상용화제 1~10 중량부, 나노필러로 PE/목분/상용화제 총량의 점토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목분/점토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는 10g/10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용화제는 용융지수가 2.0g/10m 이하인 MA-g-P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목분은 10~5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점토는 천연 또는 유기화 처리된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60 중량부에 대하여, 중량부; 상용화제(MA-g-PE) 3 중량부; 점토는 PE/목분/상용화제(MA-g-PE) 총량의 1중량부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는 주로 건축내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다.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는 목분을 다량 함유하므로 폐목이나 천연목재 가공 시 발생하는 자투리 목재 및 경제성 없는 잡목 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공정상 재료의 개선으로 재료확보가 쉬울 것이다. 국제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새집증후군, 환경호르몬의 등장으로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은 무척 높아졌다. 이로 인해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또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폐기 시 발생되는 비용뿐만 아니라 마구 버려지는 폐목을 이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환경 친화적이다.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의 경우 나무와 비슷한 질감과 외관을 가지고 있고 가공성이 천연목재보다 좋아 건축내외장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제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는 소비자의 선호도를 만족 시킬 뿐만 아니라 천연 목재와 플라스틱의 장점을 겸비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30~60 중량부는 목분폴리머복합체(WPC)를 이루기 위한 최적의 함량이고, 목분을 40~70 중량부 사용하는 이유도 WPC를 이루기 위한 최적의 함량이다. 또한 상용화제는 10 중량부를 이하로 첨가하는 이유는 성능발현의 문제 때문이고 점토의 첨가량 역시 WPC의 성능을 최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목분의 크기를 10~500㎛로 하는 것은 10㎛이면 원료수급이 어렵고 비용 이 과대해지며 500㎛ 이상이 되면 혼합에 문제가 있고 성능발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에틸렌 용융지수가 10g/10m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이유와 상용화제의 용융지수가 2.0g/10min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혼합의 용이성 확보를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서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HDPE)는 (주)SK 에너지의 HDPE(JH-910, melt flow index = 8.5g/10min, 밀도 = 0.963g/cm3)를 주재로 사용하였고, 70~150㎛ 크기의 목분(J. Retenmaier & Sohne Co.의 Lignocel C-120) 40 중량부를 100℃의 오븐에서 1시간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으며, 상용화제(MA-g-PE)는 듀폰사의 상용화제(Fusabond MB100D, maleci anhydride contents=1wt%, melt flow index = 2.0g/10min)를 첨가하였고, 층상 무기물인 점토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로 미국 나노클레이(Nanoclay)사의 Cloisite 20A(dimethyl dihydrogenated tallow 2-ethylhexyl ammonium으로 개질된 MMT)를 1중량부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시편은 인터널 믹서(internal mixer) 안으로 PE, 상용화제(MA-g-PE)를 투입한 후 150℃, 60rpm의 용융블렌딩 조건에서 4분간 혼합 후 나노클레이를 투입한 다음 20분간 충분히 용융시킨 다음 목분 투입, 6분간 용융 혼합한 물질을 인터널 믹서로부터 꺼내어 핫 프레스(hot press) 사이에 위치 시킨 후 컴프레션 몰딩(compression molding)에 의해 패널을 제작하였다. 열분석(TMA 및 TGA) 시험을 위한 시편은 패널을 절단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재료들은 오븐에서 건조 시킨 후 인터널 믹서에 투입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하여 점토가 배제된 폴리에틸렌/목분 WPC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HDPE)는 (주)SK 에너지의 HDPE (JH-910, melt flow index = 8.5g/10min, 밀도 = 0.963g/cm3)를 주재료로 사용하였고, 70~150㎛ 크기의 목분(J. Retenmaier & Sohne Co.의 Lignocel C-120) 40part를 100℃의 오븐에서 1시간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지만 점토와 상용화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폴리에틸렌/목분 WPC 시편은 인터널 믹서(internal mixer) 안으로 폴리에틸렌을 투입한 후 150℃, 60 rpm의 용융블렌딩 조건에서 토오크가 안정화될 때까지 충분히 혼합한 후, 목분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6분간 용융혼합을 한다. 이 용융혼합물을 인터널 믹서로부터 꺼내어 핫 프레스 사이에 위치시킨 후 컴프레션 몰딩에 의해 패널을 제작하였다. 열분석(TMA 및 TGA) 시험을 위한 시편은 패널을 절단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재료들은 오븐에서 건조 시킨 후 인터널 믹서에 투입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clay 마스터배치인 NanoMax-P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폴리에틸렌(HDPE)는 (주)SK 에너지의 HDPE (JK-910, melt flow index = 20g/10min, 밀도 = 0.961g/cm3)를 주재로 사용하였고, 70~150㎛ 크기의 목분(J. Retenmaier & Sohne Co.의 Lignocel C-120) 40중량부를 100℃의 오븐에서 1시간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으며, 상용화제(MA-g-PE) 는 (주)호남석유화학의 상용화제(EM-200, maleci anhydride contents<1wt%, melt flow index = 7.5g/10min), 그리고 점토는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NanoMax-PE)를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시편은 인터널 믹서(internal mixer) 안으로 폴리에틸렌, 상용화제,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NanoMax-PE)를 투입한 후 150℃, 60 rpm의 용융블렌딩 조건에서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가 충분이 분산 되도록 24분간 혼합한 후, 목분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6분간 용융혼합을 한다. 이 용융혼합물을 인터널 믹서로부터 꺼내어 hot press 사이에 위치시킨 후 컴프레션 몰딩에 의해 panel을 제작하였다. 열분석(TMA 및 TGA) 시험을 위한 시편은 panel을 절단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재료들은 오븐에서 건조 시킨 후 인터널 믹서에 투입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하여 용융지수가 높은 폴리머와 상용화제를 사용하였 다. 그리고 폴리에틸렌(HDPE)는 (주)SK 에너지의 HDPE (JK-910, melt flow index = 20g/10min, 밀도 = 0.961g/cm3)를 주재로 사용하였고,40중량부를 100℃의 오븐에서 1시간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으며, 상용화제(MA-g-PE) 는 (주)호남석유화학의 상용화제(EM-200, maleci anhydride contents<1wt%, melt flow index = 7.5g/10min) 그리고 점토는 Closites 20A 를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목분/점토 WPC 시편은 인터널 믹서(internal mixer) 안으로 폴리에틸렌, 상용화제를 투입한 후 150℃, 60 rpm의 용융블렌딩 조건에서 4분간 혼합한 후, Closites 20A를 투입 후 20분간 용융블렌딩을 한 후, 목분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6분간 용융혼합을 한다. 이 용융혼합물을 인터널 믹서로부터 꺼내어 핫 프레스 사이에 위치시킨 후 컴프레션 몰딩에 의해 패널을 제작하였다. 열분석(TMA 및 TGA) 시험을 위한 시편은 패널을 절단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재료들은 오븐에서 건조 시킨 후 인터널 믹서에 투입하였다.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도면 1, 2, 3의 WPC+Closites20A) 및 비교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 WPC 복합체 (도면 1, 2, 3의 WPC)의 열안정성은 열분석기(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도면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고, 치수안정성은 열분석기(TM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도면 2와 3 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의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비교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 WPC 복합체의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 보다 훨씬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 복합체 (도면 1, 2, 3의 WPC+Closites20A)의 제조에는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 나노복합체 (도면 1, 2, 3의 WPC+NanoMax-PE) 제조와 비교해 볼 때 용유지수가 낮은 폴리머와 상용화제를 사용하였으며 도면 1, 2,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이 비교예 2의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 보다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도면 1, 2, 3의 WPC+Closites20A)을 같은 점토를 사용하고 폴리머 및 상용화제의 용용지수만 변화를 주어서 비교예 3(도면 1 ,2 ,3의 WPC2+Closites20A)과 비교를 하였을 때 용융지수가 낮은 것을 사용한 것이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보다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도 1은 비교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WPC),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NanoMax-PE) 나노복합체, 비교예 3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2+Closites20A) 나노복합체 그리고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 + Closites20A) 나노복합체 샘플에 대한 열분석실험(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결과 그래프로서 온도변화에 따른 무게감소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Closites20A) 나노복합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무게감소가 비교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WPC)과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NanoMax-PE) 나노복합체 그리고 비교예 3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2+Closites20A)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점토의 도입시 melt flow index가 낮은 폴리에틸렌 및 상용화제를 사용하면 열안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는 비교예 1인 폴리에틸렌/목분(WPC), 비교예 2인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NanoMax-PE) 나노복합체, 비교예 3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2+Closites20A) 나노복합체 그리고 실시예 1인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 + Closites20A) 나노복합체 샘플에 대한 열분석실험(TMA, Thermomecanical Analysis)결과 그래프로서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Closites20A) 나노복합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의 변화가 비교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WPC)과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NanoMax-PE) 나노복합체 그리고 비교예 3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2+Closites20A)보다 작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점토의 도입시 melt flow index가 낮은 폴리에틸렌 및 상용화제를 사용하면 치수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은 비교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WPC)과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NanoMax-PE) 나노복합체, 비교예 3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2+Closites20A) 나노복합체 그리고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 + Closites20A) 나노복합체의 열분석실험결과 그래프(도 2)로부터 얻은 열팽창계수 및 치수변화를 정리한 테이블이다. 테이블을 보면 점토를 도입함으로써 열팽창계수의 경우에 -30oC 에서는 88.9㎛/moC(비교예 1) 에서 66.9㎛/moC(실시예 1)로, 40oC에서는 129㎛/mo C(비교예 1)에서 81.8㎛/moC(실시예 1) 크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30oC와 40oC에서의 치수변화의 경우에는 0.98%(비교예 1)에서 0.73%(실시예 1) 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아 점토를 도입함으로써 치수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NanoMax-PE) 나노복합체와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 + Closites20A) 나노복합체의 열팽창계수의 경우 -30oC 에서는 72.8㎛/moC(비교예 2) 에서 66.9㎛/moC(실시예 1)로, 40oC에서는 98.2㎛/mo C(비교예 2)에서 81.8㎛/moC(실시예 1) 크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30oC와 40oC에서의 치수변화의 경우에는 0.794%(비교예 2)에서 0.73%(실시예 1)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아 melt flow index가 낮은 폴리에텔렌 및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에틸렌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와 같은 양으로 치수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비교예 3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2+Closites20A)나노복합체와 실시예 1의 폴리에틸렌/목분/점토(WPC + Closites20A) 나노복합체의 열팽창계수의 경우 -30oC 에서는 87.4㎛/moC(비교예 3) 에서 66.9㎛/moC(실시예 1)로, 40oC에서는 142㎛/mo C(비교예 3)에서 81.8㎛/moC(실시예 1) 크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30oC와 40oC에서의 치수변화의 경우에는 0.958%(비교예 3)에서 0.73%(실시예 1)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아 폴리머 및 상용화제의 용융지수가 낮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치수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기반 WPC 나노복합체의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PE의 용융지수, 목분의 함량 및 종류, 첨가제의 함량 및 용융지수, 작업 온도, 압출기내의 머무름 시간, 점토의 함량 등이 있을 수 있으나 기존의 특허와 같은 양의 점토 함량 일 때는 PE 및 상용화제의 용융지수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일 것이다. 점토의 함량이 일정하더라도 층상 무기화합물인 점토를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서 잘 분산시켜 층이 박리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기위해서 용융지수 낮은 것을 사용하면 치수안정성이 더욱 더 향상될 것이다.
도 1은 비교예 1 (WPC), 비교예 2 (WPC + NanoMax-PE), 비교예 3 (WPC2 + Closites20A)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 (WPC + Closites20A) 나노복합체 샘플의 열분석 실험 결과 그래프.
도 2는 열분석 실험결과 그래프로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변화 그래프.
도 3은 도 2로부터 얻은 열팽창계수 및 치수변화정리 테이블.

Claims (4)

  1. 고분자 매트릭스로 폴리에틸렌 30~60 중량부, 목분 40~70 중량부, 그리고 폴리에틸렌 총량에 대해 상용화제0MA-g-PE) 1~10 중량부, 그리고 나노필러로 점토를 PE/목분/상용화제 총중량에 대해 1~5 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목분/점토나노복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는 10g/10min 이하이고, 상기 상용화제는 용융지수가 2.0f/10min 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목분/점토나노복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점토는 천연 또는 유기화 처리된 몬모릴나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목분/점토나노복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은 10~500㎛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목분/점토나노복합체.
KR1020090058193A 2009-06-29 2009-06-29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0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93A KR20110000879A (ko) 2009-06-29 2009-06-29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93A KR20110000879A (ko) 2009-06-29 2009-06-29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79A true KR20110000879A (ko) 2011-01-06

Family

ID=4360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193A KR20110000879A (ko) 2009-06-29 2009-06-29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8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812A (ko) * 2011-05-16 2012-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분/고분자 합성목재를 이용한 핸드폰 케이스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812A (ko) * 2011-05-16 2012-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분/고분자 합성목재를 이용한 핸드폰 케이스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0003C (en) Cellulosic composites comprising cellulose filaments
US9988503B2 (en) Thermoplastic starch composition derivative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CA2752416C (en) Environmentally-friendly ceramic-plastic composit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2924939B (zh) 一种废旧轮胎橡胶粉填充塑木型材及其制备方法
CN102295793A (zh) 一种高填充氧化降解高分子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967288A (zh) 一种木粉填充聚丙烯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02241836A (zh) 一种可完全生物降解材料及其生产工艺
KR100681333B1 (ko) Wpc 환경친화적 폴리올레핀/목분 복합체
Bahari et al. Thermal stability of processed PVC/bamboo blends: effect of compounding procedures
KR101169938B1 (ko)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Elgharbawy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olyolefin composites and their properties
Elloumi et al. Deinking sludge: A new biofiller for HDPE composites
Lourençon et al. Thermal stabilization of wood/polypropylene composites through addition of unmodified, low-cost kraft lignin
KR20110000879A (ko)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에틸렌/목분/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07140116A2 (en) Microbial resistant composites
Pantyukhov et al. Destruction of composite materials made of LDPE and lignocellulosic fillers
JP5226947B2 (ja) フライアッシュ強化熱可塑性樹脂
Xian et al. The influence of white mud on the water absorption, surface wettability, mechanical, and dynamic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core–shell structured wood-plastic composites
KR100990127B1 (ko) 열안정성이 개선된 환경친화적 폴리올레핀/목분/점토나노복합체 제조방법
CN112280108A (zh) 一种淀粉基可降解安全环保包装盒及制备方法
Shih et al. The effect of thermal, flam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plastic composites made from recycled food-packaging LDPE and eco-friendly phytic acid
Yaras et al. Carbonation sludge reinforced LDPE composites: flame-retardant,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thermal degradation behaviors
KR101478999B1 (ko) 바이오플라스틱 면상 발열체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8689B1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친환경 무독-폴리염화비닐/목분/점토 나노복합체
Sözen et al. The effect of nano tio2 and nano boron nitride on mechanical, morph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wf/pp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