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32A -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32A
KR20110000832A KR1020090058119A KR20090058119A KR20110000832A KR 20110000832 A KR20110000832 A KR 20110000832A KR 1020090058119 A KR1020090058119 A KR 1020090058119A KR 20090058119 A KR20090058119 A KR 20090058119A KR 20110000832 A KR20110000832 A KR 20110000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riving current
illuminance
portable termi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준
김종욱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09005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832A/ko
Publication of KR2011000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광에 따라 광조이스틱의 광원부를 제어하는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커서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조도검출부에서 외부광의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구동 전류값과 비교하여 이에 해당하는 구동 전류값으로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조이스틱, 조도, 광원

Description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PORTABLE TERMINAL WITH OPTICAL JOYSTI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광에 따라 광조이스틱의 광원부를 제어하는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조이스틱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생성된 커서를 제어하여 원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선택 가능하도록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광조이스틱(10)은 광원부(11)와 광신호를 감지하는 이미지센서(12)와 이미지센서(12)로 광을 안내하는 광가이드(13), 광가이드(13)를 지지하는 홀더(14) 및 이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5)으로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5) 상단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휴대단말기의 조작을 위하여 손가락 등의 피사체(P)가 접촉되는 접촉면(16)이 형성되며, 이미지센서(12)는 입력신호의 처리를 위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상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접촉면(16)에 피사체(P)인 손가락을 접촉시켜 움직이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센서(12)에 입력되는 광신호가 변화되어 휴대단말기가 조작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접촉면(16)에 손가락 등의 피사체(P)가 접촉되면, 광원부(11)에서 출사된 광이 피사체(P)에 부딪혀 반사된 후 광가이드(13)를 거쳐 이미지센서(12)에서 촬상된다.
반대로 접촉면(16)에 피사체(P)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원부(11)에서 출사된 광이 하우징(15)을 투과하여 하우징(15)의 외부로 조사된다.
여기서 접촉면(16)에 접촉된 피사체(P)가 움직이게 되면, 피사체(P)에 반사되어 이미지센서(12)에 감지되는 광신호로 변화된다.
이때, 이미지센서(12)가 감지한 광신호는 이미지처리부를 갖는 마이컴(미도시)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이동 또는 입력정보의 내용이 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광조이스틱은 외부광에 노출시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태양광과 같은 외부광이 피사체로 접촉되는 하우징을 통해 광조이스틱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 광원부에서 하우징으로 조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무 동작 또는 스스로 동작하는 등과 같은 오동작을 일으킨다.
또한, 광조이스틱은 외부 광량과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구동전류가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광조이스틱이 심야나 암실 등과 같은 곳에서는 기본 구동전류보다 낮은 구동전류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항상 일정한 구동전류가 공급되어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시간이 단축되어 장시간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광의 조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조도에 따라 구동전류가 조절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전류를 조절하여 불필요한 소비전력의 감소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외부광의 조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조도에 따라 광조이스틱 광원부의 구동전류가 조절되어 광조이스틱의 오동작을 방지하거나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커서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조도검출부에서 외부광의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구동 전류값과 비교하여 이에 해당하는 구동 전류값으로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커서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외부광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조도값과 미리 설정된 구동전류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구동전류값의 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조도값이 설정된 구동전류값의 범위 이내이면, 해당 구동전류값으로 광원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광조이스틱(1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다. 광조이스틱(10)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커서를 생성하며, 피사체(P)의 이동을 감지하여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광조이스틱(10)은 광원부(11)에서 조사된 빛이 하우징(15) 외부로 투과되어 피사체(P)의 표면에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결상부재(13)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12)에 전달된다. 이미지센서(12)는 결상부재(13)로부터 유입된 빛을 검출하여, 검출된 변위값을 제어부(20)에 송신하면, 제어부(20)는 변위값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커서를 출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에는 광을 측정하는 조도검출부(30)와, 광원부(11)와, 측정된 조도에 따라 광원부(11)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조도검출부(30)는 휴대단말기(1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조도검출부(30)는 조도센서일 수 있다.
조도검출부(30)는 실내외 주변의 외부광 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조도값을 제어부(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측정된 조도값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구동 전류값과 비교하여 측정된 신호에 해당하는 구동 전류값으로 광조이스틱 광원부(11)의 구동전류를 조절하게 된다.
즉, 휴대단말기(100)의 배터리로부터 광조이스틱 광원부(11)로 유입되는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100)는 주변의 외부광 조도를 측정한다(S200). 이때, 외부광은 일반 전등 및 태양광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측정된 조도값을 미리 설정된 구동 전류값과 비교하게 된다(S210).구동 전류값은 광조이스틱 광원부(11)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말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구동전류값의 범위이내 인지를 판단한다(S220).
판단한 결과,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해당 구동전류값으로 광원부(11)를 제어하게 된다(S230).
그러면 제어부(20)는 전원공급원인 배터리(미도시)에서 광원부(11)로 유입되 는 구동전류를 설정된 구동전류값에 맞춰 조절하게 된다.
이때, 조도값이 설정된 구동전류값의 범위 이내가 아닐 경우, 설정된 구동전류값 범위 이내가 될 때까지 외부광 조도 측정을 반복수행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100)는 외부광 조도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제어부(20)는 측정된 조도와 설정된 구동전류값을 비교한다. 이때, 제어부(20)에는 예를 들어 구동전류값을 단계별로 5mA, 10mA, 15mA, 20mA, 40mA로 설정할 수 있는데, 5mA는 측정된 조도값이 0~10lux로 심야 또는 암실인 경우, 10mA는 조도값이 10~300lux로 일반적인 실내인 경우, 15mA는 조도값이 300lux ~ 3klux로 밝은 실내인 경우, 20mA는 조도값이 3klux ~ 40klux로 일반적인 야외인 경우, 40mA는 조도값이 40klux ~ 70klux로 태양광인 경우로 각각 조도값에 대응하게 구동전류값은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태양광 아래에서 광조이스틱(10)을 구동하게 되면, 제어부(20)는 태양광의 조도값에 해당하는 40mA로 실행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구동전류값인 40mA로 광조이스틱 광원부(11)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20)는 휴대단말기(100)의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구동전류를 40mA로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광의 조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조도에 따라 광조이 스틱 광원부의 구동전류를 조절하여 광조이스틱의 오동작을 방지하거나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조이스틱 11: 광원부
20: 제어부 30: 조도검출부
100: 휴대단말기

Claims (5)

  1.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커서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조도검출부에서 외부광의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구동 전류값과 비교하여 이에 해당하는 구동 전류값으로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구동전류값은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검출부는 조도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4.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커서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광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조도값과 미리 설정된 구동전류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구동전류값의 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조도값이 설정된 구동전류값의 범위 이내이면, 해당 구동전류값으로 광원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값이 설정된 구동전류값의 범위 이내가 아닐 경우, 상기 외부광 조도 측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90058119A 2009-06-29 2009-06-29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0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19A KR20110000832A (ko) 2009-06-29 2009-06-29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19A KR20110000832A (ko) 2009-06-29 2009-06-29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32A true KR20110000832A (ko) 2011-01-06

Family

ID=4360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119A KR20110000832A (ko) 2009-06-29 2009-06-29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8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917A (ko) 2013-12-03 2016-08-03 도레이 배터리 세퍼레이터 필름 주식회사 적층 다공질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07201A (ko) 2014-01-10 2016-09-13 도레이 배터리 세퍼레이터 필름 주식회사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917A (ko) 2013-12-03 2016-08-03 도레이 배터리 세퍼레이터 필름 주식회사 적층 다공질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07201A (ko) 2014-01-10 2016-09-13 도레이 배터리 세퍼레이터 필름 주식회사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3382B2 (en) Controlling machine actions based on luminance of environmental light and distance from user
CN102097056B (zh) 电子装置及其控制背光亮度的方法
US20060092182A1 (en) Display brightness adjustment
CN109119044A (zh) 电子设备
CN105575334A (zh)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及用户终端
TW201205042A (en) Electronic apparatus, proximity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23342B1 (ko)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4126B1 (ko) 표시부 제어 방법 및 장치
TW201324497A (zh) 顯示裝置及其亮度調節方法
US9727160B2 (en)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134844B2 (en) Optical touchpad with power saving functions based on detected light
WO2018077093A1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JP2006277967A (ja) 照明装置
KR20110000832A (ko) 광조이스틱을 포함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076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휘도 조정 방법
KR2019012698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60856B2 (ja) 光センサを利用した表示部の照明光制御装置
US20110273414A1 (en) Illuminance detection method, flip-type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JP6529827B2 (ja) 表示装置
KR20100045871A (ko) 휴대 단말기의 프로젝터 화면 크기와 밝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4302533A (ja) 光学式マウス及びそれを用いた端末装置
KR101099044B1 (ko) 휴대단말기의 광조이스틱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JP2014186071A (ja)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26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15411502U (zh) 一种测光计时监测装置及调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