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544U - 터미널블록 - Google Patents

터미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544U
KR20110000544U KR2020090008991U KR20090008991U KR20110000544U KR 20110000544 U KR20110000544 U KR 20110000544U KR 2020090008991 U KR2020090008991 U KR 2020090008991U KR 20090008991 U KR20090008991 U KR 20090008991U KR 20110000544 U KR20110000544 U KR 201100005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eating
positioning
unit blocks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014Y1 (ko
Inventor
진권호
Original Assignee
진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권호 filed Critical 진권호
Priority to KR2020090008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01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0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횡방향의 일측면이 평탄하고 타측면에 종방향의 제 1 안착홈을 갖는 제 1 안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착부의 양측과 상기 평탄한 타측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관통되는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 및 제 1 위치 결정용 홈을 갖는 절연블록과, 상기 제 1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부 및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산을 갖는 제 1 통전관체와, 상기 제 1 통전관체의 상부 및 하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내부 및 외부의 신호선이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나사 결합되는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N-1(N은 자연수)개의 단위블럭과; 상기 체결된 N-1개의 단위블록의 일측 끝단에 타측이 상기 N-1개의 단위블록과 동일하게 제 2 안착부, 제 2 안착홈,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 제 2 통전관체 및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고 돌출된 일측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와 제 2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볼트홈을 포함하는 제 1 엔드블록과; 상기 체결된 N-1개의 단위블록의 타측 끝단에 일측이 평탄하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 2 위치 결정용 홈이 형성되고 타측이 돌출하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홈과 제 3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너트홈을 포함하는 제 2 엔드블록과; 상기 N-1개의 단위블럭과 상기 제 1 및 제 2 엔드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관통구멍을 관통 및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터미널블록, 분기, 전기부품, 단위블록, 엔드블록

Description

터미널블록{Terminal block}
본 고안은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의 절연블록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통전관체를 사용하여 신호선를 연결하기 위한 도선 고정용 볼트를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므로 부품 수의 감소와 조립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고, 통전관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나 각종기계장치의 제어판넬, 건물의 단자함 등에는 외부의 신호 또는 전원을 내부에 전달하는 터미널블록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터미널블록은 다수의 터미널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전기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기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블록은 등록실용신안 제 15284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블록은 상하부에 신호선를 연결하기 위한 상부결속 부와 하부결속부를 갖고 그 상부결속부와 하부결속부에 각각 위치결정용 자리파기턱이 형성되며 서로 일렬로 조립되는 여러개의 절연블록과; 상기 절연블록의 일측으로부터 횡설되어 이 절연블록의 일측조립면 보다 소정량 돌출되고 중심에 관통구멍을 가지는 위치 결정용 보스와; 상기 절연블록의 타측조립면으로부터 측방향 안쪽으로 요입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용 보스와 결합되는 위치결정용 자리파기구멍과; 상기 절연블록의 일측조립면을 향해 측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결속부와 하부결속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용 자리파기턱에 측방향으로 삽입되고, 도선 고정용 볼트와 도선 고정용 너트, 와셔가 각각 설치되는 체결용 구멍이 각각 상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용 보스가 관통되는 패스홀을 가지는 ㄷ자형의 통전편과; 여러개가 일렬로 배열되는 상기 절연블록 중 최외각 절연블록의 양측 조립면에 조립되고 조립시 상기 각 절연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과 중심이 일치되는 또 다른 관통구멍 및 위치결정용 보스를 가지는 엔드블록과; 상기 엔드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과 위치결정용 보스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을 모두 통하여 일측의 엔드블록과 타측의 엔드블록을 절연블록 쪽으로 가압하는 조립용 볼트 및 조립용 너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블록은 각각의 절연블록에 'ㄷ'자형의 통전편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결정용 자리파기턱이 형성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전편에 신호선를 연결하기 위한 도선 고정용 볼트를 고정하는 도선 고정용 너트가 필요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전편의 폭을 증가시키기 어려우 므로 표면적을 향상시킬 수 없어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의 절연블록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터미널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전관체를 사용하여 신호선를 연결하기 위한 도선 고정용 볼트를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므로 부품 수의 감소와 조립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터미널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통전관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미널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은 횡방향의 일측면이 평탄하고 타측면에 종방향의 제 1 안착홈을 갖는 제 1 안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착부의 양측과 상기 평탄한 타측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관통되는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 및 제 1 위치 결정용 홈을 갖는 절연블록과, 상기 제 1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부 및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산을 갖는 제 1 통전관체와, 상기 제 1 통전관체의 상부 및 하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내부 및 외부의 신호선이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나사 결합되는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N-1(N은 자연수)개의 단위블럭과; 상기 체결된 N-1개의 단위블록의 일측 끝단에 타측이 상기 N-1개의 단위블록과 동일하게 제 2 안착부, 제 2 안착홈,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 제 2 통전관체 및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고 돌출된 일측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와 제 2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볼트홈을 포함하는 제 1 엔드블록과; 상기 체결된 N-1개의 단위블록의 타측 끝단에 일측이 평탄하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 2 위치 결정용 홈이 형성되고 타측이 돌출하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홈과 제 3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너트홈을 포함하는 제 2 엔드블록과; 상기 N-1개의 단위블럭과 상기 제 1 및 제 2 엔드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관통구멍을 관통 및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통전관체가 사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안착홈의 중간 부분 각각에 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제 1 및 제 2 통전관체 둘레에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의 머리와 상기 제 1 통전관체 사이에 제 1 및 제 2 스프링 와셔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각의 절연블록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통전관체를 사용하여 신호선를 연결하기 위한 도선 고정 용 볼트를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므로 부품 수의 감소와 조립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으며, 사각형 또는 원통형의 통전관체에 의해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은 횡방향으로 일렬로 조립되는 N-1(N은 자연수)개의 단위블록(11)과, 이 단위블록(11)의 양측 끝단에 조립되는 제 1 및 제 2 엔드블록(13)(15)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N-1개의 단위블록(11)의 각각은 횡방향의 일측면이 평탄하고 타측면에 종방향의 제 1 안착홈(21)을 갖는 제 1 안착부(19)가 돌출되게 형성된 절연블록(17)과, 상기 제 1 안착홈(21)에 삽입되는 제 1 통전관체(27)를 포함한다.
절연블록(17)의 각각은 타측면에 제 1 안착부(19)의 양측에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23)를 가지며, 일측면에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23)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위치 결정용 홈(25)을 갖도록 절연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안착홈(21)은 내부 표면이 평면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별도의 구성없이 제 1 통전관체(27)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절연블록(17)의 각각은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23)와 제 1 위치 결정용 홈(25)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여 제 1 관통구멍(26)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N-1개의 절연블록(17)의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23)가 제 1 위치 결정용 홈(25)에 끼워져 결합되면 N-1개의 제 1 관통구멍(26)이 서로 연결된다.
제 1 통전관체(27)는 상부 및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산을 갖고 외부가 사각형 또는 원통형을 갖도록 황동 등의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통전관체(27)는 내부 및 외부의 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된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29)가 상부 및 하부 내부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어 내부 신호선과 외부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에서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29)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너트없이 제 1 통전관체(27)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며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통전관체(27)는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통전편 보다 표면적이, 즉, 내부와 외부의 표면적을 합한 표면적이 더 넓으므로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 1 통전관체(27)의 외부 표면에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표면적을 더 증가시켜 전기적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도 있다.
그리고,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29)의 머리와 제 1 통전관체(27) 사이에 제 1 스프링 와셔(spring lock washer :31)와 제 1 링(33)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 1 스프링 와셔(31)는 제 1 통전관체(27)에 체결된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29)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나사산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29)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1 링(33)은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29)를 제 1 통전관체(27)에 체결할 때 제 1 스프링 와셔(31)에 의해 제 1 통전관체(2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 2 엔드블록(13)(15)은 체결된 N-1개의 단위블록(11)의 양측 끝단에 설치되어 제 1 통전관체(27)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제 1 엔드블록(13)은 일측이 돌출되고 타측이 N-1개의 단위블록(1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 1 엔드블록(13)은 타측에 종방향의 제 2 안착홈(36)을 갖는 제 2 안착부(35)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제 2 안착홈(36)에 제 2 스프링 와셔(45)와 제 2 링(47)을 사이에 두고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43)가 상부 및 하부 내부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 2 통전관체(41)가 삽입된다. 또한, 제 2 통전관체(41)는 제 1 통전관체(27)와 같이 외부가 사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엔드블록(13)은 제 2 안착부(35)의 양측에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39)가 형성되며 돌출된 일측면에 볼트홈(49)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안착홈(36)도 제 1 안착홈(21)과 같이 내부 표면이 평면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별도의 구성없이 제 2 통전관체(4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제 1 엔드블록(13)의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39)와 볼트홈(49) 사이에도 제 2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N-1개의 제 1 관통구멍(26)과 서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제 2 통전관체(41)는 제 1 통전관체(27)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43)도 제 2 통전관체(41)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므로 별도의 고정 너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며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 2 스프링 와셔(45)와 제 2 링(47)은 제 1 스프링 와셔(31)와 제 1 링(33)과 같이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43)가 제 2 통전관체(41)에서 풀리는 것과 제 2 스프링 와셔(45)에 의한 제 2 통전관체(41)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2 엔드블록(15)은 일측이 평탄하고 타측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엔드블록(15)은 평탄한 일측의 절연블록(17)에 형성된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23)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 2 위치 결정용 홈(53)이 형성되며, 돌출된 타측의 대응하는 부분에 너트홈(55)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엔드블록(15)의 제 2 위치 결정용 홈(53)과 너트홈(55) 사이에도 제 3 관통구멍(57)이 형성되어 N-1개의 제 1 관통구멍(26)과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구성의 N-1개의 단위블록(11)과 제 1 및 제 2 엔드블록(13)(15)를 조립한 상태에서 제 1, 제 2 및 제 3 관통구멍(26)(51)(57)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조립된 N-1개의 단위블록(11)과 제 1 및 제 2 엔드블록(13)(15)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제 2 및 제 3 관통구멍(26)(51)(57)을 관통 및 고정하는 고정수단, 즉, 조립용볼트(59) 및 조립용 너트(61)에 의해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단위블록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단위블록(11)은 절연블록(17)의 제 1 안착홈(21)의 중간 부분에 가이드(6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63)에 대응하는 부분의 제 1 통전관체(27) 둘레에 가이드홈(65)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안착홈(21)에 제 1 통전관체(27)를 조립할 때 돌출된 가이드(63)에 의해 가이드홈(65)이 안내되므로 제 1 통전관체(27)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1 엔드블록(13)의 제 2 안착홈(36)의 중간 부분에도 가이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에 대응하는 부분의 제 2 통전관체(41) 둘레에도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단위블록 13 : 제 1 엔드블록
15 : 제 2 엔드블록 17 : 절연블록
19, 35 : 제 1 및 제 2 안착부
21, 36 : 제 1 및 제 2 안착홈
27, 41 : 제 1 및 제 2 통전관체

Claims (4)

  1. 횡방향의 일측면이 평탄하고 타측면에 종방향의 제 1 안착홈을 갖는 제 1 안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착부의 양측과 상기 평탄한 타측면의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관통되는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 및 제 1 위치 결정용 홈을 갖는 절연블록과,
    상기 제 1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부 및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산을 갖는 제 1 통전관체와,
    상기 제 1 통전관체의 상부 및 하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내부 및 외부의 신호선이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나사 결합되는 제 1 도선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N-1(N은 자연수)개의 단위블럭과;
    상기 체결된 N-1개의 단위블록의 일측 끝단에 타측이 상기 N-1개의 단위블록과 동일하게 제 2 안착부, 제 2 안착홈,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 제 2 통전관체 및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고 돌출된 일측에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보스와 제 2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볼트홈을 포함하는 제 1 엔드블록과;
    상기 체결된 N-1개의 단위블록의 타측 끝단에 일측이 평탄하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용 보스와 대응하는 부분에 제 2 위치 결정용 홈이 형성되고 타측이 돌출하면서 상기 제 2 위치 결정용 홈과 제 3 관통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너트홈을 포함하는 제 2 엔드블록과;
    상기 N-1개의 단위블럭과 상기 제 1 및 제 2 엔드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 기 제 1, 제 2 및 제 3 관통구멍을 관통 및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전관체가 사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터미널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안착홈의 중간 부분 각각에 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제 1 및 제 2 통전관체 둘레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터미널블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선 고정용 볼트의 머리와 상기 제 1 통전관체 사이에 제 1 및 제 2 스프링 와셔가 설치되는 터미널블록.
KR2020090008991U 2009-07-10 2009-07-10 터미널블록 KR200454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91U KR200454014Y1 (ko) 2009-07-10 2009-07-10 터미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91U KR200454014Y1 (ko) 2009-07-10 2009-07-10 터미널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44U true KR20110000544U (ko) 2011-01-18
KR200454014Y1 KR200454014Y1 (ko) 2011-06-10

Family

ID=4420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991U KR200454014Y1 (ko) 2009-07-10 2009-07-10 터미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0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85B1 (ko) * 2016-02-16 2016-07-11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경사브라켓이 구비된 터미널블럭
KR101942336B1 (ko) * 2018-08-13 2019-01-25 노경재 어셈블리형 다기능 커넥터
KR101974934B1 (ko) * 2018-12-21 2019-05-03 노경재 어셈블리형 다기능 커넥터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6193A (en) * 1998-06-18 1999-12-0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Buckle for use with a pretensio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85B1 (ko) * 2016-02-16 2016-07-11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경사브라켓이 구비된 터미널블럭
KR101942336B1 (ko) * 2018-08-13 2019-01-25 노경재 어셈블리형 다기능 커넥터
KR101974934B1 (ko) * 2018-12-21 2019-05-03 노경재 어셈블리형 다기능 커넥터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014Y1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5493B2 (en) Adjustable bus bar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US8926246B2 (en) Bolt support structure
KR200454014Y1 (ko) 터미널블록
US20190067851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120052717A1 (en) Cable connection device
RU25245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ника с волоконным сердечником
US2011008655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m actuated locking mechanism
CN209357952U (zh) 导电端子和电连接器
US312539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neutral bars
CN110401052B (zh) 一种直接与主板导通的连接器组件
WO2015126786A1 (en) Switching assembly and interconnect assembly therefor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44660B1 (ko) 컷아우트스위치의 상하 접속부 배전선로 연결체
JP2012160522A (ja) 大電流用コイル部品
US20200153126A1 (en)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for the use in low, medium and high voltage
KR200357907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터미널
KR200152844Y1 (ko) 조립식 단자대
KR101991287B1 (ko) 부스바 연결구조
CN218997088U (zh) 一种高压电机定子引线连接装置
CN114530730B (zh) 一种分线器
KR200209935Y1 (ko) 단자대
KR20130003376U (ko) 접지터미널
KR100382322B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KR20100070139A (ko) 차량용 박스
JP2017216212A (ja) バスバー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