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325U - 이동식 쿡탑 - Google Patents

이동식 쿡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325U
KR20110000325U KR2020090008688U KR20090008688U KR20110000325U KR 20110000325 U KR20110000325 U KR 20110000325U KR 2020090008688 U KR2020090008688 U KR 2020090008688U KR 20090008688 U KR20090008688 U KR 20090008688U KR 20110000325 U KR20110000325 U KR 201100003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oktop
main body
cabinet mai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곤
Original Assignee
박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곤 filed Critical 박석곤
Priority to KR2020090008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325U/ko
Publication of KR20110000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1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쿡탑에 관한 것으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끼움홈(11)이 형성되며, 전면에 소품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중간서랍케이지(12)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서랍케이지(12) 직하에 도어(13)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수납공간부(14)가 형성된 수납장 본체(10)와; 상기 수납장 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홈(11)에 끼움결합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도록 마련된 쿡탑(20)과; 상기 수납장 본체(10) 후면으로부터 상기 쿡탑(20)측으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된 전원케이블(30)과; 상기 수납장 본체(10) 후면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케이블(3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케이블 수납부(40)와; 상기 수납장 본체(10) 하부면에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다수 구비된 케스터(50);를 포함하는 이동식 쿡탑에 관한 것이다.
쿡탑, 수납장.

Description

이동식 쿡탑{A movable type cook top}
본 고안은 이동식 쿡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의 주방에서 사용되는 조미료 등의 양념이 충진되어있는 양념통을 안전하고 손쉽게 거치함과 함께, 입식 주방에 설치된 가스레인지 또는 쿡탑의 사용에 대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도록 이동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을 동시에 수납이 가능하여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쿡탑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주방은 통상적으로 입식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입식구조는 주방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주방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일이 서서 행하여지도록 구조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입식구조는 가정의 식생활 문화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즉, 서구적으로 식탁을 두고, 가정의 가족일원이 주방으로 이동하여 식탁에 둘러앉아 식사를 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고,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이는 우리 주방 문화의 주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주방에서는 다양한 일이 이루어지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의식주(衣食住) 중에 식(食)을 해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방에서는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고, 가족의 구성원이 섭취하는 가장 보통적인 일들을 통해 건강한 사회와 국가를 구현하는 기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방은 가족구성원이 모두 모이는 장소에 비해 그 장소가 상당히 협소하다. 물론, 장소가 상당히 넓은 경우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보통 4인 가족을 기준으로 8평형의 생활공간을 차지하는 국민주택 32평형을 기준을 두고 보았을 때, 가족 구성원이 모두 모이게 되면 상당히 주방이 좁다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더군다나, 음식을 요리할 경우, 요리하는 가족 구성원의 일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가족 구성원의 행동의 제약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협소한 좁은 장소를 차지하는 주방에서 음식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스트레스를 주는 일일 수 있고, 음식을 조리한다고 하더라도, 그 공간이 자유롭지 못해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는 없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최근 들어 입식주방에서는 가스랜지 또는 가스쿡탑 등이 싱크대 내에 빌트인 되어 있는 바, 가장 기본적으로, 3구에서 4구를 기본으로 가스랜지 또는 가스쿡탑이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랜지 또는 가스쿡탑의 3구 내지 4구의 갯수는 제사, 차례 등의 의식에 필요로 하는 음식의 조리시, 한 번에 조리를 할 수 있는 갯수가 부족한 경우가 많고, 이에, 보조적인 쿡탑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음식 중에는 바로 조리하면서 섭취하는 음식이 있는 바, 가족구성원 모두가 식탁에 모여 바로 조리된 음식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적인 쿡탑이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장 대중적인 음식인 삽겹살과 같은 요리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야외용 부탄가스랜지 등을 식탁에 두어 삽겹살 등을 조리하여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야외용 부탄가스랜지는 열에 민감하고, 가족구성원이 식탁에 둘러 앉아 음식을 섭취시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야외용 부탄가스랜지는 단순히 가스랜지 자체만으로 구비된 것으로, 별도의 주방용품 또는 양념과 같은 물품의 수납이 불가능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싱크대에 고정된 가스랜지 또는 쿡탑 외에 보조적으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전기쿡탑이 상부에 설치되어 공간에 제약없이 요리가 가능하고, 케스터를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제약이 없도록 이동성이 우수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주방용품 및 양념통의 수납이 가능하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쿡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식 쿡탑은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끼움홈(11)이 형성되며, 전면에 소품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중간서랍케이지(12)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서랍케이지(12) 직하에 도어(13)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수납공간부(14)가 형성된 수납장 본체(10)와; 상기 수납장 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홈(11)에 끼움결합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도록 마련된 쿡탑(20)과; 상기 수납장 본체(10) 후면으로부터 상기 쿡탑(20)측으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된 전원케이블(30)과; 상기 수납장 본체(10) 후면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케이블(3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케이블 수납부(40)와; 상기 수납장 본체(10) 하부면에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다수 구비된 케스터(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40)는 상기 수납장 본체(10)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30)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수납공간(42)과;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전면이 여닫이식으로 개패되는 케이블도어(44)와;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하측에 상기 케이블도어(44)의 개폐의 간섭없이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도어(44)가 상기 수납장 본체(100)의 배면측에 접촉되는 면보다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케이블 인출장공(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쿡탑(20)은 전기로 발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싱크대에 고정된 가스랜지 또는 쿡탑 외에 보조적으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전기쿡탑이 상부에 설치되어 공간에 제약없이 요리가 가능하고, 케스터를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제약이 없도록 이동성이 우수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주방용품 및 양념통의 수납이 가능하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사용상태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케이블 수납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은 주방용품 및 다양한 양념이 수용된 양념통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주방에서 보조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주방 공간상에서의 제약없이 이동하여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동성이 우수한 것으로, 수납장 본체(10), 쿡탑(20), 전원케이블(30), 케이블 수납부(40), 케스터(5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장 본체(100)는 사각의 함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쿡탑(20)이 상부면에 설치되도록 끼움홈(11)이 마련된다. 또한, 다양한 주방용품, 소품, 양념통 등 다양한 물건이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획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장 본체(10)에 다양한 주방용품, 소품, 양념통 등이 수용되도록 중간서랍케이지(12), 수납공간부(14)로 구획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간서랍케이지(12)는 상기 수납장 본체(10) 전면에 슬라이딩결합되도 록 통상의 서랍케이지의 구성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서랍케이지(12)는 손잡이(부호생략)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부(14)는 비교적 크기가 큰 물건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술한 상기 중간서랍케이지(12) 직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부(14)는 상기 수납장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13)가 경첩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쿡탑(20)은 전술한 상기 수납장 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홈(11)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외부전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되, 후술되는 전원케이블(30)과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외부전원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후술되는 전원케이블(30)과의 전기적 결합은 통상의 콘센트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쿡탑(20)은 가정에서 이동하여 용이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전기쿡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케이블(3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외부전원을 전술한 쿡탑(20)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수납장 본체(100) 후면으로부터 상기 쿡탑(20)측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케이블(30)의 내측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콘센트(도시없음)가 형성되어 상기 쿡탑(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수납부(4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술한 상기 전원케이블(30)로 인해 미관상 좋지 못한 외관이 우수하도록 상기 전원케이블(30)을 정리정돈하여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납장 본체(10) 후면 하부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42), 케이블도어(44), 케이블 인출장공(46)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42)은 상기 수납장 본체(10)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30)이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도어(44)는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전면에 여닫이식으로 개패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을 정리정돈하거나, 이동시 케이블을 수납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도어(44)가 수납장 본체(100)에 접촉되어 밀폐시, 케이블(30)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하측에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케이블 인출장공(46)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인출장공(46)은 상기 수납장 본체(10) 상부에 형성된 전기쿡탑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전원케이블(30)을 상기 케이블도어(44)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케스터(50)는 전술한 상기 수납장 본체(10) 하부면에 다수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케스터(50)은 다양한 디자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디자인적인 면이 고려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납장 본체(10)가 주방내에서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주방이외에 별도의 장소에서 요리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이 필요로 하는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동성이 확보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구성을 통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에서 가스랜지 또는 가스 쿡탑 외에 보조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사용이 간편하고, 주방이외에 별도의 장소에서 용이하게 이동하여 음식 조리가 가능함으로써, 공간 제약없이 요리가 가능하고, 케스터를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제약이 없도록 이동성이 우수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주방용품 및 양념통의 수납이 가능하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사용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쿡탑의 케이블 수납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수납장 본체 11 : 끼움홈
12 : 중간서랍케이지 13 : 도어
14 : 수납공간부 20 : 쿡탑
30 : 전원케이블 40 : 케이블 수납부
42 : 케이블 수납공간 44 : 케이블홀더 도어
46 : 케이블 인출공 50 : 케스터

Claims (3)

  1.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끼움홈(11)이 형성되며, 전면에 소품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중간서랍케이지(12)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서랍케이지(12) 직하에 도어(13)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수납공간부(14)가 형성된 수납장 본체(10)와;
    상기 수납장 본체(10)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홈(11)에 끼움결합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도록 마련된 쿡탑(20)과;
    상기 수납장 본체(10) 후면으로부터 상기 쿡탑(20)측으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된 전원케이블(30)과;
    상기 수납장 본체(10) 후면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케이블(3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케이블 수납부(40)와;
    상기 수납장 본체(10) 하부면에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다수 구비된 케스터(50);를 포함하는 이동식 쿡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40)는 상기 수납장 본체(10)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30)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수납공간(42)과;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전면이 여닫이식으로 개패되는 케이블도어(44)와;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하측에 상기 케이블도어(44)의 개폐의 간섭없이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도어(44)가 상기 수납장 본체(100)의 배면측에 접촉되는 면보다 상기 케이블 수납공간(42)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케이블 인출장공(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쿡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쿡탑(20)은 전기로 발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쿡탑.
KR2020090008688U 2009-07-06 2009-07-06 이동식 쿡탑 KR201100003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88U KR20110000325U (ko) 2009-07-06 2009-07-06 이동식 쿡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88U KR20110000325U (ko) 2009-07-06 2009-07-06 이동식 쿡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25U true KR20110000325U (ko) 2011-01-13

Family

ID=4420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688U KR20110000325U (ko) 2009-07-06 2009-07-06 이동식 쿡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3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169B1 (ko) * 2020-05-26 2020-10-13 주식회사 디자인폄 이동식 다기능 키친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169B1 (ko) * 2020-05-26 2020-10-13 주식회사 디자인폄 이동식 다기능 키친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4129C (en) Multi-purpose pot
CN202355180U (zh) 一种电蒸锅
KR20110000325U (ko) 이동식 쿡탑
JP497478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CN204146894U (zh) 煎烤机
CN215457388U (zh) 一种实现多功能的电烤箱
KR200461956Y1 (ko) 수납식 홈바
CN203898035U (zh) 一种带挂架的电饭煲及功能组件
CN202843285U (zh) 便携式多功能饭煲
CN203028997U (zh) 多用途节能锅盖
KR102165169B1 (ko) 이동식 다기능 키친 테이블
CN203207794U (zh) 一种慢炖锅
JP2512245B2 (ja) アイランドキッチン
CN206239116U (zh) 便携式迷你厨房
KR101786969B1 (ko) 프라이팬 겸용 석쇠
JP4312933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家具、電子レンジ調理装置及びキッチン構造
CN218044720U (zh) 一种碗锅一体电炊具
CN202386476U (zh) 一种改进的电蒸锅
CN203943328U (zh) 多工位一体式组合炉
CN202619344U (zh) 一种电热锅
CN106264086A (zh) 便携式迷你厨房
CN207544863U (zh) 一种迷你电热小火锅
CN208510805U (zh) 烤箱
JP4108111B2 (ja) 調理台
KR20090000881U (ko) 식탁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