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328A -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328A
KR20100138328A KR1020090056809A KR20090056809A KR20100138328A KR 20100138328 A KR20100138328 A KR 20100138328A KR 1020090056809 A KR1020090056809 A KR 1020090056809A KR 20090056809 A KR20090056809 A KR 20090056809A KR 20100138328 A KR20100138328 A KR 20100138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ignal
illuminance
ligh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식
정덕식
전춘근
Original Assignee
정화식
전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식, 전춘근 filed Critical 정화식
Priority to KR102009005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328A/ko
Publication of KR2010013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전력을 줄이며 건물에 사람이 없을 때 침입자를 감시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공간들 각 공간마다 설치된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 상기 각 공간마다 설치되어 자신이 위치한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여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점등 시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에 따라 이 조명장치의 조도를 제어하고, 그리고 보안 모드로 설정된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상기 감시 카메라를 작동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제어부 상기 각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와 전력선모뎀 또는 지그비(Zigbee)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들을 점등 조건, 소등 조건 및 보안 조건으로 구분 관리하여 상기 점등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에 의해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소등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의 제어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조명장치가 소등되도록 제어하고, 보안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에 의해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가 제어되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 발광 다이오드, 조도, 점등 공간, 소등 공간, 인체감지부, 열감지센서

Description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ILLUMINATOR INCLUDING A SECURITY DEVICE THEREIN}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존재 유무룰 정확하게 감지하여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함과 아울러 주변 공간의 조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광원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는 한편 보안 모드에서는 사람의 존재 유/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감시 카메라로 촬영하여 그 정보를 관제소 및 관리자/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갖춘 보안기능을 내장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센서형 등기구는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조명을 소등하게 되어 있어 그 때마다 조명을 점등시키기 위해 사람이 움직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 조명장치의 광원이 기존의 필라멘트 및 방전관에서 발광다이오드로 변화하는 추세인데, 이와 같이 기존 조명장치를 발광 다이오드로 교체하고 인체감지 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에너지 소비는 줄일 수 있으나, 인체감지 감지 시스템을 도입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감지 시스템과 조명등을 조합하 기 위해서 전기 배선을 새로 설정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넓은 공간에서는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감지 시스템의 출력을 지그비(Zigbee)등을 이용한 무선으로 전송하고 1개의 수신기장치에서 수신하여 조명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방법등이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넓은 공간의 조명을 동시에 온/오프하므로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센서 시스템 외부에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실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센서시스템과 조명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 공사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사용자가 직접 조명장치의 볼륨을 조절하여 광원의 조도를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요즘에 학교 및 공공기관의 경우 건물외부의 담을 없애는 추세인데 반해 경비 절감을 위해 경비인력을 배치할 수도 없어 무인경비 업체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학교 및 공공기관의 경우 넓은 면적 및 건물의 특성상 효율적인 무인경비가 어려운 점과 비용이 부담스러운 것이 또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람의 움직임이 없어도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조명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설치할 때 기존의 전기 배선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개별 조명등 또는 건물 내의 조명등 기구를 그룹 형태로 제어 또는 감시하여 전력소비를 극소화함과 아울러 전력제어 및 감시를 편리하게 수행 할 수 있고 보안 모드로 설정된 공간에서는 사람의 존재유무를 감지하여 감시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를 관제소 및 관리자/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갖춘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공간들 각 공간마다 설치된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 상기 각 공간마다 설치되어 자신이 위치한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여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점등 시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에 따라 이 조명장치의 조도를 제어하고, 그리고 보안 모드로 설정된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상기 감시 카메라를 작동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제어부; 상기 각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와 전력선모뎀 또는 지그 비(Zigbee)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들을 점등 조건, 소등 조건 및 보안 조건으로 구분 관리하여 상기 점등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에 의해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소등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의 제어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조명장치가 소등되도록 제어하고, 보안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에 의해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가 제어되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간들 중 어떠한 공간들이 점등 공간이고 어떠한 공간들이 소등 공간이며 어느 공간이 보안 공간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구분신호를 생성하고, 이 공간구분신호를 자신에게 구비된 전력선모뎀을 통해 각 조명장치에 공급하며; 상기 각 조명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를 자신에게 구비된 전력선모뎀 또는 지그비를 통해 공급받으며; 상기 점등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는 상기 공간구분신호 및 이 점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조명장치의 조도를 제어하며; 상기 소등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는 상기 공간구분신호에 응답하여 소등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보안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는 상기 공간구분신호에 응답하여 평소에 소등 상태로 유지되며, 이 소등 상태의 보안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이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시/제어부에 의해 점등되며; 상기 보안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감시 카메라는 평소에 오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소등 상태의 보안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이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시/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감지/제어부는,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주변 조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감지부; 상기 인체감지부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 및 상기 조도감지부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에 따라 조명장치의 조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도제어신호 및 상기 감시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한 카메라동작신호를 생성하고, 이 조도제어신호 및 카메라동작신호를 자신에게 구비된 전력선모뎀 또는 지그비를 통해 출력하는 중앙연산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체감지부는, 상기 공간내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병렬로 동시에 공급되는 감지 신호들을 시분할방식으로 순차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감지 신호를 차례로 증폭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감지/제어부는 다수의 기준 온도 데이터들이 저장된 제 1 메모리, 다수의 보정 조도 데이터들이 저장된 제 2 메모리 및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온도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의 범위에 속할 경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어느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도 속하지 않을 경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해당 공간이 점등 공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보정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하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해당 공간이 소등 공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하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해당 공간이 보안 공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장 큰 값을 갖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 제어신호로서 출력함과 아울러, 카메라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조도 데이터들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설정하기 위한 감도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연산장치는 상기 감도조절스위치로부터의 감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조도 데이터들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명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 및 상기 감지/제어부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자신에 구비된 전력선모뎀을 통해 공급받아 디밍신호를 출력하는 디밍콘트롤러; 상기 디밍콘트롤러로부터의 디밍신호에 따라 정전류를 발생시키고 정전류 드라이버 및,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로부터의 디밍신호를 공급받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밍콘트롤러는, 범용 RF모뎀 또는 전력선모뎀의 비동기식 송수신장치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 및 상기 감지/제어부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이 공간구분신호 및 조도제어신호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디밍제어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분석부; 및, 상기 신호분석부로부터의 디밍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을 디밍신호로서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디밍신호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전압생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명장치는, 전원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시켜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역률개선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람의 움직임이 없어도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 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둘째,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공간내의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셋째, 별도의 무선경비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도 건물내의 모든 부분에서의 무인 경비를 실시할 수 있으며, 무인 경비시에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 및 사용자가 지정한 경비업체, 경찰 등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효율적인 경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넷째, 조명장치, 감지장치 및 감시 카메라 등을 설치할 때 별도의 배선 없이 전력선모뎀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각 기기들간을 전력선만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이 간편하다.
다섯째, 개별 조명등 또는 건물 내의 조명등 기구를 그룹 형태로 제어 또는 감시하여 전력소비를 극소화함과 아울러 전력제어 및 감시를 편리하게 수행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 감지/제어부 및 조명장치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간(S1 내지 S4)마다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장 치(L), 감지/제어부(LSC), 감시 카메라(CM),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L) 및 감지/제어부(LSC)를 제어하는 관리서버(SV)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공간(S1 내지 S4)은 서로 격리된 주거 공간으로서, 예를 들어 방(room)이 될 수 있다.
각 조명장치(L)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있는 바, 이 광원은 외부전극형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및 냉음극관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과 같은 형광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가 될 수 있다.
관리서버(SV)는 다수의 공간들(S1 내지 S4)을 조명장치(L)의 광원을 점등시켜 놓을 점등 공간, 조명장치(L)의 광원을 소등시켜 놓을 소등 공간 및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 공간으로 구분하며 점등모드, 소등모드, 보안모드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SV)는 상기 공간들 중 어떠한 공간들이 점등 공간이고 어떠한 공간들이 소등 공간이며 어떠한 공간들이 보안 공간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구분신호를 생성하고, 이 공간구분신호를 각 조명장치(L)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 공간구분신호가 '제 1 및 제 2 공간(S1, S2)의 광원이 점등되고 제 3 공간(S3)의 광원이 소등되며 제 4 공간(S4)의 광원이 보안모드에 따라 작동할 것을 요구하는 정보'를 갖도록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입력기기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SV)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정보를 갖는 공간구분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SV)로부터 각 조명장치(L)로 전달된다. 각 조명장치(L)는 이 공간구분신호를 분석하여 이 공간구분신호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 를 파악함으로써 자신의 광원을 점등해야 할지, 소등해야 할지 아니면 보안모드에 따라 동작시켜야 할지를 결정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공간구분신호가 '제 1 및 제 2 공간(S1, S2)의 광원이 점등되고, 제 3 공간(S3)의 광원이 소등되고, 그리고 제 4 공간(S4)의 광원이 보안모드에 따라 동작할 것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제 1 및 제 2 공간(S1, S2)은 점등 공간으로 정의되어 이 제 1 및 제 2 공간(S1, S2)의 광원들은 점등된다. 반면, 제 3 공간(S3)은 소등 공간으로 정의되어 이 제 3 및 제 4 공간(S3, S4)의 광원들은 소등된다. 그리고, 제 4 공간(S4)은 보안 공간으로 정의되어 이 제 4 공간(S4)의 광원들은 보안모드에 따라 점등된다. 즉, 이와 같이 보안 공간으로 정의된 제 4 공간(S4)의 광원은 평소 소등 상태로 유지되다가, 이러한 제 4 공간(S4)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점등되며, 이때 이 제 4 공간(S4)내의 감시 카메라(CM)가 함께 동작하여 이 제 4 공간(S4)에 들어온 사람을 촬영하게 된다.
이후 설명하겠지만, 상기 각 조명장치(L)는 상술된 공간구분신호뿐만 아니라 해당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도 공급받게 되는데, 상기 점등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는 이 조도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점등된 광원의 조도도 함께 제어하게 된다.
반면, 소등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는 조도제어신호에 상관없이 자신의 광원을 항상 소등 상태로 유지시킨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관리서버(SV)는 상기 소등 공간의 광원을 소등 시키는 대신 미리 설정된 조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소등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는 조도제어신 호에 상관없이 자신의 광원이 미리 설정된 고정된 조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보안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는 평소에는 상술된 소등 공간과 마찬가지로 조도제어신호에 상관없이 자신의 광원을 소등 상태로 유지시키지만, 이 보안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에는 자신의 광원을 소등 상태에서 점등 상태로 변경시킨다. 이때, 이 보안 공간내의 조명장치(L)는 자신에게 입력된 조도제어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점등된 광원이 항상 최대의 조도값으로 광을 출사하도록 이의 조도를 제어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SV)는 각 공간(S1 내지 S4)내의 감지/제어부(LSC)내의 포함된 각종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이 감지/제어부(LSC)는 각 공간(S1 내지 S4)마다 위치하여 자신이 위치한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함과 아울러 그 공간의 주변 조도를 감지한다. 특히 이 감지/제어부(LSC)가 보안 모드에따라 동작할 때, 자신이 위치한 보안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그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시 카메라(CM)를 동작시켜 그 보안 공간내의 사람을 촬영하여 이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공간에는 다수의 감시 카메라(CM)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술된 보안 공간내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상기 보안 모드 상태의 감지/제어부(LSC)는 상기 사람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CM)들 중 상기 사람과 가장 근접한 감시 카메라(CM)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감시 카메라(CM)로 하여금 상기 보안 공간내의 사람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다수의 공간들 중 점등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의 광원은 이 점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그 조도가 제어되는 반면, 상기 공간들 중 소등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의 광원은 이 소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감지결과에 상관없이 항상 소등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특정 조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점등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는 이 점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제어한다. 반면, 소등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는 상기 공간구분신호에 응답하여 광원을 소등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조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보안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L)는 상기 공간구분신호에 응답하여 그 보안 공간내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이 보안 공간내의 광원을 소등 상태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 조도로 유지시키는 반면, 이 보안 공간내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이 보안 공간내의 광원을 최대의 조도상태로 점등시킴과 아울러 그 보안 공간내의 감시 카메라를 동작시킨다.
이 감지/제어부(LSC)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어느 하나의 감지/제어부(LSC)의 상세 구성도이다.
감지/제어부(LS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감지부(MS), 조도감지부(LS),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 중앙연산장치(COM), 제 1 메모리(M1), 제 2 메모리(M2), 제 3 메모리(M3), 감도조절스위치(SAS) 및 데이터통신부(MD)를 포함한다. 한편, 이 감지/제어부는 자신이 위치한 그 공간내의 감시 카메라를 자신의 내부에 내장할 수 도 있다.
인체감지부(MS)는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체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조도감지부(LS)는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주변 조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는 상기 인체감지부(MS)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 및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중앙연산장치(COM)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에 따라 광원의 조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보안 모드에서는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할 때 감시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게 된다.
제 1 메모리(M1)에는 다수의 기준 온도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각 기준 온도 데이터는 특정 범위내의 온도값들을 갖는 데이터이다. 이 각 기준 온도 데이터는 사람의 신체에서 방사되는 열의 온도를 나타낸다. 사람의 신체 특성에 따라 방사되는 열의 온도 범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 기준 온도 데이터는 사람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다수 생성된다.
제 2 메모리(M2)에는 다수의 보정 조도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제 3메모리(M3)에는 감시 카메라(CM)로부터의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감시 카메라(CM)는 보안 공간내에 들어온 사람을 촬영하여 이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그 보안 공간내의 감지/제어부(LSC)에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감지/제어부(LSC)는 자신의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상기 감시 카메라(CM)로부터의 영상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영상데이터를 제 3 메모리(M3)에 저장한다. 이때 중앙연산장치(COM)는 이 제 3 메모리(M3)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관리서버, 그리고/또는 미리 설정된 관제소 및 관리자/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감도조절스위치(SAS)는 상기 제 2 메모리(M2)에 저장된 조도 데이터들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설정하기 위한 감도조절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제어부(LSC)에 구비된 데이터통신부(MD)는 관리서버(SV) 및 이 감지/제어부(LSC)가 위치한 공간내의 조명장치(L)와 각종 데이터들을 주고받기 위한 통신모듈이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감지/제어부(LSC)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점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중앙연산장치(COM)는 인체감지부(MS)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를 공급받고, 이 인체감지신호의 크기와 제 1 메모리(M1)에 저장된 각 기준 온도 데이터들과 비교한다. 그리고, 이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온도 데이터의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온도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의범위에 속할 경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어느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도 속하지 않을 경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장치(COM)는 조도감지부(LS)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보정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M2)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클수록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클수록 더 낮은 값의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광원이 좀 더 낮은 조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작을수록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가 낮을수록 더 높은 값의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광원이 좀 더 높은 조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한다.
한편,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안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제 2 메모리(M2)로부터 '0'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0'의 조도 정보를 갖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 공급받는 조명장치(L)의 광원은 실상 소등 상태와 같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제 2 메 모리(M2)로부터 '0'이 아닌 특정 값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감지/제어부(LSC)의 중앙연산장치(COM)로부터 출력된 조도제어신호는 이 감지/제어부(LSC)의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해당 조명장치(L)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소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중앙연산장치(COM)는 인체감지부(MS)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 및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소등 공간내의 광원은 조도제어신호를 공급받지 않아 소등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제 2 메모리(M2)로부터 '0'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0'의 조도 정보를 갖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 공급받는 조명장치(L)의 광원은 실상 소등 상태와 같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제 2 메모리(M2)로부터 '0'이 아닌 미리 설정된 특정 값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이 보안 공간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는 상술된 소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이 보안 공간에 사람이 없을 경우 이 소등 공간내에 위치한 점등장치(L)의 광원은 소등 상태로 유지되거나 미리 설정된 특정 조도로 발광한다. 반면, 이 보안 공간에 사람이 존재할 경우, 이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LSC)의 중앙연산장치(COM)는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제 2 메모리(M2)로부터 최대값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하여 해당 조명장치(L)에 공급한다. 이와 함께, 이 중앙연산장치(COM)는 카메라동작신호를 생성하여 감시 카메라에 공급한다. 이때, 이 중앙연산장치(COM)는 상기 조도제어신호 및 카메라동작신호를 자신의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출력한다. 이 최대값의 조도 정보를 갖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 공급받는 조명장치(L)의 광원은 최대의 조도로 발광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연산장치(COM)는 상기 조도감지부(LS)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제 2 메모리(M2)로부터 최대값이 아닌 미리 설정된 특정 값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 보안 공간내의 감지/제어부(LSC)의 중앙연산장치(COM)는 상술된 보안 공간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술된 점등 공간내에서의 감지/제어부의 중앙연산장치(COM)와 동일한 방식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감지/제어부(LSC)에 구비된 인체감지부(MS)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인체감지부(MS)의 상세 구성도이다.
인체감지부(M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감지센서(HS), 멀티플렉서(MUX) 및 연산 증폭기(AMP)를 포함한다.
열감지센서(HS)는 공간내의 열을 감지하여 열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열감지센서(HS)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열감지셀들을 포함한다. 각 열감지센서(HS)는 열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멀티플렉서(MUX)에 공급한다.
이 열감지센서(HS)는 써모파일센서(thermopil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MUX)는 열감지셀들로부터 병렬로 동시에 공급되는 열감지신호들을 시분할방식으로 순차 출력하여 증폭기에 공급한다.
연산증폭기는 멀티플렉서(MUX)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열감지신호들을 증폭함으로써 인체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이 인체감지신호를 상기 중앙연산장치(COM)에 공급한다. 이 중앙연산장치(COM)는 상기 연산증폭기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인체감지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기준 온도 데이터들과 비교함으로써 이들 인체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위치하면 그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어느 인체감지신호도 상기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그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인체감지부(MS)는 상기 열감지센서(HS)를 주 센서로 가지는데, 감지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이 인체감지부(MS)는 이 주 센서 이외에 초음파 센서, 도플러 센서 및 적외선 센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보조 센서로서 더 포 함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장치(L)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L)의 상세 구성도이다.
조명장치(L)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부(MD), 디밍콘트롤러(DC), 정전류 드라이버(ID) 및 광원(LP)을 포함한다.
데이터통신부(MD)는 관리서버(SV)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 및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디밍콘트롤러(DC)에 공급한다.
디밍콘트롤러(DC)는 이 조명장치(L)의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관리서버(SV)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 및 상기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공급받고, 이 공간구분신호 및 조도제어신호에 따라 디밍신호를 출력한다.
정전류 드라이버(ID)는 디밍콘트롤러(DC)로부터의 디밍신호에 따라 정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조명장치(L)의 광원(LP)에 공급한다.
여기서 디밍콘트롤러(DC)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디밍콘트롤러(DC)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디밍콘트롤러(D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분석부(SA) 및 디밍신호출력부(DO)를 포함한다.
신호분석부(SA)는 데이터통신부(MD)와 범용 비동기식 송수신장치(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및 지그비(Zigbee)를 통해 관리서버(SV)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 및 상기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공급받는다. 그리고이 공간구분신호 및 조도제어신호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디밍제어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 신호분석부(SA)는 공간구분신호 및 조도제어신호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에 따라 10단계의 디밍제어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디밍신호출력부(DO)는 신호분석부(SA)로부터의 디밍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부하(load)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을 디밍신호로서 출력하여 정전류 드라이버(ID)에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부로부터의 전원(220[V]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정전류 드라이버(I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전압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압생성부, 정전류 드라이버(ID) 및 디밍신호출력부(DO)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구동전압생성부, 정전류 드라이버(ID) 및 디밍신호출력부(DO)의 상세 구성도이다.
구동전압생성부(DVM)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AC)의 제 1 단자와 제 1 노드(n1) 사이에 접속된 퓨즈(FS)와 상기 전원의 제 2 단자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부하 보호용 써미스터(TH)와 상기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써지 방지용 반도체저항소자(RV)와 상기 써지 방지용 반도체저항소자(RV)에 병렬로 접속된 제 1 커패시터(C1)와 상기 제 1 노드(n1)와 제 3 노드(n3)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덕터(L1)와 상기 제 2 노드(n2)와 제 4 노드(n4) 사이에 접속된 제 2 인덕터(L2)와 상기 제 3 노드(n3), 제 4 노 드(n4), 제 5 노드(n5) 및 제 6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들(D1 내지 D4)로 구성된 정류용 브릿지 다이오드와 제 6 노드(n6)와 제 5 노드(n5) 사이에 접속된 제 2 커패시터(C2)와 그리고 상기 제 2 커패시터(C2)에 병렬로 접속된 제 3 커패시터(C3)를 포함한다.
정전류 드라이버(ID)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전압생성부(DVM)로부터의 구동 전압을 전달받아 동작하는 구동 집적회로(D-IC)와 상기 구동 집적회로(D-IC)의 리셋단자(ROSC)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R1)과 상기 구동 집적회로(D-IC)의 PWM디밍단자(PWM)와 내부전원단자(VDD)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R2)과 상기 내부전원단자(VDD)와 리니어디밍단자(LD)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R3)과 상기 내부전원단자(VDD)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와 상기 리니어디밍단자(LD)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커패시터(C5)와 상기 제 5 커패시터(C5)에 병렬로 접속된 제 6 커패시터(C6)와 상기 구동 집적회로(D-IC)의 출력단자(GATE)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된 구동 스위칭소자(Tr_D); 상기 구동 스위칭소자(Tr_D)의 드레인전극과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R4)과 상기 구동 스위칭소자(Tr_D)의 소스전극과 상기 제 6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제 5 다이오드(D5)와 상기 구동 스위칭소자(Tr_D)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6 다이오드(D6)와 상기 구동 스위칭소자(Tr_D)의 소스전극과 제 7 노드(n7) 사이에 접속된 제 3 인덕터(L3)와 상기 제 6 노드(n6)와 제 7 노드(n7) 사이에 접속된 제 7 커패시터(C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집적회로(D-IC)의 접지용단자(GND)는 접지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구동 집적회로(D-IC)의 전원입력단자(VIN)는 상기 제 6 노드(n6)에 접속되며 상기 구동 집적회로(D-IC)의 전류센서입력단자(CS)는 상기 구동 스위칭소자(Tr_D)의 드레인전극에 접속된다.
디밍신호출력부(DO)는 다수의 디밍 스위칭소자들(Tr1 내지 Tr3) 및 각 디밍 스위칭소자에 접속된 분압 저항들(R5 내지 R7)을 포함하는 바, 도 7에는 일예로서 3개의 디밍 스위칭소자들(Tr1 내지 Tr3) 및 3개의 분압 저항들(R5 내지 R7)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디밍 스위칭소자들(Tr1 내지 Tr3),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분압 저항들(R5 내지 R7)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디밍 스위칭소자(Tr1)는 제 1 제어신호전송라인(DL1)으로부터의 제 1 디밍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제 1 분압 저항(R5)의 일측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디밍 스위칭소자(Tr2)는 제 2 제어신호전송라인(DL2)으로부터의 제 2 디밍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제 2 분압 저항(R6)의 일측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디밍 스위칭소자(Tr3)는 제 3 제어신호전송라인(DL3)으로부터의 제 3 디밍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제 3 분압 저항(R7)의 일측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분압 저항들(R5 내지 R7)의 각 타측 단자는 공통으로 접지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제어신호전송라인(DL1 내지 DL3)은 디밍신호출력부(DO)의 제 1 내지 제 3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한편, 제 1 디밍 스위칭소자(Tr1)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에는 제 7 다이오드(D7)가 접속되며, 제 2 디밍 스위칭소자(Tr2)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에는 제 8 다이오드(D8)가 접속되며, 제 3 디밍 스위칭소자(Tr3)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에는 제 9 다이오드(D9)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전류 드라이버(ID)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정전류 드라이버(ID)는 디밍신호출력부(DO)의 디밍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정전류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디밍신호출력부(DO)로부터 제 1 디밍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 제 1 디밍제어신호는 제 1 제어신호전송라인(DL1)을 통해 제 1 디밍 스위칭소자(Tr1)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제 1 디밍 스위칭소자(Tr1)가 턴-온되고, 이 턴-온된 제 1 디밍 스위칭소자(Tr1)를 통해 제 1 분압 저항(R5)이 접지단자에 접속된다. 그러면, 구동 집적회로(D-IC)의 리니어디밍단자(LD)에는 상기 제 1 분압 저항(R5)과 제 3 저항(R3)에 의해 분압된 전압, 즉 제 3 저항(R3)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강하 분만큼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이 리니어디밍단자(LD)에 걸린 전압에 따라 이 구동 집적회로(D-IC)의 출력단자(GATE)에 전압이 인가되고, 이 출력단자(GATE)의 전압에 의해 구동 스위칭소자(Tr_D)가 턴-온된다. 이때, 이 구동 스위칭소자(Tr_D)는 이 출력단자(GATE)에 걸린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정전류는 광원(LP)에 공급되어 상기 광원(LP)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각 조명장치(L)는 전원부(AC)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시켜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ID)에 공급하는 역률개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SV), 감지/제어부(LSC) 및 조명장치(L)들은 각각 내부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부(MD)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SV)는 자신에게 내장된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상기 공간구분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각 조명장치(L)는 자신에게 내장된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SV)로부터의 공간구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감지/제어부(LSC)는 자신에게 내장된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상기 조도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각 조명장치(L)는 자신에게 내장된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상기 감지/제어부(LSC)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관리서버(SV)는 자신에게 내장된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감지/제어부(LSC)는 자신에게 내장된 데이터통신부(MD)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SV)로부터의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각 데이터통신부(MD)는 전력선모뎀 및 지그비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공간들을 점등 공간들과 소등 공간, 보안모드로 구분하고, 상기 소등 공간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 및 그 소등 공간에서의 주변 조도에 관계없이 상기 소등 구간들의 광원(LP)을 모두 소등 시키거나 또는 상기 광원(LP)이 특정 조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하며 보안모드에서는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할 때 감시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게 된다.
보안모드에서 해당공간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해당 광원을 점등시키며 동시에 감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한편 취득된 영상데이터는 제 3 메모리에 저장 하게 되며 영상취득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통신수단에 의해 관리자/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 전화기 등에 보안공간의 침입사실을 통보해주게 된다.
반면, 점등 공간에서의 광원(LP)은 그 점등 공간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된다. 또한 그 점등 공간에서의 광원(LP)이 점등될 경우, 이 광원(LP)의 조도는 그 점등 공간내의 주변 조도에 따라 변화한다. 즉, 이 점등 공간에 사람이 존재한다면 그 점등 공간의 광원(LP)은 점등되며, 이때 이 광원(LP)의 조도는 그 점등 공간의 주변 조도에 근거하여 변조된다. 그러나, 그 점등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점등 공간의 주변 조도에 관계없이 이 점등 공간의 광원(LP)은 항상 소등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그 점등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점등 공간의 주변 조도에 관계없이 이 점등 공간의 광원(LP)은 항상 소등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겸용 조명 제어시스템의 구성에 근거하여 이의 전체적인 동작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대상 공간이 소등 공간인지를 확인한다(S1). 확인결과 이 대상 공간이 소등 공간이라면 이 공간내에 위치한 광원을 소등한다(S2).
그러나, 확인결과 이 대상 공간이 소등 공간이 아닐 경우, 이번엔 이 대상 공간이 점등 공간인지를 확인한다(S3). 확인결과 이 대상 공간이 점등 공간이라면 이 공간내에 사람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4). 확인결과 점등 공간으로 인식된 이 대 상 공간내에 사람이 있다고 확인될 경우, 이 대상 공간내의 광원을 점등함과 아울러 이 광원의 조도를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절한다(S5). 반면, 상기 S4 단계에서 사람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 대상 공간내의 광원을 소등한다(S2).
한편,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대상 공간이 점등 공간도 아닐 경우, 이 대상 공간은보안 공간으로 인식된다(S6). 그러면, 이 보안 공간으로 인식된 대상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7). 확인결과 보안 공간으로 인식된 이 대상 공간내에 사람이 있다고 확인될 경우, 이 대상 공간내의 광원을 주변 조도에 상관없이 최대의 조도값으로 점등함과 아울러 감시 카메라를 작동시켜 이 보안 공간내의 사람을 촬영한다(S8). 이후, 이 촬영된 사람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관제소 및 관리자/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9). 반면, 상기 S7 단계에서 사람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 대상 공간내의 광원을 소등한다(S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 감지/제어부,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어느 하나의 감지/제어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인체감지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디밍콘트롤러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7은 구동전압생성부, 정전류 드라이버 및 디밍신호출력부의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Claims (10)

  1. 복수의 공간들;
    각 공간마다 설치된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
    상기 각 공간마다 설치되어 자신이 위치한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여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점등시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에 따라 이 조명장치의 조도를 제어하고, 그리고 보안 모드로 설정된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상기 감시 카메라를 작동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제어부;
    상기 각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와 전력선모뎀 또는 지그비(Zigbee)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공간들을 점등 조건, 소등 조건 및 보안 조건으로 구분 관리하여 상기 점등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에 의해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가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소등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의 제어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조명장치가 소등되도록 제어하고, 보안 조건의 공간에서는 상기 감지/제어부에 의해 해당 공간의 조명장치 및 감시 카메라가 제어되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간들 중 어떠한 공간들이 점등 공간이고 어떠한 공간들이 소등 공간이며 어느 공간이 보안 공간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구 분신호를 생성하고, 이 공간구분신호를 자신에게 구비된 전력선모뎀을 통해 각 조명장치에 공급하며;
    상기 각 조명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를 자신에게 구비된전력선모뎀 또는 지그비를 통해 공급받으며;
    상기 점등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는 상기 공간구분신호 및 이 점등 공간에 위치한 감지/제어부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조명장치의 조도를 제어하며;
    상기 소등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는 상기 공간구분신호에 응답하여 소등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보안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조명장치는 상기 공간구분신호에 응답하여 평소에 소등 상태로 유지되며, 이 소등 상태의 보안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이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시/제어부에 의해 점등되며;
    상기 보안 공간으로 설정된 공간에 위치한 감시 카메라는 평소에 오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소등 상태의 보안 공간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이 보안 공간에 위치한 감시/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지/제어부는,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해당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해당 공간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주변 조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감지부;
    상기 인체감지부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 및 상기 조도감지부로부터의 조도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인체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에 따라 조명장치의 조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도제어신호 및 상기 감시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한 카메라동작신호를 생성하고, 이 조도제어신호 및 카메라동작신호를 자신에게 구비된 전력선모뎀 또는 지그비를 통해 출력하는 중앙연산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는,
    상기공간내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병렬로 동시에 공급되는 감지 신호들을 시분할방식으로 순차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감지 신호를 차례로 증폭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겸용 조명제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지/제어부는 다수의 기준 온도 데이터들이 저장된 제 1 메모리, 다수의 보정 조도 데이터들이 저장된 제 2 메모리 및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 온도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의 범위에 속할 경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체감지신호의 크기가 어느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도 속하지 않을 경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해당 공간이 점등 공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보정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하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해당 공간이 소등 공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제어신호로서 출력하며;
    해당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해당 공간이 보안 공 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중앙연산제어장치는 상기 조도감지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장 큰 값을 갖는 보정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보정 조도 데이터를 조도 제어신호로서 출력함과 아울러, 카메라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조도 데이터들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설정하기 위한 감도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연산장치는 상기 감조조절스위치로부터의 감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조도 데이터들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조명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 및 상기 감지/제어부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자신에 구비된 전력선모뎀을 통해 공급받아 디밍신호를 출력하는 디밍콘트롤러;
    상기 디밍콘트롤러로부터의 디밍신호에 따라 정전류를 발생시키고 정전류 드라이버; 및,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로부터의 디밍신호를 공급받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함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콘트롤러는,
    범용 RF모뎀 또는 전력선모뎀의 비동기식 송수신장치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의 공간구분신호 및 상기 감지/제어부로부터의 조도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이 공간구분신호 및 조도제어신호를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디밍제어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분석부; 및,
    상기 신호분석부로부터의 디밍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을 디밍신호로서 출력하여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디밍신호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전압생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조명장치는,
    전원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시켜 상기 정전류 드라이버에 공 급하는 역률개선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KR1020090056809A 2009-06-25 2009-06-25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KR20100138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809A KR20100138328A (ko) 2009-06-25 2009-06-25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809A KR20100138328A (ko) 2009-06-25 2009-06-25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328A true KR20100138328A (ko) 2010-12-31

Family

ID=4351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809A KR20100138328A (ko) 2009-06-25 2009-06-25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832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03B1 (ko) * 2011-01-05 2011-07-29 김도연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조명제어 및 사건/사고 관리시스템
KR101312984B1 (ko) * 2011-12-27 2013-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led 카메라 보안 시스템
GB2512288A (en) * 2013-03-22 2014-10-01 Glynn Charles Wright Surveillance system
KR20140121729A (ko)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세운기업 통합 제어 조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453806B1 (ko) * 2014-04-14 2014-10-23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WO2015147573A1 (ko) * 2014-03-27 2015-10-01 주식회사 네브레이코리아 조명 융합형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03B1 (ko) * 2011-01-05 2011-07-29 김도연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조명제어 및 사건/사고 관리시스템
KR101312984B1 (ko) * 2011-12-27 2013-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led 카메라 보안 시스템
GB2512288A (en) * 2013-03-22 2014-10-01 Glynn Charles Wright Surveillance system
KR20140121729A (ko)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세운기업 통합 제어 조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15147573A1 (ko) * 2014-03-27 2015-10-01 주식회사 네브레이코리아 조명 융합형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453806B1 (ko) * 2014-04-14 2014-10-23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9196B2 (ja) 無線遠隔センサを含む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270343B1 (ko)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스위치장치를 이용한 조명과 보안 제어시스템
KR100781652B1 (ko) 센서등 구동방법
US8237377B2 (en) Energy efficient lighting system and method
US10314144B2 (en) Intelligent luminaire
EP24256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zoned illumination
JP6508464B2 (ja) 照明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20100138328A (ko) 보안기능을 겸비한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KR100977006B1 (ko) 인체감지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그 제어 방법
US11064591B2 (en) Flooding localization and signalling via intelligent lighting
KR20160093808A (ko) 위급 상황 음성 인식 기반 절전형 스마트 led 조명 제어 장치
US200801916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illumination electrical switching
KR100975480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KR20140004854A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스마트 가로등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195907B1 (ko) 포토커플러의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센서등 제어장치
KR200432159Y1 (ko) 센서등
US20180160506A1 (en) Driving module and light source system having the driving module
KR20100127404A (ko) 조명제어 시스템
KR20140102487A (ko) Led 드라이버와 인체 감지부를 내장하는 led 조명등
KR101765033B1 (ko) Rf감지신호의 수신감도에 의해 점등되는 주차장등
CN212876160U (zh) 红外人体感应照明驱动控制系统及走廊照明灯
KR102104482B1 (ko) 원격 감지를 통한 led조명의 조도 조절시스템
JP2007088641A (ja) 2線式人体検知センサー付き自動スイッチ
KR101637564B1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9192966A1 (en) Luminaire for indoor or outdoor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