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053A - 헬멧용 라이너 - Google Patents

헬멧용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053A
KR20100138053A KR1020090056402A KR20090056402A KR20100138053A KR 20100138053 A KR20100138053 A KR 20100138053A KR 1020090056402 A KR1020090056402 A KR 1020090056402A KR 20090056402 A KR20090056402 A KR 20090056402A KR 20100138053 A KR20100138053 A KR 2010013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helmet
impact energy
protr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Priority to KR102009005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053A/ko
Publication of KR2010013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8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zones of different density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라이너의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아울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헬멧용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헬멧용 라이너는, 헬멧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헬멧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는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라이너의 내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라이너에는 상부라이너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헬멧용 라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와 고정홀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부는 하부라이너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들 사이는 연결부로 형성된다.
헬멧, 라이너, 돌출부, 고정홀

Description

헬멧용 라이너{LINER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헬멧용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나 경주용 차량 등을 탑승할 때, 승차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헬멧을 착용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헬멧은 통상적으로 내부공간을 갖추며 헬멧의 외형을 이루는 헬멧 본체(Shell)와, 이 헬멧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헬멧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며 쿠션부재 역할을 하는 라이너(Liner)를 포함한다.
상기 헬멧 본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잘 파손되지 않고 이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추어 충격에너지를 1차적으로 감당하고, 상기 라이너는 헬멧 본체에 충격에너지가 가해졌을 때 그 충격에너지를 2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켜 헬멧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헬멧 본체는 강한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또는 복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라이너는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라이너는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로 이루어지며 이들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는 일정부분이 상하로 포개져 조립된다.
상부라이너는 적절한 강도를 갖는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되고, 하부라이너는 상부라이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재질로 제작된다.
상부라이너는 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하부라이너는 주로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헬멧 착용 시 헬멧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헬멧 본체가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고 라이너에서 2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하여 헬멧 착용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헬멧용 라이너는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가 서로 면접촉하면서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헬멧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헬멧 착용자의 두부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충격 에너지를 라이너에서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헬멧용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헬멧용 라이너는,
헬멧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헬멧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는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라이너의 내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라이너에는 상부라이너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헬멧용 라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와 고정홀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부는 하부라이너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들 사이는 연결부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는 상부라이너가 하부라이너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헬멧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에도 라이너의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이유로 헬멧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종래의 헬멧에 비하여 착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가 제공된 헬멧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를 분리한 상태로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를 조립한 상태로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헬멧 라이너는 헬멧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며 헬멧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는 상부라이너(20)와 하부라이너(30)를 포함한다.
상기 헬멧 본체(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잘 파손되지 않고 이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추어 충격에너지를 1차적으로 감당하고, 상기 라이너(20)(30)는 헬멧 본체(10)에 충격에너지가 가해졌을 때 그 충격에너지를 2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켜 헬멧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헬멧 본체(10)의 전면부는 일부분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이 개방부에는 헬멧 본체(10)에 조립식 결합으로 개폐 가능하게 조립되는 실드(Shield)(1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실드(12)는 양쪽단부가 헬멧 본체(10)에 힌지 고정되어 개폐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헬멧 본체(10)의 내부에는 헬멧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헬멧 본체(10)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그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는 라이너(20)(30)가 제공된다.
상기 라이너(20)(30)는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풀페이스형 헬멧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트형 헬멧이나 하프형 헬멧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라이너(20)의 내측면과 하부라이너(30)의 외측면은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조립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부라이너(20)의 내측면과 하부라이너(30)의 외측면은 유사한 곡률로 형성된다.
이러한 라이너(20)(30)는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라이너(20)는 충격에너지를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를 갖추며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라이너(30)는 충격에너지를 잘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부라이너(20) 보다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라이너(20)(30)는 본 발명에서는 헬멧에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상,하부라이너(20)(30)의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전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것을 위하여 본 발명의 헬멧에 제공된 상부라이너(2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고, 하부라이너(30)에는 상부라이너(20)의 돌출부(2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32)이 형성된다.
이렇게 상부라이너(20)의 돌출부(22)가 하부라이너(30)의 고정홀(32)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면, 헬멧에 충격에너지가 가해져도 라이너의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돌출부(22)는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홀(32)들 사이는 연결부(34)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하부라이너(20)(30)의 조립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22)의 끝단부는 하부라이너(30)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헬멧 본체(10)에 충격 에너지가 가해지면 이 충격에너지는 헬멧 본체(10)에서 1차적으로 흡수된 다음, 상부라이너(20) 및 하부라이너(3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부라이너(20)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 중에서 일부분의 충격에너지는 돌출부(22)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따라서 하부라이너(30)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그만큼 줄어들어 헬멧 착용자의 머리부분으로 전달되므로 충격에너지로 인한 헬멧 착용자의 안전성을 더 높여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가 제공된 헬멧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를 분리한 상태로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를 조립한 상태로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헬멧용 라이너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Claims (4)

  1. 헬멧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헬멧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는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라이너의 내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라이너에는 상부라이너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헬멧용 라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고정홀은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라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끝단부는 하부라이너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라이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들 사이는 연결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라이너.
KR1020090056402A 2009-06-24 2009-06-24 헬멧용 라이너 KR20100138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402A KR20100138053A (ko) 2009-06-24 2009-06-24 헬멧용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402A KR20100138053A (ko) 2009-06-24 2009-06-24 헬멧용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053A true KR20100138053A (ko) 2010-12-31

Family

ID=4351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402A KR20100138053A (ko) 2009-06-24 2009-06-24 헬멧용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80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4390B2 (en) Helmet with shock absorbing inserts
US8850622B2 (en) Deformable safety helmet
US10791786B2 (en) Energy absorbing football helmet
EP2523573B1 (en) Helmet comprising surface reinforcing component with embedded anchors
US9107466B2 (en) Batting helmet having localized impact protection
US4101983A (en) Enveloping helmet of composite structure
KR101081672B1 (ko) 안전헬멧용 두부보호체와 이러한 두부보호체를 구비한안전헬멧
KR102207958B1 (ko) 헬멧
CN104936473A (zh) 多部件头盔构造
EP3420834B1 (en) Protective helmet with multi-density impact liners and method for same
US20190090574A1 (en) Interlocking co-molded helmet energy management liner
JP2016023400A (ja) 緩衝ヘルメット
US9565886B2 (en) Protective headgear
US20140101829A1 (en) Protective helmet configuration with integrated face mask with smooth transition attachment
KR100537220B1 (ko) 안전모 내피와 그 제조방법
KR20100138053A (ko) 헬멧용 라이너
JP3189125U (ja) ヘルメットの強化構造
US20150033456A1 (en) Helmet
CN209498691U (zh) 头盔内衬结构
JP2021147731A (ja) ヘルメット
KR101018507B1 (ko) 후레쉬 장착부를 구비한 안전모
CZ34035U1 (cs) Odlehčená bezskořepinová přilba
WO2022168366A1 (ja) ヘルメットおよびヘルメットの製造方法
CN208463045U (zh) 带有帽壳搭边结构的头盔
KR102458517B1 (ko) 폴더블 헬멧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