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717A -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717A
KR20100137717A KR1020090055905A KR20090055905A KR20100137717A KR 20100137717 A KR20100137717 A KR 20100137717A KR 1020090055905 A KR1020090055905 A KR 1020090055905A KR 20090055905 A KR20090055905 A KR 20090055905A KR 20100137717 A KR20100137717 A KR 20100137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se
circuit board
support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5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7717A/ko
Publication of KR2010013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2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movement of a float carrying a magnet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제어회로가 마련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휠과, 휠에 결합되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와,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휠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종래와 같이 휠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위에 마련되는 프레임과 같은 별도의 구성부품이 필요없고, 구조가 간단하다.
회전, 정보입력장치, 휠, 베이스, 지지기둥

Description

회전형 정보입력장치{ROTATABLE INFORMATION INPUT UNIT}
본 발명은 회전형 정보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정보기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입력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입력장치로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버튼타입의 정보 입력장치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휠 타입의 정보 입력장치가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 휠 타입의 정보 입력장치는 회전 및 누름 동작으로 다양한 기능을 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형 입력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회전형 입력장치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10)이 베이스(20) 위에 결합되고, 프레임(30)이 회로기판(10) 위에 놓이도록 베이스(20)에 결합된다. 프레임(30)의 위에는 휠 조립체(40)가 회전 가능하 게 결합된다. 휠 조립체(40)는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50)과 휠(50)의 내면 둘레에 결합되는 마그네트(60)를 포함한다.
프레임(30)에는 휠 조립체(40)의 회전클릭감을 구현하기 위한 코깅 플레이트(Cogging Plate, 70)가 결합된다. 코깅 플레이트(70)는 사용자가 휠(50)을 돌릴 때, 휠(50)에 결합된 마그네트(60)와 상호 작용하여 코깅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휠 조립체(40)에 회전클림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코깅 플레이트(70)는 프레임(30)과 함께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 등으로 프레임(30)에 결합된다.
프레임(30)은 베이스(20)에서 돌출된 꺾쇠(21)에 의해 베이스(20)에 결합된다. 꺾쇠(21)는 베이스(20)에서 연장되어 회로기판(10)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0)의 상부로 돌출된 것이다. 복수의 꺾쇠(21)에 프레임(30)의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31)가 삽입됨으로써 프레임(30)이 베이스(20)에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휠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베이스와 휠 조립체 사이에 프레임 설치에 따른 두께 증가의 문제점이 있으며, 제품의 슬림화가 어렵다.
또한, 종래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휠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설치에 따라 구성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제조 시 베이스와 프레임을 결합하고 프레임과 휠 조립체를 결합해야 하므로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 설치를 배제하고 베이스에 휠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마련함으로써, 제품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제어회로가 마련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 회 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휠과, 상기 휠에 결합되어 상기 휠과 함께 회전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상기 휠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휠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휠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둥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상기 휠이 상기 베이스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지지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휠에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종래와 같이 휠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위에 마련되는 프레임과 같은 별도의 구성부품이 필요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종래에 비해 프레임과 같은 별도의 구성부품을 생략함으로써,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의 베이스 및 마그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110), 회로기판(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휠 조립체(120) 및 회로기판(110)을 지지하는 베이스(16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로기판(110)에는 자속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와 같은 자속감지센서와 자속감지센서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마련된다.
휠 조립체(120)는 회로기판(1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베이스(1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130), 휠(130)의 하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140)를 포함한다. 휠(130)과 마그네트(140)의 사이에는 마그네트(140)의 자속을 회로기판(110) 쪽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백요크(Back Yoke, 150)가 개재된다. 마그네트(140)는 다극으로 착자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휠(130)의 하면 둘레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휠(130)을 회전시키면 휠(130)에 결합된 마그네트(140)도 함께 회전한다. 마그네트(140)가 회전하면 회로기판(110)에 고정된 자속감지센서가 마그네트(140)의 N극과 S극의 변화를 감지하여 휠 조립체(120)의 회전각도, 회전방향,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이렇게 자속감지센서가 검출한 검출신호는 제어회로를 통해 전자기기의 정보입력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휠(1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휠 조립체(120)는 회로기판(110)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베이스(1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160)의 중앙에는 휠 조립체(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링 형상의 지지기둥(161)이 베이스(16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휠 조립체(120)는 이 지지기둥(161)에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160)는 회로기판(110)과 결합되고, 휠 조립체(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이스(160)의 중앙에는 중앙 구멍(164)이 마련되고, 지지기둥(161)은 중앙 구멍(164)의 둘레에 휠 조립체(1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지지기둥(161)은 베이스(160)의 일부가 절곡 가공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160)에 일체로 마련된다. 지지기둥(161)은 베이스(16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부(162)와 기둥부(162)의 끝단에서 중앙 구멍(164)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16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휠 조립체(120)를 지지하는 부분은 지지부(163)이며, 이 지지부(163)는 회로기판(1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기둥부(162)는 회로기판(110)과 휠 조립체(120)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로기판(110)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도면에는 기둥부(162)가 회로기판(110)과 수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기둥부(162)가 회로기판(110)과 반드시 수직을 이룰 필요는 없다.
기둥부(162)의 높이에 따라 회로기판(110)과 휠 조립체(120)의 거리가 달라지고, 회전형 정보입력장치의 전체 두께가 달라진다. 기둥부(162)의 높이는 휠 조립체(120), 특히 휠 조립체(120)의 마그네트(140)가 회로기판(110)에 장착되는 전자소자와 접하지 않되, 마그네트(140)가 가능한 회로기판(110)에 가까이 접하여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휠 조립체(120)가 회전할 때, 휠 조립체(120)가 지지기둥(161)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휠 조립체(120)에는 지지부재(170)가 결합된다. 지지부재(170)는 지지기둥(161)의 지지부(163) 끝단에서 기둥부(162) 쪽으로 연장된다. 휠 조립체(120)가 지지기둥(161)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지지부재(170)가 지지부(163)에 걸림으로써 휠 조립체(120)는 베이스(16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지지기둥(161)은 베이스(160)의 일부가 절곡 가공되는 것에 의해 베이 스(160)에 마련되지 않고, 베이스(160)와 별도로 제조된 후 베이스(1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로 제조된 지지기둥(161)은 용접이나 접착 등 다양한 부착 방법에 의해 베이스(1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는 휠 조립체(120)가 베이스(160)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지지기둥(1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휠 조립체(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160) 위에 별도의 구성부품이 배치되는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정보입력장치의 베이스에 휠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회로기판 120 : 휠 조립체
130 : 휠 140 : 마그네트
150 : 백요크 160 : 베이스
161 : 지지기둥 162 : 기둥부
163 : 지지부 164 : 중앙 구멍
170 : 걸림부재

Claims (6)

  1. 제어회로가 마련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휠과;
    상기 휠에 결합되어 상기 휠과 함께 회전하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와;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상기 휠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휠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휠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둥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이 상기 베이스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지지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휠에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마련되는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KR1020090055905A 2009-06-23 2009-06-23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KR20100137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05A KR20100137717A (ko) 2009-06-23 2009-06-23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05A KR20100137717A (ko) 2009-06-23 2009-06-23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17A true KR20100137717A (ko) 2010-12-31

Family

ID=4351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05A KR20100137717A (ko) 2009-06-23 2009-06-23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77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3625B2 (ja) 回転角検出装置
JP4978413B2 (ja) 回転操作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6373079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エンコーダ
CN101273428A (zh) 操作输入装置及使用其的电子设备
US8558542B2 (en) Magnetic detector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US8368651B2 (en) Input device
JP2009059599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16002449A1 (ja) 回転移動検出装置
KR20100137717A (ko)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KR100983145B1 (ko)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JP2012165640A (ja) マイクロモータ
KR20090127584A (ko) 회전식 입력장치
US20230341243A1 (en)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rotation of a shaft about an axis of rotation
WO2012164995A1 (ja) 位置検出装置
JP6436457B2 (ja) 回転入力装置
KR101551632B1 (ko) 정보 입력 장치
JP5098774B2 (ja) 入力装置
JP2011141714A (ja) 入力装置
KR20130010992A (ko) 트랙션 모터
JP2012189530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JP2017150956A (ja) 位置検出装置
JP2005257471A (ja) 回転角検出装置
KR102606985B1 (ko) 토크 인덱스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JP2011089816A (ja) 回転トルク検出装置
KR20090026476A (ko) 정보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