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533A - 접속 확립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확립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533A
KR20100137533A KR1020107023448A KR20107023448A KR20100137533A KR 20100137533 A KR20100137533 A KR 20100137533A KR 1020107023448 A KR1020107023448 A KR 1020107023448A KR 20107023448 A KR20107023448 A KR 20107023448A KR 20100137533 A KR20100137533 A KR 2010013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message
base station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658B1 (ko
Inventor
자그딥 싱 알루왈리아
니라즈 굽타
프란체스카 세라발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805320A external-priority patent/GB0805320D0/en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락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기재된다.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접속 요청은 선정된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리고나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생성되어 송신되고, 이에 응답하여 성능 정보가 수신된다. 방법은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접속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 단계에 기초하여 접속을 해제하거나 거절하거나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eNodeB,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또한 기재되고, 이들 컴포넌트들을 동작시키는 대응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속 확립 시스템 및 방법{CONNECTION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비배타적으로는 3GPP 표준들 또는 등가물 또는 그 파생물들에 따라 동작하는 네트워크들에서의 시그널링에 관한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접속들은 네트워크 내의 컴포넌트들 또는 노드들 사이에서 설정된다. 특히, 접속들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들과 같은 사용자 장비(UE)와 기지국(eNodeB 또는 eNB) 컴포넌트들 사이에 설정된다. 추가 접속들은 eNB 컴포넌트들과, 코어 네트워크의 모빌리티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디바이스들과 같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 사이에 제공된다. 이들 접속들은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접속 요청 및 확인 메시지들의 교환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일부 상황들에서, 예를 들면 E-UTRAN, UTRAN 및 GERAN 네트워크들과 같이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타입들이 복수의 상이한 서비스들을 UE에게 제공하도록 가용할 수 있다. UE가 접속하는 가장 적절한 네트워크는 UE의 성능 및 요청되는 서비스에 좌우될 수 있다.
UE가 접속해야 할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절차가 이하에 제시된다. 여기에 기재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서비스-기반 재지향을 위한 단순화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적용가능한 다양한 약어들은 물론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친숙하겠지만, 일반 독자들을 위해 용어풀이가 첨부되어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의 이해의 효율성을 위해, 본 발명은 E-UTRAN 시스템의 컨텍스트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식별자 시스템의 원리들은 다른 시스템들, 예를 들면 시스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이 요청하는 대로 변경된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기지국 컴포넌트들 및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액세스하는 3G, CDMA 또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또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WLANs) 또는 다른 로컬 또는 와이드 영역 네트워크들(LANs 또는 WANs)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독립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고 양호한 특징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추가 양태들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개시된 모든 방법들에 대해, 대응하는 장비 상에서의 실행을 위한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장비 자체(기재된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및 기지국 노드들을 포함하여, 사용자 장비, 노드들, 네트워크들 또는 그 컴포넌트들), 및 장비를 구성하고 업데이트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의 특징들은 다른 양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제, 여기에 청구되는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타입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제2 타입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E-UTRAN으로부터 UTRAN/GERAN으로의 재지향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재지향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재지향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1의 기지국들 중 하나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모바일 전화기들 중 하나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모바일(또는 셀룰러) 전화기들(MT, 3-0, 3-1 및 3-2)의 사용자들이 기지국들(5-1, 5-2 또는 5-3) 중 하나 및 전화기 네트워크(7)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셀룰러) 통신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전화기 네트워크(7)는 게이트웨이 컴포넌트들(9-1, 9-2)을 포함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각 기지국(5-1, 5-2, 5-3)은 어느 하나의 게이트웨이(9-1, 9-2)를 통해 전화기 네트워크(7)에 접속할 수 있고 모든 기지국들(5-1, 5-2, 5-3)이 동일한 게이트웨이(9-1, 9-2)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각 모바일 전화기(3)는 어느 하나의 기지국(5)을 통해 전화기 네트워크(7)에 접속할 수 있고 모든 모바일 전화기들(3)이 동일한 기지국(5)을 통해 접속할 있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5)은 RAN에서 기지국(5)의 일부로서 또는 분리된 컴포넌트(도시되지 않음)로서 구현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내로 배열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기(3)가 예를 들면 스위칭 온됨으로써 네트워크(7)에 들어오는 경우, 모바일 전화기(3)와 기지국(5) 사이, 및 기지국(5)과 게이트웨이 디바이스(9) 사이에 접속이 설정된다. 이것은 모바일 전화기(3)와, 네트워크(7)의 다른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E-UTRAN 프로토콜 네트워크는 UTRAN 네트워크의 LTE 또는 롱 텀 에볼루션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모바일(또는 셀룰러) 전화기들(MT, 210-1, 210-2 및 210-3)(사용자 디바이스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될 수 있음)이 기지국들(212-1, 212-2 및 212-3, NodeBs 또는 NBs로 지칭될 수 있음) 중 하나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는 UTRAN 프로토콜에 따른 모바일(셀룰러) 통신 시스템(2)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기지국들의 각각은 전화기 네트워크(218) 또는 코어 네트워크(CN)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214-1, 214-2) 또는 RNC(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와 연관된다. 전화기 네트워크(218)는 하나의 실시예 SGSN들에서 게이트웨이 컴포넌트들(216-1, 216-2)을 포함하여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UTRAN 네트워크에서, UE들의 핸드오버는 또한 기지국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UTRAN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 간의 UE의 핸드오버는 또한 네트워크의 컨트롤러들 사이의 핸드오버 및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컴포넌트들 사이의 핸드오버와 관련된다.
UTRAN 프로토콜 네트워크는 UMTS 네트워크(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각 타입의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기술(RAT)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각 타입의 네트워크가 더 적거나 추가적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 및 2가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사용자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접속들을 E-UTRAN으로부터 UTRAN으로의 재지향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이유는,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에서 LTE 도입은 모든 서비스들이 특정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에서 시작부터 LTE 액세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음성 서비스들은 LTE 배치 유연성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E-UTRAN에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청구된 인터-RAT 핸드오버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장점들은 네트워크 공유, 상이한 RAT들 사이의 트래픽 부하 밸런싱, 소스 RAT에서의 무선 조건 저하, 및 가입/정책 기반 모빌리티 제어를 포함한다.
이제, 서비스-기반 재지향 절차가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UE(310)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eNB(312)에 전송하고, eNB(312)는 RRC 접속 셋업 메시지로 응답한다. eNB(312)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의 "설정 원인" 식별자로부터 UE(310)에 의해 요청되는 서비스를 결정한다. RRC 접속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UE(31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여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를 eNB(312)에 전송한다.
그리고나서, eNB(312)는 초기 UE 메시지를 MME(314)에 전송하여, MME(314)를 통해 UE(310)의 접속을 요청한다. MME(314)는 초기 컨텍스트 셋업 요청 메시지로 eNB(312)에 응답한다. 초기 컨텍스트 셋업 요청 메시지는 UE(310)의 성능들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eNB(312)는 MME(314)로부터 수신된 성능 정보, 예를 들면 베어러(bearer) 레벨 QoS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UE(310)에 제공되도록 요청되는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UE(310)는 네트워크로의 초기 어태치(Attachment) 또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시에, 그 성능들을 MME(314)에게 전송한다. 이들은 MME(314)에 저장되고 접속 설정 시에 eNB(312)에 다운로딩된다. 결과적으로, UE(310)는 매 RRC 접속 셋업 절차의 일부로서 그 성능들을 전송할 필요는 없다.
수신된 UE 성능 정보 및 UE(310)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에 기초하여, eNB(312)는 재지향이 필요한 지 여부를 결정한다. 어떠한 재지향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UE 및 eNB는 UE의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완료한다.
재지향이 필요한 경우, eNB(312)는 재지향 정보, 예를 들면 UE가 요청된 서비스를 얻기 위해 접속해야 할 UTRAN 네트워크의 주파수를 포함하여,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UE(314)에 전송한다.
eNB(312)는 또한 UE 컨텍스트 해제 요청을 MME(314)에 전송하여 MME에서 리소스들을 해제한다.
UE(310)는 eNB(312)로부터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로부터 UTRAN 주파수를 추출한다. 그리고나서, UE(310)는 UTRAN 네트워크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UTRAN 네트워크의 타겟 셀에 관한 추가 정보는 eNB로부터 UE에 전송되어, 예를 들면 네트워크 지원되는 셀 변경(NACC) 절차를 이용하여 대안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대안 네트워크는 UTRAN 네트워크보다는 GERAN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RRC 접속 해제 절차는 NACC 절차를 이용하여 타겟 GERAN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도록 향상될 수 있다.
UE(310)는 셀 선택 절차를 진행하고 관련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 후 새로운 RCC 접속 요청 메시지를 대안 네트워크의 기지국(316)에게 전송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기지국 컨트롤러(BSC) 또는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일 수 있다. 유의할 점은, 특히 GERAN 접속에 대해, 관련 시스템 정보는 NACC 절차를 통해 eNB(312)에서 이미 가용할 수 있고 따라서 UE(310)는 거기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RRC 접속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RNC/BSC(316)는 RRC 접속 셋업 메시지로 UE(310)에게 응답한다. UE(310)는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로 응답하여, RNC/BSC(316)로의 접속을 완료한다.
그리고나서, UE(310)는 UTRAN 회로 스위칭된(CS) 도메인, 더 구체적으로는 방문된 모바일 스위칭 센터(VMSC, 318)로의 어태치 절차를 수행하고, UE와 NW 노드들(즉, MSC) 사이에서 CM(접속 관리) 셋업 및 무선-베어러 셋업을 수행한다. 그리고나서, UE(310)가 접속되고, 요청된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과 연관된 문제는, 서비스가 그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지 또는 재지향이 필요한지 여부를 eNB(312)가 결정하기 이전에 UE(310)와 eNB(312) 사이에 전체 접속 셋업 절차가 착수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UE(310)가 요청된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기 이전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eNB의 네트워크에서의 처리 전력 및 대역폭과 같은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허비할 수 있다.
도 4는 서비스 재지향을 위한 대안 프로세스의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UE(310)로부터 RRC 접속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에, eNB(312)는 UE 성능 요청 메시지를 MME(314)에 전송한다. UE(310)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가 그 네트워크로부터 최상으로 제공되는지 여부 또는 또 하나의 네트워크로의 재지향이 바람직한 지 여부를 eNB(312)가 결정할 수 있는 UE 성능 요청 메시지가 MME(314)로부터 수신된다.
UE(310)가 재지향되어야 되는 경우, eNB(312)는 RRC 접속 거절 메시지를 UE(310)에 송신하여 접속 요청을 거절한다. 그러므로, 재지향이 수행되는 경우에, UE(310)로부터 eNB(312)로의 접속은 제안된 절차에서 설정되지 않는다.
양호하게는, UE로부터 eNB로의 접속 요청 메시지를 플래그하기 위해, RRC 접속 요청 메시지는 UE에 의해 요청 메시지에 식별된 선정된 접속 설정 원인으로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 원인은 "MO CS 호"(모바일 발신 회로 스위칭된 호) 또는 "MT CS 호"(모바일 착신 회로 스위칭된 호)로서 표시된다. UE가 여기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동작하도록 유발하는 다른, 특정된 식별자들이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eNB는 본 프로세스에 따라 UE로부터 매 접속 요청을 핸들링할 수 있다.
eNB가 UE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적절한 MME는 양호하게는 S-TMSI(임시 이동국 식별번호)("S"는 이러한 TMSI가 LTE/SAE(시스템 아키텍쳐 에볼루션)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되는 것을 구별하는데 이용된다)를 이용하여 RRC 접속 요청 메시지에서 식별된다.
그리고나서, eNB는 여기에 기재되고 도 4에 예시된 새로운 UE S1 성능 요청 절차를 이용하여 MME로부터 UE 성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UE 성능 정보는 UE에 대한 인터-무선 액세스 기술(IRAT) 성능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나서, eNB는 RRC 접속 거절 메시지에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무선 액세스 기술(RAT) 또는 네트워크로 UE를 지향시킬 수 있다.
도 3 및 4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가 재지향되어야 되는 경우에 UE와 eNB 사이에 접속이 설정되지 않으므로, 도 4의 프로세스는 특히 UE(310)와 eNB(312)의 사이에서 다수의 처리 단계들 및 메시지 교환을 절감시킨다. UE로의 불필요한 접속에 의해 리소스들이 차지되지 않으므로, 이것은 또한 eNB에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eNB(512)가 UE(510)의 재지향이 필요한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대안 시스템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차에서와 같이, UE(510)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514)의 설정 원인으로서 소정 식별자, 예를 들면 "MO CS 호"또는 "MT CS 호"를 이용한다.
eNB(512)로부터 UE(510)에 전송된 RRC 접속 셋업 메시지(516)의 식별자는 UE에게 UE 성능 정보를 eNB(512)에게 제공하도록 요청하는데 이용된다. UE(510)는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518)에서 UE 성능 정보(UE 인터-RAT 성능)를 eNB(512)에게 전송한다. 어떠한 재지향도 필요하지 않은 경우, eNB(512)는 접속 절차로 계속하여, 적절한 MME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재지향이 필요한 경우, eNB(512)는 RRC 접속 해제 메시지(520)를 UE(510)에게 전송하여, 접속을 해제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eNB는 MME와의 통신없이 재지향이 필요한 지 여부를 설정한다. 그러므로, MME는 이후에 다른 곳으로 재지향되는 UE에 대한 메시지들 또는 룩업 정보를 처리하고 생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어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리소스들이 절감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도 4 및 5에 예시된 2개의 방법들은 상이한 상황들에서 적절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임의의 특정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방법은 독점적으로 또는 디폴트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적절한 방법은 접속 요청 시에 UE 또는 eNB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방법은 예를 들면, UE와 eNB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대역폭이 느리거나 고가이거나 제한되는 경우에, 또는 UE가 eNB로부터의 성능 요청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 적절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코어 네트워크에 리소스들을 유지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또는 MME가 특정 UE 또는 UE들의 그룹에 대한 성능 정보를 홀딩하지 않는 경우에 적절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제1의, 양호한 방법이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에 성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백업, 또는 대안 절차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NB는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MME로부터 UE 성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성능 정보가 가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MME가 정보 요청을 거절하는 경우에, eNB는 도 5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UE로부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기지국들(5) 중 하나의 메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5)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3)을 통해 모바일 전화기들(3)에게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이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전화기 네트워크(7, 도 1)에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이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회로(21)를 포함한다. 트랜시버 회로(21)의 동작은 메모리(2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컨트롤러(27)에 의해 제어된다. 소프트웨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오퍼레이팅 시스템(31) 및 성능 처리 모듈(33)을 포함한다. 성능 모듈(33)은 모바일 전화기들을 접속하는 성능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러한 정보를 처리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는 또한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의 설정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요청된 접속의 설정 또는 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속 설정 모듈(35)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전화기들(3) 중 하나의 메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전화기들(3) 각각의 메인 컴포넌트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화기들(3)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73)을 통해 기지국(5, 도 1)에 신호들을 송신하고 이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회로(71)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화기(3)는 또한 모바일 전화기(3)의 동작을 제어하고 트랜시버 회로(71), 및 스피커(77), 마이크로폰(79), 디스플레이(81) 및 키패드(83)에 접속되는 컨트롤러(75)를 포함한다. 컨트롤러(75)는 메모리(85)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오퍼레이팅 시스템(87) 및 접속 요청 모듈(89)을 포함한다. 접속 요청 모듈(89)은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컴포넌트들로의 송신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접속 요청 메시지들은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선정된 식별자를 포함한다. 모바일 전화기(3)는 또한 모바일 전화기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저장하고 요청 시 기지국에 성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성능 정보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이하는 현재의 제안된 3GPP LTE 표준에서 하나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의 상세한 설명이다. 다양한 특징들이 필수적이거나 필요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예를 들면 표준에 의해 부과되는 다른 요청조건들로 인해 제안된 3GPP LTE 표준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진술들은 본 발명을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제목: LTE에 대한 고속 CS 서비스 재지향
소개
RAN2#61에서, E-UTRAN으로부터 UTRAN 및 GERAN으로의 서비스 기반 재지향 방법에 관한 일부 설명들이 있었다. 이러한 제안에서, LTE에서 모바일 발신 및 모바일 종착 CS 호들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더 빠른 재지향 솔루션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2 설명
[1] 스테이지 3 제안에서, 서비스 기반 재지향이 제안되었다. [1]로부터의 시그널링 절차의 세부사항들은 설명을 돕기 위해 섹션 2.1에 요약된다.
2.1 E-UTRAN에서 UTRAN/GERAN으로의 서비스-기반 재지향 절차
도 3은 E-UTRAN에서 UTRAN/GERAN CS 도메인으로의 서비스-기반 재지향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1. E-UTRAN 셀 상에 캠핑한 UE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eNB에 전송한다.
2.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eNB는 RRC 접속 셋업 메시지를 UE에 전송한다. eNB는 IE "설정 원인"으로부터 UE에 의해 요청되는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3. RRC 접속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를 eNB에 전송한다.
4.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eNB는 초기 UE 메시지를 MME에 전송한다.
5. 초기 UE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UE 성능들을 포함하는 초기 컨텍스트 셋업 요청 메시지를 eNB에 전송한다. eNB는 베어러 레벨 QoS 파라미터들로부터 UE에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6. eNB는 UE 성능들로부터 재지향이 필요한지 여부 및 UE에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한다. eNB는 eNB가 재지향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필요한 재지향 정보를 포함하여,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UE에 전송한다.
7. 단계 6에서 eNB가 재지향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eNB는 UE 컨텍스트 해제 요청을 MME에 전송한다.
8. UE는 eNB로부터 RRC 접속 해제를 수신하고, 재지향된 UTRAN 주파수에 기초하여 셀 선택을 수행하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절차를 용이하게 하도록 타겟 셀 상의 시스템 정보의 일부가 단계 6에서 소스 E-UTRAN 셀(NACC)로부터 UE에 전송되는 경우라면 FFS이다. GERAN과의 상호 작업을 위해, NACC 기능을 이용하여 타겟 GERAN 셀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재지향으로 RRC 접속 해제 절차를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9. UE는 셀 선택을 완료하고 관련 시스템 정보(GERAN의 경우, 관련 시스템 정보는 NACC에 의해 eNB에서 이미 가용하다)를 획득한 후,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RNC/BSC에 전송한다.
10.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RNC/BSC는 RRC 접속 셋업 메시지를 UE에 전송한다.
11. RRC 접속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를 RNC/BSC에 전송한다.
12. UE는 UTRAN CS 도메인으로의 어태치(ATTACH)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 어태치(ATTACH) 절차를 수행한다.
13. UE는 UE와 NW 노드들 사이에서 CM 셋업 및 무선 베어러 셋업을 더 수행한다.
도 3은 E-UTRAN으로부터 UTRAN CS 도메인(GERAN CS 도메인에 유사함)으로의 서비스-기반 재지향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2.2 2.1에서의 현재 제안의 단점들
불필요한 지연은, 호를 재지향하기 위해, 처음에 RRC 접속 설정 절차가 완료되고, 이어서 MME에서 서비스 컨텍스트 셋업이 뒤따르며, UE 성능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컨텍스트를 eNB에게 전달하고, 그리고나서 eNB가 RRC 접속 해제 절차에 의해 호를 재지향한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한다. 우리는 이러한 절차가 아래에 제안되는 바와 같이 단순화되고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느끼고 있다.
2.3 E-UTRAN에서 UTRAN/GERAN으로의 더 빠른 CS 서비스 재지향 절차
제안 A: MME로부터 UE 성능들을 획득함:
MO 및 MT CS 호들 양쪽 모두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재지향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단한 솔루션이 도 4에서 제안되어 있다.
절차들 간의 차이는, UE는 RRC 접속 설정 동안에 설정 원인을 RRC 접속 요청 메시지의 "MO CS 호"또는 원인 "MT CS 호"로서 eNB에게 나타내도록 지시받는다는 점이다. RRC 접속 요청은 IRAT UE 성능들을 다운로딩하기 위해 MME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유효 S-TMSI를 포함할 것이다.
eNB는 새롭게 제안된 S1 UE 성능 요청 절차를 이용하여 UE 성능을 다운로딩할 수 있다. 수신된 IRAT UE 성능들에 기초하여, eNB는 RRC 접속 거절 메시지를 통해 UE를 적절한 RAT에 재지향할 수 있다.
RRC 접속 거절 메시지에 대한 추가 IE는 [1]에 제안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고, UE 행태는 이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제안 B: UE로부터 UE 성능들을 획득함
제안 A에서와 같이, UE는 RRC 접속 설정 동안에 설정 원인을 RRC 접속 요청 메시지의"MO CS 호"또는 원인 "MT CS 호"로 eNB에게 나타내도록 지시받는다. RRC 접속 셋업에서, IE는 UE에게 UE 인터-RAT 성능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IE가 설정되는 경우, UE는 RRC 접속 셋업 완료에 인터-RAT UE 성능들을 포함할 것이다.
eNB가 RRC 접속 셋업 완료를 수신한 경우, UE 성능을 결정할 수 있고,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필요한 재지향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UE를 재지향할 수 있다. 본 절차의 하나의 실시예는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3 결론
단순화되고 더 빠른 서비스-기반 재지향 절차가 설명되었다. 우리는 제안된 메커니즘 중 어느 하나가 CS 서비스들의 재지향에 대해 채택되어야 된다고 제안한다.
제안 A
1: 새로운 절차는 RRC 접속 요청 내의 UE에 의해 제공된 S-TMSI를 이용하여 UE 성능들을 다운로딩하도록 S1 인터페이스 상에 정의된다.
2: 재지향은 RRC 접속 거절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제안 B
1: 새로운 IE들이 RRC 접속 셋업 메시지에 도입되어, UE에게 그 인터-RAT 성능들을 RRC 접속 셋업 완료에서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2: 새로운 IE들은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에 도입되어, 인터-RAT 성능들을 eNB에게 전달한다.
3: RRC 접속 거절 절차를 이용하여 재지향이 수행된다.
우리는 RAN2가 더 빠른 재지향 및 CS 대체(fall back) 기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재지향 절차를 채택할 것을 주장한다.
참조문헌들
[1]R2-080922 "A Solution for Service-Based redirection", NTT DoCoMo, T-Mobile
3GPP 용어들의 용어풀이
LTE - Long Term Evolution(of UTRAN)(UTRAN의 롱 텀 에볼루션)
E-UTRAN - Evolved UTRAN(진화된 UTRAN)
eNodeB - E-UTRAN Node B(E-UTRAN 노드 B)
AGW - Access Gateway(액세스 게이트웨이)
UE - User Equipment(사용자 장비) -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DL - downlink(다운링크) - 베이스로부터 모바일까지의 링크
UL - uplink(업링크) - 모바일로부터 베이스로의 링크
AM - Acknowledge Mode(승인 모드)
UM - Unacknowledge Mode(비승인 모드)
MME - Mobility Management Entity(모빌리티 관리 엔티티)
UPE - User Plane Entity(사용자 평면 엔티티)
CN - Core Network(코어 네트워크)
HO - Handover(핸드오버)
RAN - Radio Access Network(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AP -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rotocol(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RLC - Radio Link Control(무선 링크 제어)
RNC - Radio Network Controller(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RRC - Radio Resource Control(무선 리소스 제어)
RRM - Radio Resource Management(무선 리소스 관리)
SDU - Service Data Unit(서비스 데이터 유닛)
SRNC -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서브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PDU - Protocol Data Unit(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NAS - Non Access Stratum(비 액세스 층)
ROHC - Robust Header Compression(강력한 헤더 압축)
TA - Tracking Area(추적 영역)
U-plane or UP - User Plane(사용자 평면)
TNL - Transport Network Layer(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층)
S1 Interface - Interface between Access Gateway and eNodeB(액세스 게이트웨이와 eNodeB간의 인터페이스)
X2 Interface - Interface between two eNodeBs(2개의 eNodeB들 간의 인터페이스)
MMEs/SAE Gateway - Access Gateway having both MME and UPE entities(양쪽 MME 및 UPE 엔티티들 모두를 가지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MO - Mobile Originated(모바일 발신)
MT - Mobile Terminated(모바일 종착)
TMSI - Temporary Mobile Subscriber(or Station) Identifier(or Identity)(임시 모바일 가입자(또는 스테이션) 식별자(또는 ID))
I-RAT - Inter-Radio Access Technology(무선 간 액세스 기술)
IE - Identifier(식별자)
CS - Circuit Switched(회로 스위칭됨)
GERAN - GSM EDGE Radio Access Network(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본 출원서는 참고로 그 공보가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2008년 3월 20일에 출원된 영국 특허출원서 제0805320.9호 및 2008년 3월 25일에 출원된 영국 특허출원서 제0805435.5호로부터의 우선권의 이점에 기초하고 있고 이를 청구한다.

Claims (49)

  1.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요청은 미리 정의된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을 해제 또는 거절하거나,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접속 셋업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되기 이전에 송신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컴포넌트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성능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설정된 접속을 해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해야 할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에의 접속 포인트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컴포넌트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의 설정을 완료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식별자는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처리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식별자는 미리 정의된 설정 원인에 관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원인은 회로 스위칭된 호,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발신 회로 스위칭된 호 또는 모바일 종착 회로 스위칭된 호를 포함하는 방법.
  15.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으로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접속 요청은 미리 정의된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을 해제 또는 거절하거나,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접속 셋업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되기 이전에 송신되는 기지국.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컴포넌트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성능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설정된 접속을 해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해야 할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에의 접속 포인트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접속 셋업 메시지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컴포넌트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의 설정을 완료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26.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식별자는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처리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27.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식별자는 미리 정의된 설정 원인에 관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원인은 회로 스위칭된 호,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발신 회로 스위칭된 호 또는 모바일 종착 회로 스위칭된 호를 포함하는 기지국.
  29.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으로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 상기 접속 요청은 미리 정의된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을 해제 또는 거절하거나, 설정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를 포함하는 기지국.
  30.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기지국에의 접속의 설정을 요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에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라는 요청 및 미리 정의된 설정 원인에 관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원인은 회로 스위칭된 호,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발신 회로 스위칭된 호 또는 모바일 종착 회로 스위칭된 호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능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성능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4. 제30항 내지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해야 할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5.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해야 할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에의 접속 포인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7.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의 접속의 설정을 요청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기지국에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라는 요청 및 미리 정의된 설정 원인에 관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원인은 회로 스위칭된 호,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발신 회로 스위칭된 호 또는 모바일 종착 회로 스위칭된 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성능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성능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해야 할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42. 제3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해야 할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에의 접속 포인트의 식별자를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의 통신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44.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에의 접속의 설정을 요청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기지국에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서 -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라는 요청 및 미리 정의된 설정 원인에 관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45.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에 대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접속의 설정을 요청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정보에 대한 요청은 초기 UE 메시지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방법.
  48.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컴포넌트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에 대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컴포넌트.
  49.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컴포넌트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에 대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성능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컴포넌트.
KR1020107023448A 2008-03-20 2009-03-19 접속 확립 시스템 및 방법 KR101237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805320A GB0805320D0 (en) 2008-03-20 2008-03-20 Fast service based redirection
GB0805320.9 2008-03-20
GB0805435A GB2458885A (en) 2008-03-20 2008-03-25 Accepting or rejecting a connection request based upon capability information of a user device
GB0805435.5 2008-03-25
PCT/JP2009/056208 WO2009116691A1 (en) 2008-03-20 2009-03-19 Connection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533A true KR20100137533A (ko) 2010-12-30
KR101237658B1 KR101237658B1 (ko) 2013-02-27

Family

ID=4084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448A KR101237658B1 (ko) 2008-03-20 2009-03-19 접속 확립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0503B2 (ko)
EP (1) EP2272299A1 (ko)
JP (1) JP5234297B2 (ko)
KR (1) KR101237658B1 (ko)
GB (1) GB2458885A (ko)
WO (1) WO2009116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3407B2 (en) 2009-06-16 2014-10-28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unavailable through a network cell
US8861433B2 (en) 2009-06-16 2014-10-14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unavailable through a network cell
EP2443869B1 (en) * 2009-06-16 2014-08-27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unavailable through a network cell
EP2482567B1 (en) 2009-09-27 2016-05-04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us transition
US9131418B2 (en) * 2010-02-12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Reading and caching of system information to reduce call setup delay
CN102209367B (zh) * 2010-03-30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域的个人网及其设备接入方法
US9277449B2 (en) * 2010-04-19 2016-03-01 Htc Corporation Method of load balancing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GB2481395A (en) * 2010-06-21 2011-12-28 Nec Casio Mobile Comm Ltd Call set-up management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CN102438292B (zh) * 2010-09-29 2015-06-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控制方法及系统
EP2684396B1 (en) * 2011-03-11 2014-10-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30012216A1 (en) * 2011-07-05 2013-01-10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Local IP Access Support
JP5822765B2 (ja) * 2012-03-19 201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2068679B1 (ko) * 2012-07-04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이동 통신 시스템 간 리디렉션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55520B2 (en) * 2012-12-19 2015-06-09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mobile management entity (MME) selection by Evolved Node B (eNodeB)
WO2014120055A1 (en) * 2013-01-30 2014-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aging procedures using an enhanced control channel
CN106664549B (zh) 2014-08-15 2020-05-19 苹果公司 用于性能信息设置的演进节点b和用户设备的方法和装置
WO2016099138A1 (ko) * 2014-12-15 2016-06-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85153B2 (en) * 2014-12-18 2017-02-28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rrier aggregation access control
CN104618599B (zh) * 2015-02-02 2017-03-15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7017931A1 (ja) * 2015-07-24 2017-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mme、端末、及び通信方法
CN107046707B (zh) 2016-02-06 2021-1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频点选择方法及装置
CN109246802B (zh) * 2017-05-05 2024-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资源控制连接释放方法及装置、基站和用户设备
GB2566965A (en) * 2017-09-28 2019-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nection setup
JP2019169774A (ja) * 2018-03-22 2019-10-03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240238A1 (ja) 2018-06-15 2019-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337117B (zh) * 2019-07-10 2020-05-05 牡丹江师范学院 一种智能化网络信息收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091A (en) * 1996-12-12 1999-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informing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operating capabilities of a mobile terminal located therein
US6859649B1 (en) * 1999-05-07 2005-02-22 Cingular Wireless Ii, Inc. Method for registering with a communication service
WO2001017303A1 (de) * 1999-08-30 2001-03-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signalisiserungsinformationen, sendestation, mobilstation und nachrichtenelemente
US7158810B2 (en) 2002-06-27 2007-01-02 Nokia Corporation Indication of user equipment capabilities before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US7734289B2 (en) * 2002-10-25 2010-06-08 At&T Mobility Ii Llc Delivery of network services
KR100594101B1 (ko) * 2003-01-20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추적 영역에서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957352B2 (en) * 2003-10-02 2011-06-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handoff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EP1733584B1 (en) * 2003-12-12 2013-03-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266898C (zh) * 2004-03-29 2006-07-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广播/组播服务业务激活的方法
EP1631016A1 (en) * 2004-08-27 2006-03-01 Siemens Mobile Communications S.p.A. Method to hold on a RCC connection inside a third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when the UE capability doesn't match with the DCH reconfiguration state
WO2008084316A1 (en) * 2007-01-08 2008-07-17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fast circuit switched service enabling handover from packet-switched only networks
GB2453315A (en) 2007-08-15 2009-04-08 Nec Corp Connection Identifier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5450438B2 (ja) * 2007-12-06 2014-03-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移動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ue能力情報の更新方法
US9247420B2 (en) * 2007-12-12 2016-0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aging user equipment capab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4297B2 (ja) 2013-07-10
JP2011517513A (ja) 2011-06-09
EP2272299A1 (en) 2011-01-12
US9020503B2 (en) 2015-04-28
CN101978766A (zh) 2011-02-16
GB0805435D0 (en) 2008-04-30
WO2009116691A1 (en) 2009-09-24
KR101237658B1 (ko) 2013-02-27
GB2458885A (en) 2009-10-07
US20110014912A1 (en)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658B1 (ko) 접속 확립 시스템 및 방법
US11197216B2 (en) Handling of collision between SR procedure and PDU session establishment procedure for PDU session handover
US973673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egacy fallback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s
EP2182758B1 (en) Method of handling an inter rat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454373B1 (ko) 이동통신방법, 이동교환국, 무선기지국 및 이동국
JP5210368B2 (ja) 無線基地局及び方法
JP2014511079A (ja) 音声ビジネスの実装方法および端末
US9380504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changing access cell
KR20100086016A (ko) 보안 알고리즘의 선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6063327B (zh) 一种处理语音业务的方法、终端
EP3618558B1 (en) Method for enabling network to fall back and access network device
CN114390723A (zh) Ma pdu会话和用户平面资源建立方法及用户设备
KR101472105B1 (ko) 네트워크 우선 접속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WO2006073210A1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EP4178309A1 (en) Handling of collision between pdu session establishment and modification procedure
CN101978766B (zh) 连接建立系统和方法
CN116390277A (zh) 无线通信方法和相应的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