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856A - 휴대용 뜸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뜸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856A
KR20100136856A KR1020090055193A KR20090055193A KR20100136856A KR 20100136856 A KR20100136856 A KR 20100136856A KR 1020090055193 A KR1020090055193 A KR 1020090055193A KR 20090055193 A KR20090055193 A KR 20090055193A KR 20100136856 A KR20100136856 A KR 20100136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ain body
supply unit
unit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554B1 (ko
Inventor
조왈현
김동희
최상열
Original Assignee
조왈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5107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13685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왈현 filed Critical 조왈현
Priority to KR102009005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5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14Portable igniters
    • F23Q7/16Portable igniters with built-in batt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23Q7/24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휴대용 뜸 점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뜸 점화장치는: 중공되어 일측이 개구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충전용전지가 수용되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충전용전지에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되게 하는 충전포트와,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고, 본체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및 전원부에서 발열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뜸 점화장치, 발열부, 충전용전지, 충전포트

Description

휴대용 뜸 점화장치{PORTABLE LIGHTER FOR MOXACAUTERY}
본 발명은 휴대용 뜸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뜸을 할때 점화를 화상 위험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충전가능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쑥을 뭉쳐서 신체부위의 경혈이나 환부에 올려놓고 불을 붙여 태워 피부를 자극하는 것으로, 질병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시술하고 있지만 쑥뜸 점화방식은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점화방식은 라이타나 성냥을 이용하여 점화시키거나, 선향(성냥개피 굵기의 길고 가느다란 향)에 불을 붙인 다음 그것을 사용해서 점화를 하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해 왔고 현재까지도 선향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 따른 쑥뜸 점화방식에 있어서, 라이타나 성냥을 사용할 경우, 불꽃이 쑥뜸 크기보다 커서 점화시키기에 매우 불편하였고, 화상의 위험이 따르며, 쑥뜸의 사용은 일회용이므로 장기간 사용시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향을 이용하게 되면, 냄새가 많이 나 이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쑥뜸시술 자체보다 선향 타는 냄새가 더 고욕이고, 향이 타고 남은 재 때문에 주위가 더럽혀지며, 화재의 위험도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발열부의 발열로 점화하므로 화상의 위험을 제거함은 물론 한 손으로 작업할 수 있어 뜸 시술이 용이하며, 충전용전지에 의해 충전되어 사용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을 줄인 휴대용 뜸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는: 중공되어 일측이 개구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충전용전지가 수용되는 전원부와, 전원부의 충전용전지에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되게 하는 충전포트와,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고, 본체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및 전원부에서 상기 발열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열부의 하부에는 제어부측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전달방지보호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열전달방지보호구는 제어부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열부가 결합되도록 접속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열전달방지보호구의 재질은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발열부와 연결되는 점화회로기판 및 점화회로기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원부에서 발열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점화회로기판에는 전원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램프가 구비되고, 스위치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LED램프의 빛이 투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는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 발열부 및 전원부의 충전용전지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외측면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열부는 루데녹스 또는 니크롬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는 뜸에 점화하는 발열부가 본체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고,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전원부의 전 원이 발열부에 전달됨으로, 점화시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전원부에 충전용전지를 사용하여, 충전포트에 의해 충전하여 사용함으로, 한번 사용하는 성냥이나, 가스를 사용하는 라이타보다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스위치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엘이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 걸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옷주머니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며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체가 나사조임방식에 의해 결합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내부의 소모성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100)는 크게, 본체(110), 전원부(120), 충전포트(130), 발열부(14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중공되어 일측이 개구되어 점화구(113)를 갖는다.
그리고, 본체(110)의 내부는 구획판(111)에 의해 구획되어 상단부에는 점화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뜸을 점화하기 위한 발열부(140) 및 제어부(160)가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충전용전지(122)가 수용되는 전원부(120)가 구비되며, 후단부에는 전원부(1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용전지(122)를 충전하는 충전포트(130)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10)는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 발열부(140) 및 충전용전지(122)를 교체할 수 있다.
즉, 본체(110)는 발열부(140)를 보호하는 발열부보호캡(112), 충전용전지(122)를 보호하는 전원부보호캡(114), 충전포트(130)를 보호하는 충전포트보호캡(116)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각각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걸이부재(118)가 구비된 다.
전원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충전용전지(122)가 수용되어 발열부(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용전지(122)는 점화장치(100)가 소형이어야 하고 충전기를 별도로 공급하지 않기 위해 2.4V ~ 3.7V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고, 배터리 용량이 2000mAh 이하를 사용하므로 전류는 0.3A~4A를 사용한다.
또한, 발열저항은 2.4V ~ 3.7V에서 0.3A ~ 4A를 사용하기 때문에 1Ω ~ 12Ω을 사용한다.
이때, 발열부(140)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루데녹스 또는 니크롬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140)는 전원부(120)의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는 것으로서, 본체(110)의 상단부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발열부(140)는 발열부보호캡(112)에 의해 보호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아 점화시 화상을 방지한다.
발열부(140)의 하부에는 제어부(160)측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전달방지보호구(150)가 더 구비된다.
열전달방지보호구(150)는 제어부(160)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열부(140)가 결합되도록 접속홀(152)이 형성된다.
즉, 발열부(14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코일형상으로 권취형성되는데, 각 하단부가 각각 접속홀(152)에 끼워져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 전원부(120)의 전원인가시 발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전달방지보호구(150)의 재질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포트(130)는 외부전원을 전원부(120)의 충전용전지(122)에 인가하여 충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단부인 충전포트보호캡(116)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전원부(120)에서 발열부(140)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발열부(140)와 연결되는 점화회로기판(162) 및 점화회로기판(162)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원부(120)에서 발열부(140)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164)는 텍트스위치로 스프링(165)에 의해 탄동되어 사용자가 스위치(164)를 누르면 가압되어 접촉됨으로써, 전원부(120)의 전원이 발열부(140)로 인가되고, 스위치(164)에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65)에 의해 탄동되어 전원부(120)와 발열부(140)의 연결이 차단되는 것이다.
스위치(164)는 본체(110)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되어 있으며, 둘레에 걸림턱(166)이 형성되어 본체(110)의 내측면에 걸려져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점화회로기판(162)에는 전원부(12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램프(163)가 구비되고, 스위치(164)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LED램프(163)의 빛이 외부로 투시된다.
LED램프(163)는 전원부(120)의 충전용전지(122)의 충전상태에 따라 충전시에 는 적색으로, 충전완료시에는 초록색으로 발광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체(110)의 후단부에 형성된 충전포트(130)에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전원부(120)의 충전용전지(122)를 충전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충전용전지(122)는 충전되고, 점화회로기판(162)의 LED램프(163)가 초록색으로 발광되면, 주머니 등에 걸이부재(118)를 이용하여 보관한다.
걸이부재(118)에 의해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이후, 뜸을 할 때, 스위치(164)를 눌러주게 되면, 스위치(164)가 점화회로기판(162)에 접촉되어 발열부(140)에 전원이 공급되므로써, 발열된다.
발열부(140)가 발열된 상태로 점화구(113)를 통하여 발열부(140)와 뜸의 선단을 접촉시켜 뜸을 점화시키면 된다.
이때, 발열부(140)는 발열부보호캡(112)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화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발열부(140)와 점화회로기판(162) 사이에는 열전달방지보호구(150)가 구비되어 하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점화회로기판(162)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뜸을 점화한 후에 사용자는 스위치(164)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65)에 의해 스위치는 원위치되고, 전원부(120)의 전원은 차단되어 자동으로 오프되게 된다.
한편, 발열부(140)를 장기사용으로 자연 산화하여 단선이 되었을 때는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된 발열부보호캡(112)을 분리하여 발열부(140)를 열전달방지보호구(152)의 접속홀(152)에서 해체하여 교체하면 된다.
또한, 전원부(120)의 내부에 수용된 충전용전지(122)의 불량시 본체(110)의 하단부인 충전포트보호캡(116)을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이처럼 소모성의 부품이 교체가능하고,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라이타나 성냥을 사용할 때보다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점화할 때 보다 안전하게 점화가 가능하며, 한 손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뜸 점화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뜸 점화장치 110 : 본체
111 : 구획판 112 : 발열부보호캡
113 : 점화구 114 : 전원부보호캡
116 : 충전포트보호캡 118 : 걸이부재
120 : 전원부 122 : 충전용전지
130 : 충전포트 140 : 발열부
150 : 열전달방지보호구 152 : 접속홀
160 : 제어부 162 : 점화회로기판
163 : LED램프 164 : 스위치
165 : 스프링 166 : 걸림턱

Claims (9)

  1. 중공되어 일측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충전용전지가 수용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충전용전지에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되게 하는 충전포트;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발열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어부측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전달방지 보호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방지보호구는 상기 제어부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부가 결합되도록 접속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방지보호구의 재질은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부와 연결되는 점화회로기판; 및
    상기 점화회로기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발열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회로기판에는 상기 전원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LED램프의 빛이 투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 상기 발열부 및 상기 전원부의 충전용전지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루데녹스 또는 니크롬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뜸 점화장치.
KR1020090055193A 2009-06-19 2009-06-19 휴대용 뜸 점화장치 KR10137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93A KR101375554B1 (ko) 2009-06-19 2009-06-19 휴대용 뜸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93A KR101375554B1 (ko) 2009-06-19 2009-06-19 휴대용 뜸 점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56A true KR20100136856A (ko) 2010-12-29
KR101375554B1 KR101375554B1 (ko) 2014-03-25

Family

ID=4351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193A KR101375554B1 (ko) 2009-06-19 2009-06-19 휴대용 뜸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62B1 (ko) * 2012-02-20 2014-03-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식 전자 뜸 치료기 및 이를 갖는 뜸 치료기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731Y1 (ko) * 2001-07-19 2001-11-17 채병철 충전식 전기라이타
KR200272761Y1 (ko) * 2002-01-28 2002-04-19 조영준 휴대용 라이터
JP2006081631A (ja) * 2004-09-15 2006-03-30 Minoru Kawada お灸点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62B1 (ko) * 2012-02-20 2014-03-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식 전자 뜸 치료기 및 이를 갖는 뜸 치료기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554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9395B2 (en) LED torch
UA125353C2 (uk) Пристрій, виконаний із можливістю автоматичного запалювання або нагрівання сигарети
JP3147636U (ja) ヘアアイロン、及びスタンド
US20140339213A1 (en) LED Torch
KR20100108806A (ko) 교육용 소화기
CN101440965B (zh) 燃气灶无等待点火装置
WO2012134076A2 (ko)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
KR101212813B1 (ko) 라이타
CN102396783B (zh) 一种电能吸烟器
KR101375554B1 (ko) 휴대용 뜸 점화장치
CN205379461U (zh) 电子点灸笔
ATE49861T1 (de) Haartrockner.
CN207019104U (zh) 一种点烟器
CN207378864U (zh) 带保护件的电弧打火机
JP3181055U (ja) 着火器
CN111840623A (zh) 一种电子熏香炉
CN213373705U (zh) 一种带有切割装置的艾灸点燃器
CN214285878U (zh) 艾灸专用点火笔
CN213713125U (zh) 一种多功能电子点烟器
CN219727981U (zh) 具有可变光功能的车载点烟器
CN21942372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喷火魔杖
CN220002357U (zh) 一种用于精灸艾柱的点燃器
CN210056771U (zh) 手持式艾灸雾化器
CN215951495U (zh) 一种油电两用打火机
CN211084126U (zh) 一种防烫伤拔罐用点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130

Effective date: 201506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027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130

Effective date: 2015062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723

Effective date: 201606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3000008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721

Effective date: 201611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