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609A -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609A
KR20100135609A KR1020090054081A KR20090054081A KR20100135609A KR 20100135609 A KR20100135609 A KR 20100135609A KR 1020090054081 A KR1020090054081 A KR 1020090054081A KR 20090054081 A KR20090054081 A KR 20090054081A KR 20100135609 A KR20100135609 A KR 2010013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electronic money
amount
user terminal
se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609A/ko
Publication of KR2010013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함으로써 계좌 관리의 용이성 및 결제 처리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자화폐, 단일계좌

Description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SETTLEMENT SYSTEM USING ELECTRONIC MONE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화폐 결제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화폐를 단일계좌로 관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결제 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결제 방식을 채택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결제 시스템이란, 어음, 수표 등에 의한 장표방식 결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지급결제 절차가 장표 사용 없이 전자적인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결제 방식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면 지급결제의 신속화, 간소화는 물론 장표 발행 및 취급비용의 감소로 인한 금융기관의 수지개선 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이의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결제 시스템은 실제 물리적인 돈이 오고가는 것이 아니고,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전자화폐(Money)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센터간에 통신을 통해서 전자화폐를 처리(충전/이체)에 따른 정보가 오고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자화폐는 발행자에게 미리 대가를 지급하고 플라스틱카드에 내장된 IC칩에 일정한 화폐가치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이나 분실했을 경우에도 안전하며, 소액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소액 결제의 편리성에 기인하여 전자화폐 기능을 구현한 모바일 커머스용 단말기가 실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커머스용 단말기의 전자화폐 운용방식의 일례로 소액 결제용 결제 계좌와 다액 결제용 결제 계좌를 구분하고, 전자화폐 이용에 따라 구분된 각각의 계좌를 별도로 관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말기상에 전자화폐 결제를 위한 결제 계좌를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은 계좌별 전자화폐 충전 등 계좌에 따라 개별적인 관리가 요구되므로 관리의 번거로움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와 관련하여 결제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결제 방식을 채택하여 계좌 관리의 용이성 및 결제 처리시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 승 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금액에 대한 기 설정된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을 통해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대한 기 설정된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을 통해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단말기; 및 상기 결제단말기에 근접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단말기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가 제공되며: 이 센터는,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사용자단말기별 전자화폐의 보유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전자화폐 결제 승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별 전자화폐 보유상태를 갱신하는 정산/관리서버; 및 상기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제공서버가 제공되며: 이 서버는, 결제 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방식선택부; 및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방식선택부는,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처리부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처리부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결제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저장부; 근접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선택부; 및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결제 승인 요청에 따른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결제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선택부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승인부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하는 금액정보확인단계;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방식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단계; 및 상기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현재 보유된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하는 금액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방식선택단계는,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승인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승인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근접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하는 금액정보확인단계;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방식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금액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방식선택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액갱신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해 결제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결제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관리 대상 계좌가 단일계좌로 지정되어 계좌 관리가 용이하며, 결제 처리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전자화폐를 이용한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 전자화폐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단말기(300); 및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하는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시스템의 경우, 온라인 결제 또는 오프라인 결제로 구분되는 결제 방식에 따라 상이한 동작 특성을 갖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온라인 결제에 따른 상기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 이를 위해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는 정산/관리서버(110) 및 서비스제공서버(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정산/관리서버(110)는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의 보유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전자화폐 결제 승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별 전자화폐 보유상태를 갱 신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금액 정보는,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설정된 기준금액 정보를 지칭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120)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서버(120)는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즉, 서비스제공서버(120)는 결제금액이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단문메시지(sms) 또는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승인 결과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한다. 여기서, 전자화폐의 경우 사용자단말기(300)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되거나, 또는 예컨대, 사용자식별카드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00)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IC 카드에 저장되는 구성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의 구성요소인 서비스제공서버(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서버(120)는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121),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방식선택부(122) 및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결제방식선택부(122)는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 및 사용자단말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방식선택부(122)는 결제금액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수행하는 방식 또는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결제처리부(123)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결제방식선택부(122)에 의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결제처리부(123)는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결제방식선택부(122)에 의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단문메시지(sms) 또는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 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에 따르면,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하여 결제 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온라인 결제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관리 대상 계좌가 단일계좌로 지정되어 계좌 관리가 용이하며, 결제 처리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 오프라인 결제에 따른 상기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제단말기(200)는 오프라인에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단말기(200)는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즉, 결제단말기(200)는 결제금액이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오프라인상에서 상기 결제단말 기(200)에 근접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한다. 여기서, 상기전자화폐의 경우 사용자단말기(300)에 마련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되거나 또는 예컨대, 사용자식별카드와 같이 사용자단말기(300)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IC 카드에 저장되는 구성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결제단말기(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결제단말기(200)는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저장부(210),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선택부(220) 및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승인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결제선택부(220)는 근접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선택부(220)는 결제금액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는 방식 또는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결제승인부(230)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 하일 경우, 결제선택부(220)에 의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결제승인부(230)는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결제선택부(220)에 의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에 따르면, 결제 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오프라인 결제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관리 대상 계좌가 단일계좌로 지정되어 계좌 관리가 용이하며, 결제 처리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 전자화폐 결제 방법의 경우, 온라인 결제 또는 오프라인 결제로 구분되는 결제 방식에 따라 상이한 동작 특성을 갖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온라인 결제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한다(S110-S12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서버(120)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가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한다(S130-S14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서버(120)가 사용자단말기(300)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가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S150-S16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서버(120)가 결제금액이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단문메시지(sms) 또는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단말기(300)가 상기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한다(S17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 즉, 서비스제공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승인 결과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센터(100)의 구성요소인 서비스제공서버(12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제공서버(120)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한다(S210-S220). 바람직하게는, 결제방식선택부(122)가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정보저장부(121)에 기저장된 사용자단말기별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공서버(120)가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한다(S230-S250). 바람직하게는, 결제방식선택부(122)가 사용자단말기(300)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제공서버(120)가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S260-S270). 바람직하게는, 결제처리부(123)가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처리부(123)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결제방식선택부(122)에 의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결제처리부(123)는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결제방식선택부(122)에 의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단문메시지(sms) 또는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화폐 결제 방법에 따르면,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하여 결제 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온라인 결제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관리 대상 계좌가 단일계좌로 지정되어 계좌 관리가 용이하며, 결제 처리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프라인 결제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단말기(300)가 오프라인상에서 상기 결제단말기(200)에 근접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S310).
그리고 나서, 결제단말기(200)가 근접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한다(S320).
그런 다음, 결제단말기(200)가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한다(S330-S340). 바람직하게는, 결제단말기(200)는 사용자단말기(300)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결제단말기(200)가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S350-S360). 바람직하게는, 결제단말기(200)는 결제금액이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300)가 상기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차감한다(S37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결제단말기(2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근접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한다(S410-S420). 바람직하게는, 결제선택부(220)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설정정보저장부(210)에 저장된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한다(S430-S450). 바람직하게는, 결제선택부(220)가 사용자단말기(300)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방식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 한다(S460-S470). 바람직하게는, 결제승인부(230)가 결제금액이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반면, 상기 결제금액이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결제승인부(230)는 기 설정된 인증과정 예컨대, 사용자인증번호(PIN) 확인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00) 사용자의 결제동의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전자화폐 결제 방법에 따르면,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하여 결제 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오프라인 결제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관리 대상 계좌가 단일계좌로 지정되어 계좌 관리가 용이하며, 결제 처리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기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해 결제금액에 따라 보안 수준을 고려한 구분된 결제 방식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화폐서비스센터
110: 정산/관리서버 120: 서비스제공서버
121: 정보저장부 122: 결제방식선택부
123: 결제처리부
200: 결제단말기
210: 설정정보저장부 220: 결제선택부
230: 결제승인부
300: 사용자단말기

Claims (24)

  1.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금액에 대한 기 설정된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을 통해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센터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4.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대한 기 설정된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을 통해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단말기; 및
    상기 결제단말기에 근접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 승인에 따른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말기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6. 단일계좌로 관리되는 사용자단말기별 전자화폐의 보유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전자화폐 결제 승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별 전자화폐 보유상태를 갱신하는 정산/관리서버; 및
    상기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 정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센터.
  10.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방식선택부; 및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전자화폐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방식선택부는,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처리부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처리부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4.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저장부;
    근접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선택부; 및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결제 승인 요청에 따른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결제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선택부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처리부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단말기.
  17.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하는 금액정보확인단계;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방식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단계; 및
    상기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에 현재 보유된 전자화폐의 금액을 갱신하는 금액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방식선택단계는,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결제금액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승인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하일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승인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21. 근접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에 따른 구분된 결제방식 적용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금액 정보를 확인하는 금액정보확인단계;
    상기 설정금액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결제방식 중 특정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방식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된 특정 결제방식에 따라 전자화폐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여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금액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방식선택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상기 설정금액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갱신단계는,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설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기 설정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를 승인하여 상기 전자화폐 차감신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결제 방법.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90054081A 2009-06-17 2009-06-17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5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81A KR20100135609A (ko) 2009-06-17 2009-06-17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81A KR20100135609A (ko) 2009-06-17 2009-06-17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609A true KR20100135609A (ko) 2010-12-27

Family

ID=4351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081A KR20100135609A (ko) 2009-06-17 2009-06-17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6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328A (ko) * 2018-12-21 2020-12-15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인증 방법, 프로그램,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328A (ko) * 2018-12-21 2020-12-15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인증 방법, 프로그램,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3171A1 (en) Mobile telephone transfer of funds
US20220101298A1 (en) Method of performing transactions with contactless payment devices using pre-tap and two-tap operations
US9824355B2 (en) Method of performing transactions with contactless payment devices using pre-tap and two-tap operations
US20190303931A1 (en) Method of, system for, data process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implementing a distributed, ledger-based processing and recording of a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US8565723B2 (en) Onetime passwords for mobile wallets
CN106056374B (zh) 用于在移动设备之间进行支付和非支付虚拟卡传送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50324764A1 (en) Enabling a User to Transact Using Cryptocurrency
TWI515674B (zh) 預付費資訊的管理方法、預付費系統及電腦可讀取儲存介質
CN105264558A (zh) 用于执行预授权金融交易的方法及系统
CN105874495A (zh) 使用令牌确保数据传送风险的系统和方法
CN103975352A (zh) 可安全充值的电子钱包
CN101884052A (zh) 电子货币、用于处理这种货币的方法和电子货币处理系统
CN110245925A (zh) 电子支付方法、系统、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127478A (zh) 使用预付卡账户载体进行线下移动支付的方法
AU2017219057A1 (en) Method of performing transactions with contactless payment devices using pre-tap and two-tap operations
KR20100135609A (ko)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0434B1 (ko) 은행에서의 신용카드를 이용한 환전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90056708A (ko) 이중 조합 식별 코드를 이용한 개인 인식 결제 서비스 방법및 장치
KR20100131860A (ko)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6065A (ko)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282344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1494756B2 (en) Payment transactions with integrated point of sale terminals
KR20100134412A (ko) 청구서 전자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2407604A (zh) 基於行動裝置的晶片卡服務整合系統及其實施方法
WO2017149425A1 (en)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suitable for use in a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