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860A -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860A
KR20100131860A KR1020090050675A KR20090050675A KR20100131860A KR 20100131860 A KR20100131860 A KR 20100131860A KR 1020090050675 A KR1020090050675 A KR 1020090050675A KR 20090050675 A KR20090050675 A KR 20090050675A KR 20100131860 A KR20100131860 A KR 2010013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lost card
user terminal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860A/ko
Publication of KR2010013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4Card activation or deactiv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고, 분실카드 확인 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분실카드에 내장된 잔액을 사용자 설정계좌에 자동이체시킴에 따라 분실카드의 부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화폐, 분실, 자동이체

Description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OSSACCEPT PROCESS OF ELECTRONIC MONEY}
본 발명은 전자화폐 결제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은 전자화폐의 분실 처리 방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의 불법적인 사용을 인식하여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을 사용자 설정계좌로 자동이체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결제 시스템이란, 어음, 수표 등에 의한 장표 방식 결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지급결제 절차가 장표 사용 없이 전자적인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결제 방식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면 지급결제의 신속화, 간소화는 물론 장표 발행 및 취급비용의 감소로 인한 금융기관의 수지개선 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이의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결제 시스템은 실제 물리적인 돈이 오고가는 것이 아니고,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전자화폐(Money)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센터간에 통신을 통해서 전자화폐를 처리(충전/이체)에 따른 정보가 오고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자화폐는 발행자에게 미리 대가를 지급하고 플라스틱카드에 내장된 IC칩에 일정한 화폐가치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이나 분실했을 경우에도 안전하며, 소액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내장된 IC칩을 적용한 전자결제 시스템의 경우, 비교적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이나 분실했을 경우에도 일반적인 결제방식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나 실질적인 IC칩의 도난 및 분실에 대비한 구체적인 처리 방안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실카드의 전자화폐의 불법적인 사용감지에 따라 해당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을 사용자가 기설정해 놓은 계좌로 자동이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고,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 수를 요청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및 분실카드 식별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오프라인에 위치한 결제단말기에 제공하며, 분실카드 식별에 따라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고,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는 결제단말기; 및 상기 분실카드 식별 시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 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제공되며: 이 서버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사용자 설정계좌를 저장하며, 상기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한 분실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정산/관리부; 및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고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가 결제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카드식별부; 및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결제처리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 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작성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는 전자화폐회수요청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전자화폐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결제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작성단계; 상기 결제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 하는 리스트저장단계; 상기 결제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상기 결제단말기가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는 전자화폐회수요청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전자화폐회수단계; 및 상기 결제단말기가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결과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작성단계;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화폐차감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상태정보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단계;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화폐차감단계; 및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분실카드의 사용을 인지하여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을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계좌로 자동이체함으로써 분실카드의 부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며,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분실카드 확인처리를 수행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 상기 전자화폐서버스서버(100)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상에서 분실카드 확인처리를 수행하는 결제단말기(200);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 또는 결제단말기(200)의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는 사용자단말기(300) 및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의 요청에 따른 실계좌간 이체를 수행하는 은행서버(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시스템의 경우, 온라인 분실처리 및 오프라인 분실처리로 구분되는 상이한 동작 특성을 갖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① 온라인 분실처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 즉,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
또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은행서버(400)에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은행서버(400)로부터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기반으로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요청한다. 이때,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는 카드 식별정보가 포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원에서는 전자화폐 내장을 위해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구성을 제시하였지만, 사용자단 말기(300)에 탈착 가능하며, 전자화폐가 저장될 수 있는 별도의 저장소가 구비된 IC(Integrated Circuit) 카드의 형태일 경우 모두 적용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단말기(300)는 분실카드 식별에 따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을 토대로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전자화폐 회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식별카드 즉,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차감완료 메시지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분실카드에 대한 처리를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사용자 설정계좌를 저장하는 정산/관리부(110) 및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분실카드 확인처리를 수행하는 서비스제공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정산/관리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사용자 설정계좌를 저장하며, 상기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한 분실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정산/관리부(110) 상에 등록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 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
또한, 서비스제공부(120)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은행서버(400)에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제공부(120)는 상기 은행서버(400)로부터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을 정산/관리부(110)에 요청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분실카드의 사용을 식별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300)에 탑재된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 모두를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② 오프라인 분실처리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오프라인에 위치한 결제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 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를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에 따라 오프라인에 위치한 결제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또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상기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300)에 대한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은행서버(400)에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은행서버(400)로부터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결제단말기(200)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단말기(200)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 즉, 결제단말기(2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또한, 결제단말기(2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 수를 요청한다. 이와 관련하여, 결제단말기(200)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는 오프라인상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결제단말기(200)에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기반으로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결제단말기(200)에 요청한다. 이때,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는 카드 식별정보가 포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단말기(300)는 분실카드 식별에 따라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을 토대로 사용자식별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300)는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전자화폐 회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식별카드 즉,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차감완료 메시지를 결제단말기(200)에 전송함으로써 분실카드에 대한 처리를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결제단말기(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결제단말기(200)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210), 상기 저 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카드식별부(220), 및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결제처리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카드식별부(220)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식별부(220)는 정보저장부(210)에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식별부(22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상기 결제처리부(230)는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처리부(230)는 상기 카드식별부(220)를 통한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결제처리부(230)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오프라인상에서 분실카드의 사용을 식별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300)에 탑재된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 모두를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또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분실처리 및 오프라인 분실처리로 구분된 상이한 동작 특성을 갖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① 온라인 분실처리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등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단말기(300)가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요청한다(S12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기반으로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전자화폐서비스서 버(100)에 요청한다.
그런 다음,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S130). 바람직하게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S140). 바람직하게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단말기(300)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한다(S150-S16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전자화폐 회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식별카드 즉,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차감완료 메시지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분실카드에 대한 처리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S170). 바람직하게는, 전자화 폐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은행서버(400)에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후,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상기 은행서버(400)로부터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S180-S20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정산/관리부(110)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S220-S24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가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정산/관리부(110) 상에 등록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S25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가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S260-S28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가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제공부(120)는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은행서버(400)에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S290-S31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부(120)가 상기 은행서버(400)로부터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을 정산/관리부(110)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정산/관리부(110)가 서비스제공부(120)의 정보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분실카드의 사용을 식별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300)에 탑재된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 모두를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② 오프라인 분실처리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결제단말기로 전송한다(S410-S420). 바람직하게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를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에 따라 오프라인에 위치한 결제단말기(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결제단말기(200)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한다(S430).
다음으로, 사용자단말기(300)가 오프라인상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결제단말기(200)에 요청한다(S44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탑재된 사용자식별카드(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기반으로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요청한다.
그런 다음, 결제단말기(200)가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S450).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단말기(2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결제단말기(200)가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를 요 청한다(S460). 바람직하게는, 결제단말기(200)는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단말기(300)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한다(S470-S48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300)는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전자화폐 회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식별카드 즉,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차감완료 메시지를 결제단말기(200)에 전송함으로써 분실카드에 대한 처리를 완료한다.
그리고 나서, 결제단말기(200)가 사용자단말기(300)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송한다(S490). 바람직하게는, 결제단말기(200)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S500). 바람직하게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는 결제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300)에 대한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은행서버(400)에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후,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가 상기 은행서버(400)로부터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한다(S510-S53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결제단말기(2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한다(S610-S620). 바람직하게는, 정보저장부(210)가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한다(S630-S660). 바람직하게는, 카드식별부(22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정보저장부(210)에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분실카드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S670). 바람직하게는, 결제처리부(230)가 상기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 분석 결과 분실카드임이 확인될 경우, 전자화폐 결제 승인을 요청한 사용자단말기(300)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 우, 상기 사용자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킨다(S680-S690). 바람직하게는, 결제처리부(230)가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차감된 금액정보가 포함된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전자화폐서비스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에 따르면, 오프라인상에서 분실카드의 사용을 식별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300)에 탑재된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 모두를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기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분실카드의 사용을 식별하여 분실카드에 남아있는 전자화폐 잔액 모두를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서비스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화폐서비스서버
110: 정산/관리부 120: 서비스제공부
200: 결제단말기
210: 정보저장부 220: 카드식별부
230: 결제처리부
300: 사용자단말기

Claims (16)

  1.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고,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및
    분실카드 식별에 따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3.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오프라인에 위치한 결제단말기에 제공하며, 분실카드 식별에 따라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 하며,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고,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는 결제단말기; 및
    상기 분실카드 식별 시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5. 사용자 요청에 의해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사용자 설정계좌를 저장하며, 상기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한 분실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정산/관리부;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고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 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비스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7.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카드식별부; 및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결제처리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단말기.
  9.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작성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는 전자화폐회수요청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전자화폐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11.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여 결제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작성단계;
    상기 결제단말기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단계;
    상기 결제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상기 결제단말기가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는 전자화폐회수요청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 요청에 따라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하고 해당결과를 통보하는 전자화폐회수단계; 및
    상기 결제단말기가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결과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가 상기 결제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13. 전자화폐 분실에 따른 사용자 요청에 따라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작성단계;
    상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화폐차감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 잔액 차감이 확인될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입금이 확인될 경우,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 및 기 등록된 카드별 전자화폐 보유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상태정보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15. 전자화폐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등록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단계;
    상기 저장된 분실카드 식별정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결제 승인 요청을 분석하여 분실카드를 식별하는 분실카드확인단계;
    분실카드 확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자화폐 회수를 요청하여 탑재 된 분실카드에 내장된 전자화폐 잔액을 차감시키는 화폐차감단계; 및
    사용자단말기의 전자화폐 잔액 차감 확인에 따라 전자화폐 회수처리 결과를 상기 전자화폐서비스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설정계좌로 상기 차감된 전자화폐 금액을 입금시키는 화폐이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분실 처리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90050675A 2009-06-08 2009-06-08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1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75A KR20100131860A (ko) 2009-06-08 2009-06-08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75A KR20100131860A (ko) 2009-06-08 2009-06-08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60A true KR20100131860A (ko) 2010-12-16

Family

ID=4350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75A KR20100131860A (ko) 2009-06-08 2009-06-08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8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559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이비카드 모바일 캐시 잔액 차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41254A (ko) * 2019-06-10 2020-12-18 심구진 분실 카드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559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이비카드 모바일 캐시 잔액 차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41254A (ko) * 2019-06-10 2020-12-18 심구진 분실 카드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871B2 (en) Authorizing use of a financial instrument
US8682798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universal ID and biometrics
US10614442B2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cash transactions at an ATM system without an ATM card using mobile
CN101501722A (zh) 通过预付费无线通信设备的货币转帐交易
KR20110019887A (ko) 모바일 카드/계좌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CN111461704B (zh) 一种用于农村金融机构的磁条卡交易安全锁的方法及系统
US20110270744A1 (en) Mobile tangible value banking system
CN112334938A (zh) 去中心化数字支付服务系统
EP2226759A1 (en) Electronic settlement method and electronic settlement device
JP2013527944A (ja) 信頼できない小売店端末を含む信頼できるストアドバリュー決済システム
WO20171894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browser-obtained device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user devices
KR20080023282A (ko) 인체정보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의 대금 결제 방법
CN104123755A (zh) 具有快速付款功能的自助缴费系统及方法
KR100503944B1 (ko) 통합 승인 처리, 새로운 충전 기능들 및 카드간송금 기능을 구비하는 선불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1860A (ko) 전자화폐 분실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50093B (zh) 基于锥体区块链的数字零钱钱包实时共识认证方法及系统
KR101764950B1 (ko) 자금 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123627B1 (ko) 거스름돈 적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스름돈 적립 서비스 방법
KR20210048210A (ko) 금융거래를 위한 암호화폐별 가상계좌 생성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20125441A (ko) 결제 승인 절차 제어 방법
KR102015861B1 (ko) 은행 업무 관리 서버, 은행 업무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좌 개설 방법
US20230222494A1 (en) Standardized physical action digital currency
JP4847510B2 (ja) 口座管理システムおよび口座管理プログラム
KR20120039129A (ko) 토큰을 이용한 전자 금융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N115760111A (zh) 一种聚合支付方法、计算机储存介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