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554A - 주방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주방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554A
KR20100135554A KR1020090054010A KR20090054010A KR20100135554A KR 20100135554 A KR20100135554 A KR 20100135554A KR 1020090054010 A KR1020090054010 A KR 1020090054010A KR 20090054010 A KR20090054010 A KR 20090054010A KR 20100135554 A KR20100135554 A KR 2010013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andle
supporter
ho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964B1 (ko
Inventor
김양영
Original Assignee
(주)드림셰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셰프 filed Critical (주)드림셰프
Priority to KR102009005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9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방향 구멍(14) 및 횡방향 통공(23)에 끼워진 힌지볼트(31)를 기준으로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각도 변환될 때 회동봉(51)이 수평홈(12b) 또는 수직홈(12c)에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끼워져 그 변화된 각도를 간단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용기, 보스, 회동체, 브래킷, 언더 파지부, 힌지볼트, 압출 스프링, 회동봉, 버튼, 어퍼 파지부

Description

주방용기용 손잡이{HANDLE FOR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방향 구멍 및 횡방향 통공에 끼워진 힌지볼트를 기준으로 언더 파지부 및 어퍼 파지부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를 간단 및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굽거나 익히기 위한 후라이팬이나 궁중팬, 냄비 또는 전골냄비 등을 일컫고, 이러한 주방용기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손잡이는 대부분 용기의 외측에 고정식으로 장착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주방용기를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장착되기도 한다.
도 1은 선 등록된 조리용기(실용신안등록 제0341650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선 등록된 조리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선 등록된 조리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선 등록된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선 등록된 조리용기에 적용된 손잡이부재의 회전 가능한 상태의 요부 절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선 등록된 조리용기의 손잡이부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선 등록된 조리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 보스부재(20), 축지지부재(30), 손잡이부재(40) 및 축부재(50)로 이루어진다.
용기본체(10)는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되며, 평면에서 보아 원형이고, 두께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한 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통상 금속의 재질이다.
보스부재(20)는 용기본체(10)의 성형시 다이캐스팅과 같은 방식에 의해서 동시에 성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용기본체(10)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구성이다.
축지지부재(30)는 보스부재(20)의 상부면과 외측의 끝단면에 동시에 긴밀히 밀착하면서 볼트나 리벳팅에 의해 보스부재(2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부면의 양측에는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축가이드(31)가 형성되도록 하되 양측의 축가이드(31)에는 각각 소정의 직경으로 상호 마주보게 축홀(31a, 31b)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 일측의 축홀(31a)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타측의 축홀(31b)은 장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축홀(31a, 31b)은 상호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특히 축지지부재(30)는 보스부재(20)와 동일하게 용기본체(10)의 성형 시 일체로 성형되게 할 수도 있다.
손잡이부재(40)는 용기본체(10)를 이동시키거나 조리를 위해 고정시키고자 할 때 즉,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일단부는 수평으로 관통홀(41a)이 형성되도록 하여 축지지부재(30)의 양측으로 형성한 축가이드(31)의 사이에서 축결합되는 결합단부(41)를 이루고, 이 결합단부(41)는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하여 연장부(42)를 이루되 이 연장부(42)의 저부는 파지에 용이하게 파형으로 형성함으로서 파지면(42a)을 형성토록 한다.
이때, 결합단부(41)에 형성되는 관통홀(41a)의 일측단부에는 인접하는 일측의 축가이드(31)에 형성한 장공형 축홀(31b)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서 이루어지는 걸림홀(41b)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게 한다.
특히, 결합단부(41)의 연장부(42)와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면은 소정의 깊이로 하향 만곡지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이렇게 만곡지는 부위는 양측으로 보다 연장되도록 하여, 이렇게 연장된 양측단부가 도 4에서와 같이 양측 축가이드(31)의 후방측 외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손잡이부재(4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는 하향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한편, 축부재(50)는 축지지부재(30)에서 손잡이부재(40)의 결합단부(41)가 축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바 축부재(50)는 다시 원형봉부(51)와 걸림돌부(52)와 머리부(53)로서 구분된다.
원형봉부(51)는 손잡이부재(40)의 결합단부(41)에 형성한 관통홀(41a)을 관통하여 일측의 축가이드(31)에 형성한 원형의 축홀(31a)을 동시에 관통하여 외측으로 인출되는 구성이고, 걸림돌부(52)는 원형봉부(51)와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으로 원형봉부(51)의 일단부로부터 장공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연 장시켜 형성되도록 한 구성인 바, 이러한 걸림돌부(52)는 축가이드(31)의 축홀(31a, 31b)과 손잡이부재(40)의 결합단부(41)에 형성한 걸림홀(41b)에 맞춤 끼워지도록 한 형상이다.
이와 함께 머리부(53)는 장공형상의 축홀(31b)에서 홀의 폭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걸림돌부(52)의 끝단부 외경을 확장시킨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 등록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 등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에 일체로 성형되는 보스부재(20)에 축지지부재(30)를 볼트나 리벳팅에 의해 결합하고, 축지지부재(30)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축가이드(31)의 사이에는 손잡이부재(40)의 결합단부(41)를 삽입하면서 축부재(50)를 일측의 축가이드(31)로부터 끼워 타측의 축가이드(31)를 관통하여 삽입되게 함으로써 축지지부재(30)에 손잡이부재(40)가 축결합되게 하는 방식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이 조립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손잡이부재(40)는 결합단부(41)의 연장부(42)측 외주연 단부가 양측 축가이드(31)의 외주면에 면밀착되게 함으로서 접촉되는 부위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되어 더 이상 아래쪽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축부재(50)를 소정의 길이만큼 일측의 축가이드(31)로부터 인출시키게 되면 손잡이부재(4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축부재(5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일 때는 축부재(50)의 장공형상인 걸림돌부(52)는 손잡이부재(40)의 결합단부(41)의 관통홀(41a)의 일측으로 형성한 걸림홀(41b)까지 삽입되어 있게 되나, 이 걸림홀(41b)로부터 이탈되도록 축부재(50)를 일측으로부터 인출시키게 되면 손잡이부재(40)는 관통홀(41a)에 원형봉부(51)만이 위치되면서 손잡이부재(4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서와 같이 손잡이부재(40)의 결합단부(41)에 대응하는 연장부(42)를 약 180°로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부재(40)의 연장부(42)는 조리용기의 내측 홈 바닥면에 안전하게 안치되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렇게 손잡이부재(40)를 접혀지게 하면 조리용기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가 있으므로 비 사용시 보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그리고, 축부재(50)를 완전히 빼면 손잡이부재(40)를 축지지부재(3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으므로 본 조리용기와 유사한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들에도 손잡이부재(40)를 다 구비할 필요없이 용기본체(10)의 수보다 적게 구비한 다음 공용해서 사용할 수가 있어 경제적인 구매가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 등록은 손잡이부재(40)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축부재(50)를 소정의 길이만큼 축가이드(31)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하여 원형봉부(51)의 일단을 밀어 넣고 손잡이부재(40)를 회전시킨 후 다시 축부재(50)의 머리부(53)를 반대방향으로 밀어 넣어야만 하는 수고를 하여야 하여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어렵고, 축부재(50)의 원형봉부(51)를 지나치게 많이 밀어 넣을 경우에는 결합단부(41)와 축가이드(31)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정상의 조립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방향 구멍 및 횡방향 통공에 끼워진 힌지볼트를 기준으로 언더 파지부 및 어퍼 파지부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를 간단 및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보스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보스에 착탈 가능한 바디의 상부에 나란히 직립되어 횡방향 구멍을 지닌 제 1 서포터, 제 2 서포터 및 제 3 서포터를 가짐과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안착홈 및 제 2 안착홈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 2 서포터의 외곽에 고정홈들을 지닌 브래킷과,
상기 제 1 안착홈 및 제 2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횡방향 구멍에 일치되는 횡방향 통공을 지닌 제 1 회동편 및 제 2 회동편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을 향한 가이드홈, 지지홈 및 스프링홈을 연이어 구비한 언더 파지부와,
상기 횡방향 구멍 및 횡방향 통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볼트 및 너트와,
상기 스프링홈에 끼워진 압출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회동봉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홈에 안장됨과 동시에 상기 압출 스프링의 탄성을 받는 버튼과,
상기 지지홈에 일치되며 상기 버튼을 노출시키는 지지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언더 파지부에 합체되는 어퍼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횡방향 구멍 및 횡방향 통공에 끼워진 힌지볼트를 기준으로 언더 파지부 및 어퍼 파지부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될 때 회동봉이 고정홈들(수평홈 또는 수직홈)에 긴밀하게 끼워져 언더 파지부 및 어퍼 파지부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를 간단 및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 물을 수용하는 용기(V)의 보스(B)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체(100)를 핵심구성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회동체(100)는 브래킷(10), 언더 파지부(20), 압출 스프링(40), 버튼(52) 및 어퍼 파지부(60)를 포함한다.
브래킷(10)은 보스(B)에 착탈 가능한 바디(10a)의 상부에 나란히 직립되어 횡방향 구멍(14)을 지닌 제 1 서포터(11), 제 2 서포터(12) 및 제 3 서포터(13)를 가짐과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안착홈(15) 및 제 2 안착홈(16)을 구비하면서 제 2 서포터(12)의 외곽에 고정홈(12a)들을 포함한다.
언더 파지부(20)는 제 1 안착홈(15) 및 제 2 안착홈(16)에 안착되며 횡방향 구멍(14)에 일치되는 횡방향 통공(23)을 지닌 제 1 회동편(21) 및 제 2 회동편(2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며 제 2 서포터(12)의 고정홈(12a)을 향한 가이드홈(24), 지지홈(25) 및 스프링홈(26)을 연이어 구비한다.
횡방향 구멍(14) 및 횡방향 통공(23)에는 힌지볼트(31)가 끼워져 너트(32)로 조립된다.
압출 스프링(40)은 스프링홈(26)에 끼워진다.
버튼(52)은 가이드홈(24)에 가이드되면서 고정홈(12a)에 끼워지는 회동봉(5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홈(25)에 안착됨과 동시에 압출 스프링(40)의 탄성을 받는다.
어퍼 파지부(60)는 지지홈(25)에 일치되며 버튼(52)을 노출시키는 지지구멍(61)을 구비하여 언더 파지부(20)에 합체된다.
이때, 제 1 서포터(11) 내지 제 3 서포터(13) 그리고 제 1 회동편(21) 및 제 2 회동편(22)은 라운딩된 외곽을 구비하여 언더 파지부(20)가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로 각도 변화될 경우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홈(12a)들은 회동봉(51)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받아들이는 수평홈(12b) 및 수직홈(12c)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예각 또는 둔각의 범위 내에서 추가로 부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브래킷(10)은 보스(B)에 스크류(S) 결합되고,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는 렌치볼트(R)로 합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서포터(11) 내지 제 3 서포터(13), 그리고 제 1 회동편(21) 및 제 2 회동편(22)으로 구체적으로 구분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브래킷(10)의 중앙에 단일의 서포터를 부여하고 제 1 회동편(21) 및 제 2 회동편(22)이 단일의 서포터를 감싸는 형태로 힌지볼트(31) 및 너트(32)를 조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수평상태)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각도 변화상태[버튼을 후진한 후 압출 스프링의 탄성으로 전진 => 수평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52)을 용기(V)의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 압출 스프링(40)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를 수평상 태로 전환시킨 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52)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압출 스프링(40)이 팽창되면서 버튼(52)을 밀어내게 되고, 이와 더불어 회동봉(51)이 수평홈(12b)에 끼워지면서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가 용기(V)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봉(51)이 수평홈(12b)에 합치되어 긴밀하게 끼워지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용기(V)와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의 수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수직상태)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각도 변화상태[버튼을 후진한 후 압출 스프링의 탄성으로 전진 => 수직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52)을 용기(V)의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 압출 스프링(40)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를 수직상태로 전환시킨 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52)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압출 스프링(40)이 팽창되면서 버튼(52)을 밀어내게 되고, 이와 더불어 회동봉(51)이 수직홈(12c)에 끼워지면서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가 용기(V)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봉(51)이 수직홈(12c)에 합치되어 긴밀하게 끼워지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용기(V)와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의 수직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주방에서 활용되는 주방용기의 손잡이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선 등록된 조리용기(실용신안등록 제0341650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선 등록된 조리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선 등록된 조리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4는 선 등록된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선 등록된 조리용기에 적용된 손잡이부재의 회전 가능한 상태의 요부 절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선 등록된 조리용기의 손잡이부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각도 변화상태[버튼을 후진한 후 압출 스프링의 탄성으로 전진 => 수평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각도 변화상태[버튼을 후진한 후 압출 스프링의 탄성으로 전진 => 수직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V : 용기 B : 보스
S : 스크류 R : 렌치볼트
100 : 회동체 10 : 브래킷
10a : 바디 11 : 제 1 서포터
12 : 제 2 서포터 12a : 고정홈
12b : 수평홈 12c : 수직홈
13 : 제 3 서포터 14 : 횡방향 구멍
15 : 제 1 안착홈 16 : 제 2 안착홈
20 : 언더 파지부 21 : 제 1 회동편
22 : 제 2 회동편 23 : 횡방향 통공
24 : 가이드홈 25 : 지지홈
26 : 스프링홈 31 : 힌지볼트
32 : 너트 40 : 압출 스프링
51 : 회동봉 52 : 버튼
60 : 어퍼 파지부 61 : 지지구멍

Claims (5)

  1.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V)의 보스(B)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체(100)를 포함하는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100)는
    상기 보스(B)에 착탈 가능한 바디(10a)의 상부에 나란히 직립되어 횡방향 구멍(14)을 지닌 제 1 서포터(11), 제 2 서포터(12) 및 제 3 서포터(13)를 가짐과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안착홈(15) 및 제 2 안착홈(16)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 2 서포터(12)의 외곽에 고정홈(12a)들을 지닌 브래킷(10)과,
    상기 제 1 안착홈(15) 및 제 2 안착홈(16)에 안착되며 상기 횡방향 구멍(14)에 일치되는 횡방향 통공(23)을 지닌 제 1 회동편(21) 및 제 2 회동편(2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12a)을 향한 가이드홈(24), 지지홈(25) 및 스프링홈(26)을 연이어 구비한 언더 파지부(20)와,
    상기 횡방향 구멍(14) 및 횡방향 통공(23)에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볼트(31) 및 너트(32)와,
    상기 스프링홈(26)에 끼워진 압출 스프링(40)과,
    상기 가이드홈(24)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고정홈(12a)에 끼워지는 회동봉(5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홈(25)에 안장됨과 동시에 상기 압출 스프링(40)의 탄성을 받는 버튼(52)과,
    상기 지지홈(25)에 일치되며 상기 버튼(52)을 노출시키는 지지구멍(61)을 구 비하여 상기 언더 파지부(20)에 합체되는 어퍼 파지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터(11) 내지 제 3 서포터(13) 그리고 상기 제 1 회동편(21) 및 제 2 회동편(22)은 라운딩된 외곽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손잡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2a)들은 상기 회동봉(51)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받아들이는 수평홈(12b) 및 수직홈(12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손잡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은 상기 보스(B)에 스크류(S)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손잡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파지부(20) 및 어퍼 파지부(60)는 렌치볼트(R)로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손잡이.
KR1020090054010A 2009-06-17 2009-06-17 주방용기용 손잡이 KR10103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10A KR101030964B1 (ko) 2009-06-17 2009-06-17 주방용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10A KR101030964B1 (ko) 2009-06-17 2009-06-17 주방용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54A true KR20100135554A (ko) 2010-12-27
KR101030964B1 KR101030964B1 (ko) 2011-04-28

Family

ID=4350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010A KR101030964B1 (ko) 2009-06-17 2009-06-17 주방용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9960A1 (en) * 2016-07-13 2018-01-18 Sea To Summit Pty Ltd Handle for a container, hand-tool or other like item
GB2577504A (en) * 2018-09-26 2020-04-01 Enerio Bernard Compactable cooking pa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54Y1 (ko) 1999-07-30 2000-02-15 남경호 조리용기의 접이식 손잡이
KR200341650Y1 (ko) 2003-11-10 2004-02-14 권만현 조리 용기
KR200352607Y1 (ko) 2004-03-04 2004-06-09 박용철 용기의 손잡이구조
KR100738349B1 (ko) 2006-06-22 2007-07-12 주식회사 세신산업 조리용기 손잡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9960A1 (en) * 2016-07-13 2018-01-18 Sea To Summit Pty Ltd Handle for a container, hand-tool or other like item
EP3484333A4 (en) * 2016-07-13 2019-11-27 Sea To Summit Pty Ltd HANDLE FOR A CONTAINER, HAND TOOL OR OTHER SIMILAR OBJECT
US11344161B2 (en) 2016-07-13 2022-05-31 Sea To Summit Pty Ltd Handle for a container, hand-tool or other like item
US11771267B2 (en) 2016-07-13 2023-10-03 Sea To Summit Pty Ltd Handle for a container, hand-tool or other like item
GB2577504A (en) * 2018-09-26 2020-04-01 Enerio Bernard Compactable cooking pan apparatus
GB2577504B (en) * 2018-09-26 2022-08-03 Enerio Bernard Compactable cooking pa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964B1 (ko)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01635A3 (fr) Systeme d'entreposage.
US20150053696A1 (en) Cooking utensil with a pinch and catch detachable handle
EP2976976B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US20080179211A1 (en) Articulating handle for space-saving cookwar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80203747A1 (en) Serving utensil
US20130291387A1 (en) Tool for separating flesh from a core and a rind of a fruit
USD524610S1 (en) Barbeque fork
US6746062B2 (en) Collapsible grilling spatula
KR100923419B1 (ko) 주방용기용 손잡이
JP2008212632A (ja) スイング把手の片手鍋及び回動把手の片手鍋。
US20110079209A1 (en) Rigid grill structure
KR101030964B1 (ko) 주방용기용 손잡이
US8640906B2 (en) Multipurpose cooking stove container
US8156861B1 (en) Collapsible food holding system
KR101128051B1 (ko) 조리기구용 다용도 냄비뚜껑
US20090044728A1 (en) Folding Table for Barbeque Kettle Grill
CN201899402U (zh) 盘碗夹持器
US20080223997A1 (en) Dripless collar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JP5802281B2 (ja) 着脱式調理器具把持装置
KR200341650Y1 (ko) 조리 용기
KR100891298B1 (ko) 주방용기
US9655476B2 (en) Device for holding kitchen utensils, especially knives
KR101458281B1 (ko)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CN107661025B (zh) 一种便携蒸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