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138A - 판스프링 - Google Patents

판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138A
KR20100135138A KR1020090053620A KR20090053620A KR20100135138A KR 20100135138 A KR20100135138 A KR 20100135138A KR 1020090053620 A KR1020090053620 A KR 1020090053620A KR 20090053620 A KR20090053620 A KR 20090053620A KR 20100135138 A KR20100135138 A KR 20100135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width
unit
stress
elast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권기태
안상하
Original Assignee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138A/ko
Publication of KR2010013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027Planar, e.g. in sheet form; 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5Leaf spr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design of individual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2Leaf springs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pring characteri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2Springs leaf-like, e.g. of thin, planar-like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내/외측 고정부; 및 탄성부와, 제1, 2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보다 외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의 폭을 두껍게 조절하여 집중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하여,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제1, 2 연결부와 연결되는 탄성부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판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응력 집중, 폭조절

Description

판스프링{Plate Spring}
본 발명은 응력 집중을 해소할 수 있는 판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제1, 2 연결부와 연결되는 탄성부의 폭을 탄성부의 폭보다 두껍게 조절하여, 응력 발생시 기존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는 제1, 2 연결부와 연결된 탄성부에서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제1, 2 연결부와 연결된 탄성부의 폭이 넓어지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2차로 응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응력분산을 이룰 수 있으며, 특히, 상기 2차 응력이 발생하는 구간은 탄성부가 상, 하 운동시 제1, 2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 보다 변위가 작기 때문에, 응력이 발생하더라도 파단 발생율이 낮아지게 되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2 연결부의 끝단을 탄성부와 접선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응력 집중을 분산할 수 있는 판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스프링은 리니어 진동모터, 골진동 이어폰 등에 삽입되어 구동부가 상, 하 운동을 할 때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은 VCM(voice coil motor)방식의 엑츄에이터에 있어서 구동부를 스프링으로 제어하는 것이 주요한 설계 이슈이기 때문에, 스프링의 집중 응력을 해소하는 것은 엑츄에이터 설계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도 1은 종래의 판스프링(300)을 도시한 것으로, 내측으로 몸체부(320)가 구성되고, 외측으로 고정부(360)가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20)와 고정부(360)를 연결하도록 아암부(346), 연결부(341)로 구성된 탄성부(340)를 형성하여, 고정부(360)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부(320)에 안착된 구동부(도면에 미도시)가 상, 하 운동을 시작할 때, 탄성부(340)의 아암부(446)에 의해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340)의 연결부(341)에는 집중 응력을 해소하고자 제1, 2 연결부(342, 344)를 형성하되, 각기 다른 곡률반경을 형성하도록 하여 집중 응력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판스프링(300)은 고정부(320)에서 발생하는 집중 응력이 가장 큰데 이를 해소할 만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여전히 판스프링(300)의 수명 단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몸체부(32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341)를 제1, 2 연결부(342, 344)의 곡률반경을 달리하여 집중 하중을 해소하고자 함으로써, 집중 응력을 분산하는데 비효율적이면서, 집중 응력을 분산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스프링은 내/외측 고정부; 및 탄성부와, 제1, 2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보다 외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의 폭을 두껍게 조절하여 집중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스프링은 탄성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보다 내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의 폭을 두껍게 조절하여 집중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스프링에 형성된 제1, 2 연결부의 끝단은 탄성부와 접선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스프링은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제1, 2 연결부와 연결되는 탄성부의 폭을 탄성부의 폭보다 두껍게 조절하여, 응력 발생시 기존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는 제1, 2 연결부와 연결된 탄성부에서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2 연결부와 연결된 탄성부의 폭이 넓어지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2차로 응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응력분산을 이룰 수 있으며, 특히, 상기 2차 응력이 발생하는 구간은 탄성부가 상, 하 운동시 제1, 2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 보다 변위가 작기 때문에, 응력이 발생하더라도 파단 발생율이 낮아지게 되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2 연결부의 끝단을 탄성부와 접선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또한 응력 집중을 분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서와 같이 내/외측 고정부(10, 20)와, 탄성부(30)와, 제1, 2 연결부(40, 5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다만, 상기 탄성부(30)와 외측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0)에 연결된 탄성부(30)의 폭(w1)을 탄성부(30)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w)보다 넓게 조절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30)와 내측 고정부(1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50)에 연결된 탄성부(30)의 폭(w2)을 탄성부(30)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w)보다 넓게 조절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연결부(40, 50)의 끝단은 탄성부(30)와 접선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면, 응력 집중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판스프링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4는 종래의 판스프링(300)과 본 발명의 판스프링(80)의 응력 집중을 실험한 데이터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측 고정부(20)가 통상의 엑츄에이터에 고정되고 구동부가 내측 고정부(1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부가 상, 하 운동을 시작하게 되면, 구동부와 결합되어 있던 내측 고정부(10) 및 탄성부(30)가 상, 하 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판스프링(80)의 제1 연결부(40)에서 집중응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제1 연결부(40)에서의 집중 응력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2 연결부(40)와 연결되는 탄성부(30)의 폭(w1)을 탄성부(30) 폭(w) 보다 두껍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응력 집중이 발생하더라도 면적이 넓어진 제1 연결부(40)와 연결되는 탄성부(30)의 A지점에서는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제1 연결부(40)의 끝단을 탄성부(30)와 접선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였기에, 응력 분산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 이다.
즉,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제1 연결부(40), 다시 말해, 응력 집중으로 인한 파단이 발생하는 지점에서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색으로 형성된 응력집중 구간이 종래보다 훨씬 분산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탄성부(30)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w)보다 제1 연결부(40)와 연결되는 탄성부(30)의 폭(w1)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집중된 응력이 탄성부(30)의 폭(w)이 넓어지는 구간인 탄성부(30)의 폭(w1)으로 분산되는 효과를 얻기에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데이터상 약 13%의 응력 집중이 해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제2 연결부(50)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30)의 폭(w2)을 조정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제1 연결부(40)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30)의 폭(w1)을 조정하였을 때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재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1은 종래의 판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내지 도 4는 종래의 판스프링과 본 발명의 판스프링의 응력 집중을 실험한 데이터.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탄성부 폭 w1 : 제1 연결부와 연결된 탄성부 폭
w2 : 제2 연결부와 연결된 탄성부 폭 10 : 내측 고정부
20 : 외측 고정부 30 : 탄성부
40 : 제1 연결부 50 : 제2 연결부
80 : 판스프링

Claims (3)

  1. 내/외측 고정부(10, 20); 및 탄성부(30)와, 제1, 2 연결부(40, 5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30)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w)보다 외측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0)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30)의 폭(w1)을 두껍게 조절하여 집중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판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0)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폭(w)보다 내측 고정부(1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50)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30)의 폭(w2)을 두껍게 조절하여 집중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판스프링.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연결부(40, 50)의 끝단은 탄성부(30)와 접선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판스프링.
KR1020090053620A 2009-06-16 2009-06-16 판스프링 KR20100135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620A KR20100135138A (ko) 2009-06-16 2009-06-16 판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620A KR20100135138A (ko) 2009-06-16 2009-06-16 판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38A true KR20100135138A (ko) 2010-12-24

Family

ID=4350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620A KR20100135138A (ko) 2009-06-16 2009-06-16 판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1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4067A (zh) * 2015-04-21 2018-01-19 反思运动公司 串联弹性由马达操作的锻炼机器
CN108194548A (zh) * 2017-12-28 2018-06-22 陕西仙童科技有限公司 板弹簧、板弹簧组以及压缩机
CN110566614A (zh) * 2019-09-11 2019-12-13 哈尔滨工业大学(深圳) 一种单向平面扭簧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4067A (zh) * 2015-04-21 2018-01-19 反思运动公司 串联弹性由马达操作的锻炼机器
CN107614067B (zh) * 2015-04-21 2021-03-09 反思运动公司 扭矩可控锻炼机器装置以及产生可变负载的方法
CN108194548A (zh) * 2017-12-28 2018-06-22 陕西仙童科技有限公司 板弹簧、板弹簧组以及压缩机
CN108194548B (zh) * 2017-12-28 2023-12-29 陕西仙童科技有限公司 板弹簧、板弹簧组以及压缩机
CN110566614A (zh) * 2019-09-11 2019-12-13 哈尔滨工业大学(深圳) 一种单向平面扭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3485A1 (ja) 電磁継電器
KR20100135138A (ko) 판스프링
US20140340726A1 (en) Device comprising a vibratably suspended optical element
RU2010149092A (ru) Сдвоенная рессорная подвес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j-образным пружинным элементом
JP2014093841A (ja) 発電装置
JP2010018086A (ja) リーフスプリング用パッド
JP6422249B2 (ja) 電磁継電器
JPH0869736A (ja) 電磁リレー用の接極子保持部
CN101628385B (zh) 一种射孔弹外圆加工专用涨簧
JP6495924B2 (ja) 磁気形状記憶要素を備える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20170037228A (ko) 철도차량용 탄성 조인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연결기
JP2014210534A (ja) スタビライザ用ブッシュ
CN105422705A (zh) 振动弹簧板
CN210704626U (zh) 法兰校正器
CN105765195A (zh) 具有消音排气阀的涡轮增压器
US7551401B1 (en) Offset limiter for disk drive suspension
KR20150117720A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CN101963333B (zh) 嵌入式筒灯安装装置
JP2020115407A (ja) 電磁リレー
JP2019007496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CN103672061A (zh) 排气阀
JP2006274916A (ja) インジェクタの固定装置
CN209654394U (zh) 一种销轴的固定锁销
KR20130096081A (ko) 라운드타입의 바이메탈을 구비한 트립디바이스조립체
CN202597488U (zh) 一种连接杆支承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