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073A -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5073A KR20100135073A KR1020090053528A KR20090053528A KR20100135073A KR 20100135073 A KR20100135073 A KR 20100135073A KR 1020090053528 A KR1020090053528 A KR 1020090053528A KR 20090053528 A KR20090053528 A KR 20090053528A KR 20100135073 A KR20100135073 A KR 20100135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pper powder
- red pepper
- taste
- spicy
- gra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있어서,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 따라 매운맛을 5등급으로 분류하되, 각 등급간에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서 일정한 양의 격차를 두고 분류하는 단계; 상기에서 분류된 5등급 분류에 따라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를 그림 또는 표에 빨간색 또는 빨간색의 점유수로 표시한 포장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에서 매운맛 정도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각각 상기에서 각 등급별로 매운맛이 표시된 포장지에 일치하도록 충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에서 충진된 고춧가루를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따르면, 소비자가 매운맛 정도를 명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매운맛을 내는 전통식품의 규격화가 가능하고, 또한 매운맛에 민감한 신세대나 외국인들에게 매운맛 정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한식의 소비증대와 세계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고춧가루, 매운맛, 캡사이시노이드, 스코빌 단위, 표시방법, 포장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춧가루의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capsaicinoid) 함량 또는 스코빌(Scoville) 단위에 따라 아주 매운맛, 매운맛, 보통맛, 순한맛 및 아주 순한맛의 5등급으로 분류하고 포장지 겉면에 상기 5등급을 나타내는 그림 또는 표를 표시하여 포장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도에 따라 매운맛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추의 매운맛은 김치, 고추장 등에서와 같이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한국을 대표하는 맛, 전통 맛 중 하나이다.
최근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에 따르면, 국민 한 사람이 하루 먹는 고추(고춧가루 포함) 섭취량은 1998년 5.2g에서 2005년에는 7.2g으로 40%가량 증가했으며 1인당 1년 고추 소비량은 4Kg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고추속[Capsicum genus]의 과일은 캡사이시노이드라는 화학물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 물질이 피부점막에 있는 신경말단 화학수용기[chemoreceptor nerve endings]를 자극할 때 매운맛을 느낀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 캡사이시노이드의 매운맛이 체온발생을 통한 에너지소비량을 증가시켜 체중을 감소시키는 다이어트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운맛이 통증으로 인식되면서 우리의 두뇌와 감정을 자극하여 감각이나 감성 기억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엔돌핀의 생성과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기분전환을 하게 되어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캡사이시노이드가 종양을 억제하는 효과나 각종 생체활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알려지면서 현대인의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어 그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고추의 매운맛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증을 느낄 정도로 자극성이 있어 매운맛의 음식을 꺼리는 사람들이 상당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운맛의 정도에도 순한맛에서부터 강렬한 매운맛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매운맛의 정도를 소비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고추의 매운맛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감각수용 측정법[Scoville Organoleptic Test]이 있는데, 얼마나 매운지를 '스코빌' 단위로 표시하며 몇몇 핫소스는 판매 홍보를 위해 스코빌 수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매운맛 측정방법은 1912년에 미국 화학자 Wilbur Scoville이라는 사람이 만든 매운맛 측정방법으로, 스코빌 척도는 고추[chili pepper]의 자극이나 매운 정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스코빌 열단위[Scoville heat 단위; SHU]의 값은 캡 사이시노이드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스코빌의 방법에 따르면 맛 평가단(보통 다섯명)이 더 이상 "열"을 못 느낄 때까지 고추 추출물을 설탕시럽에 희석시켜 그 희석의 정도가 스코빌 척도의 값이 된다. 따라서 캡사이시노이드가 전혀 없는 양고추[sweet pepper] 또는 피망[bell pepper]은 희석시키지 않아도 열이 느껴지지 않으므로 스코빌 값이 영(0)이며, 역으로 하바네로[Habanero] 고추같은 가장 매운 고추의 경우 캡사이시노이드의 존재가 검출 불가능한 20만배로 희석시킨 추출물로 인해 20만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결국 스코빌 감각수용 측정법도 매운맛을 관능테스트에 의하므로 사람에 따라 주관적이므로 부정확하다할 수 있다.
다른 양적 측정법으로는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Gillet 방법)가 있는데, 이는 캡사이시노이드의 양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ppm의 단위로 측정된 값은 수학적 변환 척도 (특정 캡사이시노이드에 따라 다른) 15, 20 또는 30을 이용하여 스코빌 척도로 변환가능한데, 이 방법은 스코빌 단위가 아닌 ASTA(American Spice Trading Association) 자극 단위[ASTA pungency 단위]에 의해 결과를 도출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매운맛 전통식품인 김치 및 고추장의 매운맛을 등급화하여 소비자들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매운맛 정도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이를 포장지 등에 표시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3-71234호에서는 고춧가루를 이용한 가공식품인 김치의 매운맛 정도를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방법과 같이 상품김치의 색으로 매운맛을 구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붉은색의 정도와 매운맛은 일치한다고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매운맛의 구분이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 수치가 연속선상에 있어 소비자들이 매운맛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현실적으로 상품화를 위한 식품가공방법으로 채택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16248호(2009.02.13)는 "매운맛 조절이 가능한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고춧가루를 포함하는 육류용소스"를 기술하였으나, 매운맛을 재료의 혼합으로 조절하였을 뿐 소비자들이 쉽게 매운맛 정도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통식품표준규격 규격번호 T020 8.4.1 김치의 매운맛 표시에 의하면 제품의 표시면에 소비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김치의 매운맛을 5.4(캅사이시노이드)에 따라 시험한 다음 그 함량에 따라 매운맛을 '순한맛', '약간 매운맛', '보통 매운맛', '매운맛', 또는 '매우 매운맛'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매운맛 표시방법이 언어에 머무르고 있어 제품의 정확한 매운맛 정도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기 어렵고, 또한 매운맛의 구분이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 수치가 연속선상에 있어 소비자들이 매운맛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추의 매운맛은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한국을 대표하는 맛으로, 김치, 고추장 등 전통식품의 개발과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매운맛정도에 따라 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는 효과적인 표시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고춧가루를 이용한 가공식품인 김치나 고추장의 매운맛 정도를 표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매운맛을 내는 식품재료인 고춧가루 자체의 매운맛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매운맛 정도를 소비자들이 명확하게 구분하고, 식재료의 선택에서부터 최종가공제품에 이르기까지 매운맛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와 관련하여, 영양고추시험장의 국내산 및 수입산 건고추의 유통경로 조사에 의하면 매운맛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매운맛 표시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비자가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를 명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 진행하던 중, 고춧가루를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수치에 따라 아주 매운맛, 매운맛, 보통맛, 순한맛, 아주 순한맛의 5등급으로 분류하여 포장지 겉면에 5등급을 나타내는 그림 또는 표에 매운맛 정도를 빨간색의 점유수 표시를 사용하여 매운맛 정도에 따라 계량 포장하여 누구나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고춧가루의 매운맛이 표시되는 표장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매운맛 정도를 명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매운맛을 내는 전통식품의 규격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고춧가루의 포장방 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있어서,
(1)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 따라 매운맛을 5등급으로 분류하되, 각 등급간에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서 일정한 양의 격차를 두고 분류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분류된 5등급 분류에 따라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를 그림 또는 표에 빨간색 또는 빨간색의 점유수로 표시한 포장지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1)에서 매운맛 정도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각각 상기 단계 (2)에서 각 등급별로 매운맛이 표시된 포장지에 일치하도록 충진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충진된 고춧가루를 포장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가 매운맛 정도를 명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매운맛을 내는 전 통식품의 규격화가 가능하고, 또한 매운맛에 민감한 신세대나 외국인들에게 매운맛 정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한식의 소비증대와 세계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은
(1)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 따라 매운맛을 5등급으로 분류하되, 각 등급간에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서 일정한 양의 격차를 두고 분류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분류된 5등급 분류에 따라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를 그림 또는 표에 빨간색 또는 빨간색의 점유수로 표시한 포장지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1)에서 매운맛 정도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각각 상기 단계 (2)에서 각 등급별로 매운맛이 표시된 포장지에 일치하도록 충진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충진된 고춧가루를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고춧가루의 매운맛을 5 등급화하는데 적합한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성분과 매운맛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입에서 느끼는 매운맛의 강도와 고춧가루의 캡사이시노이드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포도당이나 과당의 함량은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고춧가루를 매운맛 정도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매운맛이 덜한 한 반도 품종의 고추, 보통맛의 두레 품종 고추, 매운맛의 마니따 품종, 가장매운맛의 청양 고추로 각각 고춧가루를 만든 뒤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등급별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에 맞도록 혼합하였다.
시료고추의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을 시험한 결과 한반도고추는 10 mg%, 두레고추는 30 mg%, 마니따고추는 90 mg%, 청양고추는 110 mg%였고, 이들 품종의 고춧가루로부터 아주 순한맛은 한반도고춧가루를 그대로 포장하고, 순한맛은 한반도고춧가루와 두레고춧가루를 50:50으로 혼합하여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20mg%로 조정하였고, 보통맛은 두레고춧가루와 마니따고춧가루를 50:10으로 혼합하여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40mg%로 조정하였고, 매운맛은 두레고춧가루와 마니따고춧가루를 20:40으로 혼합하여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70mg%로 조정하였고, 아주매운맛은 청양고춧가루를 그대로 포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이 12 mg%인 고춧가루를 매운맛 강도 1점으로 하고 110 mg%인 고춧가루를 9점으로 하여 중간에 3, 5, 7점을 표시하기에 적합한 고춧가루의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을 시험한 결과 20 mg%, 40 mg% 및 70 mg%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고춧가루의 매운맛을 5등급화 하는데 적합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은 14 mg% 이하, 20 ± 2 mg%, 40 ± 4 mg%, 70 ± 7 mg%, 100 mg% 이상으로 정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매운맛을 5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각 등급간에 격차로 인해 인접 등급간에도 확실한 매운맛을 구분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한 매운맛의 등급은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매운맛은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1등급인 아주 순한맛은 14 mg% 또는 140 ppm 이하, 2등급인 순한맛은 18-22 mg% 또는 180-220 ppm, 3등급인 보통맛은 36-44 mg% 또는 360-440 ppm, 4등급인 매운맛은 63-77 mg% 또는 630-770 ppm, 5등급인 아주 매운맛은 100 mg% 또는 1,000 ppm 이상의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을 갖는 것으로서 5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고춧가루의 매운맛은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스코빌 단위에 따라서도 5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때 2,100 단위 이하는 아주 순한맛, 2,700-3,300 단위는 순한맛, 5,400-6,600 단위는 보통맛, 9,450-11,1500 단위는 매운맛, 15,000 단위 이상은 아주 매운맛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어서, 고춧가루를 포장할 포장지에 상기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의 등급과 일치하도록 그림 또는 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또는 표로서 표시할 수 있는데, 이 때 매운맛의 등급을 빨간색의 점유수로 표시할 수 있으며, 1등급인 아주 순한맛의 경우 반원 또는 표의 1번 란을 각각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2등급인 순한맛의 경우 반원 또는 표의 2번 란을 각각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3등급인 보통맛의 경우 반원 또는 표의 3번 란을 각각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4등급인 매운맛의 경우 반원 또는 표의 4번 란을 각각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5등급인 아주 매운맛의 경우 반원 또는 표의 5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 그림으로 표시할 경우, 1등급인 아주 순한맛은 고추 5개중 1개만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2등급인 순한맛은 고추 5개중 2개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3등급인 보통맛은 고추 5개중 3개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4등급인 매운맛은 고추 5개중 4개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5등급인 아주 매운맛은 고추 5개 모두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된 고춧가루 포장지에 각각 일치하는 5등급의 고춧가루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충진하고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춧가루의 포장재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모두 무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에 따라 격차를 두고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각각의 등급이 표시된 포장지에 충진하여 고춧가루를 포장함으로써 소비자들은 매운맛의 각 등급별로 용도에 맞게 고춧가루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고춧가루를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 전부터 최종제품의 매운맛을 관리할 수 있어 김치, 고추장 등 전통식품의 기호 충족 및 대량 소비 유발로 전통식품 및 고추생산 농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에 따른 매운맛의 분류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로 구분하기 위해서 매운맛이 덜한 한반도 품종의 고추, 보통맛의 두레 품종 고추, 매운맛의 마니따 품종 및 가장 매운맛의 청양 고추로 각각 고춧가루를 만든 뒤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후,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에 따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5단계로 고춧가루를 분류하였다:
(단계 2)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 표시
상기 단계 1에서 매운맛 정도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포장지에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표시하였다. 즉, 아주 순한 맛의 경우 1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순한 맛의 경우 2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보통 맛인 경우 3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매운맛의 경우 4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아주 매운맛의 경우 5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였다.
(단계 3) 고춧가루의 충진 및 포장
상기 단계 2에서 매운맛에 따라 표시된 포장지에 단계 1에서 분류된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일치시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충진한 다음 포장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코빌 수치에 따라 고춧가루를 5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춧가루를 포장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춧가루를 5등급으로 분류한 후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고춧가루 포장지에 5등급을 표시하였다. 즉, 아주 순한맛의 경우 하나의 고추만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순한 맛의 경우 2개의 고추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보통 맛인 경우 3개의 고추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매운맛의 경우 4개의 고추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아주 매운맛의 경우 5개 모두를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춧가루를 5등급으로 분류한 후 도 3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고춧가루 포장지에 5등급을 표시하였다. 즉, 아주 순한 맛의 경우 1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순한 맛의 경우 2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보통 맛인 경우 3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매운맛의 경우 4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고, 아주 매운맛의 경우 5번 란을 빨간 색으로 칠하여 표시하였다.
비교예 1
(단계 1)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품표준규격 규격번호 T020 8.4.1 "김치의 매운맛 표시"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에 따라 고춧가루를 연속선상으로 분류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연속선상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각각 '순한맛', '약간 매운맛', '보통 매운맛', '매운맛' 및 '매우 매운맛'으로 표기된 포장지에 충진하여 포장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품표준규격 규격번호 T020 8.4.1 "김치의 매운맛 표시"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스코빌 단위에 따라 고춧가루를 5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포장하였다:
관능검사 1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에서 각각 포장된 고춧가루를 취하여 고춧가루의 관능성의 차이를 훈련받은 요원 30명을 대상으로 매운향, 매운맛 및 종합점수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춧가루의 매운향 및 매운맛이 등급에 따라 확연하게 구별되는 경우, 구별되는 경우, 조금 구별되는 경우, 보통인 경우, 별로 구별되지 않는 경우 및 구별되지 않는 경우를 각각 매우 우수함(7점), 우수함(6점), 약간우수함(5점), 보통임(4점), 약간 나쁨(3점), 나쁨(2점 이하)으로 분류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 3 및 4에서 5등급으로 분류되어 각각 등급별로 포장된 고춧가루는 등급에 따라 매운향 및 매운맛이 확연하게 구별이 되었다. 즉, 아주 순한맛, 순한맛, 보통맛, 매운맛 및 아주 매운맛에 대한 맛의 구별이 확실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경우에는 모든 고춧가루가 매운향 및 매운맛에 있어서 그 구별이 모호하여 정확한 판별이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2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포장된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김치의 관능성의 차이를 훈련받은 요원 30명을 대상으로 색상, 매운향, 매운맛 및 종합점수를 평가하였다. 평가 점수는 상기 관능검사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5등급으로 분류되어 각각 등급별로 포장된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경우는 등급에 따라 매운향 및 매운맛이 확연하게 구별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제조된 김치의 경우에는 매운향 및 매운맛에 있어서 그 구별이 모호하여 정확하게 분별하기가 쉽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고춧가루 포장방법에 따라 5등급으로 표시된 고춧가 루는 그 매운향 및 매운맛에 있어서 구별이 명확하여 매운맛 정도에 따라 소비자가 선택하여 구입하고, 고춧가루를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 전부터 최종제품의 매운맛을 관리할 수 있어 김치, 고추장 등 전통식품의 기호 충족 및 대량 소비 유발로 전통식품 및 고추생산 농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의 매운맛 중 2등급의 표시를 반원 표시방법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의 매운맛 중 2등급의 표시를 고추그림 표시방법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의 매운맛 중 2등급의 표시를 표 표시방법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Claims (4)
-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있어서,(1)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 따라 매운맛을 5등급으로 분류하되, 각 등급간에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또는 스코빌 단위에서 일정한 양의 격차를 두고 분류하는 단계;(2) 상기 단계 (1)에서 분류된 5등급 분류에 따라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를 그림 또는 표에 빨간색 또는 빨간색의 점유수로 표시한 포장지를 준비하는 단계;(3) 상기 단계 (1)에서 매운맛 정도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고춧가루를 각각 상기 단계 (2)에서 각 등급별로 매운맛이 표시된 포장지에 일치하도록 충진시키는 단계; 및(4) 상기 단계 (3)에서 충진된 고춧가루를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 차이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단계 (1)에서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를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에 따라 분류할 때, 고춧가루 중에 함유된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이 14 mg% 이하인 경우는 아주 순한맛(1등급); 18-22 mg%인 경우는 순한맛(2등급); 36-44 mg%인 경우는 보통맛(3등급); 63-77mg%인 경우는 매운맛(4등급); 및 100mg% 이상인 경우는 아주 매운맛(5등 급)으로 등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단계 (1)에서 고춧가루의 매운맛 정도를 스코빌 단위에 따라 분류할 때, 스코빌 단위가 2,100 단위 이하인 경우는 아주 순한맛(1등급); 2,700-3,300 단위인 경우는 순한맛(2등급); 5,400-6,600 단위인 경우는 보통맛(3등급); 9,450-11,1500 단위인 경우는 매운맛(4등급); 및 15,000 단위 이상인 경우는 아주 매운맛(5등급)으로 등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춧가루의 포장방법에 의해 고춧가루의 매운맛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되어 포장된 고춧가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528A KR101107414B1 (ko) | 2009-06-16 | 2009-06-16 | 매운맛 성분함량에 격차를 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528A KR101107414B1 (ko) | 2009-06-16 | 2009-06-16 | 매운맛 성분함량에 격차를 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5073A true KR20100135073A (ko) | 2010-12-24 |
KR101107414B1 KR101107414B1 (ko) | 2012-01-19 |
Family
ID=4350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3528A KR101107414B1 (ko) | 2009-06-16 | 2009-06-16 | 매운맛 성분함량에 격차를 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741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24484A (zh) * | 2019-04-17 | 2020-10-27 | 王荆成 | 一种对联艺术食品及其制作方法 |
KR20210127406A (ko) | 2020-04-14 | 2021-10-22 | 신현종 | 매운맛이 덜한 홍오이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
KR102498629B1 (ko) * | 2022-08-17 | 2023-02-09 | 이주현 | 해물탕용 육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6862A (ko) * | 1999-11-03 | 2000-02-07 | 김성욱 | 다용도 즉석 양념의 제조 방법. |
KR20030071234A (ko) * | 2002-02-28 | 2003-09-03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색도와 매운맛이 단계별로 표준화된 김치의 제조방법 |
JP4967569B2 (ja) * | 2006-09-27 | 2012-07-04 | 凸版印刷株式会社 | 偽造防止媒体および偽造防止ステッカー |
JP4821548B2 (ja) * | 2006-10-02 | 2011-11-24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2009
- 2009-06-16 KR KR1020090053528A patent/KR1011074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24484A (zh) * | 2019-04-17 | 2020-10-27 | 王荆成 | 一种对联艺术食品及其制作方法 |
KR20210127406A (ko) | 2020-04-14 | 2021-10-22 | 신현종 | 매운맛이 덜한 홍오이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
KR102498629B1 (ko) * | 2022-08-17 | 2023-02-09 | 이주현 | 해물탕용 육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7414B1 (ko) | 2012-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ease et al. | A sensory-diet database: a tool to characterise the sensory qualities of diets | |
Costa et al. | Consumer perception, health information, and instrumental parameters of cupuassu (Theobroma grandiflorum) goat milk yogurts | |
Liem et al. | Health labelling can influence taste perception and use of table salt for reduced-sodium products | |
Ullrich et al. | PROP taster status and self-perceived food adventurousness influence food preferences | |
Martin et al. | Nutrient sensing: what can we learn from different tastes about the nutrient contents in today’s foods? | |
Reinbach et al. | Interactions between oral burn, meat flavor and texture in chili spiced pork patties evaluated by time-intensity | |
Delarue et al. | Temporal aspects of consumer preferences | |
Chironi et al. | Consumption of spices and ethnic contamination in the daily diet of Italians-consumers’ preferences and modification of eating habits | |
Roda et al. | Changes in antioxida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italian chocolates and related ingredient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during an eighteen-month storage period | |
KR101107414B1 (ko) | 매운맛 성분함량에 격차를 둔 고춧가루의 포장방법 | |
Bolha et al. | Influence of intrinsic and extrinsic food attributes on consumers’ acceptance of reformulated food products: a systematic review | |
Kobue‐Lekalake et al. | Application of the dual attribute time‐intensity (DATI) sensory method to the temporal measurement of bitterness and astringency in sorghum | |
Buechler et al. | Drivers of liking for reduced sodium potato chips and puffed rice | |
Hwang et al. | Sensory drivers of goso flavor in soymilk: Understanding a complex traditional Korean sensory attribute | |
Kim et al. | A comparison on health-related lifestyle, dietary habits, and depression by exercise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 |
Kälviäinen et al. | Sensory attributes and preference mapping of muesli oat flakes | |
West et al. | Whole grain macaroni: Flavour interactions with sodium-reduced cheese sauce | |
Medhi et al. | Food Additives | |
Asti et al. | Consumer PReferences for Dark Chocolate Products Fortified with Spirulina Platensis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 |
Kim et al. | Comparison of Check-All-That-Apply (CATA), Rate-All-That-Apply (RATA), flash profile, free listing, and conventional descriptive analysis for the sensory profiling of sweet pumpkin porridge | |
Park et al. | Consumers better explained drivers of liking for products containing complex flavor with subtle differences than trained panelists: Comparison between consumer‐driven free‐comment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of tomato sauce with added garlic flavorings | |
Hunaefi et al. | Sensory profile of 3 in 1 instant coffee using emotional-sensory mapping, flash profile, and CATA (Check-All-That-Apply) methods | |
JP2018124106A (ja) | 飲食品の時間動的な官能評価方法及び飲食品 | |
Hort et al. | Time‐dependent measures of perception: An introduction | |
KR20160082045A (ko) | 김치소스 및 김치소스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