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737A -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737A
KR20100132737A KR1020090051492A KR20090051492A KR20100132737A KR 20100132737 A KR20100132737 A KR 20100132737A KR 1020090051492 A KR1020090051492 A KR 1020090051492A KR 20090051492 A KR20090051492 A KR 20090051492A KR 20100132737 A KR20100132737 A KR 2010013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alic acid
influenza virus
whey prote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wh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538B1 (ko
Inventor
장선호
노부오 구보
이종성
박한성
Original Assignee
장선호
이종성
노부오 구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호, 이종성, 노부오 구보 filed Critical 장선호
Priority to KR102009005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53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4Dairy protein
    • A23V2250/54252Whey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sialic acid-containing whey prote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은 뛰어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청 단백질, 시알릭산

Description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sialic acid-containing whey protei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us disease}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를 갖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 1] Selmons et al., Avian Dis., 18(1), pp119-124, 1974
[문헌 2] Webster RG et al., Microbiol Rev., 56(1), pp152-179, 1992
[문헌 3] Alexander DJ, Vet. Microbiol., 74(1-2), pp3-13, 2000
[문헌 4] Grmek MD, Les Maladies a L'aube de la Civilization Accidentale, Payot, Paris, 1893
[문헌 5] Walter JH, Bull. NY Acad. Med., 54, pp855-864, 1978
[문헌 6] Taubenberger JK et al., Science, 275, pp1793-1796, 1997
[문헌 7] Potter CW, J. appl. Microbiol., 91, pp572-579, 2001
[문헌 8] Oxford JS, Rev. Med. Virol., 10(2), pp119-133, 2000
[문헌 9] Suarez DL et al., J. Virol., 72(8), pp6678-6688, 1998
[문헌 10] Ward P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55(supp1), ppi5-i21, 2005
[문헌 11] Rhicha Sinha et al., 2007, Food Chemistry, 101, pp1484-1491
[문헌 12] S.E. Carlson, Am. J. Clin. Neut., 41, 720-729, 1985
[문헌 13] S. Fukuta et al., Infect. Immun., 56, 1748-1753, 1988
[문헌 14] Saito et al., Agri. Biol. Chem. 36, 1437-1439, 1972
[문헌 15] Donald HB, Isaacs A, J. Gen. Microbiol. 10(3) pp457-64, 195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는 오르소믹소 계통(Family 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서 혈청형은 A형, B형, C형 등 3가지로 구분된다. 그 중 B형과 C형은 사람에서만 감염이 확인되고 있으며, A형은 사람, 말, 돼지, 기타 포유류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가금과 야생조류에서 감염이 확인되고 있다(Selmons et al., Avian Dis., 18(1), pp119-124, 1974; Webster RG et al., Microbiol Rev., 56(1), pp152-179, 1992).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바이러스 표면의 두 가지 단백질인 햄어글루티닌(Hemagglutinin: HA),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 NA)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며, 혈청형에 따라 144종류(HA 단백질 16종과 NA 단백질 9종)로 분류할 수 있다. HA는 바이러스가 체세포에 부착하는 역할을 하며, NA는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Alexander DJ, Vet. Microbiol., 74(1-2), pp3-13, 2000).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상적인 자연숙주는 오리, 갈매기 등과 같은 야생 물새류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야생조류에 대한 인플루엔자 감염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존하는 모든 16종의 HA형과 9종의 N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
스가 야생조류에서 감염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Selmons et al., Avian Dis., 18(1), pp119-124, 1974). A형으로 분류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수(人獸) 공통 전염병 바이러스로, 병원성에 따라 닭에 감염 시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비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1∼30% 내외의 폐사와 산란 저하를 유발하는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그리고 95 % 이상의 높은 치사성을 보이고 “조류독감 (버드플루: Bird flu)”이라고도 불리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등 크게 3가지 병형으로 구분하고 있다(Alexander DJ, Vet. Microbiol., 74(1-2), pp3-13, 2000). 이중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는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A 등급으로, 그리고 국내에서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사람 인플루엔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4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나, 인류 최초의 인플루엔자 대유행(pandemic influenza) 기록은 1173년부터 1174년에 유럽 전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Grmek MD, Les Maladies a L'aube de la Civilization Accidentale, Payot, Paris, 1893).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인플루엔자에 대한 기록이 보다 과학적으로 다루어지면서 남겨진 자료를 근거해 보면 20세기 이후 지금까지 사람에서 3번의 인플루엔자 대유행 있었다. 1918년부터 1920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20세기 이후 1차 인플루엔자 대유행 (일명 스페인 독감)은 인류가 겪은 가장 큰 피해로 기록되고 있으며 그 기간 중 2천만 명에서 5천만 명의 사람이 사망하였다(Walter JH, Bull. NY Acad. Med., 54, pp855-864, 1978). 스페인 독감의 원인 바이러스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한 혈청형 A/H1N1으로 판명되었으며 지금도 매년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유행성 독감의 주된 유행주이다(Taubenberger JK et al., Science, 275, pp1793-1796, 1997). 1957년부터 1958년 사이에 발생한 20세기이후 2차 인플루엔자 대유행은 중국에서 시작하여 6-7개월 사이에 해안을 따라 인근의 홍콩, 싱가포르, 일본, 대만 등지로 급속도로 전파되었다. 이 기간 중 전 세계 인구의 약 40-50% 정도가 감염되었으며, 그중 25% 정도가 임상증상을 보였으며, 주로 유아층이나 중장년층들만이 감염되어 사망하였으며, 그 기간 중 약 1백만명의 사람이 사망하였다(Potter CW, J. appl. Microbiol., 91, pp572-579, 2001). 원인 바이러스는 혈청형 A/H2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확인되었다. 또한 1968부터 1969년 사이에 발생한 3차 인플루엔자 대유행은 홍콩에서 유래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만,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등지로 급속히 전파되었다. 원인 바이러스는 혈청형 A/H3N2 바이러스로서 이전의 혈청형 H2N2 바이러스와 HA형이 다른데, 이 HA형은 조류로부터 전달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지금도 매년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유행성 독감의 주된 유행주이다(Oxford JS, Rev. Med. Virol., 10(2), pp119-133, 2000).
조류에서 주로 문제시되고 있는 AIV 중 일부 혈청형은 사람에 감염되어 독감증세를 보이다가 사망을 유발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홍콩조류독감”이라 불리고 있는 혈청형 A/H5N1을 포함하여 혈청형 A/H7N7, 그리고 혈청형 A/H9N2 등 총 3종의 조류 유래 조류독감 바이러스 중 일부의 변종 바이러스들이 인체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이들 3종의 혈청형에서 유래된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Suarez DL et al., J. Virol., 72(8), pp6678-6688, 1998).
최근 베트남에서 보고되고 있는 조류 독감 바이러스 (혈청형 A/H5N1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종속간의 장벽을 뛰어넘는 인체감염 사례는 20세기 이후 4차 사람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전주곡으로서 전 세계가 현재 이 인체감염이 가능한 변 이 바이러스의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직접전염 등 그 전파양상에 주목하고 있다. 이 변이 바이러스는 혈청형 A/H5N1이 속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며, 이 바이러스 역시 인류가 처음으로 경험하는 지금까지 조류에서만 유행하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기 때문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호흡기에 감염되어 전신증상을 일으키고, 주기적으로 모습을 바꿀 뿐 아니라, 숙주를 죽이지 않고 숙주가 죽기 전에 다른 숙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류의 종말까지 살아남는 바이러스일것으로 추측한다. 인류에게 가장 큰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바이러스이며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지만 바이러스의 변이를 따라 잡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아직 근본적인 바이러스 치료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2 이온채널 단백의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로 생체 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들이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항바이러스 제제들은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만 효과적이며, M2 단백질이 없는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은 사용 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M2 단백의 이온채널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이 매우 쉽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나미비르(zanamivir)와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 단백의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로 생체 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들이다. 이들 두 가지 항바이러스제제들은 16종의 모든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나미비르는 흡입 및 정맥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오셀타미비르는 경구투여가 가능하나 최근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 보고와 경구투여 시 구토와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Ward P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55(supp1), ppi5-i21, 2005).
유청은 높은 영양적인 가치와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유청 단백질은 우유로부터 카제인(casein) 등을 제거한 유청(milk serum: whey)에 함유되는 단백질을 말하고, β-락토글로불린(β-lactoglobulin), α-락토글로불린(α-lactoglobulin)과 미량의 BSA, 이뮤노글로불린(immunoglobulins), 포스포리포프로테인(phospholipoproteins), 락토페린(lactoferrin), 효소(enzyme) 등 다양한 생리활성 단백질 인자로 구성되어 있다(Rhicha Sinha et al., 2007, Food Chemistry, 101, pp1484-1491). 유청 단백질은 지구력 향상, 피로 회복, 면역력 강화 등의 기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 외에 운동 영양 식품이나 다이어트용 식품 등에 단백질 보급 소재로도 쓰이고 있다.
시알릭산(sialic acid)은 여러 종류의 뉴라민산(neuraminic acid)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당단백질에서 흔히 나타나는 시알릭산은 N-아세틸 뉴라민산(N-acetyl neuraminic acid(Neu5Ac)) 또는 N-글리코실 뉴라민산(N-glycosyl neuraminic acid(Neu5Gc))이고, 보통 α2-3 또는 α2-6 결합을 하며,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2-아미노에틸 포스페이트, 알킬, 아실 그룹과 같은 당이 아닌 물질들이 결합되기도 한다. 시알릭산은 구탄당계의 산성당으로 일부의 대사과정을 제외하고는 자연계에서는 유리상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동물의 장기, 조직, 혈액, 점액, 유즙 등의 올리고당, 다당, 당단백질, 당지질의 구성성분으로 널리 존재하며, 식물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미생물계에서는 비교적 널리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시알릭산은 세포막의 세포 표면에 있는 당단백질 또는 당지질의 구성성분으로 말단에 위치함으로서 다양한 생물학적인 기능을 발휘하는데, 최근의 활발한 연구로 인하여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이 해명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시알릭산은 포유동물의 생체내에서 프락토즈-6-포스페이트(fructose-6-phospate)로부터 N-아세틸만노즈아민(N-acetylamannoseamine)을 경유하여 합성된다. 이러한 시알산은 뇌의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나 당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뇌나 중추신경계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양이 유아기에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시알릭산은 이러한 조직의 기능 발현이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S.E. Carlson, Am. J. Clin. Neut., 41, 720-729, 1985). 또한,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은 점막 상피세포에 있는 당그룹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결합함으로써 시작되는데, 병원성 대장균이나 콜레라균이 생산하는 독소는 소화관 상피세포에 시알릭산을 함유하는 당그룹에 결합하여 설사를 일으킨다(S. Fukuta et al., Infect. Immun., 56, 1748-1753, 1988). 또한, 점액단백질(mucoprotein)의 불가결한 성분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용혈작용을 저지하는 등 다양한 역할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외에 항암제의 개발, 독소성분의 중화작용, 항염증 작용 등의 기능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우유에 비특이적 헤마글루틴화 저해 요소(non-specific hemagglutination inhibition factor)이 존재(Saito et al., Agri. Biol. Chem. 36, 1437-1439, 1972)함이 밝혀지며, 이들 요소 중에는 시알릭산을 함유하는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 및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던 중, 뛰어난 혈구 응집 저해 능력을 확인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뛰어난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시알릭산은 하기 구조식 (A)로 표시된다.
Figure 112009035094262-PAT00001
(A)
본원에서 정의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1N1, H1N2, H2N2, Human B, H3N2, H3N8, H5N1, H5N2, H5N3, H5N8, H5N9, H7N1, H7N2, H7N3, H7N4, H7N7, H9N2 또는 H10N7, 바람직하게는 H1N1, H3N2 또는 H5N3의 혈청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시알릭산-함유 유청단백질은 일본산, 중국산, 유럽산 등, 바람직하게는 일본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본 JFLA사의 제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시알릭산은 상기 단백질 총 중량에 대하여 시알릭산을 약 4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2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10 중량%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을 위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시알릭산-함유 유청단백질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 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스프레이 등의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산제, 과립제, 정제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강용 스프레이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복합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체는 1일 0.2 내지 200 ㎎/kg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 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복합체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복합체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복합체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체 중량에 대해 4% 이상의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은 JFLA사 (Lot. No. MT050227, www.j-fla.com/foodbio, Japan Food & Liquor Alliance, 일본)에서 구입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이하 ‘SY-1'이라 명명함)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1. 비강 스프레이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Y-1 1.0 g, 아세트산나트륨 0.3 g, 메틸파라벤 0.1 g, 프로필파라벤 0.02 g을 넣고 정제수를 100 mg으로 적량하여 비강 스프레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혈구응집 억제반응 시험법 (HI Assay)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Y-1에 의한 바이러스 혈구응집역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혈구응집 시험을 실시하였다 (Donald HB, Isaacs A, J. Gen. Microbiol. 10(3) pp457-64, 1954).
본 실험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를 포함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1N1 (A/Puerto Rico8/34 (PR8)), H3N2 (A/Aichi/2/68 (Aic68) 및 A/Memphis/1/71 (M71)) 및 H5N3 (A/duck/313/4/78 (D313))을 사용하였다. 바닥이 U자 모양인 96-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polyvinylchloride microtiter plate, Falcon #3591196)에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2, 131 mM NaCl, 14 mM Na2HPO4, 1.5 mM KH2PO4 및 2.7 mM KCl)의 각 웰(well)에 희석된 SY-1 25 ㎕ (최종농도가 10, 5, 2.5, 1.25, 0.625, 0.313 mg/ml 되도록)을 첨가한다. 이후 4 HAU (hemagglutination unit) 인플루엔자 바이러스-PBS 부유 25 ㎕을 첨가한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믹서기(microplate mixer)에 의해 30초간 섞은 후, 1시간 동안 얼음 상에서 반응한다. 0.5% 기니픽 적혈구-PBS 부유(guinea pig erythrocyte-PBS suspension) 50 ㎕을 첨가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믹서기에 의해 30초간 섞은 후, 밤새 얼음 상에서 배양한 후, 혈구응집 역가를 측정하였다. 혈구응집 역가는 응집이 일어난 최종 웰의 희석배수로 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웰의 가운데 동그랗게 한 점으로 혈구가 모여 있는 것의 의미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SY-1과 먼저 반응하여 기니픽 혈구 표면의 시알릭산과 융합 할 수 없으므로 혈구가 그대로 가라앉아 U자 모양 웰의 가운데 혈구가 모여 있는 것이며, 뿌옇게 흐려져 있는 웰의 의미는 SY-1이 없으므로 바이러스가 기니픽 혈구의 시알릭산과 바로 융합하여 전기적으로 양성을 띄어 전기적으로 음성을 띄는 U자 모양 웰의 벽에 붙어 위에서 볼때 뿌옇게 모이는 형상이다. 그리고 뿌연 가운데 웰의 중앙에 반지 모양이 형성된 것의 의미는 바이러스의 일부는 잔존하는 여분의 SY-1과 먼저 반응하였으나 그 양이 많지 않아 가운데 한 점을 이루지는 못하고 반지 모양을 만들고 있는 것이며, 바이러스와 반응하여 SY-1 이 모두 소진된 후는 바이러스가 SY-1의 방해 없이 기니픽 혈구 표면의 시알릭산과 융합하게 되므로 일부는 뿌옇게 흐려진 형상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웰 가운데 희미하게 반지모양을 나타내고 있는 SY-1 0.625 mg/ml 희석 배수까지 4종의 A형 바이러스를 모두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독성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Y-1에 의한 세포독성실험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Keisari Y.J. Immunol Methods. 1992, 146(2): 155-61) 등의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24 웰 플레이트에 L929세포(Human diploid cell, 국립보건원)를 10% FBS 첨가된 EMEM 배지(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를 사용하여 2x100,000 세포/ml이 되도록 분주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단층배양한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무혈청 EMEM 배지로 수세한 후, 2% FBS EMEM 배지를 500 ㎕/웰 분주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Y-1을 EMEM으로 5% 수용액을 만들어 완전히 녹인 다음, 0.45 필터를 통과시켜 만든 시료를 혈청이 없는 배지를 이용하여 2배수로 계단 희석한 후, 각각 웰에 500 ㎕씩 첨가(최종 처리 비율: 0, 0.625%, 1.25%, 2.5%, 5%)한다. 이를 37℃, 5% CO2 배양기에서 각각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배양한 후, 위상차현미경(inverted microscope)을 이용하여 세포의 이상유무(세포병변, 모양변형, 성장둔화 등)를 관할하고 기록하였다.
시험결과, 24시간 및 48시간 배양한 경우, 특이적 사항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또한 하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배양한 경우, 세포의 특이적 병변 사항이 관찰되지 않아,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시알릭산-함유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제예를 하기와 같이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위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SY-1)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SY-1)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SY-1)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SY-1)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SY-1)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SY-1)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SY-1)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혈구응집 억제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세포 독성실험을 나타낸 도이다(A: 5% SY-1, 72시간; B: 2.5% SY-1, 72시간; C: 1.25% SY-1, 72시간, D: 0.625 SY-1, 72시간, E: 대조군).

Claims (11)

  1.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은 일본산, 중국산 또는 유럽산 제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단백질 총 중량에 대하여 시알릭산을 약 4 중량%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1N1, H1N2, H2N2, Human B, H3N2, H3N8, H5N1, H5N2, H5N3, H5N8, H5N9, H7N1, H7N2, H7N3, H7N4, H7N7, H9N2 또는 H10N7의 혈청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체를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형태인 약학조성물.
  7. 시알릭산-함유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은 일본산, 중국산 또는 유럽산 제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9. 제 7항에 있어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단백질 총 중량에 대하여 시알릭산을 약 4 중량%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1N1, H1N2, H2N2, Human B, H3N2, H3N8, H5N1, H5N2, H5N3, H5N8, H5N9, H7N1, H7N2, H7N3, H7N4, H7N7, H9N2 또는 H10N7의 혈청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1. 제 7항에 있어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90051492A 2009-06-10 2009-06-10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1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92A KR101119538B1 (ko) 2009-06-10 2009-06-10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92A KR101119538B1 (ko) 2009-06-10 2009-06-10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737A true KR20100132737A (ko) 2010-12-20
KR101119538B1 KR101119538B1 (ko) 2012-02-22

Family

ID=4350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92A KR101119538B1 (ko) 2009-06-10 2009-06-10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604B1 (ko) * 2011-07-13 2013-06-13 매일유업주식회사 N―아세틸뉴라민산을 포함하는 글리코마크로펩티드 뉴라미니다아제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 항균제 조성물
CN109069520A (zh) * 2016-02-25 2018-12-21 应用生物实验室公司 保护空气传播的病原体和刺激物的组合物和方法
CN111565755A (zh) * 2017-08-30 2020-08-21 应用生物实验室公司 用于防护空气传播的病原体和刺激物的组合物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8049A2 (en) * 2001-08-23 2003-03-06 Westgate Biological Limited Use of milk serum apoproteins in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microbial or viral inf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604B1 (ko) * 2011-07-13 2013-06-13 매일유업주식회사 N―아세틸뉴라민산을 포함하는 글리코마크로펩티드 뉴라미니다아제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 항균제 조성물
CN109069520A (zh) * 2016-02-25 2018-12-21 应用生物实验室公司 保护空气传播的病原体和刺激物的组合物和方法
CN111565755A (zh) * 2017-08-30 2020-08-21 应用生物实验室公司 用于防护空气传播的病原体和刺激物的组合物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538B1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748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uenza-virus-induced diseases
US8545903B2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and composition for suppressing neuraminidase activity comprising turmeric extract
KR101317318B1 (ko) 신종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 일반 및 독감감기, sars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470378B2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271601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653034B2 (ja) 抗ウイルス剤
KR101119538B1 (ko)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92769B1 (ko) 푸코실락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521010B1 (ko) 왕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1506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30081478A (ko) 아이비엽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55018B1 (ko)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용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사료용 조성물
KR20120026851A (ko) 드리나리아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KR100792626B1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2517602B1 (ko) 포도나무 줄기 및 유래성분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285933B1 (ko)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산성 전리수 및 이의 용도
JP6304731B2 (ja) カラタチ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組成物
KR101189822B1 (ko) 쿠마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0040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9148B1 (ko) 시알릭산-함유 유청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100038258A (ko) 흑인삼엽 가공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53442B1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용 건강식품
US20060127917A1 (en) Comprehensive virus disinfecting strategy and methods for making a preventive anti-virus medical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