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182A - 냉각탑 - Google Patents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182A
KR20100132182A KR1020090050866A KR20090050866A KR20100132182A KR 20100132182 A KR20100132182 A KR 20100132182A KR 1020090050866 A KR1020090050866 A KR 1020090050866A KR 20090050866 A KR20090050866 A KR 20090050866A KR 20100132182 A KR20100132182 A KR 2010013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upport
water
nano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387B1 (ko
Inventor
구제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to KR102009005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3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된 냉각수의 집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항균력이 향상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은 본체, 충진재, 하부수조, 지지대 그리고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는 외형을 형성한다. 충진재는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송풍되는 공기와 고온의 순환수가 접촉되어 순환수가 냉각되도록 한다. 하부수조는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충진재에서 낙하하는 순환수가 흘러 집수조에 집수되도록 바닥면이 집수조를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부로 형성된다. 지지대는 하부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되,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하부수조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부수조의 가장자리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리브는 지지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지지대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경사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하부수조의 바닥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된다.
냉각탑, 하부수조, 배수, 집수, 설치, 항균

Description

냉각탑{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된 냉각수의 집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항균력이 향상된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와 같은 열교환기나 공기조화설비에는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콘덴서로부터 보내지는 온수의 열을 냉각하여 저온의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재순환 공급하기 위한 냉각탑이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각탑은 고온이 된 냉각수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와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광범위하게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공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고온의 냉각수를 충진재에 분무하거나 물방울 지어 떨어지게 하고, 떨어지는 냉각수에 자연통풍이나 송풍기 등에 의한 강제통풍으로 공기를 송풍시켜 열교환 시킴으로써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각탑은 열교환 방식에 따라 향류형(counter flow type), 직교류 형(cross flow type) 및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으로 대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류형은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서로 역방향으로 마주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교류형은 흘러내리는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직교하도록 교차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이브리드형은 상기 향류형과 직교류형이 혼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이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10),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팬(140), 상기 송풍팬(140)의 구동에 의해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112), 고온 다습한 냉각수가 외부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되는 충진재(120), 상기 충진재(1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수조(130) 및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수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조(150)에는 상기 충진재(12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각수를 집수하는 집수조(190)가 구비되며, 상기 집수조(190)에 집수된 냉각수는 냉각수이송관(미도시)을 통해 순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수조(150)에는 설치프레임(160)이 결합되며, 상기 설치프레임(160)이 구조물(200) 등에 고정되어 건물의 옥상 등에 상기 냉각탑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각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하부수조의 바닥부는 충진재의 하측에 위치되는 부분과 집수조가 구비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충진재에서 낙하된 냉각수가 잔존하게 되는 등, 효과적으로 집수조에 집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냉각탑을 지지하는 설치프레임이 다리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수조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중(重)량물인 냉각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고, 비록 설치프레임이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보기에 불안감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설치프레임이 다리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수조를 각각 지지하므로, 하부수조와의 결합을 위하여 설치프레임의 간격을 정확히 조절하면서 설치해야함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어려움으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하부수조의 아래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부재(예를 들면, 배관 파이프 등)들이 외부에서도 볼 수 있게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냉각탑에서 순환하면서 열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전달체로 물이 사용됨에 따라 상기 냉각탑의 내부는 습도가 높은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에 따라 유해한 세균이 번식하거나 해충이 성장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이러한 유해 세균이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람들이 호흡 등을 통해 유해 세균을 흡입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유해 세균의 감염을 통해 인체의 신진대사가 방해받거나 면역기능이 약화될 수 있는 등 건강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곱째, 냉각탑에서 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오랜 시간 잔존하게 되는 충진재나 배수구 등에서 물과 이물질 등이 반응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교환된 냉각수의 집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항균력이 향상된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송풍되는 공기와 고온의 순환수가 접촉되어 상기 순환수가 냉각되도록 하는 충진재;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충진재에서 낙하하는 순환수가 흘러 집수조에 집수되도록 바닥면이 상기 집수조를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부로 형성되는 하부수조; 상기 하부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되,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하부수조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조의 가장자리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조의 바닥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각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경사부에는 상기 경사부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집수조로 순환수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이 상기 집수조를 향하는 제1리브가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조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부가 형 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고정구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수조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외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고온다습해진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팬실린더와, 상기 충진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수조와, 상기 냉각수의 순환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순환되는 냉각수가 상기 상부수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수 분배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본체, 상기 충진재, 상기 팬실린더, 상기 상부수조, 상기 하부수조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 중 하나 이상에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상기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의 농도는 30~50ppm 범위이고,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의 농도는 2,000~3,000ppm 범위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 상기 충진재, 상기 팬실린더, 상기 상부수조, 상기 하부수조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상기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상기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액상단계에서 혼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을 모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부수조의 바닥면이 집수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됨으로써 충진재를 통하면서 냉각되는 순환수가 상기 하부수조로 낙하된 후에 집수조로 집수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하부수조의 경사부에 제1리브가 형성되어 경사부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리브의 길이방향이 집수조를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순환수가 집수조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집수가 가능하다.
셋째, 하부수조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구가 지지대에 결합되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부수조와 상기 지지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지지대가 하부수조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하부수조의 테두리를 균일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는 지지리브가 상기 하부수조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조의 바닥면을 밀착 지지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다섯째, 지지대의 외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따라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부수조의 바닥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조물이 가려질 수 있어 보다 나은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본체, 충진재, 팬실린더, 상부수조, 하부수조 그리고 냉각수 분배장 치 중 하나 이상에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됨으로써 항균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곱째, 본체, 충진재, 팬실린더, 상부수조, 하부수조 그리고 냉각수 분배장치 중 하나 이상의 성형시에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반영구적이며, 이에 따라 항균기능이 장시간 지속될 수 있다.
여덟째, 냉각탑이 항균처리됨으로써, 유해한 세균이 번식하거나 해충이 성장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홉째, 냉각탑에서 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오랜 시간 잔존하게 되는 충진재나 하부수조 등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하부수조와 지지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하부수조와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하부수조의 지지대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탑은 본체(10), 충진재(20), 하부수조(50), 지지대(60) 그리고 지지리브(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고온의 순환수가 공기와 접촉되어 냉각되도록 상기 충진재(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충진재(20)에서 낙하하는 순환수를 받도록 상기 하부수조(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수조(50)에는 받아진 순환수가 집수되도록 집수조(90)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수조(50)에 받아진 순환수가 상기 집수조(90)로 흘러가도록 상기 하부수조(50)의 바닥면은 상기 집수조(90)를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부(5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1)에는 상기 경사부(51)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집수조(90)로 순환수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이 상기 집수조(90)를 향하는 제1리브(5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수조(5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수조(50)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60)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하부수조(50)를 균일하게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하부수조(50)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조(50)의 가장자리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60)에는 상기 지지대(6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경사부(51)에 대응되는 높이로 지지리브(6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지지리브(65)가 상기 지지대(6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수조(50)의 바닥면을 밀착지지하여 상기 하부수조(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상기 충진재(20), 상기 팬실린더(41), 상기 상부수조(30), 상기 하부수조(50)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 중 하나 이상에는 항균처리가 됨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항균처리는 은나노 콜로이드(colloid)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냉각수가 직·간접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고 잔존하게 되는 부분이 항균처리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냉각탑에서 유해한 세균이 번식하거나 해충이 성장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등이 반응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수는 상기 냉각탑을 거쳐 순환하면서 고온의 콘덴서에 의해 고온의 온수로 되었다가 충진재에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저온의 냉각수로 되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거치게 되는 열교환수를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냉각탑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는 상기 충진재(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진재(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에는 상기 충진재(2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충진재(20)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기유입부(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20)는 다수개의 충진판(미도시)이 겹쳐져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충진재(20)에서는 후술할 상부수조(30)에서 유입되는 순환수와 상기 공기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접하면서 열교환되어 순환수가 냉각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진판은 상기 순환수와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 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판을 따라 흐르는 순환수가 공기의 송풍력 등에 의해 상기 충진판의 외부로 벗어나거나 튀어 비산되는 등이 방지되도록 상기 충진판은 순환수의 흐름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를 위한 상기 충진판의 형상은 어느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충진판은 목재, 합성수지, 금속 박판(薄板) 또는 석면판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충진재(20)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이동한 후에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는 송풍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송풍장치는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팬(40)과, 상기 송풍팬(4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10)에는 팬실린더(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팬실린더(41)의 설치위치, 형상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충진재(2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수조(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수조(30)는 상기 순환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용기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진재(2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조(30)의 밑판(31)에는 다수개의 분배홀(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수조(30)에 수용되는 순환수는 상기 분배홀(33)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배홀(33)을 통해 배출되는 순환수는 낙하되어 상기 충진재(20)의 상부로 유입되어지며, 유입된 순환수는 상기 충진재(20)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리면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배홀(33)에는 순환수가 상기 충진재(2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노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충진재(20)를 통해 이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냉각되어 흘러내리는 순환수를 받기 위한 하부수조(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수조(5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충진재(20)에서 흘러내리는 순환수는 외부로 손실됨이 없이 상기 하부수조(50)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조(50)에는 상기 하부수조(50)로 떨어진 순환수가 흘러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5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부(59)에는 집수조(9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조(90)에는 집수된 순환수가 유출되는 순환수유출구(9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순환수유출구(91)를 통해 유출된 순환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다시 고온이 된 후 냉각수 분배장치(80)를 통해 상기 상부수조(30)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에는 순환수를 상기 상부수조(30)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 공급부(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 및 상기 냉각수 공급부(85)는 냉각수의 이송을 안내하여 상술한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떠한 특정한 형상 및 구조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배출부(59)가 설치되는 위치나 형상에도 특정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상기 배출부(59)는 상기 하부수조(50)의 각 테두리에서 떨어져 상기 하부수조(50)의 중앙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부(59)의 크기가 너무 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집수조(90)도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충진재(20)에서 떨어지는 순환수의 유량이 적더라도 상기 집수조(90)에 집수되는 순환수의 수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 가능하며, 상기 순환수유출구(91)를 통해 상기 물공급장치로 공급되는 것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수조(50)의 바닥면은 상기 충진재(20)에서 낙하하는 순환수 가 상기 배출부(59)로 잘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59)를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부(59)가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경사부(51)는 상기 충진재(20)의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배출부(59)의 각 일측에 연결되는 제1경사부(52)와, 상기 각 제1경사부(5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경사부(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경사부(53) 또한 상기 집수부(90)를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게 되므로, 순환수가 상기 배출부(59)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1)에는 다수개의 제1리브(5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경사부(51)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어 상기 경사부(51)의 휨 등을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51)의 경사도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리브(55)는 길이방향이 상기 집수조(90)를 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리브(55)는 상기 경사부(51)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충진재(20)에서 낙하하는 순환수가 상기 집수조(90)를 향하여 흐르도록 이동을 안내하는 것도 가능해져 순환수가 보다 원활하게 집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수조(5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수조(50)를 지지하는 지지대(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6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되, 상기 하부수조(50)의 테 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수조(5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스틸재질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조(5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부(5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57)의 상부에는 제1고정홀(5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70)의 상면에는 상기 제1고정홀(58)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고정홀(7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홀(58)과 상기 제2고정홀(71)에는 볼트(75) 및 너트(76)와 같은 체결부재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고정구(70)는 상기 결합부(57)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70)의 하부에는 상기 제3고정홀(7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대(6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부(57)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3고정홀(73)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4고정홀(6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홀(73)과 상기 제4고정홀(62)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고정구(70)는 상기 지지대(60)에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하부수조(50)는 상기 지지대(6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하부수조(50)와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분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하부수조(50)의 가장자리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 지지대(60)의 외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보기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수조(50)의 바닥을 통해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부재(예를 들면, 배관 파이프 등)들이 상기 지지대(60)에 의해 가리워 질 수 있어 깨끗한 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0)에는 상기 지지대(6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65)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리브(65)는 상기 지지대(6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상기 지지대(6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65)는 상기 하부수조(50)의 경사부(51)에 대응되는 높이로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하부수조(50)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수조(50)의 바닥면에도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하부수조(50)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냉각탑이 설치되어질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구조물(200) 등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구 조물(200)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 상기 충진재(20), 상기 상부수조(30), 상기 하부수조(50), 상기 팬실린더(41)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 중 하나 이상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을 모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본체(10), 상기 충진재(20), 상기 상부수조(30), 상기 하부수조(50), 상기 팬실린더(41)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의 재질이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10), 상기 충진재(20), 상기 상부수조(30), 상기 하부수조(50), 상기 팬실린더(41)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의 재질은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등이나, 철재 등과 같은 금속재질에 페인트 도료 등이 사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상기 충진재(20), 상기 상부수조(30), 상기 하부수조(50), 상기 팬실린더(41)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 중 하나 이상에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은 인체에 유해한 잡균 및 이끼류, 녹조류 등의 번식을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인체에 유해한 환경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수질 오염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충진재(20), 상기 상부수조(30), 상기 하부수조(50)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80)와 같이 순환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거나,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팬실린더(41)와 같이 간접적이나 빈번한 접촉 및 노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혼합됨으로써 항균 효율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은 농도 범위 4,500~5,500ppm의 은나노가,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은 농도 범위 4,500~5,500ppm의 동나노가,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은 농도 범위 4,500~5,500ppm의 은-동나노가 각각 메틸 에틸 케톤(MEK: methyl ethyl ketone)과 혼합되어 50ppm 이하의 농도 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ppm의 농도 범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은 농도 범위 250,000~350,000ppm의 음이온(즉, 음이온 고형분이 25~35%인 음이온)이 메틸 셀로솔브(methyl cellosolve)에 혼합되어 3,000ppm 이하의 농도 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3,000ppm의 농도 범위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은 액상단계에서 상기 모재에 혼합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한 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모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모재로부터 상기의 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 노 용액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항균력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냉각탑의 제조에 따른 경제성 및 충분한 항균력이 제공될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모재의 사용량의 0.5~1.5% 범위에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 적용되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의 시험균액 감소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공시균주에 대하여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이 적용된 시료의 균수 감소율 시험이 실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사용공시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이 균주1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이 균주2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시험 시료로는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50ppm이 우레탄도료에 의해 혼합된 휴대폰 케이스가 사용되었다.
또한, 시험조건으로는, 시험균액을 37±1℃에서 1시간, 3시간, 24시간 진탕 배양 후 균수 측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진탕 회수는 120rpm, 시험시료의 무게는 5.0g, 중화용액은 인산완충용액(pH 7.0±0.2)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비이온계면활성제로는 TWEEN 80 (0.05%)가 사용되었다.
한편, Ma는 대조시료의 초기 균수(평균치)를, Mb는 1시간, 3시간, 24시간 배 양 후 대조시료의 균수(평균치)를, Mc는 1시간, 3시간, 24시간 배양 후 시험시료의 균수(평균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감소율(%)은 [(Mb-Mc)/Mb]×100으로 정의된다.
시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균주1의 경우, 접종균 농도가 1.2×105(CFU/㎖)이고, 대조시료의 초기 균수(평균치)(Ma)가 1.2×105(CFU/㎖)이었다.
그리고, 대조시료의 균수(Mb)는 시험시작 후 1시간 배양후에는 1.4×105CFU/㎖에서 3시간 후에는 1.7×105CFU/㎖로, 그리고 24시간 후에는 6.3×106CFU/㎖ 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험시료의 균수(Mc)는 시험시작 후 1시간 배양후에는 5.9×103CFU/㎖에서 3시간 후에는 1.2×103CFU/㎖로, 그리고 24시간 후에는 10CFU/㎖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감소율(%)은 시험시작 후 1시간 후에는 95.8에서, 3시간 후에는 99.3으로, 그리고 24시간 후에는 99.9를 나타내었다.
즉, 24시간 후에는 상기 균주1이 99.9% 감소하는 높은 항균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 은 미만을, CFU는 Colony Forming Unit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균주2의 경우, 접종균 농도는 1.6×105(CFU/㎖)이고, 대조시료의 초기 균수(평균치)(Ma)는 1.6×105(CFU/㎖)이었다.
그리고, 대조시료의 균수(Mb)는 시험시작 후 1시간 배양후에는 1.7×105CFU/㎖에서 3시간 후에는 2.1×105CFU/㎖로, 그리고 24시간 후에는 5.8×106CFU/㎖ 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험시료의 균수(Mc)는 시험시작 후 1시간 배양후에는 2.4×103CFU/㎖에서 3시간 후에는 6.3×102CFU/㎖로, 그리고 24시간 후에는 10CFU/㎖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감소율(%)은 시험시작 후 1시간 후에는 98.6, 3시간 후에는 99.7 그리고 24시간 후에는 99.9를 나타내었다.
즉, 24시간 후에는 상기 균주2가 99.9%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 적용되는 음이온 나노 용액의 시험균주의 감소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공시균주에 대하여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이 적용된 시료의 균수 감소율 시험이 실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사용공시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이 균주1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이 균주2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시험 시료로는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3,000ppm이 UV도료에 의해 혼합된 표준피복필름 Stomacher 400® POLY-BAG이 사용되었다.
또한, 시험조건으로는 시험균액을 35±1℃, RH 90±5%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후 균수 측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료 표면적은 25㎠, 비이온계면활성제로는 TWEEN 80 (0.05%)이 사용되었다.
한편, Ma는 표준시료의 시험균 접종직후의 생균수의 평균(3검체)을, Mb는 표준시료의 일정시간(24시간) 배양후 생균수의 평균(3검체)을, Mc는 항균가공시료의 일정시간(24시간) 배양후 생균수의 평균(3검체)을 의미한다.
그리고, 항균활성치(S)는 log(Mb/Mc)로, 감소율(%)은 [(Mb-Mc)/Mb]×100으로 그리고 증식치(F)는 log(Mb/Ma)(1.5 이상)로 정의된다.
시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균주1의 경우, 접종균 농도는 2.7×105(CFU/㎖)이고, 증식치(F)는 1.6이었다.
그리고, 표준시료의 시험균 접종직후의 생균수의 평균(Ma)은 2.7×105CFU/㎖에서 24시간 배양후에는 표준시료의 생균수의 평균(Mb)이 1.1×107CFU/㎖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항균가공시료의 일정시간(24시간) 배양후 생균수의 평균(Mc)은 10CFU/㎖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서, 항균활성치(S)는 6.0, 그리고 감소율(%)은 99.9를 나타내었다.
즉, 24시간 후에는 상기 균주1이 99.9% 감소하게 되는 우수한 항균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2의 경우, 접종균 농도는 2.4×105(CFU/㎖)이고, 증식치(F)는 1.7이었다.
그리고, 표준시료의 시험균 접종직후의 생균수의 평균(Ma)은 2.4×105CFU/㎖에서 24시간 배양후에는 표준시료의 생균수의 평균(Mb)이 1.3×107CFU/㎖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항균가공시료의 일정시간(24시간) 배양후 생균수의 평균(Mc)은 10CFU/㎖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서, 항균활성치(S)는 6.1, 그리고 감소율(%)은 99.9를 나타내었다.
즉, 24시간 후에는 상기 균주2가 99.9%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 적용되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이 적용된 시험샘플에서 단위체적당 음이온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체적당 방출되는 음이온수를 측정하는 시험이 실시되었다.
여기서, 시료는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과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2,000ppm)이 혼합된 나일론 메쉬(mesh)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상기 시험은 전하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0℃, 습도 34%, 대기중 음이온수 102/cc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상기 시편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수는 1,238(ION/cc)였다.
상술한 시험을 통해,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은 50ppm의 농도가 적용된 상태에서 99.9%의 항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은 항균력과, 소재에 적용될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30~50ppm의 농도범위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은 단위체적당 1,000개 이상의 음이온수를 발생하고, 99.9%의 항균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2,000~3,000ppm의 농도범위를 이룸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은나노를 메틸 에틸 케톤과 혼합하여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은나노 대신에 동나노 또는 은-동나노를 혼합하여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또는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음이온을 메틸 셀로솔브에 혼합하여 음이온 나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각 나노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상기 충진재, 상기 팬실린더, 상기 상부수조, 상기 하부수조 및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 중 하나 이상을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모재로 성형하는 단계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모재의 성형시에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는 단계(S13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 상기 충진재, 상기 팬실린더, 상기 상부수조, 상기 하부수조 및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재에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항균력이 효과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모재 사용량의 0.5~1.5% 범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 이상의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이 사용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은 농도 범위 4,500~5,500ppm의 은나노가,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은 농도 범위 4,500~5,500ppm의 동나노가,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 액은 농도 범위 4,500~5,500ppm의 은-동나노가 각각 상기 메틸 에틸 케톤(MEK)과 혼합되어 30~50ppm 농도 범위를 이룸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은 농도범위 250,000~350,000ppm의 음이온이 상기 메틸 셀로솔브에 혼합되어 2,000~3,000ppm 농도 범위를 이루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탑에서 순환하는 순환수가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빈도가 높은 부분에서 항균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항균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수조와 상기 지지대는 직교류형 냉각탑 뿐만 아니라, 향류형 및 직교류형과 향류형이 복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직교류형 냉각탑이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하부수조와 지지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하부수조와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하부수조의 지지대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 적용되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에 의한 시험균주의 감소율을 나타낸 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 적용되는 음이온 나노 용액에 의한 시험균주의 감소율을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 적용되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이 적용된 시험샘플에서 단위체적당 음이온수를 나타낸 표.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충진재
30: 상부수조 40: 송풍팬
50: 하부수조 51: 경사부
52: 제1경사부 53: 제2경사부
55: 제1리브 57: 결합부
59: 배출부 60: 지지대
65: 지지리브 70: 고정구
80: 냉각수 분배장치 85: 냉각수 공급부
90: 집수조

Claims (7)

  1.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송풍되는 공기와 고온의 순환수가 접촉되어 상기 순환수가 냉각되도록 하는 충진재;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충진재에서 낙하하는 순환수가 흘러 집수조에 집수되도록 바닥면이 상기 집수조를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부로 형성되는 하부수조;
    상기 하부수조의 하측에 구비되되,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하부수조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조의 가장자리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조의 바닥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각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사부에는 상기 경사부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집수조로 순환수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이 상기 집수조를 향하는 제1리브가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조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고정구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수조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외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고온다습해진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팬실린더와, 상기 충진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수조와, 상기 냉각수의 순환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순환되는 냉각수가 상기 상부수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수 분배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본체, 상기 충진재, 상기 팬실린더, 상기 상부수조, 상기 하부수조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 중 하나 이상에는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상기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의 농도는 30~50ppm 범위이고,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의 농도는 2,000~3,000ppm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충진재, 상기 팬실린더, 상기 상부수조, 상기 하부수조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배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상기 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상기 은-동나노 콜로이드 용액 및 상기 음이온 나노 용액 중 하나 이상이 액상단계에서 혼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을 모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KR1020090050866A 2009-06-09 2009-06-09 냉각탑 KR101145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866A KR101145387B1 (ko) 2009-06-09 2009-06-09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866A KR101145387B1 (ko) 2009-06-09 2009-06-09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182A true KR20100132182A (ko) 2010-12-17
KR101145387B1 KR101145387B1 (ko) 2012-05-21

Family

ID=4350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866A KR101145387B1 (ko) 2009-06-09 2009-06-09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3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611A (ko) 2015-09-04 2017-03-1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 장치
AT15899U3 (de) * 2016-08-03 2020-12-15 Kellner Eng Gmbh Boden für Schalldämmgehäuse
KR102344970B1 (ko) * 2021-07-27 2021-12-30 (주)풍천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향상된 대용량 하부수조를 갖는 냉각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094A (ja) * 1994-03-29 1995-10-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冷却塔のブローダウン装置
US6736374B2 (en) * 2001-11-02 2004-05-18 Marley Cooling Technologies, Inc. Cooling tower top method and apparatus
KR100609596B1 (ko) * 2005-02-18 2006-08-08 이정훈 무기 또는 금속 나노입자 및 고분자수지의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611A (ko) 2015-09-04 2017-03-1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 장치
AT15899U3 (de) * 2016-08-03 2020-12-15 Kellner Eng Gmbh Boden für Schalldämmgehäuse
KR102344970B1 (ko) * 2021-07-27 2021-12-30 (주)풍천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향상된 대용량 하부수조를 갖는 냉각탑
KR102369562B1 (ko) * 2021-07-27 2022-03-03 (주)풍천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향상된 대용량 하부수조를 갖는 냉각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387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6276B (zh) 逆流式闭式冷却塔
CN110038397B (zh) 畜禽养殖舍氨减排装置
KR101145387B1 (ko) 냉각탑
CN104351137A (zh) 一种种蛋孵化方法及孵化箱
DE102005022934A1 (de) Schrank zum kontrollierten Aufziehen von Pflanzen und zur Erreichung gleichbleibender pflanzlicher Geschmacksqualitäten
KR102085542B1 (ko) 다단 열교환기 및 3중 덕트를 갖는 반밀폐형 스마트팜 유리온실
CN206089657U (zh) 微生物固定化颗粒制备装置
CN204499154U (zh) 一种海产品养殖池供氧系统
JPH08140525A (ja) 養魚水槽用水槽水冷却清浄装置
WO2020039268A1 (en) Domestic agricultural machinery with the ability to geoponics, hydroponics, and aeroponics, equipped with ultraviolet ray disinfectant system and recycling water system
CN213506936U (zh) 一种多功能恒温恒湿培养箱
KR200452448Y1 (ko) 온실용 냉난방 팬코일 유니트
EP1599086B1 (en) System for cultivation of plants
CN214015570U (zh) 一种海水生物养殖用供氧设备
CN208454982U (zh) 一种隔水式恒温培养箱
CN210114960U (zh) 用于吸收畜禽养殖舍内氨气的装置
CN207738755U (zh) 一种生物培养装置
CN205196586U (zh) 一种空气自净化牛舍
CN203395991U (zh) 一种改善室内空气质量的生态系统
CN106119083A (zh) 一种太阳能光合细菌现场连续生产装置
CN211091188U (zh) 一种畜牧养殖舍的新风消毒恒温恒氧空调设备
CN220343019U (zh) 饱和湿度培养箱
CN105794656B (zh) 一种猪舍
CN203212372U (zh) 一种循环冷却水orp平衡系统
CN218523702U (zh) 一种用于空气处理机组的离心雾化加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