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480A -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0480A KR20100130480A KR1020090049199A KR20090049199A KR20100130480A KR 20100130480 A KR20100130480 A KR 20100130480A KR 1020090049199 A KR1020090049199 A KR 1020090049199A KR 20090049199 A KR20090049199 A KR 20090049199A KR 20100130480 A KR20100130480 A KR 201001304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substrate
- hall sensor
- power supply
- primary c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핸드폰, PDA, PMP, MP3 등의 충전부에 비접촉으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 전원공급부의 제1기판에 홀센서를 형성하고, 전자기기의 제2기판에 자성체을 형성한다. 이때, 전원공급부의 1차코일 중심과 대향되는 전원저장부의 2차코일 중심이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램프를 설치한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접촉. 전원, 충전, 코일, 자성체, 홀센서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핸드폰, PDA, PMP, MP3 등의 충전부에 비접촉으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 전원공급부의 제1기판에 홀센서를 형성하고, 전자기기의 제2기판에 자성체을 형성한다. 이때, 전원공급부의 1차코일 중심과 대향되는 전원저장부의 2차코일 중심이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램프를 설치한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비접촉 전원 공급장치, 전달장치 및 충전장치는 전원저장부의 전자기기의 코일의 위치와 전원공급부의 코일이 서로 대향되는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도록 전자기기의 형상이나 구조를 같도록 형성하였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전원공급부의 형상이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대향되는 형상이 아닐 경우 비접촉으로 전원을 충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출원특허공개제 10-2008-0096919호가 출원되었으나, 이는 다양한 소형전자기기를 비접촉으로 충 전할 수 있는 기술구성을 하였으나, 소형전자기기의 코일과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기의 코일의 위치의 떨어진 거리가 넓고, 각각의 코일의 위상이 동일하지 않아 전력 전송의 효율이 감소하여 전력낭비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전자기기의 경우라도 전원공급부에서는 전원저장부를 갖는 전자기기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IC칩을 이용한 ID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저장부의 전자기기의 코일위치가 전원공급부의 코일의 위치와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지 감지하도록 기판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선출원특허공개 제10-2009-0008158호 수전 제어 장치, 수전 장치, 비접촉 전력 전송 시스템, 충전 제어 장치, 배터리 장치 및 전자기기는,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 전자 유도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판에 송전회로와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ID통신 또는 FSK통신으로 각각의 코일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ID를 인증하기 위해 복잡한 회로와 이를 제어하기 위해 고가의 IC칩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원공급부과 전원저장부의 기판이 복잡해지고 고가의 전기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선출원특허공개 제 10-2009-0009732호 코일 유닛 및 전자기기는, 박막형상으로 1차코일부와 2차코일부를 형성하였으나, 일정한 형상의 전자기기만을 충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자성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를 전원공급부에 형성하고 전원저장부에 자성체을 형성하여 전원공급부의 1차코일 중심에 대향되는 전원저장부의 2차코일 중심이 동일한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방식을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는비접촉 전원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전력전송의 효율이 증대되어 전원충전의 효율이 증대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핸드폰, PDA, PMP, MP3 등의 전자기기를 하나의 전원 충전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은 다음과 같다.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내부에 전원공급받침대 및 전원공급받침대에서 제공된 전력을 충전하도록 내부에 전원저장부가 형성된 전자기기로 이루어진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내부에 형성되 어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기판, 제1기판 일면에 형성된 실드판; 실드판 일면에 적층형성된 자성시트, 및 자성시트 일면에 적층형성된 중앙에 제1통공이 형성된 박막형 원판형상의 1차코일을 포함하고; 전원저장부는, 전자기기 내부에 형성되어 전력 저장을 제어하는 제2기판, 제2기판 일면에 형성된 실드판, 실드판 일면에 적층형성된 자성시트, 및 자성시트 일면에 적층형성된 중앙에 제2통공이 형성된 박막형 원판형상의 2차코일을 포함하며; 제2기판 일면에 형성되어 홀센서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성을 발생하는 자성체;을 더 구비하여 홀센서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기판이 1차코일에 인가되어 2차코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코일의 지름은 2차코일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센서는 1차코일 중앙의 제1통공이 형성된 제1기판 일면에 형성하고, 자성체은 홀센서에 대향하는 2차코일 중앙의 제2통공이 형성된 제2기판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센서는 제1기판 일면에 복수개 형성하고, 자성체은 복수개의 홀센서에 대향하는 제2기판 일면의 위치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센서는 1차코일 중앙의 제1통공이 형성된 제1기판 일면 및 전원공급부의 실드판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한곳의 제1기판 일면에 형성하고, 자성체은 홀센서에 대향하는 2차코일 중앙의 제2통공이 형성된 제2기판 일면 및 전원저장부의 실드판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한곳에 홀센서와 대향하는 제2기판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센서와 자성체의 위치가 서로 대향될 경우, 전원이 충전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램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공급받침대 상부면 일측에 1차코일의 위치를 표시하고, 전자기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부는 표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또는 거칠게 형성하고 박막의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기기는 핸드폰, PDA, PMP, MP3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자성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를 전원공급부에 형성하고 전원저장부에 자성체을 형성함으로써, 전원공급부의 1차코일 중심에 전원저장부의 1차코일 중심이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중심이 동일한 위상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자성체과 홀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방식을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저렴한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중심이 동일한 위상에 형성됨을 감지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전송의 효율이 증대되어 전원충전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핸드폰, PDA, PMP, MP3 등의 휴 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충전장치로 이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예에 따른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전원 저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공급받침대(10)와 그 상부에 전원공급받침대(10)에서 전송된 전력을 충전하는 전자기기(20)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전원 저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받침대(10) 내부에 형성된 전원공급부(1)는 제1기판(11)을 형성하여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와 전원저장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와 전원저장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판(12)은 제1기판(11)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실드판(12)은 전력전송을 위해 1차코일(14)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것으로, 방열판으로의 기능과 자성시트(13)가 포착하지 못하는 자속을 흡수하여 자기실드 기능을 갖기 위함이다. 이러한, 실드판(12)은 반자성체, 상자성체 및 반강자성체의 총칭은 비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고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드판(12)은 홀센서(3)가 형성되는 위 치에 실드판(12)을 관통하는 보조통공(121)을 더 구비하여 홀센서(3)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자성시트(13)는 실드판(12) 일면에 적층형성된다. 이때, 자성시트(13)는 1차코일(14)로부터 자속을 받는 작용을 하여 1차코일(14)의 인덕턴스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자성시트(13)의 재질은 연자성체인 페라이트 연자성체 또는 금속 연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성시트(13)에 실드판(12)에 형성된 보조통공(도면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1차코일(14)은 자성시트(13) 일면에 적층형성된다, 이때, 1차코일(14)은 중앙에 제1통공(141)이 형성된 박막형 원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1차코일(14)은 접착시트(15)를 이용하여 자성시트(13)에 부착하여 적층형성한다. 이와 함께, 1차코일(14)은 제1기판(11)에 연결하기 위해 제1기판(11) 일면에 복수개의 접지점을 형성하여 1차코일(14)의 복수개의 전선(142)을 연결한다.
홀센서(3)는 제1기판(11) 일면 즉, 1차코일(14) 중앙의 제1통공(141)이 형성된 제1기판(11) 일면에 형성한다. 이때, 홀센서(3)는 1차코일(14)을 제1기판(11)이 제어하도록 자성을 감지한다. 즉, 제1기판(11)은 홀센서(3)가 자성을 감지하면 1차코일(14)을 제어하여 전력을 전송하고, 홀센서(3)가 자성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20) 내부에 형성된 전원저장부(1)는 제2기판(21)을 형성하여 제 1코일에서 전송된 전력을 제어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저장부(1)는 통상적으로 전자기기(20)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와 함께 형성된다. 여기서 충전부는 충전부가 별도로 구성되는 착탈식 또는 전자기기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식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판(22)은 제2기판(21)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실드판(22)은 전술한 제1기판(11)의 실드판(12)과 동일한 것으로, 전력전송을 위해 2차코일(24)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것으로, 방열판으로의 기능과 자성시트가 포착하지 못하는 자속을 흡수하여 자기실드 기능을 갖기 위함이다. 이러한, 실드판(22)은 반자성체, 상자성체 및 반강자성체의 총칭은 비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고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드판(22)은 자성체(4)이 형성되는 위치에 실드판(22)을 관통하는 보조통공(도면미도시)을 형성하여 자성체(4)이 원활히 설치되도록 하였다.
자성시트(23)는 실드판(22) 일면에 적층형성된다. 이때, 자성시트(23)는 제1기판(11)의 자성시트(13)와 동일한 것으로, 2차코일(24)로부터 자속을 받는 작용을 하여 2차코일의 인덕턴스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자성시트(23)의 재질은 연자성체인 페라이트 연자성체 또는 금속 연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성시트에 실드판(22)에 형성된 보조통공(도면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2차코일(24)은 자성시트 일면에 적층형성된다, 이때, 2차코일(24)은 중앙에 제2통공(241)이 형성된 박막형 원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2차코일(24)은 접착시트(25)를 이용하여 자성시트(23)에 부착하여 적층형성한다. 이와 함께, 2차코일(24)은 제2기판(21)에 연결하기 위해 제2기판(21) 일면에 복수개의 접지점을 형 성하여 2차코일(24)의 복수개의 전선(242)을 연결한다.
자성체(4)은 제2기판(21) 일면에 형성한다, 이때, 2차코일(24) 중앙의 제2통공(241)이 형성된 제2기판(21) 일면의 위치에 형성한다. 이러한 자성을 발생하는 자성체(4)은 제1기판(11)에 형성된 홀센서(3)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홀센서(3)가 자성체(4)의 자성을 감지하면 1차코일(14)에서 2차코일(24)로 전자 유도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
램프(5)는 전원이 충전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으로, 제1기판(11) 일면 끝단부에 형성되고 전원공급부(1)의 일면에 돌출형성된다. 이때, 램프(5)의 작동은 제1기판(11)의 1차코일(14)에 형성된 홀센서(3)의 대향되는 위치에 제2기판(21)의 2차코일(24)에 형성된 자성체(4)의 위치하면, 홀센서(3)가 자성체(4)의 자성을 감지하여 램프(5)를 제어한다. 이로써, 램프(5)의 작동과 함께, 1차코일(14)에서 2차코일(24)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1차코일(14)의 중앙에 형성된 제1통공(141)과 2차코일(24)의 중앙에 형성된 제2통공(241) 및 각각의 실드판(12, 22)에 형성된 보조통공(121,221)에 의해 홀센서(3)는 자성체의 자성(4)을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홀센서(3)는 자성체(4)이 대향되는 위치에서 5~10㎜ 이상 이탈되면 자성을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1차코일(14)의 중심과 2차코일(24)의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대향되도록 하여 전력전송시 전력이 저장되는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이상의 램프(5)는 전원이 공급중일 때는 붉은색을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는 녹색을 띠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전원이 공급중일 때만 빛을 발산하는 LED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1차코일(14)의 지름을 2차코일(24)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1차코일(14)에서 2차코일(24)로 전송되는 전력의 전자 유도작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받침대를 도시한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받침대를 도시한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받침대를 도시한 제 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표시부(6)는 박막의 고무재질인 것으로, 표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또는 거칠게 형성한다. 이때, 표시부(6)는 전원공급받침대(10)의 상부면 일측에 1차코일(14)의 위치를 표시하여 전자기기(20)의 2차코일(24)이 대향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표시부(6)는 전원공급받침대(10) 상부에 안착된 전자기기(2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는 표시부(6)를 1차코일(14)을 중심으로 부터 원형링형상을 점점 넓게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표시부(6)를 1차코일(14)을 중심으로부터 종횡으로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 도 7은 표시부(6)를 1차코일(14)을 중심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전술한 표시부에 의해 전자기기(20)는 전원공급받침대(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 전원공급받침대(10)의 홀센서(3)가 전자기기(20) 내부의 자성체(4)의 자성을 감지하여 대향되는 위치에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특히 전자기기(20)의 형상 및 크기에 상관없이 핸드폰, PDA, PMP, MP3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와 전원저장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구성에 홀센서(3) 및 자성체(4)을 복수개 구비한 것이다. 이는 전원공급받침대(10)의 1차코일(14)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자기기(20)의 2차코일(24)을 위치하도록 하여 더욱 정확하게 전력을 전송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홀센서(3)는 1차코일(14) 중앙의 제1통공(141)이 형성된 제1기판(11) 일면 및 전원공급부(1)의 실드판(12)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한곳의 제1기판(11) 일면에 형성한다. 이와 함께 자성체(4)은 홀센서(3)에 대향하는 2차코일(24) 중앙의 제2통공(241)이 형성된 제2기판(21) 일면 및 전원저장부(2)의 실드판(22)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한곳 즉 홀센서(3)에 대향하는 제2기판(21) 일면의 위치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홀센서(3) 및 자성체(4)을 구비할 경우 2개의 홀센서(3)가 모두 자성체(4)의 자성을 감지할 경우에만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이물질 등에 의한 전력을 전송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판(14)의 실드판(12)은 홀센서(3)를 형성하기 위해, 제1기판(11)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센서(3)가 설치되는 위치에 실드판(12)을 관통하는 보조통공(121)을 형성한다. 또한, 제2기판(11)의 실드판(22)은 자성체(4)을 형성하기 위해, 제2기판(21)에 형성된 복수개의 자성체(4)이 설치되는 위치에 실드판(22)을 관통하는 보조통공(221)을 더 구비한다.
<
실시예에
따른 작용>
전자기기(20)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받침대(10) 상부에 형성된 표시부(6) 상부에 전자기기(20)를 안착시킨다. 이때, 전원공급받침대(10)의 표시부(6)는 1차코일(14)의 위치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쉽게 1차코일(14)의 대향되는 위치에 전자기기(20)의 2차코일(24)을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1차코일(14)에 대향하는 위치에 2차코일(24)이 안착되면 전자기기(20) 내부에 형성된 제2기판(21)의 자성체(4)에서 발생하는 자성을 제1기판(11)의 홀센서(3)가 감지하여 1차코일(14)에서 전자 유도작용에 의해 2차코일(24)로 전력을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가 2차코일(24)을 1차코일(14)에 대향하는 위치에 정확히 안착하는 것을 램프(5)의 빛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기기(20)가 비접촉으로 충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원공급받침대(10)를 평면으로 구성하고 표시부(6)를 형성한 것은 전자기기(20)가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전자기기가 전원공급받침대(10)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1차코일(14)과 2차코일(24)의 대향된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홀센서(3)와 자성체(4)을 사용함으로써, 저가의 마이컴을 이용한 단순한 회로구성으로 전원공급부(1) 및 전원저장부(2)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분 발명의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의 작용은 통상의 비접촉 전원 공급장치, 비접촉 전원 전달장치 및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등의 비접촉을 이용한 전원장치들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전자 유도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전원 저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와 전원저장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와 전원저장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전원 저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받침대를 도시한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받침대를 도시한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받침대를 도시한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와 전원저장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공급부 11: 제1기판
12: 실드판 13: 자성시트
14: 1차코일 141: 제1통공
2: 전원저장부 21: 제2기판
22: 실드판 23: 자성시트
24: 2차코일 3: 홀센서
4: 자성체 5: 램프
10: 전원공급받침대 20: 전자기기
Claims (9)
-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가 내부에 전원공급받침대(10) 및 상기 전원공급받침대(10)에서 제공된 전력을 충전하도록 내부에 전원저장부(20)가 형성된 전자기기(2)로 이루어진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부(1)는, 상기 전원공급받침대(10) 내부에 형성되어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기판(11), 상기 제1기판 일면에 형성된 실드판(12); 상기 실드판(12) 일면에 적층형성된 자성시트(13), 및 상기 자성시트(13) 일면에 적층형성된 중앙에 제1통공(141)이 형성된 박막형 원판형상의 1차코일(14)을 포함하고;상기 전원저장부(2)는, 상기 전자기기(20) 내부의 형성되어 전력을 저장을 제어하는 제2기판(21), 상기 제2기판(21) 일면에 형성된 실드판(22), 상기 실드판(22) 일면에 적층형성된 자성시트(23), 및 상기 자성시트(23) 일면에 적층형성된 중앙에 제2통공(241)이 형성된 박막형 원판형상의 2차코일(24)을 포함하며;상기 제1기판(11) 일면에 형성되어 자성을 감지하는 홀센서(3); 및상기 제2기판(21)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홀센서(3)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성을 발생하는 자성체(4);을 더 구비하여 상기 홀센서(3)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기판(11)이 상기 1차코일(14)에 인가되어 2차코일(24)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1차코일(14)의 지름은 상기 2차코일(24)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홀센서(3)는 상기 1차코일(14) 중앙의 상기 제1통공(141)이 형성된 상기 제1기판(11) 일면에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4)은 상기 홀센서(3)에 대향하는 상기 2차코일(24) 중앙의 상기 제2통공(241)이 형성된 상기 제2기판(21)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홀센서(3)는 상기 제1기판(11) 일면에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4)은 상기 복수개의 홀센서(3)에 대향하는 상기 제2기판(21) 일면의 위치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홀센서(3)는 상기 1차코일(14) 중앙의 상기 제1통공(141)이 형성된 상기 제1기판(11) 일면 및 상기 전원공급부(1)의 상기 실드판(12)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한곳의 상기 제1기판(11) 일면에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3)은 상기 홀센서(3)에 대향하는 상기 2차코일(24) 중앙의 상기 제2통공(241)이 형성된 상기 제2기판(21) 일면 및 상기 전원저장부(2)의 상기 실드판(22)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홀센서와 대향하는 상기 제2기판(21)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홀센서(3)와 자성체(4)이 서로 대향될 경우, 전원이 충전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램프(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받침대(1) 상부면 일측에 1차코일(14)의 위치를 표시하고, 전자기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표시부(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표시부(6)는 표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또는 거칠게 형성하고 박막의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기기(2)는 핸드폰, PDA, PMP, MP3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199A KR101079679B1 (ko) | 2009-06-03 | 2009-06-03 |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199A KR101079679B1 (ko) | 2009-06-03 | 2009-06-03 |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480A true KR20100130480A (ko) | 2010-12-13 |
KR101079679B1 KR101079679B1 (ko) | 2011-11-04 |
Family
ID=4350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9199A KR101079679B1 (ko) | 2009-06-03 | 2009-06-03 |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9679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744119A1 (en) | 2012-12-13 | 2014-06-18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40111799A (ko) | 2013-03-12 | 2014-09-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무선 충전용 코일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KR101477408B1 (ko) * | 2013-07-23 | 2014-12-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코어를 포함하는 코일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 |
CN104335299A (zh) * | 2012-04-30 | 2015-02-04 | Lg伊诺特有限公司 | 具有无线充电辐射体功能的磁片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磁片的无线充电装置 |
KR20160028384A (ko) * | 2014-09-02 | 2016-03-11 | 주식회사 아모센스 |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 |
CN106063386A (zh) * | 2014-01-22 | 2016-10-26 | Lg伊诺特有限公司 | 无线充电板和无线充电装置 |
US9553476B2 (en) | 2012-03-23 | 2017-01-24 | Lg Innotek Co., Ltd.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EP3291407A4 (en) * | 2015-04-27 | 2018-05-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
US10270291B2 (en) | 2012-03-23 | 2019-04-23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1457B1 (ko) | 2012-04-30 | 2018-10-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충전 라디에이터 기능을 갖는 자성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디바이스 |
KR101823542B1 (ko) * | 2012-10-04 | 2018-01-3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충전용 전자기 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KR101423028B1 (ko) * | 2013-05-14 | 2014-07-24 |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 착탈식 무선 충전장치와 이 무선 충전장치를 착탈식으로 내장하는 셋톱박스 |
KR101751820B1 (ko) | 2016-04-08 | 2017-06-29 | 임동춘 |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53456A (ja) * | 2001-11-08 | 2003-05-23 | Olympus Optical Co Ltd | 充電装置、及び電子カメラ |
JP2005006440A (ja) | 2003-06-12 | 2005-01-06 | Seiko Epson Corp | 無接点充電システムおよび無接点充電器 |
-
2009
- 2009-06-03 KR KR1020090049199A patent/KR1010796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56540B2 (en) | 2012-03-23 | 2019-04-09 | Lg Innotek Co., Ltd.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US10804740B2 (en) | 2012-03-23 | 2020-10-13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9553476B2 (en) | 2012-03-23 | 2017-01-24 | Lg Innotek Co., Ltd.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US10277071B2 (en) | 2012-03-23 | 2019-04-30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0673141B2 (en) | 2012-03-23 | 2020-06-02 | Lg Innotek Co., Ltd.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US10270291B2 (en) | 2012-03-23 | 2019-04-23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04335299A (zh) * | 2012-04-30 | 2015-02-04 | Lg伊诺特有限公司 | 具有无线充电辐射体功能的磁片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磁片的无线充电装置 |
CN103872790B (zh) * | 2012-12-13 | 2017-03-01 | Lg伊诺特有限公司 | 无线电力接收器及制造无线电力接收器的方法 |
US9653208B2 (en) | 2012-12-13 | 2017-05-16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EP2744119A1 (en) | 2012-12-13 | 2014-06-18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03872790A (zh) * | 2012-12-13 | 2014-06-18 | Lg伊诺特有限公司 | 无线电力接收器及制造无线电力接收器的方法 |
US9496082B2 (en) | 2013-03-12 | 2016-11-15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oil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
KR20140111799A (ko) | 2013-03-12 | 2014-09-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무선 충전용 코일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KR101477408B1 (ko) * | 2013-07-23 | 2014-12-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코어를 포함하는 코일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 |
CN106063386A (zh) * | 2014-01-22 | 2016-10-26 | Lg伊诺特有限公司 | 无线充电板和无线充电装置 |
US10476316B2 (en) | 2014-01-22 | 2019-11-12 | Lg Innotek Co., Ltd. | Wireless charging boar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KR20160028384A (ko) * | 2014-09-02 | 2016-03-11 | 주식회사 아모센스 | 무선 전력 송신장치용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 |
EP3291407A4 (en) * | 2015-04-27 | 2018-05-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
US10931145B2 (en) | 2015-04-27 | 2021-02-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9679B1 (ko) | 2011-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9679B1 (ko) |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
KR102405414B1 (ko) | 자기장 차폐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
EP2782208B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urnitur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ed therei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ed therein | |
US8541977B2 (en) | Coil unit and electronic instrument | |
CN102959823B (zh) | 感应式电力供给系统 | |
US9257866B2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8633792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se part including a soft magnetic layer | |
WO2009041058A1 (ja) | 電子機器、充電器、および充電システム | |
US9362777B2 (en) | Portable wireless charging system | |
JP2009277820A (ja) | 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JP4256426B2 (ja) | 非接触電力伝送装置 | |
CN109906537B (zh) | 感应功率传输系统 | |
TWI514202B (zh) | 觸控系統、充電系統及觸控指示裝置之充電方法 | |
JP2014087137A (ja) | 無接点充電器 | |
KR20170076510A (ko) | 무선충전용 일체형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 |
JP2014087136A (ja) | 無接点充電器 | |
TW201411979A (zh) | 無線充電系統 | |
KR20060107148A (ko) | 무선 충전기 | |
US20160087471A1 (en) |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generating wireless status indications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 |
JP2012175897A (ja) | 非接触電力伝送装置の平面コイル | |
KR100691060B1 (ko) | 무선 충전기 | |
US20150102682A1 (en) | Soft power wireless transmission induction plate | |
JP5999328B2 (ja) |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 | |
JP2013030551A (ja) | 非接触給電装置 | |
CN111180175A (zh) | 一种无线充电发射线圈及无线充电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