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266A -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266A
KR20100130266A KR1020090048851A KR20090048851A KR20100130266A KR 20100130266 A KR20100130266 A KR 20100130266A KR 1020090048851 A KR1020090048851 A KR 1020090048851A KR 20090048851 A KR20090048851 A KR 20090048851A KR 20100130266 A KR20100130266 A KR 2010013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al estate
modeling
user terminal
b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원
Original Assignee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최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최진원 filed Critical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266A/ko
Publication of KR2010013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부동산 정보 사이트를 제공하는 부동산 정보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동산 정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동산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2D 모델링 정보 및 3D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추출된 BIM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2D 또는 3D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movable property information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pace-information}
본 발명은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BIM 정보를 이용하여 부동산 정보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나 개개 공간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리모델링 또는 인테리어를 미리 꾸미는 등의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많은 정보들을 획득하고 있다. 부동산의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이 미리 인터넷을 통하여 부동산의 입지, 시세 등을 확인한 후, 그 부동산에 방문을 하곤 한다. 심지어는 인터넷으로 획득한 정보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곤 한다.
하지만 종래의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들을 보면,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기반의 설명으로 제공하거나, 도면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2차원의 간단한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데에 그친다. 따라서, 종래의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으로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습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면서, 텍스트나 2D 도면 정도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BIM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2D나 3D 정보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부동산의 구성 또는 개별공간을 확대하거나 시야 각도를 변경하는 등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부동산의 미리 가상의 공간에서 리모델링을 해보거나 인테리어를 꾸며 볼 수 있고, 자신이 수행한 리모델링이나 인테리어에 드는 실제 예상 비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부동산 정보 사이트를 제공하는 부동산 정보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동산 정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동산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2D 모델링 정보 및 3D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추출된 BIM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2D 또는 3D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부동산의 개별공간의 수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부동산의 개별공간이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부동산의 개별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모델링 정보가 3D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뷰잉(viewing) 각도가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뷰잉 각도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상기 부동산의 변경 가능한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모델링 가능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델링 정보를 리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리모델링 비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간정보 및 상기 리모델링 예상가격정보에 기초하여 리모델링한 결과에 따른 예상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에 설치가능한 마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 별 마감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마감재에 따른 마감재 비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간정보 및 선택된 마감재에 따른 상기 마감재비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감재에 따른 예상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상기 모델링 정보에 배치 가능한 객체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객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아이템은 가구, 장식장, 또는 조명에 상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델링 비용정보 또는 상기 마감재 비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동산의 소재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부동산 선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부동산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부동산에 상응하는 2D 모델링 정보 및 3D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공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동산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2D 또는 3D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는, 상기 부동산의 변경 가능한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리모델링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를 리모델링하는 리모델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는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에 설치가능한 마감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테리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를 인테리어 하는 인테리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모듈은 상기 모델링 정보에 배치 가능한 객체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객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미리 실제 부동산의 사실적인 모습 및 개별적 공간 등의 구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 그 부동산의 리모델링나 인테리어를 수행해봄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물건이 배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마감재 등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설치 또는 배치해 볼 수 있어서, 부동산 자체의 구성을 확인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실제 입주를 하였을 때 자신이 원하는 대로 부동산을 꾸밀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실제 부동산에 들어갈 가구나 조명 등 다양한 객체를 직접 부동산에 배치해볼 수 있음으로 현재 부동산의 구조나 구성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물건들과 매치가 잘 되는지를 확인해 볼 수도 있다.
또한, 실제 부동산의 위치에 기반하여 리모델링이나 인테리어를 하는데 드는 비용들을 미리 예측해볼 수 있고, 사용자가 일일이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공간에서 마감재, 가구 등의 가격을 확인해 볼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제어모듈(110) 및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리모델링 모듈(130) 및/또는 인테리어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사이트를 제공하는 부동산 정보 서버(200)에 포함되어서, 웹 사이트상에서 구동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컴퓨터 등, 300)가 상기 부동산 정보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부동산 정보 사이트를 제공하는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다운로드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하드웨어적 리소스의 결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으며,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동산 정보 사이트에 사용자 단말기(300)가 접속하면,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구현 예가 가능 함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며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리소스를 제어/통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 입력장치(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부동산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신호(예컨대,후술할 리모델링 신호, 또는 인테리어 신호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부동산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부동산에 상응하는 2D 모델링 정보 및 3D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공간정보를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수신된 상기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동산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2D 또는 3D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BIM 공간정보라 함은, 빌딩의 특성 및 상기 빌딩의 공간적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BIM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동산의 공간적 위상관계,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의 속성, 형태, 위치, 상기 부동산의 개별공간의 구성 등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에 삽입 및/또는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객체(예컨대, 조명기구, 가구 등)도 상기 BIM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모델링 될 수 있다. 이러한 BIM 공간정보를 위한 데이터, 모델링 장치 등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7-0060641, "공간 맵 저작 방법 및 그 도구, 공간 맵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 이하 '이전출원')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전출원에 개시된 모델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BIM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 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전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 및 명세서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본 발명의 레퍼런스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모델링 모듈(130)은 상기 부동산의 변경 가능한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리모델링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를 리모델링할 수 있다.
리모델링을 수행한다고 함은,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예컨대, 벽, 기둥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델링 신호는 사용자가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신호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라 함은,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 중 실제로 변경할 수 있는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는 건축법, 집합건물과 관련된 법률 등 법률에 의해 변경할 수 없는 부분, 상기 부동산의 건축 구조에 따라 변경할 수 없는 부분, 또는 각 부동산의 관리사무소의 규약에 의해 변경할 수 없는 부분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리모델링이 가능한 건축 구조물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모델링 가능정보가 각각의 부동산별로 미리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 역시 상기 부동산의 BIM 공간정보 중 일부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델링 모듈(130)은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부동산을 리모델링하면, 그 결과에 기초하여 리모델링 예상비용을 산정하여 사용자 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모델링 모듈(130)은 상기 부동산에 상응하는 BIM 공간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리모델링 한 부분의 속성등을 알 수 있으며, 리모델링 한 결과 역시 모델링 정보를 통하여 면적 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조물의 속성(예컨대, 콘크리트 등의 재질) 및 변경된 부분의 단위 면적당 리모델링 비용정보가 상기 리모델링 모듈(130) 및/또는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리모델링 모듈(130)은 리모델링 결과에 따른 실제 예상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델링 비용정보는 상기 부동산의 소재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부동산의 소재 위치에 따라 리모델링 사업자의 평균 비용, 자재의 운송 비용 등이 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리모델링 비용정보는 상기 부동산의 소재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미리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 모듈(130)은 상기 리모델링 비용정보를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리모델링에 따른 예상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인테리어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테리어 모듈(140)이 수행하는 인테리어는 마감재(예컨대, 벽지, 바닥재 등)의 설치 및/또는 변경이나,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소정의 객체(예컨대, 조명, 가구, 기구 등)를 설치 및/또는 배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모듈(140) 역시 상기 부동산의 BIM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부동산의 구조물 각각의 면적이나 특성을 알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속성, 마감재의 종류, 구조물의 면적, 선택한 마감재의 종류 등에 따른 단위 면적당 비용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비용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인테리어에 드는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테리어 비용정보 역시 상기 부동산의 소재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인테리어 모듈(140)은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상기 인테리어 비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테리어 모듈(140)은 상기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삽입 가능한 객체(예컨대, 가구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역시 BIM 공간정보의 포맷으로 제작 및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테리어 모듈(140)은 상기 객체의 면적, 크기, 높이 등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객체는 상기 부동산의 실제 공간상태에 맞게 상기 모델링 정보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면적이 1 제곱미터인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1제곱미터 이상의 객체는 상기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물건의 수치 정보를 입력받아 가상의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객체를 모델링하고, 모델링 된 객체의 BIM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모델링 장치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상기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이전출원에 개시된 모델링 장치 즉,공간 맵 저작도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가 제공하는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객체(예컨대, 가구 등)를 사실적으로 모델링 한 후, 모델링된 객체를 상기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삽입 또는 배치해볼 수도 있 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객체의 종류 및 면적, 크기, 높이 등의 수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 또는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template) 객체를 이용하여 가상의 객체를 대략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삽입 및/또는 배치해봄으로써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객체가 상기 부동산의 공간에 적합한지 여부, 또는 상기 부동산의 특정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해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300)는 부동산 정보 사이트를 제공하는 부동산 정보 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다수의 부동산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중 어느 하나의 부동산을 선택할 수 있으며, 부동산 정보 서버(200)는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BIM 공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송된 상기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2D 또는 3D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는 2D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고,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전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BIM 공간정보는 3D 공간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2D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뷰잉(viewing)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를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포함되는 개별공간의 수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나타내며, 도 5는 부동산에 포함되는 개별공간의 모델링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구조물이 이루는 각각의 개별공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공간은 상기 구조물의 위치 정보에 의해 쉽게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산의 개별공간의 수치정보(1)를 상기 모델링 정보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수치정보(1)는 개별공간의 면적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별 공간의 면적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링 정보 중 특정 개별공간을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별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부동산에 포함된 개별공간의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개별공간(예컨대, 방 또는 거실)만의 모델링 정보를 별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상기 부동산의 리모델링 가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는 상기 BIM 공간정보와 함께 수신되거나, 상기 BIM 공간정보가 수신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의 리모델링 모듈(130)은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기초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델링 가능한 구조물(예컨대, 벽, 10)을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 역시 BIM 공간정보의 포맷으로 작성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모델링 모듈(130)은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대응되는 구조물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10)을 없애는 등의 리모델링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델링을 위해 부동산에 포함된 특정 개별공간만을 별도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모델링 정보를 확대하여 리모델링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가 리모델링을 손쉽게 하기 위해 별도의 유저 인터페이스(예컨대, 그리드(grid) 인터페이스 등)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델링한 결과에 따라 상기 리모델링 모듈(130)은 리모델링에 따른 예상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리모델링 비용정보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델 링 비용정보는 상기 부동산의 소재 위치에 따라 다르게 책정될 수 있음도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마감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의 인테리어 모듈(14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마감재(예컨대, 벽지)에 대한 정보(21, 22, 2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에 대한 정보는 상기 BIM 공간 정보와 별도로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마감재 중 어느 하나(예컨대, 21)를 선택하고, 선택된 마감재를 부착(설치)할 구조물(예컨대, 벽)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조물을 선택하면, 상기 구조물(예컨대, 벽)에 해당하는 전체 영역에 마감재가 부착되거나, 키보드의 드래그 등을 이용해 그 중 일부 영역에만 마감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테리어 모듈(140)은 상기 마감재(21, 22, 23)별 비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마감재 비용정보를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마감재 비용정보 및 마감재가 부착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마감재 부착에 따른 예상비용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개별공간별, 각 구조물별로 다양한 마감재를 선택하여 인테리어를 꾸밀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객체를 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테리어 모듈(140)은 상기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개별공간의 모델링 정보를 포함)에 배치할 객체 아이템에 대한 정보(31, 32, 33)를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객체 아이템에 대한 정보(31, 32, 33)는 소정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아이템은 가구, 장식장, 또는 조명에 상응하는 아이템 등과 같이 상기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배치될 수 있는 모든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아이템 역시 BIM 공간정보의 포맷으로 작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객체 아이템 역시 크기, 면적, 높이 등 공간을 차지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객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아이템 역시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모델링 정보상에서 공간적으로 배치가능한 영역에만 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로 가구나 조명등을 미리 배치해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객체 아이템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는 소정의 모델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가진 물건을 그대로 모델링 하거나, 수치정보만 입력함으로써 대략적인 가상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부동산의 모델링 정보에 포함되는 개별공간의 수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부동산에 포함되는 개별공간의 모델링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마감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객체를 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6)

  1. 부동산 정보 사이트를 제공하는 부동산 정보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동산 정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동산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2D 모델링 정보 및 3D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추출된 BIM 공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부동산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2D 또는 3D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부동산의 개별공간의 수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부동산의 개별공간이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부동산의 개별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모델링 정보가 3D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뷰잉(viewing) 각도가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뷰잉 각도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상기 부동산의 변경 가능한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모델링 가능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델링 정보를 리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리모델링 비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간정보 및 상기 리모델링 예상가격정보에 기초하여 리모델링한 결과에 따른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에 설치가능한 마감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마감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마감재에 따른 마감재 비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간정보 및 선택된 마감재에 따른 상기 마감재비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감재에 따른 예상비용을 산출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부동산 정보 서버가 상기 모델링 정보에 배치 가능한 객체 아이템에 대 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객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배치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아이템은,
    가구, 장식장, 또는 조명에 상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11.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델링 비용정보 또는 상기 마감재 비용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동산의 소재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부동산 선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부동산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부동산에 상응하는 2D 모델링 정보 및 3D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공간정보를 수신하 고, 수신된 상기 BIM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동산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2D 또는 3D 중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는,
    상기 부동산의 변경 가능한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모델링 가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리모델링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를 리모델링하는 리모델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는,
    상기 부동산의 구조물에 설치가능한 마감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테리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를 인테리어 하는 인테리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모듈은,
    상기 모델링 정보에 배치 가능한 객체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객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배치하는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장치.
KR1020090048851A 2009-06-03 2009-06-03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0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851A KR20100130266A (ko) 2009-06-03 2009-06-03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851A KR20100130266A (ko) 2009-06-03 2009-06-03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266A true KR20100130266A (ko) 2010-12-13

Family

ID=4350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851A KR20100130266A (ko) 2009-06-03 2009-06-03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2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32B1 (ko) * 2009-11-25 2012-02-28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속성-기반 bim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8169A (ko) * 2011-12-14 2013-06-26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 서버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bim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25672B1 (ko) * 2012-09-04 2014-08-06 박종우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서버,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067540B1 (ko) * 2019-04-18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및 그의 bim 매핑 방법
KR102374156B1 (ko) * 2021-02-03 2022-03-14 주식회사 디엔코리아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부동산 매물 추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32B1 (ko) * 2009-11-25 2012-02-28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속성-기반 bim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8169A (ko) * 2011-12-14 2013-06-26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 서버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bim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25672B1 (ko) * 2012-09-04 2014-08-06 박종우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서버,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067540B1 (ko) * 2019-04-18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매핑 시스템 및 그의 bim 매핑 방법
KR102374156B1 (ko) * 2021-02-03 2022-03-14 주식회사 디엔코리아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부동산 매물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913B1 (ko)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9512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building via a virtual environment
Lee et al. V3DM+: BIM interactive collaboration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CN105830019B (zh) 用于基本模型定制的集成环境
CN1936943A (zh) 用于动态地配置基于角色的协作空间的方法和系统
US106362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ap
US9984179B2 (en) Provi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US102663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ndering of walking path maps for elevator car assignment display
CN106416315A (zh) 用于布建地理围栏的方法和设备
US20230020885A1 (en) Automatic conversion of 2d schematics to 3d models
KR20100130266A (ko) Bim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2310940B1 (ko)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모형 제공 시스템
CN102012817A (zh) 基于Flex技术大型公建能耗监测平台的开发方法
CN107153744B (zh) 地下三维管线决策系统
JP2021523493A (ja) 三次元空間の眺めを表示させる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Racz et al. VR aided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CN106846431B (zh) 一种支持多表现形式的统一Web图形绘制系统
KR100593716B1 (ko) 4차원 건설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관리정보제공방법
KR20130025511A (ko)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200720A (ja) 設計支援装置及び設計支援モデル学習装置
JP5980321B2 (ja) 情報伝達のためのモデル化された物的環境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媒体
KR102451178B1 (ko) 사업자 주방 설계도면 생성 플랫폼 서비스 방법
CN112948933B (zh) 房屋模型的构建方法、显示方法、管理装置以及存储介质
US11836676B2 (en) Determining vendor components, kits, and logistics based on construction drawings
JP6629636B2 (ja) 図面作成装置、及び図面作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