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096A - 식물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물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096A
KR20100130096A KR1020090048767A KR20090048767A KR20100130096A KR 20100130096 A KR20100130096 A KR 20100130096A KR 1020090048767 A KR1020090048767 A KR 1020090048767A KR 20090048767 A KR20090048767 A KR 20090048767A KR 20100130096 A KR20100130096 A KR 2010013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nt
sunlight
pot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648B1 (ko
Inventor
이방욱
김선용
유병현
장영욱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식물을 용이하게 잘 기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식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관리시스템은 식물이 심겨져 있는 화분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관수탱크와, 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화분에 공급된 후 화분을 통과한 물을 관수탱크로 회수하는 회수라인과, 실외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기와, 집광된 광이 식물에 조사되도록 태양광을 가이드하는 광섬유를 포함한다.
식물, 집광기, 관수탱크, 광섬유

Description

식물관리시스템{Plant cultivat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식물에게 물과 태양광을 공급하는 식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많은 수의 사람들이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실내에서 나무와 꽃 같은 식물을 기르고 있으나, 식물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금방 식물이 시들어 버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즉, 식물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식물을 잘 기르려면 낮 시간 동안 식물이 적정량의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식물을 창가 또는 베란다로 옮겨주어야 할 뿐 아니라, 정기적으로 적정량의 물을 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대인들의 바쁜 업무로 인해 정기적/지속적으로 식물을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식물이 금방 시들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 고층 빌딩이 많아지면서, 저층 건물 또는 건물의 낮은 층의 경우에는 일조량 자체가 매우 부족하며, 따라서 이러한 곳에서는 식물을 기를 수 없거나, 기르더라도 그 종류(일조량이 적어도 관계없는 식물만 가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식물을 용이하게 잘 기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식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관리시스템은 식물이 심겨져 있는 화분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관수탱크와, 상기 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화분에 공급된 후 상기 화분을 통과한 물을 상기 관수탱크로 회수하는 회수라인과, 실외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기과, 상기 집광된 광이 상기 식물에 조사되도록 상기 태양광을 가이드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분을 통과한 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성분분석유닛과, 상기 성분분석유닛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분으로 영양분을 공급하는 영양분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물에 조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분석하는 광분석기와, 상기 광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기설정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식물에게 적정량의 태양광과 물 이 공급된다. 또한, 화분을 통과한 물이 관수탱크로 다시 회수된 후 화분으로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이 물과 함께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관리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관리시스템(100)은 관수탱크(10)와, 공급라인과, 회수라인과, 집광기(40)와, 광섬유(50)와, 조사장치(60)를 포함한다.
관수탱크(10)는 화분(1)에 심겨진 식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 관수탱크(10)는 베란다 또는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된다.
공급라인은 관수탱크(10)에 저장된 물을 화분(1)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관(21)과, 펌프(22)와, 분사기(23)를 포함한다. 공급관(21)의 일단부는 관수탱크(1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분(1)의 상측에 배치되며 분사기(23)에 연결된다. 펌프(22)는 공급관(21)에 설치되며, 그 구동시 관수탱크(10)의 물을 분사기(23)쪽으로 공급한다. 분사기(23)는 공급관(21)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된 물을 화분(1)으로 분사한다.
회수라인은 화분(1)에 공급된 후, 화분을 통과하여 흐르는 물을 다시 관수탱크(10)로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물의 절약과 더불어 흙 속에 포함된 영양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식물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많은 종류의 식물은 일정 기간에 한 번씩 물을 주되, 한번 줄 때에 화분의 흙이 흠뻑 젖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준다. 이와 같이 물을 많이 공급하면, 물이 화분을 통과하여 아래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흙 속에 포함된 각종 영양분들이 물과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는바, 회수라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수라인은 받침판(31)과, 회수관(32)을 포함한다. 받침판(31)은 화분(1)의 하측에 배치되어 화분(1)을 지지하며, 받침판(31)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회수관(32)의 일단부는 받침판(31)의 관통공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관수탱크(10)에 연결되어, 화분(1)을 통과한 물은 회수관(32)을 따라 관수탱크(10)로 회수된다.
집광기(40)는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 또는 반사경 등이 집광기로 이용가능하다. 상기 집광기(40)는 실외, 특히 건물의 옥상과 같이 일조량이 많은 곳에 설치되며, 조사된 태양광을 집광한다.
광섬유(50)는 집광기(40)에서 집광된 태양광을 실내의 화분(1)까지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섬유(50)는 복수의 가닥이 묶어져 광섬유 다발 형태로 설치된다.
조사장치(60)는 광섬유(50)를 통해 전달된 태양광을 식물에게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장치(60)는 광섬유의 단부에 연결되며, 식물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조사장치로는 태양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식물관리시스템(100)은 수분감지센서(71)와, 광분석기(72)와, 성분분석유닛(73)과, 수위측정센서(74)와, 소리발생기와, 영양분 공급유닛(76)과, 경보기(77)와, 제어부(80)를 더 포함한다.
수분감지센서(71)는 화분(1)에 설치된다. 수분감지센서(71)는 화분에 포함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며, 이를 제어부(80)로 전송한다.
광분석기(72)는 조사장치(60)에 설치되며, 조사장치(60)에서 조사되는 태양광의 세기 또는 파장 등을 분석하며, 이를 제어부(80)로 전송한다.
성분분석유닛(73)은 화분(1)을 통과하여 관수탱크(10)로 회수되는 물의 성분, 즉 물속에 포함된 각종 영양분의 함유량을 분석하며, 이 성분데이터를 제어부(80)로 전송한다.
수위측정센서(74)는 관수탱크(10)에 설치되며, 관수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며, 이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소리발생기는 식물이 잘 재배될 수 있는 특정 소리, 예를 들어 클래식 등의 음악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스피커(75)로 이루어진다.
영양분 공급유닛(76)은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영양분 공급유닛(76)은 식물에 필용한 각종 영양분이 액체 상태로 저장된 캡슐과, 이영양분을 화분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과, 영양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로 이루어진다.
경보기(77)는 관수탱크(10)의 수위가 부족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빛을 발생하는 알람램프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람기 등이 경보기로 이용가능하다.
제어부(80)는 식물이 잘 지배될 수 환경이 조성되도록 상기 구성요소, 즉 펌 프(22), 조사장치(60), 스피커(75), 영양분 공급유닛(76)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에는 식물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 즉 최적수분함량, 조사량, 영양분 상태 및 음원의 종류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80)는 수분감지센서(71)로부터 흙의 수분함유량을 전송받으며, 수분함유량이 최적화로 유지되도록 펌프(22)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광분석기(72)로부터 태양광의 세기 및 파장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이 데이터를 기초로 식물이 적정량의 태양광을 받도록 조사장치(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태양광 데이터에 따라 적절한 음악이 나오도록 소리발생기를 제어한다. 즉, 식물이 활발한 활동(광합성 작용)을 할 정도의 태양광이 조사될 때에는 식물의 활동을 보조할 수 있는 음악이 나오도록 소리발생기를 제어하며, 식물이 수면상태에 들어갈 때(태양광이 조사되지 않을 때)에는 그에 맞는 음악이 나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성분분석유닛(73)으로부터 성분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이 성분데이터와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비교하고, 흙 속에 포함된 영양분의 함유량이 최적상태가 되도록, 영양분 공급유닛의 밸브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수위측정센서(74)로부터 관수탱크(10)의 수위를 전송받으며, 물 저장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보기(77)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관리시스템의 경우 화분을 통과한 물이 관수탱크로 다시 회수된 후, 화분으로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이 물과 함께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사람이 직접 화분을 창가로 옮기거나 시간에 맞춰 물을 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식물에게 적정량의 태양광 및 물이 공급된다. 또한, 흙에 포함된 영양분의 함유량이 최적수준으로 자동으로 유지되며, 식물의 성장을 돕는 음악이 자동으로 나오므로, 식물이 최적 상태에서 매우 잘 자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경보기로 알람램프 또는 알람기가 사용되었으나, 물의 부족시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문자 등이 전송되도록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관리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식물관리시스템 1...화분
10...관수탱크 21...공급관
32...회수관 40...집광기
50...광섬유 60...조사장치

Claims (3)

  1. 식물이 심겨져 있는 화분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관수탱크;
    상기 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화분에 공급된 후 상기 화분을 통과한 물을 상기 관수탱크로 회수하는 회수라인;
    실외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기; 및
    상기 집광된 광이 상기 식물에 조사되도록 상기 태양광을 가이드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을 통과한 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성분분석유닛; 및
    상기 성분분석유닛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분으로 영양분을 공급하는 영양분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에 조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분석하는 광분석기; 및
    상기 광분석기에서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기설정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관리시스템.
KR1020090048767A 2009-06-02 2009-06-02 식물관리시스템 KR101124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67A KR101124648B1 (ko) 2009-06-02 2009-06-02 식물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67A KR101124648B1 (ko) 2009-06-02 2009-06-02 식물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96A true KR20100130096A (ko) 2010-12-10
KR101124648B1 KR101124648B1 (ko) 2012-03-19

Family

ID=4350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767A KR101124648B1 (ko) 2009-06-02 2009-06-02 식물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05B1 (ko) * 2012-02-17 2013-11-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식물관리장치
CN105841031A (zh) * 2016-05-26 2016-08-10 常州大智光电有限公司 一种学生用花盆台灯
CN110100649A (zh) * 2019-05-29 2019-08-09 陈凯 一种室内客厅爬山虎高受光养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255A (ko) 2015-02-16 2016-08-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성장 관리 시스템
KR20190062707A (ko) 2017-11-29 2019-06-07 김정우 식물 관리용 모니터링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407A (ja) * 1998-12-04 2000-06-20 Ichiro Sakai プラスチック光ケ―ブルによる太陽光利用多段式養液栽培・野菜園芸システム
KR100518900B1 (ko) * 2004-02-26 2005-10-05 신용오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05B1 (ko) * 2012-02-17 2013-11-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식물관리장치
CN105841031A (zh) * 2016-05-26 2016-08-10 常州大智光电有限公司 一种学生用花盆台灯
CN110100649A (zh) * 2019-05-29 2019-08-09 陈凯 一种室内客厅爬山虎高受光养殖装置
CN110100649B (zh) * 2019-05-29 2021-09-14 陈凯 一种室内客厅爬山虎高受光养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648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50778U (zh) 一种多模式自动浇花装置
KR101124648B1 (ko) 식물관리시스템
WO2016002250A1 (ja) 太陽光パネル付高設棚養液栽培システム
US8627597B2 (en) Green wall system
CN203745872U (zh) 一种大棚自动化控制系统
CN103718728A (zh) 水肥一体化精细管理系统
US20090038221A1 (en) Outdoor gard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20110029795A (ko)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JP2020039293A (ja) 自動潅水式立体的植栽装置
CN113039979A (zh) 一种柑橘潮汐育苗苗床升降机构
KR20100097326A (ko) 차세대 어항
KR20210023486A (ko) 유틸리티 공급장치를 갖춘 스마트 재배시스템
KR101815422B1 (ko) 에브타이드 공법을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CN104798668A (zh) 大规模花盆供水装置
JP5615501B2 (ja) 植物栽培装置
Boby et al. Exploring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vertical gardens in Indian context
CN211671605U (zh) 一种精控温湿度的温室大棚
CN111011181B (zh) 智能花箱控制系统及方法
CN109258223B (zh) 一种花卉养殖装置
CN202819080U (zh) 植物培养装置
CN102150607B (zh) 一种林木切枝水培装置
CN214338978U (zh) 一种苗木栽培养护用的可移动装置
KR200429390Y1 (ko)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JP2004248550A (ja) 壁面緑化装置および壁面緑化方法
CN215774536U (zh) 一种林业用育苗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