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413A -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413A
KR20100129413A KR1020090047968A KR20090047968A KR20100129413A KR 20100129413 A KR20100129413 A KR 20100129413A KR 1020090047968 A KR1020090047968 A KR 1020090047968A KR 20090047968 A KR20090047968 A KR 20090047968A KR 20100129413 A KR20100129413 A KR 2010012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image
display
image
light emitting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839B1 (ko
Inventor
이효철
곽충열
임규훈
박향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839B1/ko
Priority to US12/610,446 priority patent/US8456520B2/en
Publication of KR2010012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413A/ko
Priority to US13/897,783 priority patent/US963535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5Image reproducers alternating rapidly the location of the left-right image components on the display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은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번갈아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광을 차단한다.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광을 제공한다.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을 소등시킴으로써 상기 혼재된 영상에 의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차원 영상, 크로스 토크, 좌안 영상, 우안 영상

Description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AND DISPLAY DEVICE FOR PERFORM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게임, 영화 등과 같은 분야에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가지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분리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관찰자는 양안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보게 되고, 뇌에서 이 영상들을 융합하여 입체감을 시인하게 된다.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크게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무안경 방식으로는 시차장벽(Parallax barrier) 방식과 렌티큘라(Lenticular) 방식이 있다. 상기 무안경 방식은 안경을 쓰지 않고도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는 장점을 가 지고 있으나, 관찰 위치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동시에 다수의 관찰자가 고품질의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안경 방식으로는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러프(anaglyph) 방식과,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 시킨 액정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셔터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액정셔터 안경 방식을 채용한 입력영상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에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고, 표시되는 영상에 맞춰 안경에 부착된 액정 셔터를 개폐시킴으로써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좌안 영상에서 우안 영상으로 전환되거나, 반대로 우안 영상에서 좌안 영상으로 전환될 때 위에서 아래로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이때,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표시되는 부분에서 크로스 토크(Cross-Talk)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 시 방법은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번갈아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광을 차단한다.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광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광원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번갈아 표시한다. 상기 광원 모듈은 복수의 발광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은 소등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은 점등한다.
이러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을 소등시킴으로써 상기 혼재된 영상에 의한 크로스 토크(Cross-Talk)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모듈(200), 편광 패널 모듈(300), 광원 모듈(400) 및 편광 안경(5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은 120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좌안 영상 프레임을 표시한 후 연속해서 우안 영상 프레임을 표시한다.
상기 편광 패널 모듈(300)은 복수의 세그먼트들(S1,..,Sn)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광 패널 모듈(300)은 제1 편광 모드와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상기 제1 편광 모드는 제1 편광축(311)을 가지고 상기 제2 편광 모드는 제2 편광축(313)을 가진다. 상기 세그먼트들(S1,..,Sn)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되어 상기 주사 방향(SD)으로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상기 좌안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면 상기 편광 패널 모듈(300)은 상기 제1 편광축(311)을 가지는 제1 편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상기 우안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면 상기 편광 패널 모듈(300)은 상기 제2 편광축을 가지는 제2 편광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1 편광축(311)과 상기 제2 편광축(313)은 λ/2 위상 지연 차를 가진다.
상기 광원 모듈(400)은 복수의 발광 블록들(B1,..,Bn)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 블록들(B1,..,Bn)은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주사 방 향(SD)으로 배열된다. 상기 발광 블록들(B1,..,Bn)은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점등 및 소등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의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은 소등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의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은 점등된다.
상기 편광 안경(500)은 좌안 렌즈부(511)와 우안 렌즈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좌안 렌즈부(511)는 상기 제1 편광축을 갖는 제1 편광 필름(511a)과 제1 셔터(511b)를 포함하고, 상기 우안 렌즈부(513)는 상기 제2 편광축을 갖는 제2 편광 필름(513a)과 제2 셔터(513b)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 안경(500)은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표시되는 좌안 및 우안 영상 프레임에 동기되어 구동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상기 좌안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면 상기 편광 패널 모듈(400)은 제1 편광축(411)의 광을 투과하고, 이때 상기 편광 안경(500)은 제1 셔터(511b)를 열고 제2 셔터(513b)를 닫아 상기 좌안 렌즈부(511)를 통해 사람은 좌안 영상을 인식한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상기 우안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면 상기 편광 패널 모듈(400)은 제2 편광축(411)의 광을 투과하고, 이때 상기 편광 안경(500)은 제2 셔터(513b)를 열고 제1 셔터(511b)를 닫아 상기 우안 렌즈부(513)를 통해 사람은 좌안 영상을 인식한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영상 처리부(100), 적외 선 발생부(190), 표시 패널 모듈(200), 편광 패널 모듈(300) 및 광원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데이터 분리부(110), 스케일러(130) 및 타이밍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분리부(110)는 외부로부터 3차원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3차원 영상 프레임을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분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분리부(110)는 6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상기 3차원 영상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스케일러(130)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상기 표시 장치에 적용된 해상도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150)는 고속 프레임 주파수로 동작하여 좌안 영상 프레임 및 우안 영상 프레임을 번갈아 출력한다(DATA).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150)는 120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상기 좌안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우안 영상 프레임을 번갈아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150)는 상기 적외선 발생부(190),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 상기 편광 패널 모듈(300) 및 상기 광원 모듈(400)들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150)는 상기 적외선 발생부(190)에 적외선 제어신호(100i)를 제공하고,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에 데이터 제어신호(100d) 및 게이트 제어신호(100g)를 제공하고, 상기 편광 패널 모듈(300)에 편광 제어신호(100p)를 제공하고, 상기 광원 모듈(400)에 광원 제어신호(100e)를 제공한다.
상기 적외선 발생부(190)는 상기 적외선 제어신호(100i)에 응답하여 적외선을 발생한다. 상기 적외선 발생부(190)는 상기 적외선 제어신호(100i)에 응답하여 적외선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편광 안경(500)은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들(511b, 513b)은 상기 적외선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된다.
상기 표시 패널 모듈(200)은 표시 패널(210) 및 표시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210)은 상기 해상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영상 프레임을 표시한다. 상기 화소들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TR)와, 상기 스위칭 소자(TR)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구동부(250)는 데이터 구동부(230) 및 게이트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230)는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100d)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을 수평 라인 단위로 상기 표시 패널(210)의 데이터 배선들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100d)는 도트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평동기신호, 반전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40)는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100g)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210)의 게이트 배선들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100g)는 클럭 신호, 클럭 반전 신호, 수직동기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패널 모듈(300)은 편광 패널(310) 및 편광 구동부(350)를 포함한 다. 상기 편광 패널(310)은 복수의 세그먼트들(S1,...,Sn)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 구동부(350)는 상기 편광 제어신호(100p)에 기초하여 상기 세그먼트들(S1,...,Sn)을 개별적으로 제1 편광 또는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상기 세그먼트들(S1,...,Sn) 각각은 k(k는 자연수)개의 게이트 배선들에 대응한다. 즉, 제1 세그먼트(S1)는 제1 내지 제k 게이트 배선들에 대응하고, 제2 세그먼트(S2)는 제k+1 내지 제2k 게이트 배선들에 대응하고, 같은 방식으로 제n 세그먼트(Sn)는 제(n-1)k+1 내지 제nk 게이트 배선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 구동부(350)는 상기 제1 세그먼트(S1)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k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이 각각 인가되고 상기 제1 세그먼트(S1)에 대응하는 제1 표시 블록(I1)에 좌안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1 세그먼트(S1)를 제1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반면, 상기 편광 구동부(350)는 상기 제1 세그먼트(S1)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k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이 각각 인가되고 상기 제1 세그먼트(S1)에 대응하는 제1 표시 블록(I1)에 우안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1 세그먼트(S1)를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상기 광원 모듈(400)은 광원 유닛(410) 및 광원 구동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유닛(410)은 복수의 발광 블록들(B1,...,Bn)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 블록들(B1,...,Bn)의 개수는 상기 편광 패널(310)의 세그먼트들(S1,...,Sn)의 개수에 대응한다. 즉, 제1 발광 블록(B1)은 제1 표시 블록(I1)에 대응하고, 제2 발광 블록(B2)은 제2 표시 블록(I2)에 대응하고, 같은 방식으로 제n 발광 블록(Bn)은 제n 표시 블록(In)에 대응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상기 광원 제어신호(100e)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블록들(B1,...,Bn)을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상기 발광 블록들(B1,...,Bn)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상기 발광 블록들(B1,...,Bn) 각각을 점등 또는 소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상기 제1 표시 블록(I1)에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블록(B1)을 점등한다. 반면, 상기 제1 표시 블록(I1)에 표시되는 영상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혼재된 경우, 상기 제1 발광 블록(B1)을 소등시킨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광원 모듈에 대한 다양한 예들이다.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 모듈(400)은 복수의 발광 블록들(B1,..,Bn)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 블록들(B1,..,Bn)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411)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 모듈(400)은 복수의 발광 블록들(B1,..,Bn)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 블록들(B1,..,Bn) 각각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41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 모듈(400)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 발광 모듈(414, 416) 및 도광판(418)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에지 발광 모듈(414)은 상기 도광판(418)의 제1 에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발광 블록들(B11,..,B1n)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에지 발광 모듈(316)은 상기 도광판(418)의 제1 에지와 대향하는 제2 에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발광 블록들(B21,..,B2n)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들(B11,..,B1n)은 상기 광원 구동부(450)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 되고, 상기 제2 발광 블록들(B21,..,B2n)은 상기 제1 발광 블록들(B11,..,B1n)과 동기되어 구동된다. 상기 발광 블록들(B11,..,B1n, B21,..,B2n)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412)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광원 모듈(400)은 상기 제1 및 제2 에지 발광 모듈(414, 416) 중 하나의 에지 발광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2의 표시 장치에 의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발광 블록 및 세그먼트 각각의 개수가 4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210)의 전체 영역에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편광 패널(310)의 제1, 제2,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S1, S2, S3, S4)을 상기 우안 영상에 대응하여 모두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편광 모드는 상기 편광 패널(310)이 오프 된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광원 유닛(410)의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2, B3, B4)은 모두 점등한다. 즉,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2, B3, B4)에 대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I1, I2, I3, I4)에 모두 우안 영상이 표시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2, B3, B4)은 모두 점등(ON)된다.
도 2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210)에 표시된 영상이 우안 영상에서 좌안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제1 표시 블록(I1)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I2, I3, I4)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편광 패널(310)의 제1 세그먼트(S1)는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에 대응하여 제1 편광 모드로 구동하고, 제2,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S2, S3, S4)은 우안 영상에 대응하여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상기 제1 세그먼트(S1)는 상기 제1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좌안 영상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우안 영상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편광 모드는 상기 편광 패널(310)이 온 된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광원 유닛(410)의 제1 발광 블록(B1)은 소등(OFF)된다. 즉,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블록(I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발광 블록(B1)을 소등시킨다. 한편,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2, B3, B4)을 점등(ON)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세그먼트(S1)를 통과하는 광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혼재된 영상이 관찰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Cross-Talk)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210)의 제1 표시 블록(I1)은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제2 표시 블록(I2)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하고,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I3, I4)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편광 패널(310)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S1, S2)은 좌안 영상에 대응 하여 제1 편광 모드로 구동하고,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S3, S4)은 우안 영상에 대응하여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즉, 상기 제2 세그먼트(S2)는 상기 제1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좌안 영상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우안 영상에 대응한다.
이 경우, 상기 광원 유닛(410)의 제2 발광 블록(B2)은 소등(OFF)된다. 즉,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블록(I2)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발광 블록(B2)을 소등시킨다. 한편,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제1,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3, B4)을 점등(ON)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2 세그먼트(S2)를 통과하는 광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혼재된 영상이 관찰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210)의 제1 및 제2 표시 블록들(I1, I2)은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제3 표시 블록(I3)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하고, 제4 표시 블록들(I4)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편광 패널(310)의 제1, 제2 및 제3 세그먼트들(S1, S2, S3)은 좌안 영상에 대응하여 제1 편광 모드로 구동하고, 제4 세그먼트(S4)는 우안 영상에 대응하여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즉, 상기 제3 세그먼트(S3)는 상기 제1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좌안 영상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우안 영상에 대응 한다.
이 경우, 상기 광원 유닛(410)의 제3 발광 블록(B3)은 소등(OFF)된다. 즉,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3 표시 블록(I3)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발광 블록(B3)을 소등시킨다. 한편,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제1, 제2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2, B4)을 점등(ON)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3 세그먼트(S3)를 통과하는 광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혼재된 영상이 관찰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210)의 제1, 제2 및 제3 표시 블록들(I1, I2, I3)은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제4 표시 블록(I4)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편광 패널(310)의 제1, 제2,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S1, S2, S3, S4)은 좌안 영상에 대응하여 제1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즉, 상기 제4 세그먼트(S4)는 상기 제1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좌안 영상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편광 모드에 대응하는 우안 영상에 대응한다.
이 경우, 상기 광원 유닛(410)의 제4 발광 블록(B4)은 소등(OFF)된다. 즉,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4 표시 블록(I4)에 대응하는 상기 제4 발광 블록(B4)을 소등시킨다. 한편,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제1, 제2 및 제3 발광 블록들(B1, B2, B3)을 점등(ON)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4 세그먼트(S4)를 통과하는 광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혼재된 영상이 관찰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f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210)의 전체 영역에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편광 패널(310)의 제1, 제2, 제3 및 제4 세그먼트들(S1, S2, S3, S4)을 상기 좌안 영상에 대응하여 모두 제1 편광 모드로 구동한다.
이 경우, 상기 광원 구동부(450)는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2, B3, B4)을 모두 점등(ON)시킨다. 즉,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2, B3, B4)에 대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I1, I2, I3, I4)에 모두 좌안 영상이 표시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B1, B2, B3, B4)은 모두 점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을 소등시킴으로써 상기 혼재된 영상에 의해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광원 모듈에 대한 다양한 예들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2의 표시 장치에 의해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영상 처리부 110 : 데이터 분리부
130 : 스케일러 150 : 타이밍 제어부
200 : 표시 패널 모듈 210 : 표시 패널
250 : 표시 구동부 300 : 편광 패널 모듈
310 : 편광 패널 350 : 편광 구동부
400 : 광원 모듈 410 : 광원 유닛
450 : 광원 구동부 190 : 적외선 발생부
500 : 편광 안경

Claims (12)

  1.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번갈아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광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편광 패널의 세그먼트를 상기 표시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제1 편광 모드 또는 제2 편광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블록에 좌안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세그먼트는 제1 편광축을 가지는 제1 편광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 블록에 우안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세그먼트는 제2 편광축을 갖는 제2 편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는 상기 제1 또는 제2 편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5.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번갈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복수의 발광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은 소등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발광 블록은 점등하는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그먼트들 각각은 상기 표시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제1 편광 모드 또는 제2 편광 모드로 동작하는 편광 패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혼재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블록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는 상기 제1 또는 제2 편광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블록들의 개수와 상기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 및 상기 발광 블록들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주사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모드는 제1 편광축을 가지고, 상기 제2 편광 모드는 상기 제1 편광축과 위상이 λ/2 지연된 제2 편광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블록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블록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90047968A 2009-06-01 2009-06-01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64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968A KR101640839B1 (ko) 2009-06-01 2009-06-01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12/610,446 US8456520B2 (en) 2009-06-01 2009-11-02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3/897,783 US9635350B2 (en) 2009-06-01 2013-05-20 Light controlling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968A KR101640839B1 (ko) 2009-06-01 2009-06-01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413A true KR20100129413A (ko) 2010-12-09
KR101640839B1 KR101640839B1 (ko) 2016-07-20

Family

ID=4321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968A KR101640839B1 (ko) 2009-06-01 2009-06-01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456520B2 (ko)
KR (1) KR101640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18B1 (ko) * 2011-03-21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303A1 (en) * 2007-06-08 2008-12-25 Joseph Chiu Display Device
US9088792B2 (en) * 2007-06-08 2015-07-21 Reald Inc. Stereoscopic flat panel display with synchronized backlight, polarization contro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89126B1 (ko) * 2009-02-05 2010-10-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640839B1 (ko) * 2009-06-01 2016-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10157260A1 (en) * 2009-12-30 2011-06-30 Jayoung Pyun 3d image display device
CN102213851A (zh) * 2010-04-12 2011-10-12 辉达公司 用于显示三维立体图像的液晶显示器、系统及方法
KR101729759B1 (ko) * 2010-12-10 2017-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20120079354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셔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
WO2013053113A1 (en) * 2011-10-12 2013-04-18 Mediatek Inc.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964892B1 (ko) * 2012-03-21 2019-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10082675B2 (en) 2014-10-21 2018-09-25 Reald Inc. High power handling polarization switches
EP3210074B1 (en) 2014-10-21 2021-12-01 RealD Inc. High power handling polarization switch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596A (ja) * 2000-03-30 2001-10-10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表示素子および空間分割フィルターおよび偏光フィルターおよび光線非透過領域形成板
WO2005012980A1 (ja) * 2003-07-30 2005-02-10 Seijiro Tomita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05077437A (ja) * 2003-08-29 2005-03-24 Olympus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並びに車載用映像表示装置
KR20090018528A (ko) * 2007-08-17 200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2570B1 (en) * 1997-02-25 2001-06-26 Gateway, Inc. Polarized three-demensional video display
KR100878217B1 (ko) 2001-08-28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4088878B2 (ja) * 2002-09-06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AU2003289238A1 (en) * 2002-12-06 2004-06-3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050384A1 (en) * 2004-09-08 2006-03-09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in auto-stereoscopic format
JP4331134B2 (ja) * 2005-03-25 2009-09-16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183352B1 (ko) 2006-06-07 2012-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508526B2 (en) * 2006-08-16 2013-08-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tereo display and display
KR101299728B1 (ko) * 2007-01-24 201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효율 디스플레이 장치
US8659641B2 (en) * 2007-05-18 2014-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ereoscopic 3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black data insertion
KR101406795B1 (ko) * 2007-05-30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이 가능한 백라이트를 이용한 풀해상도의2차원/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80106870A (ko) 2007-06-04 2008-12-09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스캐닝 백라이트유닛
US8363096B1 (en) * 2007-08-21 2013-01-29 Echopixe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3D images with a liquid crystal panel
WO2009069026A2 (en) * 2007-11-28 2009-06-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visualization
KR101362771B1 (ko) * 2008-09-17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00111082A (ko) *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640839B1 (ko) * 2009-06-01 2016-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00321474A1 (en) * 2009-06-18 2010-12-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596A (ja) * 2000-03-30 2001-10-10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表示素子および空間分割フィルターおよび偏光フィルターおよび光線非透過領域形成板
WO2005012980A1 (ja) * 2003-07-30 2005-02-10 Seijiro Tomita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05077437A (ja) * 2003-08-29 2005-03-24 Olympus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並びに車載用映像表示装置
KR20090018528A (ko) * 2007-08-17 200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18B1 (ko) * 2011-03-21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50076A1 (en) 2013-09-26
US20100302353A1 (en) 2010-12-02
US8456520B2 (en) 2013-06-04
KR101640839B1 (ko) 2016-07-20
US9635350B2 (en)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839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0813975B1 (ko)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2019466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 image display system
KR101906402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00111082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99863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N103813157B (zh) 自动立体图像显示器及其驱动方法
KR101922722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2067612A (zh) 具有像素化发光体的自动立体显示器
CN104717475A (zh)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201301278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11574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125416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68850A (ko)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124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20110085612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20249525A1 (en) Display system
KR101598396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632340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7618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59575B1 (ko) 2차원 겸용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68604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12721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681777B1 (ko) 스캐닝 백라이트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0834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