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255A - 전기매트 진열대 - Google Patents

전기매트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255A
KR20100129255A KR1020100110837A KR20100110837A KR20100129255A KR 20100129255 A KR20100129255 A KR 20100129255A KR 1020100110837 A KR1020100110837 A KR 1020100110837A KR 20100110837 A KR20100110837 A KR 20100110837A KR 20100129255 A KR20100129255 A KR 2010012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at
support plate
electric
fram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최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석 filed Critical 최은석
Priority to KR102010011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9255A/ko
Publication of KR2010012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3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furniture, e.g. beds,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매장에서도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전기매트를 각 종류별로 진열할 수 있고 진열된 전기매트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매트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서 수직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는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 사이에서 일정간격으로 상하로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플레이트(2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0)가 상기 수직프레임(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20)와 상기 수직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진열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기매트를 각 종류별로 다수의 받침플레이트(20)에 구분하여 진열할 수 있고, 필요시 받침플레이트(20)를 인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매트 진열대{Display stand for electric mat}
본 발명은 전기매트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매트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진열함으로써 종류에 따라 쉽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기매트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매트(전기장판) 매장에서는 제조회사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전기매트가 판매되어 있으나, 전기매트가 너무 넓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각 종류별로 진열하기에는 매장의 내부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1과 같이 각 매장에서는 전기매트를 포개어 쌓아 둔 상태에서 고객의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종류의 매트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한 경우에 여러 전기매트가 쌓여 있고 전기매트가 매우 무거우므로 아래에 있는 전기매트를 보여주기 위해 위쪽에 적층된 전기매트를 한쪽에서 들어올려야 하거나, 하나씩 외측으로 옮겨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전기매트의 외관이나 품질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거나 중량의 전기매트를 옮기는 작업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매장에서도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전기매트를 각 종류별로 진열할 수 있고 진열된 전기매트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매트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서로 간의 위치가 고정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 사이에서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기매트가 각각 안착되는 다수의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가 상기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기 위하여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진열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기매트를 각 종류별로 다수의 받침플레이트에 구분하여 진열할 수 있고, 필요시 받침플레이트를 인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플레이트의 수용될 수 없는 더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가 진열되기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가 인출되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기매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아치형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플레이트에 전기매트를 올려 안착시키는 작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롤러가 돌출된 상태로 분산되어 설치됨으로써 전기매트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안쪽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전기매트의 작동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플레임의 측면에는 전기콘센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치형 프레임에 올려지는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가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도록 아치형 프레임의 상면에 고무스트랩(strap)이 부착되거나 고무피복이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매트 진열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기매트 판매매장에서 전기매트를 각 종류별로 다수의 받침플레이트에 구분하여 진열할 수 있고, 필요 시 받침플레이트를 인출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 진열상태가 정리되고 전기매트를 종류별로 비교하기 위하여 확인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아치형 프레임이 설치됨으로써 통상의 전기매트의 크기보다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를 올려 진열할 수 있다. 또한, 아치형 프레임이 받침플레이트의 인출방향과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아치형 프레임에 올려진 전기매트가 양측 아래로 늘어지더라도 받침플레이트의 인출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아치형 프레임의 상면에는 고무스트랩이 부착되어 올려지는 전기매트가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는다.
셋째, 본 발명의 받침플레이트에는 상면에 구름롤러가 다수개 설치됨으로써 중량물인 전기매트를 일부만 걸친 채 밀어 넣을 수 있으므로 전기매트를 받침플레이트에 안착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는 전기콘센트가 설치되어 전기매트의 전원플러그를 바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진열되어 있는 전기매트의 작동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매트 판매장에서 전기매트를 진열하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의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플레이트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플레이트의 스토퍼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의 받침플레이트에 전기매트를 안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10)는,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서로간의 위치가 고정되는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 사이에서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플레이트(2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0)가 상기 수직프레임(30)으로부터 인출되기 위해, 상기 받침플레이트(20)와 상기 수직프레임(3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 진열대(10)를 제공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은 긴 사이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된다. 양측에 설치된 수직프레임(30)의 사이에는 다수의 받침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각 양측에는 2개씩의 봉체 형상의 기둥(31a,31b; 32a,32b)이 소정의 폭을 두고 세워진다. 양측에 있는 각 2개의 기둥(31a,31b; 32a,32b)은 그 2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체(31c,32c)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또한 최하단의 베이스플레이트(70)에 의해서도 고정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 부분은 최하단의 베이스플레이트(70)에 고정됨으로써 서로 간의 위치가 고정되며, 후술하는 상부의 아치형 프레임(40)에 의해서도 서로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의 하부에는 바퀴(72)가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매트 진열대(10)가 매장 내의 소정지점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 사이에는 받침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0)는 다수개가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팽행하게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플레이트(20)는 판상체로 구성되어 전기매트(1)를 상면에 올려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판상체는 판(版)체(21)의 형태뿐 아니라, 판체(21)의 윤곽을 따라 프레임을 이루는 봉체가 설치됨으로써 전기매트(1)를 받치기에 충분한 프레임 형태까지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받침플레이트(20)의 전면에는 손잡이(24)가 또한 설치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0)의 측면과 상기 수직프레임(30) 사이에는 슬라이딩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0)는 받침플레이트(20)가 절반이상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소정길이만 인출되는 슬라이딩부재(50)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슬라이딩부재(50)는 수직프레임(30)에 고정되는 외측 고정바와 받침플레이트(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딩바 사이에 볼 또는 롤러가 내장됨으로써 슬라이딩이 발생한다. 그와 같은 슬라이딩부재(50)는 공지되어 있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부재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부에는 양측의 수직프레임(30)을 연결하는 아치형 프레임(40)이 형성된다. 상기 아치형 프레임(40)은 도 2와 같이 2개가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이상의 아치형 프레임(40)이 나란히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아치형 프레임(40)에는 받침플레이트(20)에서 수용될 수 없는 더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가 진열된다.
상기 아치형 프레임(40)이 양측의 수직프레임(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됨으로써 2개의 아치형 프레임(40)이 나란히 연장되는 방향은 받침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방향과 직각이 된다. 상기 2개의 아치형 프레임(40)은 소정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아치형 프레임(40)이 전기매트(2)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아치형 프레임(40)에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가 올려질 수 있고, 그 올려진 상태에서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가 아래로 늘어지더라도 받침플레이트(20)의 인출동작 및 진열상태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아치형 프레임(40) 사이에는 강도의 보강 및 올려지는 전기매트(1)를 지지하기 위하여 가로의 보강프레임(4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치형 프레임(40)에 올려지는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가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도록 아치형 프레임(40)의 상면에 고무스트랩(strap;45)이 부착된다. 고무스트랩(45)은 전기매트(2)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전기매트(2)가 미끄러져 내려오려는 힘에 저항한다. 고무스트랩(45)은 아치형 프레임(40)의 상면에 접착하여 부분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나, 아치형 프레임(40)에 고무피복으로 전체적으로 코팅하거나 고무스트랩을 전체적으로 부탁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매트 진열대(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기매트 진열대(10)에는 다수의 받침플레이트(20)가 상하로 설치되므로 그 각각에 종류에 따라 전기매트(1)가 안착될 수 있다. 각 받침플레이트(20)는 슬라이딩부재(50)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전기매트(1)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된 아치형 프레임(40)에는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가 진열될 수 있다. 상기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는 통상의 전기매트(1)보다 크게 생산된 제품인 경우로서 받침플레이트(20)가 수용할 수 없는 크기이다.
상기 아치형 프레임(40)은 아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길이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받침플레이트(20)의 길이에 비해 매우 길다. 따라서,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라 하더라도 얼마든지 수용이 가능하다.
상기 아치형 프레임(40)에는 고무스트랩(45)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올려진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2)와 고무스트랩(4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전기매트(2)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받침플레이트(2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의 전기매트 진열대(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하되, 받침플레이트(20′)의 상면에 구름롤러(22) 및 스토퍼(26)가 더 설치되고, 수직프레임(30)의 하부에 전기콘센트(60)가 더 설치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름롤러(22)는 받침플레이트(20′)의 상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름롤러(22)는 다수개가 받침플레이트(2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분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전기매트(1)의 일측이 받침플레이트(20′)에 걸쳐진 상태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구름롤러(22)와 전기매트(1)의 하면이 다수지점에서 접촉하면서 전기매트(1)가 쉽게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받침플레이트(20′)의 양측부에는 스토퍼(26)가 더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26)는 받침플레이트(20′)가 인출된 상태에서 받침플레이트(20′)의 상면에 전기매트(1)를 밀어 넣을 때, 받침플레이트(20′)도 함께 밀려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게 고정시키고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스토퍼(26)는 받침플레이트(20′)의 바닥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되고 힌지축(261)을 중심으로 꺼내서 선회시키면 받침플레이트(20′)의 측방향으로 젖혀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트퍼(26)는 수직프레임(30)에 걸린 상태가 될 수 있고, 받침플레이트(20′)가 안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받침플레이트(20′)에는 스토퍼(26)가 안착되는 안착홈(2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214)은 손가락이 들어가 스토퍼(26)를 꺼낼 수 있도록 여유공간(263)이 형성되며, 받침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힌지축(261)에 스토퍼(26)의 일측이 힌지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매트 진열대(10′)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매트를 안착시킬 받침플레이트(20′)의 손잡이를 잡고 받침플레이트(20′)를 앞쪽으로 인출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0′)는 설치된 슬라이딩부재(50)의 슬라이딩 길이의 제한으로 받침플레이트(20′) 길이의 절반 이상이 인출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전기매트(1)의 일측을 도 7과 같이 걸친 상태에서 받침플레이트(20′)의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다수의 구름롤러(22)가 돌출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구름롤러(22)의 구름작용으로 무거운 전기매트(1)가 쉽게 안쪽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이 때, 받침플레이트(20′)의 스토퍼(26)가 젖혀진 상태로서 받침플레이트(20′)는 스토퍼(26)가 수직프레임(30)에 걸려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매트(1)를 밀어 넣을 때 받침플레이트(20′)가 함께 안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작업을 방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전기매트 진열대(10′)에는 수직프레임(30)의 측면에 전기콘센트(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전기콘센트(60)는 전기매트(1,2)의 전기플러그를 꽂아 전기매트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작동상태를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전기매트 2; 큰 사이즈의 전기매트
10,10′; 전기매트 진열대 20,20′; 받침플레이트
21; 판체 214; 안착홈
22; 구름롤러 24; 손잡이
26; 스토퍼 261; 힌지축
263; 여유공간 30; 수직프레임
31a,31b; 기둥 31c,32c; 연결봉체
32a,32b; 기둥 40; 아치형 프레임
43; 보강프레임 45; 고무스트랩
50; 슬라이딩부재 60; 전기콘센트
70; 베이스플레이트 72; 바퀴

Claims (5)

  1.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서로간의 위치가 고정되는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 사이에서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기매트가 각각 안착되는 다수의 받침플레이트(20,2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0,20′)가 상기 수직프레임(30)으로부터 인출되기 위하여 상기 받침플레이트(20,20′)와 상기 수직프레임(3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 진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부에는 상기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20,20′)가 인출되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기매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아치형 프레임(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 진열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0,20′)의 상면에는 다수의 구름롤러(22)가 돌출된 상태로 분산되어 설치됨으로써 전기매트가 상기 받침플레이트(20,2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 진열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측면에는 전기콘센트(6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 진열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프레임(40)의 상면에는 고무스트랩(45)이 부착되거나, 고무피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 진열대
KR1020100110837A 2010-11-09 2010-11-09 전기매트 진열대 KR20100129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37A KR20100129255A (ko) 2010-11-09 2010-11-09 전기매트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37A KR20100129255A (ko) 2010-11-09 2010-11-09 전기매트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255A true KR20100129255A (ko) 2010-12-08

Family

ID=4350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837A KR20100129255A (ko) 2010-11-09 2010-11-09 전기매트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92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918A1 (en) 2011-12-19 2013-06-27 Lg Innotek Co., Ltd.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nano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08835B1 (ko) * 2020-07-13 2021-10-01 조석진 컨테이너를 이용한 예술품 보관 및 전시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918A1 (en) 2011-12-19 2013-06-27 Lg Innotek Co., Ltd.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nano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08835B1 (ko) * 2020-07-13 2021-10-01 조석진 컨테이너를 이용한 예술품 보관 및 전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312B2 (en) Display fixture with cantilevered shelf
US20040238465A1 (en) Case or rack for panels
US9398818B2 (en) Display system with suspended merchandise support
WO2009157971A2 (en) Arts display
US8464879B2 (en) Retail display stand
KR20100129255A (ko) 전기매트 진열대
CN205708383U (zh) 一种自动存储立体货架
US1938126A (en) Barrel hoisting and display rack
CN2922062Y (zh) 吊挂装置
CN206105809U (zh) 板材分类摆放架
KR101344595B1 (ko) 물품 진열대의 자동승강장치
US7905363B2 (en) Presentation apparatus
CN106667071B (zh) 自平衡墙面置物架
KR200480454Y1 (ko) 상품진열대
CN204561403U (zh) 多功能放置架
JP6692143B2 (ja) 収納箱の吊り下げ構造
CN209769834U (zh) 板材展示用多功能展示支架
CN206403463U (zh) 衣物转运架
US1162989A (en) Rug-display rack.
CN105818842A (zh) 一种电子装置测试台车
CN217137370U (zh) 一种多层次可移动安装展示架
CN219628143U (zh) 电器柜构件摆放架
JP3121506U (ja) 平行棒支持装置
WO2014023937A1 (en) Apparatus for lifting shelves
JP7126258B2 (ja) ブラケット、商品陳列棚装置及び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