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627A -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627A
KR20100128627A KR1020090047130A KR20090047130A KR20100128627A KR 20100128627 A KR20100128627 A KR 20100128627A KR 1020090047130 A KR1020090047130 A KR 1020090047130A KR 20090047130 A KR20090047130 A KR 20090047130A KR 20100128627 A KR20100128627 A KR 2010012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ckaging material
parts
volume
elastic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선
Original Assignee
남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선 filed Critical 남궁선
Priority to KR102009004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627A/ko
Publication of KR2010012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6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 E01C13/065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at least one in situ layer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층과, 상기 기층 위에 포설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층, 그리고 상기 여과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층은, 복수의 배수공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를 상기 기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배수, 배수공, 탄성

Description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Elastic pav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성 포장재는 인도, 조깅트랙, 운동장, 놀이터 따위의 바닥에 시공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 포장재 위에서는 스포츠 활동과 같이 사용자 들이 활동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 포장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어린이나 노약자의 보행이나 운동 시에 관절을 보호하고, 충격량을 흡수하여 부상을 방지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은, 탄성 포장재는 탄성소재인 우레탄과 같은 탄성소재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지반에 시공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 포장재는 우천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고이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고인 빗물에 의하여 탄성 포장재가 지반에 접착된 접착력이 약하여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지반에서 떨어진 부분은 들뜨는 문제가 발생하여 탄성 포장재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표층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포장재는, 기층과, 상기 기층 위에 포설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층, 그리고 상기 여과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층은, 복수의 배수공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를 상기 기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층은 20mm 내지 40mm의 자갈과 4mm 내지 5mm의 고무칩과 우레탄바인더가 혼합되며, 상기 고무칩은 상기 자갈의 75 내지 85 부피부에 대하여 5 내지 15 부피부로 혼합되고, 상기 우레탄바인더는 상기 자갈의 75 내지 85 부피부에 대하여 5 내지 15 부피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표층은 2mm 내지 4mm의 우레탄칩 또는 합성고무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합성고무칩은 에틸렌 프로필렌 비공액 디엔의 삼원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표층은 황토, 규사 및 우레탄바인더가 혼합되며, 상기 규사는 상기 황토의 55 내지 65 부피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부피부이며, 상기 우레탄바인더는 상기 황토의 55 내지 65 부피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부피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표층과 상기 여과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층은 시멘트와 골재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포장재 시공 방법은 지반을 평탄하게 다지는 단계, 상기 지반 위에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층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위에 복수의 배수공을 가지는 배수판을 배열하는 단계, 20mm 내지 40mm의 자갈과 4mm 내지 5mm의 고무칩과 우레탄바인더를 혼합하여, 상기 배수판 위에 여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여과층 위에 고정망을 놓은 단계, 상기 고정망 위에 포설하여 표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층을 평탄화하여 탄성 포장재 시공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층은,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황토, 규사, 우레탄바인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층과 여과층을 투수한 오수는 여과층에서 오수의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층을 통과한 오수는 배수층의 배수공을 통하여 기층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오수는 기층과 배수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배수로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층에 있는 오수가 원활히 투수되어 표층에는 오수가 고이지 않아 표층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롤러의 가압으로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지면 서 고정망의 저면이 여과층에, 상면은 표층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과층과 표층에 삽입된 고정망에 의하여 여과층과 표층의 층간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에 따라 표층은 여과층에서 들뜨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어 들뜨는 변형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층이 황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황토은 우레탄바인더와 혼합되어 견고하며 자연친화적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포장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포장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탄성 포장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포장재(1)는 기층(10), 배수층(30), 여과층(40), 그리고 표층(60)을 포함한다.
먼저, 탄성 포장재(1)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시공되는 장소의 지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다짐 작업을 실시한다.
다짐이 완료된 지반 위에는 기층(10)이 형성된다. 기층(10)은 골재와 시멘 트가 기설정된 비율로 혼합되어 포설된다. 기층(10)에는 배수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골재와 시멘트의 혼합 비율은 탄성 포장재의 시공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층(10)은 골재와 시멘트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기층(10)이 굳은 후 먼지나 오물 등을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프라이머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한다. 프라이머층(20)은 재료분리현상을 방지하고 배수층(30)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배수층(30)은 프라이머층(20)위에 배열되며, 몸체(31) 및 지지대(32)를 포함한다.
몸체(31)는 기설정된 넓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배수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공(31a)의 크기는 1mm 내지 3mm 이다. 왜냐하면, 배수공(31a)의 크기가 1mm 이하이면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고, 3mm 이상이면 여과층(40)이 배수공(31a)으로 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31)의 저면에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고 한쪽 끝이 기층(10)과 맞닿는 지지대(32)가 배열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지지대(32)를 부분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몸체(31)의 저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32)의 기층(10)과 맞닿는 한쪽 끝은 프라이머층(20)에 접착되어 기층(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대(32)의 기설정된 길이에 의하여 몸체(31)는 기층(10)으로부터 떨어져 공간이 생긴다. 이러한 배수층(30)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수층(30) 위에는 여과층(40)이 형성된다.
여과층(40)은 몸체(31)의 위에 형성되며 20mm 내지 40mm의 자갈, 고무칩 및 우레탄바인더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자갈, 고무칩 및 우레탄바인더의 혼합비는 다음과 같다. 자갈의 75 내지 85 부피부에 대하여 고무칩이 5 내지 15 부피부로 혼합되고, 우레탄바인더는 자갈의 75 내지 85 부피부에 대하여 5 내지 15 부피부로 혼합된다. 그러나 자갈, 고무칩 및 우레탄바인더의 혼합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과층(40)의 위에는 고정망(50)이 놓여지며, 고정망(50)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고정망(50)은 인장력이 우수하여 끊어 지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망(50)의 위에는 표층(60)이 형성된다.
표층(60)은 2mm 내지 4mm의 우레탄칩 또는 합성고무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우레탄칩은 탄성이 우수하며, 인장력이 좋다. 우레탄칩으로 표층(60)이 이루어지는 경우, 인라인스케이트장,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따위의 경기장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합성고무칩은 에틸렌 프로필렌 그리고 비공액 디엔의 삼원공중합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칩) 이다.
이러한, 합성고무칩은 내오존성과 내한성, 내열성, 내용재성이 뛰어나고 색안정성이 좋아 다양한 색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합성고무칩인 삼원공중합체는 다른 합성고무칩에 비하여 비중이 가장 낮은 경제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합성고무칩으로 표층(60)이 형성된 경우 조깅로, 산책로, 자전거도로, 골장보경로, 육교, 통학로 따위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표층(60)은 황토, 규사 및 우레탄바인더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황토 대신 진흙 따위가 혼합될 수도 있다.
황토와 규사의 혼합 비율은 다음과 같다. 규사는 황토의 55 내지 65 부피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부피부로 혼합되고, 우레탄바인더는 황토의 55 내지 65 부피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부피부로 혼합된다.
이렇게 황토, 규사 및 우레탄바인더가 혼합되면서 황토가 굳게 되고 굳어진 황토는 바람에 날리거나 빗물 따위에 씻겨 내려 가지 않는다. 또한 황토에 의하여 자연친화적이며, 흙으로 이루어진 운동장과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규사의 혼합으로 표층(60)에 물이 고이는걸 방지하고 표층(60)의 파임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표층(60)이 형성된 다음 가열롤러(도시하지 않음)으로 표층(60)을 롤링하여 평탄화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가열롤러의 가압으로 고정망(50)의 저면은 여과층(40)에 고정망(50)의 상면은 표층(6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과층(40)과 표층(60)에 삽입된 고정망(50)에 의하여 여과층(40)과 표층(60)의 층간이 견고히 고정된다. 이에 따라 표층(60)은 여과층(40)에서 들뜨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비가 내리거나 오수가 표층(60) 위로 유입되면, 오수는 표층(60)과 여과층(40)을 투수하게 된다. 이때 여과층(40)에서 오수의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도 있다. 여과층(40)을 통과한 오수는 배수층(30)의 배수공(31a)을 통하여 기층(10) 위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오수는 기층(10)과 배수층(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배수로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층(60)에 있는 오수가 원활히 투수되어 표층(60)에는 오수가 고이지 않는다. 이렇게 표층(60)에 오수가 고이지 않아 표층(60)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포장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탄성 포장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층 20: 프라이머층
30: 배수층 31: 몸체
31a: 배수공 32: 지지대
40: 여과층 50: 고정망
60: 표층

Claims (9)

  1. 기층과,
    상기 기층 위에 포설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층, 그리고
    상기 여과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층
    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층은, 복수의 배수공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를 상기 기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탄성 포장재.
  2. 제1항에서,
    상기 여과층은 20mm 내지 40mm의 자갈과 4mm 내지 5mm의 고무칩과 우레탄바인더가 혼합되며, 상기 고무칩은 상기 자갈의 75 내지 85 부피부에 대하여 5 내지 15 부피부로 혼합되고, 상기 우레탄바인더는 상기 자갈의 75 내지 85 부피부에 대하여 5 내지 15 부피부로 혼합된 탄성 포장재.
  3. 제1항에서,
    상기 표층은 2mm 내지 4mm의 우레탄칩 또는 합성고무칩으로 이루어진 탄성 포장재.
  4. 제3항에서,
    상기 합성고무칩은 에틸렌 프로필렌 비공액 디엔의 삼원 공중합체인 탄성 포장재.
  5. 제1항에서,
    상기 표층은 황토, 규사 및 우레탄바인더가 혼합되며, 상기 규사는 상기 황토의 55 내지 65 부피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부피부이며, 상기 우레탄바인더는 상기 황토의 55 내지 65 부피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부피부로 혼합되어 있는 탄성 포장재.
  6. 제1항에서,
    상기 표층과 상기 여과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망을 더 포함하는 탄성 포장재.
  7. 제1항에서,
    상기 기층은 시멘트와 골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탄성 포장재.
  8. 지반을 평탄하게 다지는 단계,
    상기 지반 위에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층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위에 복수의 배수공을 가지는 배수판을 배열하는 단계,
    20mm 내지 40mm의 자갈과 4mm 내지 5mm의 고무칩과 우레탄바인더를 혼합하여, 상기 배수판 위에 여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여과층 위에 고정망을 놓은 단계,
    상기 고정망 위에 포설하여 표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층을 평탄화하여 탄성 포장재 시공을 마무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성 포장재 시공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표층은,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황토, 규사, 우레탄바인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 포장재 시공 방법.
KR1020090047130A 2009-05-28 2009-05-28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100128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30A KR20100128627A (ko) 2009-05-28 2009-05-28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130A KR20100128627A (ko) 2009-05-28 2009-05-28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627A true KR20100128627A (ko) 2010-12-08

Family

ID=4350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130A KR20100128627A (ko) 2009-05-28 2009-05-28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86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33B1 (ko) * 2010-12-27 2013-10-01 이민 투수형 탄성 바닥재
KR101349303B1 (ko) * 2013-05-22 2014-01-10 (주)펀스타 탄성포장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놀이터 바닥 시공방법
KR101363971B1 (ko) * 2013-08-07 2014-02-19 백경희 흙포장재
WO2020126962A1 (en) * 2018-12-20 2020-06-25 Polytex Sportbeläge Produktions-Gmbh Playing surface with a mixture of stones and elastic granules
KR102572673B1 (ko) 2023-06-23 2023-08-31 주식회사 올림피아 폐폴리우레탄을 재활용한 육상트랙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상트랙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33B1 (ko) * 2010-12-27 2013-10-01 이민 투수형 탄성 바닥재
KR101349303B1 (ko) * 2013-05-22 2014-01-10 (주)펀스타 탄성포장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놀이터 바닥 시공방법
KR101363971B1 (ko) * 2013-08-07 2014-02-19 백경희 흙포장재
WO2020126962A1 (en) * 2018-12-20 2020-06-25 Polytex Sportbeläge Produktions-Gmbh Playing surface with a mixture of stones and elastic granules
KR102572673B1 (ko) 2023-06-23 2023-08-31 주식회사 올림피아 폐폴리우레탄을 재활용한 육상트랙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상트랙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167B1 (ko)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578039B1 (ko) 운동장용 기층재
WO2007105856A1 (en) Elastic pavement material having water permeability, purification and anti-freezing functions
KR20100128627A (ko)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MA27514A1 (fr) Pave elastique de drainage comprenant les lamelles des dechets de polyurethane pour l'utiliser sur les rues deja existantes et une methode de pavage utilisant la meme matiere
KR20130064192A (ko) 스톤 바스켓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KR20100036016A (ko) 담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와 탄성바닥재 시공방법
KR100614439B1 (ko) 투수형 3단 탄성포장재
NO855068L (no) Hurtig drenerende kunstgress- idrettsbane.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KR100976157B1 (ko) 표면무배수로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4977B1 (ko) 탄성포장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 따라 형성된 탄성포장 구조체
WO2009075587A1 (en) Drainage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drainage system
NZ203964A (en) Artificial playing surface
KR101313733B1 (ko) 투수형 탄성 바닥재
KR100795771B1 (ko) 3단 투수형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CN216891844U (zh) 一种体育场跑道地坪
KR100675871B1 (ko) 배수구조 강화형 탄성포장체
CN209759934U (zh) 一种快速渗水跑道的地面结构
KR20090058178A (ko)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100722239B1 (ko) 소형 유공관이 포함된 투수형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132727B1 (ko) 탄성포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90618B1 (ko) 숯을 이용한 탄성 포장재
KR100787600B1 (ko) 해미석을 이용한 탄성포장 시공방법
KR20140032160A (ko) 스톤 바스켓과 유공관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