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565A -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565A
KR20100128565A KR1020090047031A KR20090047031A KR20100128565A KR 20100128565 A KR20100128565 A KR 20100128565A KR 1020090047031 A KR1020090047031 A KR 1020090047031A KR 20090047031 A KR20090047031 A KR 20090047031A KR 20100128565 A KR20100128565 A KR 2010012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acid
tissue engineering
polymer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우
이희영
윤연희
이병국
김재동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565A/ko
Publication of KR2010012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2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individual droplets, e.g. from jetting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B29C67/243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otan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치료하기 위해 인체에 주입하여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량의 생분해성 고분자 잉크를 디지털 신호에 의하여 원하는 시점과 공간 상에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분사하여 다양한 형상을 자유롭게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조함에 있어 원형 제작과 소량의 제품 제작에도 적합하며 다양한 고분자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분에 필요한 물질을 패터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재료의 이용 효율이 높아 폐기물 없는 공정 실현이 가능하며 고가의 진공 장비가 소요되지 않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 생체 적합성 고분자, 잉크젯 프린팅, 세포 배양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MICRO-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USING INKJET PRINTING PROCESS}
본 발명은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치료하기 위해 인체에 주입하여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의 특성에 맞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형태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명공학 분야 중에서도 조직의 치료 및 재생을 위한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분야가 발달하고 있다.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이란 환자의 몸에서 필요한 조직을 채취하고 그 조직편으로부터 세포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세포의 배양을 통하여 필요한 양만큼 증식시키고 다공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에 심어 일정기간 체외 배양한 뒤 이 하이브리드형 세포/고분자 구조물을 다시 인체 내에 이식하는 것이다. 이식 후 세포들은 대부분의 조직이나 장기의 경우 신생 혈관이 형성될 때까지는 체액의 확산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다가 인체 내의 혈관이 자라 들어와 혈액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세포들이 증식 분화하여 새로운 조직 및 장기를 형성하고 고분자 지지체는 그동안 분해되어 없어지게 되는 기법을 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공학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생체 조직과 유사한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는 일이 중요하다. 인체 조직의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지지체의 재료의 주된 요건은 조직세포가 재료 표면에 유착하여 3차원적 구조를 가진 조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기질 또는 지지체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하고, 이식된 세포와 숙주 세포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장벽으로서의 역할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이식 후 혈액응고나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무독성의 생체적합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식된 세포가 새로운 체내 조직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하게 되면 원하는 시간 안에 생체 내에서 완전히 분해되어 없어질 수 있는 생분해성을 지녀야 한다.
조직공학용 고분자 지지체의 구조는 높은 밀도의 세포점착을 가능하게 하는 큰 표면적을 위하여 높은 다공도를 필요로 하며, 생체 내로의 이식 이후에 혈관의 형성 및 영양분 성장인자, 호르몬 등의 물질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큰 기공과 기공간 상호 연결된 연속 구조(Open cell structure)를 갖는 것이 요구되고, 배양되는 조직의 특성에 따라 상기 다공도 및 기공의 형상이 조절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품화된 것은 PGA 봉합사로 이루어진 지지체(unwoven PGA fiber mesh)로서 무작위적으로 풀어진 봉합사의 가닥들을 열처리하여 삼차원적 형태를 구성한 것인 바, 매우 높은 공극률과 공극의 크기 및 공극 사이의 상호연결성을 갖추고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매우 약해 그 응용이 제한되어 왔다(A. G. Mikos, Y. Bao, L. G. Cima, D. E. Ingber, J. P. Vacan ti, and R. Langer, J. Biomed. Mater. Res. (1993) 27, 183-189).
입자침출(Particulate leaching) 방법은 A. G. Mikos 등에 의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사용하는 소금염(NaCl)의 크기에 따라 공극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잔존하는 소금염이나 거친 형상에 의해 초래되는 세포의 손상 등이 문제된다(A. G. Mikos, G. Sarakinos, S. M. Leite, J. P. Vacant i, and R. Langer, Biomaterials (1993) 14, 5, 323-330; A. G. Mikos, A. J . Thorsen, L. A. Czerwonka, Y. Bao, R, Langer, D. N. Winslow, and J. P. Vacan ti, Polymer (1994) 35, 5, 1068-1077).
그 밖에 유화동결건조법(emulsion freeze-drying)이나 고압기체팽창법(high pressure gas expansion) 등이 사용되며, 이들은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열린 구조를 갖는 공극(open cellular pores)을 만들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K. Whang, C. H. Thomas, K. E. Healy, G. Nuber, Polymer (1995) 36, 4, 837-842; D. J. Mooney, D. F. Baldwin, N. P. Suh, J. P. Vacanti, R. Langer, Biomat erials (1996) 17, 1417-1422).
최근에는 고분자 용액의 상분리 현상(phase separation)을 이용한 방법이 K. W. Leong이나 Ph. Teyssie 등에 의해 시도된 바 있지만, 이 역시 현재로서는 공극의 크기가 너무 작아 세포의 배양이 어렵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H.Lo, M. S. Ponticiello, K. W. Leong, Tissue Eng. (1995) 1, 15-28; H. Lo, S. Kadiyala, S. E. Guggino, K. W. Leong, J. Biomed. Mater. Res. (1996) 30, 475-484; Ch. Sc hugens, V. Maguet, Ch. Grandfils, R. Jerome, Ph. Teyssie, J. Biomed. Mater. R es. (1996) 30, 449-461).
상술한 조직공학용 지지체의 제조방법들은 세포의 점착과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3차원적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것들이나, 복합 소재를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작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내부미세구조를 제어하기 어려우며, 복잡하고 다양한 내/외부 구조의 제작에 제한이 있으며,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작하기에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하던 중, 생분해성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용해한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분사하여 조직공학용 지지체를 제조하는 경우 세포를 효과적으로 이식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지지체를 제공하여 세포의 대량 증식 및 분화를 유도함으로써 각 분야별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효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치료하기 위해 인체에 주입하여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량의 생분해성 고분자 잉크를 디지털 신호에 의하여 원하는 시점과 공간 상에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분사하여 다양한 형상을 자유롭게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조함에 있어 원형 제작과 소량의 제품 제작에도 적합하며 다양한 재료와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분에 필요한 물질을 패터닝하여 내부미세구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재료 이용 효율이 높아 폐기물 없는 공정 실현이 가능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고분자 잉크를 프린터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프린터에 장착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프린터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분자 잉크로 기판 상에 목적하는 패턴을 프린팅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L-락타이드, 폴리-D,L-락타이드, 폴리글리콜린산,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베타하이드록시부틸산, 폴리숙신이미드, 폴리아미노산 유래 고분자, 폴리-L-글리탐산, 폴리-L-류신, 폴리-L-라이신, 다당류, 아밀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전분, 덱스트란, 알긴산, 키틴, 폴리에스테르,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α-하이드록시산),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 폴리(α-말산), 폴리(ω-하이드록시산),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에스테르-에테르), 폴리(1,4-디옥산-2-원), 폴리(1,4-디옥스판-7-원),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글리콜라이드-1,3-디옥산-2-원),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세바식 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1,3-디옥산-2-원), 폴리(아미드 에스테르), 폴리뎁시펩타이드, 폴리(α-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α-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클로로포름, 디메틸술폭사이드, 부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아이소부틸알콜, 테트라 부틸알콜, 아세틱산, 1,4-다이옥산, 톨루엔, 오소-자이렌 및 디메틸포름아마 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프린팅하여 형성되는 패턴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미량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 잉크를 디지털 신호에 의하여 원하는 시점과 공간 상에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분사하여 다양한 형상을 자유롭게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조함에 있어 원형 제작과 소량의 제품 제작에도 적합하며 다양한 재료와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분에 필요한 물질을 패터닝하여 내부미세구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재료 이용 효율이 높아 폐기물 없는 공정 실현이 가능하며, 고가의 진공 장비가 소요되지 않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고분자 잉크를 프린터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프린터에 장착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프린터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분자 잉크로 기판 상에 목적하는 패턴을 프린팅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 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계 1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조직공학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세포의 부착, 증식, 분화의 활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고분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는 생체 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L-락타이드(poly-L-lactide; PLLA), 폴리-D,L-락타이드(poly-D,L-lactide; PDLLA), 폴리글리콜린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poly lactide-co-caprolactone; PLCL),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olytrimethylenecarbonate; PTMC), 폴리베타하이드록시부틸산(poly-β-hydroxybutyrate; PHB), 폴리숙신이미드(poly(succinimide); PSI), 폴리아미노산(poly amino acid) 유래 고분자; 폴리-L-글라탐산(poly-L-glutamic acid), 폴리-L-류신(poly-L-leuci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다당류(Polysacchrides); 아밀로오스(amylose), 하이드록시에틸전분(hydroxyethylstarch), 덱스트란(dextran), 알긴산(alginic acids), 키틴(chitin), 폴리에스테르(Polyesters);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β-hydroxyalkanoate)), 폴리(α-하이드록시산)(poly(α-hydroxy acids));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d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폴리(α-말산)(poly(α-malic acids)), 폴리(ω-하이드록시산)(poly(ω-hydroxy acids));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β-hydroxyalkanoate)), 폴리(에스테르-에테르)(poly(ester-ether)); 폴리(1,4-디옥산-2-원)(poly(1,4-dioxane-2-one)), 폴리(1,4-디옥스판-7-원)(poly(1,4-dioxpan-7-one)),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poly(ester-carbonate)); 폴리(글리콜라이드-1,3-디옥산-2-원)(poly(glycolide-1,3-dioxane-2-one)),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세바식 안하이드라이드)(poly(sebacic anhydride)),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1,3-디옥산-2-원)(poly(1,3-dioxane-2-one)), 폴리(아미드 에스테르)(poly(amide ester)); 폴리뎁시펩타이드(polydepsipeptide), 폴리(α-시아노아크릴레이트)(poly(α-cyanoacrylate)); 폴리(에틸-α-시아노아크릴레이트)(poly(ethyl-α-cyanoacrylate)) 등을 단독 또는 공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고분자를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할 수 있는 유기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클로로포름, 디메틸술 폭사이드, 부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아이소부틸알콜, 테트라 부틸알콜, 아세틱산, 1,4-다이옥산, 톨루엔, 오소-자이렌,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고분자를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분자 잉크를 제조하는 경우, 단계 3에서 목적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조된 고분자 잉크의 점도, 표면 장력, 접촉각을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잉크의 점도의 경우 고분자의 양을 조절해야 한다. 고분자의 경우 점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 잉크의 특성에 맞추기 때문에 고분자마다 고분자의 양(농도)은 달라지지만, 점도의 범위는 비교적 비슷하다. 표면 장력은 용매의 조성을 다양하게 하여 조절할 수 있다. 표면 장력이 높은 용매와 낮은 용매를 적절히 혼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접촉각은 기판과 잉크 본연의 값이기 때문에 접촉각을 별도로 조절하지 않고 접촉각을 통해 프린팅 시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해상도를 조절한다는 것은, 하나의 잉크 방울이 떨어지고 나서 다음 잉크가 떨어지는 위치를 설정한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잉크의 점도, 표면 장력, 접촉각을 잘 설정하여야 원하는 패턴을 정밀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고분자 잉크를 프린터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프린터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고분자 잉크를 프린터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프린터 에 장착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린터로는 잉크젯 프리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프린터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분자 잉크로 기판 상에 목적하는 패턴을 프린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에서 고분자 잉크를 충전한 프린터기를 사용하여 기판 상에 목적하는 패턴이 잉크젯 프린팅될 수 있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판은 유리 기판, 종이, 실리콘 웨이퍼, 폴리이미드(poly 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등의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플레이트 또는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잉크를 프린팅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하는 패턴은 줄기세포가 잘 배양될 수 있는 벌집 구조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높은 밀도로 세포점착을 가능하게 하는 큰 표면적을 위하여 높은 다공도를 가지는 구조일 수도 있으며, 조직공학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 모두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벌집 구조를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벌집 구조의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벌집 구조는 기판 상에 고분자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하여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목적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조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정밀하게 계산된 3차원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제조한 고분자 잉크를 기판 상에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패턴을 프린팅하여 제조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는 표면 분석 후 세포 배양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폴리카프로락톤(PCL)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에 15%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였다. 용해 시, 온도를 40 ~ 50℃로 높여 주었다. 용해가 완료되면, 점도, 표면 장력을 측정하여 적절한 범위 내에 들어오는지 확인하였다. 적절한 범위라 함은 잉크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실험치에 의존하였다. 폴리카프로락톤(PCL)의 경우 점도는 10 ~ 20 cps이고 표면장력의 경우 20 ~ 30 dynes/cm이었다. 만들어진 잉크는 소니케이션을 통해 내부 개스(gas)를 제거하고 미립자는 필터를 통해 제거하였다. 제조가 완료된 잉크는 카트리지에 주입하고 노즐을 연결하였다. 노즐 연결이 완료된 카트리지는 프린터에 삽입하고, 잉크 분사 조건을 맞추어 주었다. 잉크 분사 조건이라 함은, 잉크 토출력 (Voltage), piezoelectric wave form, firing frequencing (KHz), 온도 등이 있다. 이는 잉크마다 특성이 다르고, 미세한 유로를 통하기 때문에 실험치를 적용하여 설정하였다. 이는 특정한 값이 정해진 것이 없으며, 실험치를 통해 분사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노즐에서 분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준비한 허니콤 구조의 미세지지체 패턴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내부 직경 (500 um), 변의 너비 상단 (80 um), 하단 (400 um), 적층 횟수 40 회를 설정하였다.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완료되면, 디자인 파일의 해상도인 508 dpi에 맞춰 헤드 각도를 11.4도로 변경해 주고 프린팅을 실시하였다. 프린팅이 완료된 조직 공학용 미세지지체는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계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관찰한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트산-글로콜산 공중합체(PLGA)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5%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 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조직공학용 미세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는 격자 형태의 것과, 간격이 일정한 라인 형태 것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3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폴리숙신이미드(PSI)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10%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조직공학용 미세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생체 고분자인 콜라겐을 인산 완충 용액으로 0.1% 되도록 녹여 원 형태의 조직공학용 미세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조직공학용 미세 지지체를 사용한 세포배양 실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원형의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를 1 X 105 cell/mL로 접종한 후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조건은 일반적인 동물 세포 배양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실험 조건은 37 ℃, 5% CO2 대기 상태로 배양기를 셋팅하고 세포를 접종한 원형 미세지지체를 배양기에 넣고 배양을 실시하였다. 약 12시간 이후 PBS를 이용하여 배지 상등액 및 콜라겐 미세지지체에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씻어 주었다.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씻어 준 후 live/dead 염 색 물질을 이용하여 살아 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각각 녹색과 붉은 색으로 염색하고 이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들이 원형 미세지지체에 집중적으로 부착되어 자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미세지지체를 이루는 콜라겐과 세포간의 친화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조직공학용 미세 지지체를 사용한 세포배양 실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격자 형태 및 선 형태의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 mesenchymal Stem Cell(MSC), Adipose-derived Stem Cell(ASC)을 배양하였다.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원형의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를 1 X 105 cell/mL로 접종한 후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조건은 일반적인 동물 세포 배양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실험 조건은 37℃, 5% CO2 대기 상태로 배양기를 셋팅하고 각각의 세포를 접종한 미세지지체를 배양기에 넣고 배양을 실시하였다. 약 12시간 이후 PBS를 이용하여 배지 상등액 및 미세지지체에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씻어 주었다.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씻어 준 후 live/dead 염색 물질을 이용하여 살아 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각각 녹색과 붉은 색으로 염색하고 이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의 (a), 도 5의 (b) 및 도 5의 (c)는 각각 실시예 2에서 격자 형태로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 mesenchymal Stem Cell(MSC) 및 Adipose- derived Stem Cell(ASC)를 배양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실시예 2에서 선 형태로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 및 Adipose-derived Stem Cell(ASC)를 배양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격자 형태의 미세지지체를 관찰 한 결과 세포들 간의 부착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같은 줄기세포라고 하더라도 ASC가 MSC보다 더 좋은 부착능력을 보였으며 섬유세포의 일종인 NIH 3T3세포의 경우는 ASC보다는 좋지 않지만, MSC보다는 우수한 부착능을 보였다. 각 세포별로 부착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선형의 미세지지체에 ASC와 NIH 3T3 세포를 각각 배양한 결과 둘 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세포의 부착에 있어서 미세지지체의 형태, 원료 물질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벌집 구조를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벌집 구조의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원형의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를 배양하고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실험예 2에서 격자 형태로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도 5의 (a)), mesenchymal Stem Cell(MSC)(도 5의 (b)) 및 Adipose-derived Stem Cell(ASC)(도 5의 (c))을 배양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서 선 형태로 제조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에 NIH 3T3 fibroblasts 세포(도 6의 (a)) 및 Adipose-derived Stem Cell(ASC)(도 6의 (b))을 배양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Claims (11)

  1.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고분자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잉크를 프린터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프린터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린터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분자 잉크로 기판 상에 목적하는 패턴을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L-락타이드, 폴리-D,L-락타이드, 폴리글리콜린산,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베타하이드록시부틸산, 폴리숙신이미드, 폴리아미노산 유래 고분자, 폴리-L-글리탐산, 폴리-L-류신, 폴리-L-라이신, 다당류, 아밀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전분, 덱스트란, 알긴산, 키틴, 폴리에스테르,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α-하이드록시산),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 폴리(α-말산), 폴리(ω-하이드록시산),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에스테르-에테르), 폴리(1,4-디옥산-2-원), 폴리(1,4-디옥스판-7-원),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글리 콜라이드-1,3-디옥산-2-원),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세바식 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1,3-디옥산-2-원), 폴리(아미드 에스테르), 폴리뎁시펩타이드, 폴리(α-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α-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클로로포름, 디메틸술폭사이드, 부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아이소부틸알콜, 테트라 부틸알콜, 아세틱산, 1,4-다이옥산, 톨루엔, 오소-자이렌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잉크는 목적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점도, 표면 장력 및 접촉각이 조절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프린팅하여 형성되는 패턴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고분자 잉크를 기판 상에 프린팅하여 3차원 형태로 적층함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는 벌집 구조의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 종이, 실리콘 웨이퍼, 고분자 플레이트 및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9.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제조한 고분자 잉크를 기판 상에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패턴을 프린팅하여 제조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L-락타이드, 폴리-D,L-락타이드, 폴리글리콜린산, 폴리 락타이드 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글로콜산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베타하이드록시부틸산, 폴리숙신이미드, 폴리아미노산 유래 고분자, 폴리-L-글라탐산, 폴리-L-류신, 폴리-L-라이신, 다당류, 아밀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전분, 덱스트란, 알긴산, 키틴, 폴리에스테르,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α-하이드록시산),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 폴리(α-말산), 폴리(ω-하이드록시산),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β-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에스테르-에테르), 폴리(1,4-디옥산-2-원), 폴리(1,4-디옥스판-7-원),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글리콜라이드-1,3-디옥산-2-원),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세바식 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1,3-디옥산-2-원), 폴리(아미드 에스테르), 폴리뎁시펩파이드, 폴리(α-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α-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는 벌집 구조의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
KR1020090047031A 2009-05-28 2009-05-28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KR20100128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31A KR20100128565A (ko) 2009-05-28 2009-05-28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31A KR20100128565A (ko) 2009-05-28 2009-05-28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565A true KR20100128565A (ko) 2010-12-08

Family

ID=4350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031A KR20100128565A (ko) 2009-05-28 2009-05-28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856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492A1 (ko) * 2010-11-05 2012-05-10 주식회사 씨드 생리 식염수 기반 생체 고분자 잉크젯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39855A (ko) * 2016-10-11 2018-04-1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3d 프린팅 지지체용 원료,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지지체의 제조방법
KR20180045843A (ko) * 2016-10-25 2018-05-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팅 맞춤형 골지지체의 제조방법
KR20200100253A (ko) * 2019-02-15 2020-08-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수력학 기반 3d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 다공성 3차원 섬유구조체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10894895B2 (en) 2015-06-26 2021-01-19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wo-component bioink, 3D biomateria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1015164B2 (en) 2016-01-07 2021-05-25 T&R Biofab Co., Ltd. Cell printing apparatus for heat-sensitive cell printing composi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492A1 (ko) * 2010-11-05 2012-05-10 주식회사 씨드 생리 식염수 기반 생체 고분자 잉크젯 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
US10894895B2 (en) 2015-06-26 2021-01-19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wo-component bioink, 3D biomateria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1015164B2 (en) 2016-01-07 2021-05-25 T&R Biofab Co., Ltd. Cell printing apparatus for heat-sensitive cell printing composition
KR20180039855A (ko) * 2016-10-11 2018-04-1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3d 프린팅 지지체용 원료,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지지체의 제조방법
WO2018070658A1 (ko) * 2016-10-11 2018-04-1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3d 프린팅 지지체용 원료,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지지체의 제조방법
US11612677B2 (en) 2016-10-11 2023-03-28 Incheon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caffold materials manufactured via bio 3D printing techniqu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scaffolds using the materials
KR20180045843A (ko) * 2016-10-25 2018-05-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팅 맞춤형 골지지체의 제조방법
KR20200100253A (ko) * 2019-02-15 2020-08-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수력학 기반 3d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 다공성 3차원 섬유구조체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ider et al. Advances in the scaffolds fabrication techniques using biocompatible polymers and their biomedical application: A technical and statistical review
Janoušková Synthetic polymer scaffolds for soft tissue engineering.
Yan et al. Implantable nerve guidance conduits: Material combinations, multi-functional strategies and advanced engineering innovations
Chen et al. The use of poly (l-lactide) and RGD modified microspheres as cell carriers in a flow intermittency bioreactor for tissue engineering cartilage
Liu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KR20100128565A (ko)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미세지지체의 제조방법
Hutmacher Scaffold design and fabrication technologies for engineering tissues—state of the art and future perspectives
Agrawal et al. Biodegradable polymeric scaffolds for musculoskeletal tissue engineering
Hutmacher Scaffolds in tissue engineering bone and cartilage
Jiao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polyester bio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KR101131901B1 (ko) 그라핀 산화물/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undu et al. Biomaterials for biofabrication of 3D tissue scaffolds
Gong et al. In vitro and in vivo degradability and cytocompatibility of poly (l-lactic acid) scaffold fabricated by a gelatin particle leaching method
US6586246B1 (en) Preparing porous biodegradable polymeric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using effervescent salts
Safaeijavan et al. Biological behavior study of gelatin coated PCL nanofiberous electrospun scaffolds using fibroblasts
KR100372751B1 (ko) 생체조직공학용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방법
Gualandi Porous polymeric bioresorbable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CN102319449B (zh) 一种基于聚乳酸-羟基乙酸共聚物的生长因子梯度释放微球支架及其制备方法和应用
Sun et al. Macroporous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matrices fo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Kim et al. Fabrication of a new tubular fibrous PLCL scaffold for vascular tissue engineering
Li et al. Fabr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of biomimetic silk fibroin porous scaffolds via supercritical CO2 technology
Shi et al. Preparation of porous polylactide microspheres and their application in tissue engineering
Patel et al. Micropatterned fibrous scaffolds for biomedical application
Karande et al. Function and requirement of synthetic scaffolds in tissue engineering
KR102185580B1 (ko) 전기수력학 기반 3d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 다공성 3차원 섬유구조체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