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47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475A
KR20100127475A KR1020090045932A KR20090045932A KR20100127475A KR 20100127475 A KR20100127475 A KR 20100127475A KR 1020090045932 A KR1020090045932 A KR 1020090045932A KR 20090045932 A KR20090045932 A KR 20090045932A KR 20100127475 A KR20100127475 A KR 2010012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light receiving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475A/ko
Publication of KR2010012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조도 감지유닛과 컨트롤 신호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감지 어셈블리; 상기 감지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상기 감지 어셈블리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투과 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외광, 컨트롤 신호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 등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조도 감지유닛과 컨트롤 신호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감지 어셈블리; 상기 감지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상기 감지 어셈블리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투과 유닛;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각각 조도 감지유닛 및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에 감지되도록 하는 광투사 유닛이 단일의 구성으로 제공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비용 및 공정 시간이 감소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광투사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젤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형이 일체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론트 캐비닛(10) 및 리어 캐비닛(미도시)과, 외광 및 컨트롤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어셈블리(30)(도3참조), 상기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감지 어셈블리(30)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투과 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10) 및 리어 캐비닛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및 후방 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프론트 캐비닛(10)는 전면을 형성하는 베젤부(11)를 포함하며, 베젤부(11)의 중앙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개구부(11)가 프론트 캐비닛(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프론트 캐비닛(10) 자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이 외부로 투과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베젤부(11)의 일측에는 광투과 유닛(20)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 치(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홀(112)이 형성된다. 베젤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측 공간이 외부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례로 검은색과 같은 어두운 유색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 유닛(20) 및 감지 어셈블리(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즉, 캐비닛(1)의 내측 공간에 고정된다. 그리고, 외부의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감지 어셈블리(30)에 감지되도록, 광투과 유닛(20)의 일부는 상기 홀(1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외광 및 컨트롤 신호의 유입 경로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광투과 유닛(20) 및 감지 어셈블리(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투과 유닛과 감지부가 정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유닛(20)은 유닛 몸체(21)와, 수광부(22)와, 연장부(231,232)를 포함한다. 그리고, 감지 어셈블리(30)는 어셈블리 기판부(31)와, 조도 감지유닛(32)과,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을 포함한다. 이 때, 감지 어셈블리(30)는 광투과 유닛(20)의 후방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감지 어셈블리(30)의 조도 감지유닛(32) 및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은 어셈블리 기판부(31)에 실장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방 즉 광투과 유닛(20) 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조도 감지유닛(32)은 상기 외광을 감지하여, 외광의 세기 즉 조도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가 상기 조도에 대응되어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외광은 일례로 외부의 가시광선일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은 상기 컨트롤 신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대응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컨트롤 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발신되는 적외선일 수 있다.
광투과 유닛(20)은 감지 어셈블리(30)의 전방에 구비되어, 홀(112)을 통하여 감지 어셈블리(3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광투과 유닛(20)은 일례로 일부가 상기 베젤(11)의 색상과 유사한 어두운 유색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색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닛 몸체(21)는 광투과 유닛(20)의 외형을 형성하며, 좌우 양측에는 광투과 유닛(20)을 프론트 캐비닛(10)에 고정시기키 위한 고정부(212,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유닛 몸체(21)의 전면측에는 캐비닛(10)에 형성된 홀(1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외광 또는 상기 컨트롤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광부(22)가 구비된다.
수광부(22)는 홀(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홀(112)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수광부(22)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를 포함한다.
제1수광부(221)은 후방에 구비되는 조도 감지유닛(32)이 상기 외광을, 별도의 광 간섭 없이, 감지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2수광부(221)는 신 호 감지 유닛(33)이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컨트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젤(11)이 형성된 색상과 유사한 어두운 유색으로 형성된다.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광투과 유닛(20)이 수지물로 형성되는 경우,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는 이중사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수광부(222)를 제외한 다른 광투과 유닛(20)의 구성이 먼저 투명한 수지물로 사출 성형된 다음, 1차 성형된 사출물에 다시 제2수광부(222)를 어두운 유색의 수지물로 사출 성형하여, 광투과 유닛(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수광부(222)는 제2수광부(222)의 후방에 구비되는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이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컨트롤 신호가 제2수광부(222)를 투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 두께(5094)로 형성된다.
한편,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의 이면에는 각각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를 투과한 상기 외광 및 컨트롤 신호의 유입 경로를 제공하는 제1연장부(231) 및 제2연장부(232)가 구비된다.
제1연장부(231) 및 제2연장부(232)는 각각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연장부(231) 및 제2연장부(232)의 연장된 단부는 각각 조도 감지유닛(32) 및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과 마주보게 된다.
이 때, 제1연장부(231) 및 제2연장부(232)는 제1수광부(221)와 동일한 투명 한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연장부(231) 및 제2연장부(232)가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의 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수광부(221) 및 제2수광부(222)와 조도 감지유닛(32) 및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이 서로 이격된 거리에 대응된다.
도 5는 도 2의 B-B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C-C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의 컨트롤 신호(L1)가 제2수광부(222)로 입사되면, 상기 컨트롤 신호(L1)는 제2수광부(222)를 투과한 다음, 제2연장부(232)를 거쳐, 제2연장부(232)의 이면과 마주보는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에 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색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제2수광부(222)의 두께는 상기 컨트롤 신호(L1)이 투과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베젤(11)의 내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유닛 지지부(114)가 돌출 형성된다. 유닛 지지부(114)는 광투과 유닛(20)의 적어도 일부를 베젤(11)에 대하여 지지함으로써, 광투과 유닛(20)이 베젤(11)의 내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외광(L2)이 제1수광부(221)로 입사되면, 상기 외광(L2)은 제1수광부(221)를 투과한 다음, 제1연장부(231)를 거쳐, 제1연장부(231)의 이면과 마주보는 조도 감지유닛(32)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제1수광부(221) 및 제1연장부(23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외광(L2)이, 별도의 광간섭 없이, 조도 감지유닛(32)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각각 조도 감지유닛(32) 및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33)에 감지되도록 하는 광투사 유닛(20)이 단일의 구성으로 제공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조 비용 및 공정 시간이 감소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노출되는 광투사 유닛(2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젤(11)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형이 일체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투과 유닛과 감지부가 정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의 B-B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조도 감지유닛과 컨트롤 신호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감지 어셈블리;
    상기 감지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상기 감지 어셈블리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투과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유닛은
    상기 광투과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유닛 몸체; 및
    상기 유닛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외광 및 컨트롤 신호가 입사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제1수광부 및 제2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광부를 제외한 상기 수광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광부 및 상기 제2수광부는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광부는 상기 컨트롤 신호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투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광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베젤의 색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광부의 후방에는 상기 조도 감지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2수광부의 후방에는 상기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유닛은 상기 수광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 부는 각각 상기 조도 감지유닛 및 컨트롤 신호 감지유닛과 마주보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는 서로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45932A 2009-05-26 2009-05-26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27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932A KR20100127475A (ko) 2009-05-26 2009-05-2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932A KR20100127475A (ko) 2009-05-26 2009-05-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475A true KR20100127475A (ko) 2010-12-06

Family

ID=4350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932A KR20100127475A (ko) 2009-05-26 2009-05-2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4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48A1 (en) 2016-10-10 2018-04-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48A1 (en) 2016-10-10 2018-04-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N110050460A (zh) * 2016-10-10 2019-07-23 Lg 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US10425607B2 (en) * 2016-10-10 2019-09-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with light receiving part for sensing external light
EP3523959A4 (en) * 2016-10-10 2020-04-15 LG Electronics Inc. -1- DISPLAY DEVICE
CN110050460B (zh) * 2016-10-10 2021-12-03 Lg 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498B2 (ja) ベゼルレス電子ディスプレイ
EP1918959B1 (en) Bezel-less electronic display
US8294692B2 (en) Optical touch sensing apparatus
EP2472496B1 (en) Display device
WO2011052899A3 (ko) 디스플레이장치
US9927567B2 (en) Display with additional lighting effects
CN102479469A (zh) 显示器件
EP2235938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mark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50126199A (ko) 창 설치용 투명 lcd 장치
JP6074591B2 (ja) 表示装置
KR20100127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93437A (zh) 显示装置
JP2018179741A (ja) 表示装置
CN107919102B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US20110279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nvironmental effect on verifying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visual display
JP2006253737A (ja) 赤外線受光センサー付き電子機器
JP6024549B2 (ja) 電子装置
US20140184986A1 (en) Display device
JP2014126740A (ja) 表示装置
JP6017054B2 (ja) 表示装置
KR20120055433A (ko) 디스플레이장치
EP3697082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414514B2 (en) Display apparatus
CN216957174U (zh) 电子组件和显示装置
KR201100195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