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813A -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동작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동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813A
KR20100126813A KR1020107023129A KR20107023129A KR20100126813A KR 20100126813 A KR20100126813 A KR 20100126813A KR 1020107023129 A KR1020107023129 A KR 1020107023129A KR 20107023129 A KR20107023129 A KR 20107023129A KR 20100126813 A KR20100126813 A KR 20100126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discharge
discharge lamp
minimizing
seconds
lamp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546B1 (ko
Inventor
알로이스 브라운
요하힘 뮈흘슈레겔
Original Assignee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filed Critical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ublication of KR2010012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05B41/042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7Starting and control circuits for gas discharge lamp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작 장치를 포함하며, 램프의 시동시에 적용되는 전체 점화 전압 시간이 최소화되고, 상기 전체 점화 전압 시간은 점화 전압의 레벨이 점화 전압 임계치를 초과하는 모든 시간 세그먼트들(Zi)의 합이고, 상기 점화 전압 임계치는 적용된 고 전압들의 최대값의 팩터 범위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을 사용하는 동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동작 장치 {METHOD AND OPERATING DEVICE FOR MINIMIZING THE INSULATION STRESS OF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SYSTEM}
본 발명은 동작 장치를 이용해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insulation stress)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동작 장치는 상기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고 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주 청구항의 일반적 타입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기초한다. 고압 방전 램프들에 대한 종래의 동작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해 매우 간단한 방법을 이용한다. 고 전압 펄스들이 고압 방전 램프(또한 이하에서 램프로 지칭됨)에 적용되고, 상기 고 전압 펄스들은 방전 램프의 램프 전극들 사이에 절연 파괴(dielectric breakdown)를 발생하는데에 충분한 전압을 갖는다. 모든 램프들이 첫번째 시동 펄스로 즉각 시동하지는 않기 때문에, 많은 수의 시동 펄스들이 상기 램프에 적용되고, 상기 시동 펄스들이 결합되어 소위 시동 펄스 버스트들을 형성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많은 수의 이러한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미리결정된 간격으로 상기 램프에 방사된다. 특히, 상기 고압 방전 램프의 핫 재시동(hot restarting)을 허용하지 않는 동작 장치들의 경우에, 램프가 스위치 오프되고 그 후에 즉시 다시 스위치 온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상기 램프는 너무 고온(hot)이어서 상기 동작 장치로 재시동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빠르게 냉각하고 있는 램프를 재시동할 수 있기 위해서 짧은 간격들로 약 20분 - 25분의 시간 동안에 상기 동작 장치들이 반복적으로 시동 펄스 버스트들을 상기 램프에 방사하도록 상기 동작 장치들이 설계된다 (도 3 참조). 그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램프 시스템의 고 전압 영역에서의 전체 절연이 불필요한 많은 수백 내지 수천의 고 전압 펄스들에 영향을 받게 된다. 자연히, 이것은 또한 램프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램프가 없는 경우, 전체 절연은 특히 고 부하에 영향을 받게 된다. 연달아 많은 수의 고 전압 펄스들을 이용하는 많은 장치들의 경우에, 정확하게 매우 긴 버스트들은 종종 전체 고 전압 절연에 대해 해를 끼치는 것이 입증되었고, 상기 절연이 그러한 시간의 과정 동안 약해질(fail) 것임이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절연 스트레스는 이하에서 고압 방전 램프 버너에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로부터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전체 절연에 적용되는 고 전압 펄스들을 지칭하고, 여기서 상기 고압 방전 램프 버너는 일반적으로 외부 벌브(bulb)에 설치된다. 상기 전체 절연은 고 전압 소스로부터 상기 고압 방전 램프 버너까지의 상기 어레인지먼트의 모든 절연 부분들, 즉 예컨대 케이블들, 플러그들, 램프 베이스 및 외부 벌브 절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고 전압은 고 전압을 이용하여 램프를 시동시킬 목적으로 발생시키는 모든 고 전압 소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에, 상기 고 전압이 펄스 시동 방법 또는 공진 시동 방법을 통해 발생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해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작 장치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동작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고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작 장치를 이용해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되고, 여기서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적용되는 시동 전압 시간 합이 최소화된다. 상기 시동 전압 시간 합은, 시동 전압의 크기가 시동 전압 한계를 초과하는 모든 시간 세그먼트들(Zi)의 합이다. 상기 시동 전압 한계는, 크기의 관점에서, 적용된 고 전압들의 최대값의 팩터 범위로서 정의된다. 상기 최대값은, 크기의 관점에서, 이 경우에 상기 시동 전압이 적용되는 동안에 총 적어도 2 μs 동안 발생하는 전압 크기의 최대값이다.
상기 팩터 범위는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 0.6과 0.95 사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8과 0.9 사이이다. 그 결과,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 적용되고 그리고 첫째로는 또한 실제로 시동에 기여하지만 둘째로는 또한 응력에 대한 절연에 상당한 정도로 영향을 받게 되는 전압들만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해 고려된다.
제2 시간 스팬(span)(tb│n=n1+1..n2)의 시동 전압 시간 합에 대한 제1 시간 스팬(ta│n=0..n1)의 시동 전압 시간 합의 비율(
Figure pct00001
)이 ¼를 초과하면, 이것은 낮은 절연 스트레스의 이점을 제공한다. 제2 시간 스팬(tb│n=n1+1..n2)의 시동 전압 시간 합에 대한 제1 시간 스팬(ta│n=0..n1)의 시동 전압 시간 합의 비율(
Figure pct00002
)이 ½를 초과하는 경우에, 낮은 절연 스트레스의 이점이 특히 중요하다.
상기 제1 시간 스팬(ta)의 듀레이션(duration)은 바람직하게 1초와 2분 사이의 길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초와 1분 사이의 길이이다. 반면에, 상기 제2 시간 스팬(tb)의 듀레이션은 바람직하게 15분과 25분 사이의 길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분이다.
상기 제1 시간 스팬(ta)에서, 7초-35초의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으로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발생되면, 냉(cold) 고압 방전 램프가 특히 잘 시동될 수 있다. 30초-7분의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으로 0.05초-0.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상기 제2 시간 스팬(tb)에서 발생된 시동 펄스 버스트들은 핫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시키는데에 최적화된다. 상기 제2 시간 스팬(tb)에서, 램프 파괴가 검출되고,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의 발생은 상기 고압 방전 램프를 더욱더 양호하게 시동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제1 절연 파괴로부터 안전한 램프 시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압 방전 램프의 이전에 측정된 스위치-오프 듀레이션이 ≥20분 길이이면, 7초-35초의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을 갖는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바람직하게 제1 시간 스팬(ta) 동안에 발생된다. 따라서, 냉 고압 방전 램프가 최적화된 방식으로 시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추가의 시동 펄스들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분 미만의 이전에 측정된 스위치-오프 듀레이션의 경우에,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제1 시간 스팬(ta) 동안에 발생되고 그리고 0.05초-0.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제2 시간 스팬(tb) 동안에 발생된다. 상기 제1 시간 스팬(ta) 동안의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은 이 경우에 7초-35초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시간 스팬(tb) 동안의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은 이 경우에 30초-7분이다. 이러한 값들은, 첫째로는 핫 램프들이 절연에 대한 손상 효과 없이도 용이하게 시동될 수 있고, 둘째로는 램프 교체의 경우에 이후에 핫으로서 식별된 냉 램프가 그럼에도불구하고 용이하게 시동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의 바람직한 전개들 및 구성들이 추가의 종속 청구항들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본 발명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a는 냉 램프의 경우에 대해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핫 램프의 경우에 대해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제1 변형예에서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제2 변형예에서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c는 제3 변형예에서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a는 냉 램프의 경우에 대해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법의 도식적인 일 예를 도시한다. 램프에 적용되는 시동 전압은 수직 축에 플로팅되고, 첫 번째의 시동 펄스(z) 이후의 경과된 시간이 수평 축에 플로팅된다. 냉 램프는 즉시 시동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몇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만이 램프에 연속하여 적용될 필요가 있다. 램프가 아직 시동되지 않으면, 이것으로부터 램프가 결함이 있거나 또는 램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되어야 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행하지만 냉 상태의 램프의 열등한 이온화를 극복하기 위해 매우 긴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두 개의 연속적으로 구현되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존재한다. 요약하면, 램프를 시동하기 위해서 미리결정된 제1 시간 스팬 동안에 제1 세기(INta)를 갖는 시동 전압이 상기 램프에 적용된다. 이러한 미리결정된 제1 시간 이후에, 더 이상 시동 펄스들이 상기 램프에 적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상기 세기는 유닛 시간당 제1 시간 스팬 동안에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 적용되는 시동 전압의 절대 시간 듀레이션 또는 유닛 시간당 이 시간 스팬에서 상기 램프에 적용되는 모든 시동 펄스들(Z)의 합이다.
도 1b는 핫 램프의 경우에 대해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법의 도식적 일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램프는 시동할 수 있기 위해서 우선 냉각될 필요가 있고, 그러므로 배경기술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동부터 램프에 시동 펄스들을 영구히 적용하는 것은 최적이 아니다. 그러므로, 시동 펄스들 사이에 비교적 긴 시간 스팬들을 제공하는 최적화된 방법이 이용된다. 상기 동작 장치에서 구현되는 램프 상태 측정이 특정한 상황들 하에서는 매우 부정확하기 때문에, 램프가 이미 상당한 정도로 냉각되어 따라서 짧은 시간 기간 이후에 램프가 시동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예측곤란한 경우를 커버하기 위해서 그럼에도불구하고 시동 펄스들이 시동부터 발생된다. 또한, 작동하고 있는 구형 램프가 스위치 오프되는 경우에 대해, 그 후에 곧 새로운 냉 램프로 대체시키기 위해서, 그러한 예측곤란한 경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상기 동작 장치는 램프가 교체되었는지 여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냉 램프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1 세기(INta)를 갖는 시동 전압이 미리결정된 제1 시간 스팬(ta) 동안에 램프에 적용된다. 그 후에, 미리결정된 제2 세기(INtb)를 갖는 시동 전압이 미리결정된 제2 시간 스팬(tb) 동안에 상기 램프에 적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미리결정된 제2 시간 스팬(tb)은 상기 미리결정된 제1 시간 스팬(ta) 보다 현저하게 더 길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시동 전압의 상기 미리결정된 제2 세기(INtb)는 상기 미리결정된 제1 세기(INta) 보다 더 낮다. 시동 펄스들이 상기 램프에 적용되면, 상기 미리결정된 제1 세기(INta)는 이 시간 스팬에 대해 이 시간 스팬에서 적용되는 시동 전압의 모든 시간 세그먼트들의 합(시동 전압 시간 합)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 여기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Z는 시동 전압의 크기가 시동 전압 한계를 초과하는 시간 세그먼트들이고, 상기 시동 전압 한계는, 크기의 관점에서, 상기 적용된 고 전압들의 최대값의 팩터 범위로서 정의된다. 이 기간에서 개별 시간 세그먼트들의 개수는 n1이다. 유사하게, 이하가 상기 미리결정된 제2 시간 스팬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Figure pct00004
.
도 2a는 제1 변형예에서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법은 램프의 어떠한 상태 측정도 수행되지 않는 단순화된 변형예이다. 그 결과, 상기 동작 장치는 현저하게 더 단순화되고 따라서 덜 고가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동작 장치는 현재 램프의 상태를 식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냉 램프 및 핫 램프 모두에 대해 적합할 필요가 있다. 냉 램프들이 이온화에 대한 낮은 경향의 결과로서 최적 시동을 위해 비교적 긴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을 필요로 함이 입증되었고, 램프가 핫일때,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법에서와 같이, 상기 시간 스팬(ta) 동안에 소수의 긴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시동시에 발생된다. 긴 버스트들에도 불구하고 램프가 시동되지 않으면, 상기 램프는 아마도 냉(cold)이 아니고 여전히 매우 핫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방책을 변경하여 뒤따르는 시간 스팬(tb)에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휴지기간(break)들을 연장한다. 유사하게, 짧은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은 온도의 결과로서 핫 램프들의 경우에 램프를 시동하는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상기 휴지기간들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버스트 듀레이션도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러한 측정들은 램프에 적용되는 시동 전압 시간 합(
Figure pct00005
)에서의 상당한 감소를 보장하고, 여기서 n2는 상기 제1 시간 스팬(ta)으로부터의 펄스들 및 상기 제2 시간 스팬(tb)으로부터의 펄스들의 합이다.
도 2b는 제2 변형예에서 고압 방전 램프의 시동 동안에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2 변형예는 상기 제1 변형예와 유사하지만; 핫 램프의 시동에 대한 방책이 상이하다. 상기 제2 변형예에서는, 시간 스팬(tb) 동안 매우 큰 간격으로 핫 램프를 시동하기 위해서, 냉시동(coldstarting)에 대한 것과 동일한 시동 펄스 버스트가 상기 램프에 적용된다.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들이 상기 제1 변형예보다 매우 크다는 사실에 의해서, 상기 시간 스팬(tb) 동안의 시동 전압 시간 합이 유사하게 종래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 변형예는 심지어 핫 상태에서 낮은 시동 용량을 갖는 고압 방전 램프들에 대해 적합하고,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2 변형예는 또한 핫시동(hotstarting)을 위한 더 긴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을 정의한다.
도 2c에서 기술되는 제3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변형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결합된다. 이 경우에, 또한, 먼저 상기-기술한 냉시동이 소수의 긴 시동 펄스 버스트들을 이용하여 시간 스팬(ta) 동안에 수행된다. 그 후에, 시스템은 상기 제1 변형예와 같은 시동 방책으로 전환한다. 짧은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비교적 큰 간격들로 시간 스팬(tb) 동안에 상기 램프에 적용된다. 상기 동작 장치가 시간 ti에서 램프 전극들 사이의 파괴를 검출하면, 그 후에 안전하게 상기 램프를 시동하기 위해서 상기 시동 펄스 버스트가 현저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방책을 이용해, 램프 시동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시동 전압 시간 합의 상당한 감소를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 전압 범위에서의 전체 절연, 즉 동작 장치에서의 램프홀더 및 누설 경로들이 따라서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 및 변형예들 모두에 대해, 시간 스팬들(ta 및 tb) 모두에 대한 특정한 최적의 값들이 존재함이 입증되었다. 상기 제1 시간 스팬(ta)의 듀레이션은 1초와 2분 사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초와 1분 사이이다. 상기 제2 시간 스팬(tb)의 듀레이션은 15분과 25분 사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0분이다.
상기 램프에 적용되는 고 전압이 여전히 시동 전압 펄스(z)로서 고려되는 한계가 시동 전압 한계로서 정의된다. 상기 시동 전압 한계는, 크기의 관점에서, 상기 시간 스팬(ta)과 시간 스팬(tb)에서 상기 램프에 적용되는 고 전압들의 모든 크기들 중에서 최대값의 60%에서 95%까지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80%에서 90%까지의 범위에 있다. 상기 최대값은, 크기의 관점에서, 이 경우에 상기 시동 전압이 적용되는 동안에 총 적어도 2 μs 동안 발생하는 전압 크기의 최대값이다.
상기 램프의 시동 전압 응답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시간 세그먼트들의 시동 전압 시간 합들의 비율(
Figure pct00006
)이 특정한 범위 이내에서 변동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¼의 비율이 양호하며, 특히 ½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따른 시동 전압 시간 합들의 비율은 1/10에서 1/40까지의 범위 이내에서 변동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비해 상당히 더 많은 절연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Claims (19)

  1. 동작 장치를 이용해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동작 장치는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start)하기 위한 고 전압을 발생시키고,
    램프 시동 동안에 적용되는 시동 전압 시간 합이 최소화되고,
    상기 시동 전압 시간 합은 시동 전압의 크기가 시동 전압 한계를 초과하는 모든 시간 세그먼트들(Zi)의 합이고, 그리고
    상기 시동 전압 한계는, 크기의 관점에서, 적용된 고 전압들의 최대값의 팩터 범위로서 정의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터 범위는 0.6과 0.95 사이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터 범위는 0.8과 0.9 사이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시간 스팬(tb│n=n1+1..n2)의 시동 전압 시간 합에 대한 제1 시간 스팬(ta│n=0..n1)의 시동 전압 시간 합의 비율(
    Figure pct00007
    )이 ¼를 초과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시간 스팬(tb│n=n1+1..n2)의 시동 전압 시간 합에 대한 제1 시간 스팬(ta│n=0..n1)의 시동 전압 시간 합의 비율(
    Figure pct00008
    )이 ½를 초과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스팬(ta)의 듀레이션은 1초와 2분 사이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스팬(tb)의 듀레이션은 15분과 25분 사이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스팬(ta)에서, 7초-35초의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으로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발생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스팬(tb)에서, 30초-7분의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으로 0.05초-0.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발생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램프 파괴가 상기 제2 시간 스팬(tb)에서 검출될 때에,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가 발생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이전에, 측정된 스위치-오프 듀레이션의 경우에,
    상기 측정된, 이전의 스위치-오프 듀레이션이 더 길수록, 상기 시동 전압 시간 합들의 비율(
    Figure pct00009
    )이 더 크게 설정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15분에서 25분까지의 범위에서 특정한 스위치-오프 듀레이션 이후에, 상기 시동 전압 시간 합들의 비율(
    Figure pct00010
    )이 최대에 도달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이전에, 측정된 스위치-오프 듀레이션이 ≥20분인 경우에,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제1 시간 스팬(ta) 동안에 발생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은 7초-35초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측정된, 이전의 스위치-오프 듀레이션이 < 20분인 경우에, 0.5초-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제1 시간 스팬(ta) 동안에 발생되고, 그리고 0.05초-0.15초의 버스트 듀레이션을 갖는 시동 펄스 버스트들이 제2 시간 스팬(tb) 동안에 발생되는,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은 제1 시간 스팬(ta) 동안에는 7초-35초이고, 상기 두 개의 시동 펄스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은 제2 시간 스팬(tb) 동안에는 30초-7분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7. 고 전압 부분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로서,
    상기 고 전압 부분은 고압 방전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시동 펄스 버스트들을 발생시키고,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의 적용의 결과로서 상기 고 전압 부분에서의 감소된 절연 스트레스를 특징으로 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스팬(ta)의 듀레이션은 30초와 1분 사이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스팬(tb)의 듀레이션은 20분인,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KR1020107023129A 2008-03-19 2008-03-19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동작 장치 KR101532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53292 WO2009115120A1 (de) 2008-03-19 2008-03-19 Verfahren und betriebsgerät zur minimierung der isolationsbeanspruchung eines hochdruckentladungslampen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13A true KR20100126813A (ko) 2010-12-02
KR101532546B1 KR101532546B1 (ko) 2015-07-01

Family

ID=4043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129A KR101532546B1 (ko) 2008-03-19 2008-03-19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동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41334B2 (ko)
EP (1) EP2260682B1 (ko)
KR (1) KR101532546B1 (ko)
CN (1) CN101978786B (ko)
TW (1) TW200948199A (ko)
WO (1) WO2009115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3165B2 (en) * 2013-08-30 2019-09-03 Insitu, Inc. Unmanned vehicle si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621A (en) * 1980-12-15 1982-05-11 Gte Products Corporation Starter and discharge lamp starting circuit
US4763044A (en) * 1986-01-23 1988-08-09 Hubbell Incorporated Start, hot restart and operating lamp circuit
JP2562816B2 (ja) 1987-06-05 1996-12-11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US5070279A (en) * 1990-07-25 1991-12-03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Lamp ignitor with automatic shut-off feature
US5572093A (en) * 1994-09-15 1996-11-05 General Electric Company Regulation of hot restrike pulse intensity and repetition
CA2206200C (en) * 1997-04-18 2000-06-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US6479949B1 (en) 2000-02-01 2002-11-12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regulation circuit for high frequency electronic ballast for ceramic metal halide lamp
US6359396B1 (en) * 2000-04-28 2002-03-1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Multiple-parameter control of lamp ignition
JP2003092198A (ja) * 2001-09-18 2003-03-28 Ushio Inc 光源装置
JP4239808B2 (ja) * 2003-06-06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高圧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WO2005057990A1 (ja) 2003-12-12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高圧放電灯を点灯するための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照明器具
JP4697050B2 (ja) * 2006-05-26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8786B (zh) 2014-06-18
WO2009115120A1 (de) 2009-09-24
TW200948199A (en) 2009-11-16
EP2260682A1 (de) 2010-12-15
EP2260682B1 (de) 2013-05-08
KR101532546B1 (ko) 2015-07-01
CN101978786A (zh) 2011-02-16
US20110018459A1 (en) 2011-01-27
US8941334B2 (en)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4021A (zh) 电子镇流器的灯寿命终止单点感测、防电弧放电和空载保护
JP5613251B2 (ja) Co2ガス放電レーザのための事前イオン化方法
US6794832B2 (en) Ligh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 and high-pressure discharge lamp apparatus
EP2244534B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illumination fixture and illumination system
US10476239B2 (en) High energy ignition generator for a gas turbine
KR20100126813A (ko) 고압 방전 램프 시스템의 절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동작 장치
KR20100130970A (ko) 적어도 하나의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 안정기 및 방법
EP2938168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US8154211B2 (en) End-of-life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US81438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 gas discharge lamp
JP4542806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JP4417165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JP7373121B2 (ja) 閃光加熱装置及び閃光放電ランプの制御方法
JP6340948B2 (ja) 点火装置
US8212496B2 (en) End-of-life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US8981656B2 (en) Relamping circuit for fluorescent ballasts
JP4417137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JP4651737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JP7287163B2 (ja) 閃光放電ランプの制御方法及び閃光加熱装置
JP2006114505A (ja) 高出力放電ランプ
JP4651736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JP2009151971A (ja) 高圧放電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10067505A (ko) 백라이트 유니트의 초기 구동 회로
JP2011238505A (ja) 高輝度放電灯回路
JP2006134889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