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664A - 비상 탈출복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664A
KR20100125664A KR1020090044485A KR20090044485A KR20100125664A KR 20100125664 A KR20100125664 A KR 20100125664A KR 1020090044485 A KR1020090044485 A KR 1020090044485A KR 20090044485 A KR20090044485 A KR 20090044485A KR 20100125664 A KR20100125664 A KR 2010012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belt
emergency
pair
butt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953B1 (ko
Inventor
윤정현
Original Assignee
윤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현 filed Critical 윤정현
Priority to KR102009004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5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구조물에서의 재난시 고층 구조물 내 인명들의 안전한 탈출을 도와주기 위한 비상 탈출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화재, 지진, 폭파등으로 인한 재난의 발생으로 부상을 입지않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중상을 입은 사람들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용하여 고층 구조물에서의 빠른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 탈출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은, 완강기(200) 연결고리에 결합되어 비상 탈출자의 신체를 잡아 고층건물에서 탈출하도록 하는 비상 탈출복에 있어서, 긴 팔의 상의(11)와 바지 형상의 하의(12)가 일체로 형성되는 탈출복본체부(10);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상의(1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탈착부(20);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가슴부위를 감싸며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에서 양단이 탈착되도록 양 끝단에는 탈착부재(31)가 형성되는 가슴벨트(30);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허리부위를 감싸며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중앙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허리벨트(50); 및 일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고, 중앙부는 둔부를 감싸며 봉제되고, 타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둔부벨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 탈출복, 완강기, 고층 구조물, 야광밴드

Description

비상 탈출복{The Suit for escaping from building in the emergency}
본 발명은 고층 구조물에서의 재난시 고층 구조물 내 인명들의 안전한 탈출을 도와주기 위한 비상 탈출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화재, 지진, 폭파등으로 인한 재난의 발생으로 부상을 입지않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중상을 입은 사람들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용하여 고층 구조물에서의 빠른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 탈출복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에 따라 생활이 대도시 주변에 밀집되면서 대도시에는 많은 아파트나 빌딩 등과 같은 고층 구조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층 구조물은 건축법 및 소방법상 화재 등의 비상 상황시에 대비한 각종 탈출 시설들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재 진화시설, 비상 계단 등과 같은 시설들이다. 그러나, 상기한 고층 구조물에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시설물들만으로는 모두의 안전성을 만족스럽게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고층 구조물에는 비상 상황을 대비해서 탈출용 사다리, 완 강기, 탈출용 안전벨트 등 많은 종류의 비상용 탈출장구가 발명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탈출 그 자체에만 집중하여 중점적으로 개발되어 탈출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인체의 피로도나 안전도에는 소홀한 점이 많았다.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대부분의 비상용 탈출장구는 가슴이나 허리에 부착, 사용하게 한 것들이며, 탈출과정에서 탈출자들에게 허리 압박에 의한 고통이나 흉부압박으로 인한 호흡 곤란을 일으키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가장 유용한 안전벨트류로는 낙하산용 전신벨트 또는 등산용의 둔부, 복부, 흉부를 연결하는 전신벨트 등으로 심한 충격을 분산시켜 신체를 안전하게 지지해주고 항상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 준다. 다만, 이 유형의 벨트류들은 착용법이 복잡하여 초보자나, 노약자들 또는, 재난의 탈출과정에서 부상을 입은 부상자들이 거의 착용하기 힘들며, 위급한 상황에서 잘못된 착용으로 인한 또 부가적인 사고 발생의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어린아이나 노약자 또는 탈출과정에서 부상을 입은 부상자들도 당황하지 않고 간편하게 착용가능 하도록 하고,
또한, 착용으로 인한 허리 압박이나 흉부압박으로 인한 호흡 곤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신으로 하중을 고루 분산시키도록 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후 탈출하는 과정에서의 부가적인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완강기(200) 연결고리에 결합되어 비상 탈출자의 신체를 잡아 고층건물에서 탈출하도록 하는 비상 탈출복에 있어서, 긴 팔의 상의(11)와 바지 형상의 하의(12)가 일체로 형성되는 탈출복본체부(10);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상의(1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탈착부(20);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가슴부위를 감싸며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에서 양단이 탈착되도록 양 끝단에는 탈착부재(31)가 형성되는 가슴벨트(30);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허리부위를 감싸며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중앙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허리벨트(50); 및 일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고, 중앙 부는 둔부를 감싸며 봉제되고, 타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둔부벨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에서, 상기 탈출복본체부(10)에는,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둔부부위에 삽입되어 착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둔부지지대(7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중앙부가 봉제되는 양다리의 가랑이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가 일체로 결합하여 봉제되며, 한 쌍의 둔부벨트(60)가 결합하는 부위에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양 끝단에는 연결고리(71)가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허리벨트(50)와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개폐걸고리(40)에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연결벨트(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에서, 일측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어깨를 감싸며 봉제 되고, 타측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봉제 되며, 벨트의 중앙부인 어깨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어깨벨트(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출복본체부(10)에서, 양팔의 측면과 양팔이 겹치는 상의(11)의 측면 및, 양다리가 겹치는 하의(12)의 양측면에 결속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72),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 상기 허리벨트(50) 및, 상기 가슴벨트(30)에는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가능하도록 야광밴드(9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복은, 화재, 지진, 폭파 등의 재난 발생으로 인한 위급한 상황에서 어린아이나 노약자 또는 부상을 입은 부상자들도 당황하지 않고 용이하게 착용하여 고층 구조물에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으며,
비상 탈출복의 착용시 하중이 특정 착용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켜 착용으로 인한 허리 압박이나 흉부압박으로 인한 호흡 곤란을 방지하고,
또한, 안정적인 자세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후 탈출하는 과정에서의 부가적인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에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결 합부위에 구비된 개폐걸고리(40)와 허리벨트(50)에 구비된 개폐걸고리(40)를 연결하는 연결벨트(7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에 한 쌍의 어깨벨트(72)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도 1의 비상 탈출복(100)을 착용한 대피자가 완강기(200)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황도이고, 도 4b는 도 2의 비상 탈출복(100')을 착용한 대피자가 완강기(200)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황도이며, 도 4c는 도 3의 비상 탈출복(100'')을 착용한 대피자가 완강기(200)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긴 팔의 상의(11)와 바지 형상의 하의(12)가 일체로 겹합되어 형성되는 탈출복본체부(10)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중앙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허리벨트(50)와, 상기 비상 탈출복(100) 착용자의 둔부를 받쳐주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둔부부위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둔부지지대(73) 및, 일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고, 중앙부는 둔부를 감싸며 봉제 되고, 타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둔부벨트(60)로 구성된다.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상의(11)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롤 탈착부(20)가 형성 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20)로는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비상 탈출복을 착용할 수 있도록 벨크로(Velcro Connector)를 사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재질은 화재 발생시 화염으로부터 대피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내화성 직포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허리벨트(50)와 둔부벨트(60)는 약 1800 Kg 강도의 1인치 폭의 나이론 벨트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상기 허리벨트(50)에는 양 옆구리 측면으로는 대피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허리둘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길이조절버클(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는 양다리의 둔부를 감싸며 상기 허리벨트(50)와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허리벨트(50)에 결합된 개폐걸고리(40)에 완강기(200) 등의 탈출장치의 견인고리가 연결될 경우에 비상 탈출복을 착용한 대피자의 머리가 위로 향하는 안정된 자세로 고층 구조물 등에서 탈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대피자의 하중을 엉덩이 부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기 위해 둔부지지대(73)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엉덩이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둔부지지대(73)의 재질은 보다 안정적인 둔부의 지지를 위해 엉덩이 형상으로 가공되며 가볍고 견고한 판재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출복본체부(10) 하의(12)의 가랑이부위에는,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중앙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봉제되어 개폐걸고리(40)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허리벨트(50)와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결합부위에 구비된 각각의 개폐걸고리(40)에 양단에 마련되는 연결고리(71)가 연결되며 중앙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구비되는 연결벨트(70)를 마련하여 엉덩이, 허리부위와 함께 양다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완강기(200)가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좀 더 안정적으로 비상시 고층 구조물에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비상 탈출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가슴부위를 감싸며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에서 양단이 탈착되게 양 끝단에는 탈착부재(31)가 형성되는 가슴벨트(30)가 구비되어 견고하게 대피자의 흉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어깨벨트(72)가 구비되어 상기 어깨밸트의 일측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어깨를 감싸며 봉제되고, 타측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봉제 되며, 벨트의 중앙부인 어깨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벨트(7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폐걸고리(40)에 완강기(200) 등의 탈출장치의 견인고리가 연결되도록 하여 비상 탈출복을 착용한 대피자의 머리가 위로 향하며 일자의 안정된 자세로 고층 구조물 등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어깨밸트에 구비된 개폐걸고리(40)를 통해 완강기(200)의 견인고리와 연결되어 고층 구조물로부터 탈출하는 경우에는 탈출과정 등에서 부상을 입은 부상자라도 주위의 도움을 받아 일자의 안정된 자세로 용이하게 화재가 발생한 고층 구조물 등에서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양팔의 측면과 양팔이 겹치는 상의(11)의 측면 및, 양다리가 겹치는 하의(12)의 양측면에는,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부가적인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속부재(90)를 형성시켜 좀 더 견고하게 일자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속부재(90)로는 혼자서도 결속 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Velcro Connecto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상자들 대피시키기 위해 주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경우라면 지퍼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72),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 상기 허리벨트(50) 및, 상기 가슴벨트(30)에는 상가 벨트들을 따라 야광밴드(91)가 구비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대피자들을 식별하여 안전한 곳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에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결합부위에 구비된 개폐걸고리(40)와 허리벨트(50)에 구비된 개폐걸고리(40)를 연결하는 연결벨트(7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상 탈출복(100)에 한 쌍의 어깨벨트(72)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는 도 1의 비상 탈출복(100)을 착용한 대피자가 완강기(200)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황도;
도 4b는 도 2의 비상 탈출복(100')을 착용한 대피자가 완강기(200)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황도; 및
도 4c는 도 3의 비상 탈출복(100'')을 착용한 대피자가 완강기(200)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황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탈출복본체부 11 : 상의
12 : 하의
20 : 탈착부 30 : 가슴벨트
31 : 탈착부재
40 : 개폐걸고리 50 : 허리벨트
51 : 길이조절버클 60 : 둔부벨트
70 : 연결벨트 71 : 연결고리
72 : 어깨벨트 73 : 둔부지지대
90 : 결속부재 91 : 야광밴드
100, 100', 100'' : 비상 탈출복
200 : 완강기

Claims (7)

  1. 완강기(200) 연결고리에 결합되어 비상 탈출자의 신체를 잡아 고층건물에서 탈출하도록 하는 비상 탈출복에 있어서,
    긴 팔의 상의(11)와 바지 형상의 하의(12)가 일체로 형성되는 탈출복본체부(10);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상의(1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탈착부(20);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가슴부위를 감싸며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에서 양단이 탈착되도록 양 끝단에는 탈착부재(31)가 형성되는 가슴벨트(30);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허리부위를 감싸며 봉제되고,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중앙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허리벨트(50); 및
    일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고, 중앙부는 둔부를 감싸며 봉제되고, 타단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 전방의 허리벨트(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둔부벨트(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복본체부(10)에는,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둔부부위에 삽입되어 착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둔부지지대(7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중앙부가 봉제되는 양다리의 가랑이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가 일체로 결합하여 봉제되며, 한 쌍의 둔부벨트(60)가 결합하는 부위에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
  4. 제 3항에 있어서,
    양 끝단에는 연결고리(71)가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허리벨트(50)와 한 쌍의 둔부벨트(60)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개폐걸고리(40)에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연결벨트(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
  5.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어깨를 감싸며 봉제 되고, 타측은 상기 탈출복본체부(1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봉제 되며, 벨트의 중 앙부인 어깨부에는 개폐걸고리(40)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어깨벨트(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복본체부(10)에서,
    양팔의 측면과 양팔이 겹치는 상의(11)의 측면 및, 양다리가 겹치는 하의(12)의 양측면에 결속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72), 상기 한 쌍의 둔부벨트(60), 상기 허리벨트(50) 및, 상기 가슴벨트(30)에는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가능하도록 야광밴드(9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복.
KR1020090044485A 2009-05-21 2009-05-21 비상 탈출복 KR101123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85A KR101123953B1 (ko) 2009-05-21 2009-05-21 비상 탈출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85A KR101123953B1 (ko) 2009-05-21 2009-05-21 비상 탈출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64A true KR20100125664A (ko) 2010-12-01
KR101123953B1 KR101123953B1 (ko) 2012-03-23

Family

ID=4350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85A KR101123953B1 (ko) 2009-05-21 2009-05-21 비상 탈출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33B1 (ko) * 2012-11-15 2014-06-05 경기도 소방용 방화복
KR20160004046U (ko) 2015-05-14 2016-11-24 김용출 긴급 생명 구조대
CN107596587A (zh) * 2017-08-30 2018-01-19 魏超军 一种高楼建筑施工用保护装置
CN107630337A (zh) * 2017-09-21 2018-01-26 南存鹤 一种可用于逃生的晾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083Y1 (ko) * 1999-12-27 2000-06-15 곽순이 구조용 안전벨트
KR200433119Y1 (ko) * 2006-09-29 2006-12-11 김기종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33B1 (ko) * 2012-11-15 2014-06-05 경기도 소방용 방화복
KR20160004046U (ko) 2015-05-14 2016-11-24 김용출 긴급 생명 구조대
CN107596587A (zh) * 2017-08-30 2018-01-19 魏超军 一种高楼建筑施工用保护装置
CN107630337A (zh) * 2017-09-21 2018-01-26 南存鹤 一种可用于逃生的晾衣机
CN107630337B (zh) * 2017-09-21 2023-11-14 南存鹤 一种可用于逃生的晾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953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6850B2 (ja) 作り付けのハーネスを有するターンアウト上着及びズボン
KR100671167B1 (ko)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JP3952212B2 (ja) 安全装具
US5960480A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US8281894B2 (en) Floating harness
US11364980B2 (en) Lift vest with webbing to reduce or eliminate vertical sliding
US8826469B2 (en) Safety net harness
KR101123953B1 (ko) 비상 탈출복
WO2014088603A1 (en) Safety harness, lanyard, hook assembly
TWM574912U (zh) Suspension aid
ES2905439T3 (es) Ropa de protección
CN210447904U (zh) 一种易穿着的高空安全带
JP2019056183A (ja) ズボン
CN211021081U (zh) 一种防出走、防暴力的精神病人保护连体衣
CN210020890U (zh) 一种可外挂副袋的单双两用逃生袋
CN217526141U (zh) 一种安全性高的消防服
RU141284U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стюм типа комбинезона для спасения с высоты
KR10076855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복
CN217366943U (zh) 一种裤脚收紧可调节式消防服
CN108744334A (zh) 防火逃生服
CN220675211U (zh) 一种老人用安全防护服
CN209302047U (zh) 一种可外挂绳索的高层穿戴逃生服
CN217854211U (zh) 一种接近式灭火防护服
CN220308483U (zh) 一种内置全身安全吊带的消防救援连体服
CN207979014U (zh) 一种安全连体背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