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083Y1 - 구조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구조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083Y1
KR200187083Y1 KR2019990029806U KR19990029806U KR200187083Y1 KR 200187083 Y1 KR200187083 Y1 KR 200187083Y1 KR 2019990029806 U KR2019990029806 U KR 2019990029806U KR 19990029806 U KR19990029806 U KR 19990029806U KR 200187083 Y1 KR200187083 Y1 KR 200187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afety
worn
seat bel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
최성하
Original Assignee
곽순이
아시안파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순이, 아시안파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곽순이
Priority to KR2019990029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고리 전면에 지퍼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장치를 달아 안전고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야간에 식별 가능하게 야광부재가 부착된 구조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멜방 형식의 어깨벨트(1),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2), 양다리에 착용하는 고정벨트(3)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벨트의 요소 부위에 다수개의 안전고리(4)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용 안전벨트(V)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V)를 소방관이나 인명 구조요원들이 입는 소방복이나 구조복 등에 일체로 부착하고, 이 안전벨트(V)에 달려있는 상기 안전고리(4)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고 사용 시에는 꺼내 쓸 수 있게 하는 지퍼(6) 형식을 갖는 수납장치(5)가 안전고리(4) 전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어깨벨트(1)의 어깨 부위에 야광도료가 도포된 야광부재(7)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용 안전벨트{A safety belt for rescue}
본 고안은 구조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복 등에 안전벨트가 일체로 부착되고, 이 안전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고리 전면에 지퍼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장치를 달아 안전고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야간에 멀리서 식별 가능하게 야광부재가 부착된 한 구조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명 구조용 안전벨트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다리 사이로 고정벨트(3)를 착용하고, 허리부위에는 상기 고정벨트(3)가 연결되는 허리벨트(2)를 착용하며, 이 허리벨트(2)에 연결됨과 아울러 멜빵 형식으로 어깨에 착용하는 어깨벨트(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벨트(V)의 요소 요소에는 줄이나 연결고리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안전고리(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V)는 대형 화재 사고 등으로 높은 곳에서 인명을 긴급히 대피시켜야 할 때나 산악에서 조난 사고 등을 당해 헬기 등으로 긴급 수송을 필요로 할 때, 인명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헬기로 안전하게 끌어올리고자 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한 안전벨트(V)는 대형 화재로 건물 옥상 등에 사람이 고립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건물과 건물 사이에 탈출용 줄을 단단하게 연결 고정하고, 이 줄을 상기 안전벨트(V)의 안전고리(4)에 걸어서 사람이 줄을 타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헬기 등으로 사람을 끌어올릴 때도 사람에게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한 다음, 이 안전벨트(V)에 구비된 안전고리(4)에 연결고리를 통해 줄을 연결하여 안전하게 끌어올릴 수 도 있다.
특히, 상기한 안전벨트(V)는 소방관들이나 산악구조 요원들이 방수복이나 구조복 위에 같이 착용하고 있다가 줄을 타고 소방작업이나 구조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사용하거나 부득이한 상황에서 자신들의 탈출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V)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V)는 소방관들이 인명 구조요원이 입는 구조복, 방수복, 소방복 등과 별개로 만들어져 필요시에 상기 구조복, 방수복, 소방복 위에 착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안전벨트(V)가 상기한 소방복이나 구조복과 별도로 만들어져 각각 착용하도록 됨에 따라 별도의 착용에 따른 번거로움과 함께 안전벨트(V)를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V)의 요소 요소에 구비된 안전고리(4)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이 안전고리(4)가 다른 물체의 돌출 부위에 걸려 간섭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안전고리(4)가 노출된 상태로 안전벨트(V)에 주렁주렁 매달려 있어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안전벨트(V)의 경우에는 야간에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안전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야간에 식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방관들이나 인명 구조요원들이 있는 소방복이나 구조복에 안전벨트를 일체로 부착하고, 이 안전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고리 전면에 지퍼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장치를 달아 안전고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 안전벨트의 어깨벨트 상에 야광부재를 부착하여 야간에 손쉽게 식별할 수 있는 구조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멜방 형식의 어깨벨트,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 양다리에 착용하는 고정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벨트의 요소 부위에 다수개의 안전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를 소방관이나 인명 구조요원들이 입는 소방복이나 구조복에 일체로 부착하고, 안전벨트에 달려있는 상기 안전고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안전고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퍼 형식을 갖는 수납장치가 안전고리 전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안전벨트의 어깨벨트 상에 야광부재가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조용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고리 전면에 부착된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고리가 수납장치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용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깨벨트 2 : 허리벨트
3 : 고정벨트 4 : 안전고리
5 : 수납장치 6 : 지퍼
7 : 야광부재 V : 안전벨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고안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고리 전면에 부착된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각각 수납장치의 지퍼가 열려 있는 상태와, 지퍼가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고리가 수납장치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용 안전벨트(V)는 종래와 동일하게 멜방 형식의 어깨벨트(1),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2), 양다리에 착용하는 고정벨트(3)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벨트의 요소 부위에 다수 개의 안전고리(4)가 부착되어 있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상기 안전벨트(V)에 부착되는 상기 안전고리(4)는 통상 다섯 개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 어깨벨트(1)의 앞쪽 가슴 부위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부착되어 있고, 뒤쪽에는 어깨벨트가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 한 개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벨트와 고정벨트가 만나는 앞쪽과 뒤쪽에 각각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구조용 안전벨트(V)는 소방관들이나 인명 구조요원들이 입는 소방복이나 구조복 등에 일체로 부착되어 착용 및 소지가 간편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어깨벨트(2)의 어깨 부위에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야간에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는 야광부재(7)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안전고리(4) 전면에 안전고리(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도록 지퍼(6) 형식으로 된 수납장치(5)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납장치(5)는 지퍼(6) 형식을 갖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평상시에는 안전고리(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 시에 안전고리(4)를 꺼낼 수 있도록 된 벨크로우테이프 등을 이용한 수납 형식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허리벨트(2)의 옆구리 부위에는 별도의 로프 등을 착용할 수 있는 간단한 장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깨벨트(1) 상에 부착하는 야광부재(7)는 별도의 부재에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어깨벨트(1)에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어깨벨트(1) 자체에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조용 안전벨트(V)는 소방관들이나 산악 구조원이 소방복이나 구조복을 입게 되는 동시에 착용하게 되고, 이렇게 평상시에 착용하고 다닐 때, 상기 수납장치(5)의 지퍼(6)를 닫아 수납장치(5) 내에 안전고리(4)를 수납한 상태로 활동하고, 안전고리(4)를 사용해야 할 상황에는 수납장치(5)의 지퍼(6)를 열어 안전고리(4) 꺼내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V)는 그 소지가 간편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평상시에 수납장치(5) 내에 안전고리(4)를 수납하게 되면, 활동 시에 안전고리(4)의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문제점이 있었던 외부로 노출된 안전고리(4)가 다른 물체의 돌출 부위에 간섭받게 되던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소방관들이나 인명 구조용원들이 입는 소방복이나 구조복 등에 일체로 안전벨트를 부착함으로 착용이 간편하고, 이 안전벨트의 안전고리 전면에 수납장치를 부착함으로써, 평상시에 안전고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수납됨으로 다른 돌출 부위에 간섭받을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외관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용 안전벨트의 어깨벨트 상에 야광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야간에도 멀리서 식별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멜방 형식의 어깨벨트,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 양다리에 착용하는 고정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벨트의 요소 부위에 다수개의 안전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를 소방관이나 인명 구조요원들이 입는 소방복이나 구조복 등에 일체로 부착하고, 이 안전벨트에 달려있는 상기 안전고리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고 사용 시에는 꺼내 쓸 수 있게 하는 지퍼 형식을 갖는 수납장치가 안전고리 전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안전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벨트의 어깨부위에 야광도료가 도포된 야광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안전벨트.
KR2019990029806U 1999-12-27 1999-12-27 구조용 안전벨트 KR200187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806U KR200187083Y1 (ko) 1999-12-27 1999-12-27 구조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806U KR200187083Y1 (ko) 1999-12-27 1999-12-27 구조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083Y1 true KR200187083Y1 (ko) 2000-06-15

Family

ID=1960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806U KR200187083Y1 (ko) 1999-12-27 1999-12-27 구조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0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53B1 (ko) * 2009-05-21 2012-03-23 윤정현 비상 탈출복
KR101533289B1 (ko) * 2015-01-08 2015-07-0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처치 수행을 위한 앰뷸런스용 벨트
US11679303B1 (en) 2017-02-28 2023-06-20 Buckingham Manufacturing Company, Inc. Adjustable body belt having D-rings/attachm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53B1 (ko) * 2009-05-21 2012-03-23 윤정현 비상 탈출복
KR101533289B1 (ko) * 2015-01-08 2015-07-0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처치 수행을 위한 앰뷸런스용 벨트
US11679303B1 (en) 2017-02-28 2023-06-20 Buckingham Manufacturing Company, Inc. Adjustable body belt having D-rings/attach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582B1 (en) Adaptable rescue harness and method of use
CA2396841C (en) Coat and harness combination
US4854418A (en) Safety harness
CA2036791C (en) Firefighter's combination trousers and safety harness
US20090236176A1 (en) Integrated harness boiler suit
US4197816A (en) Multi-purpose human harness
CN205948215U (zh) 建筑施工安全带
US20200155875A1 (en) Intelligent Rope Descending Rescue Backpack
US20170281989A1 (en) FireCoat FEDS (Fullbody Emergency Descent System)
US20180200548A1 (en) FireCoat FEDS (Fullbody Emergency Descent System)
US4446943A (en) Fire service harness
US6308335B1 (en)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having suspender assembly
CN110626475A (zh) 一种抗洪充气式救生雨衣
US6367583B1 (en) Capture strap for a rescue harness and method of use
KR200187083Y1 (ko) 구조용 안전벨트
CN103933677A (zh) 坐式火灾缓降装置
US20030146044A1 (en) Sefety harness with support strap
US20170290379A1 (en) Vertical lift harness and turnout gear
CN206792821U (zh) 消防安全绳及腰斧专用包
US20210060365A1 (en) FireCoat FEDS (Fullbody Emergency Descent System)
CN213096197U (zh) 有肩带的新型消防抢险救援服
CN220801720U (zh) 一种智慧消防救生工具
CN209900464U (zh) 一种绳系安全逃生装置
JP2004211274A (ja) エアバッグ・浮き輪・ザイル降下用緩衝具等、救命具セットを組み込んだ海・陸両用リュック・ベスト及び上着。
CN215013762U (zh) 一种救生员救灾专用标志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