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402A - 신규한 암모늄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암모늄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402A
KR20100125402A KR1020107022719A KR20107022719A KR20100125402A KR 20100125402 A KR20100125402 A KR 20100125402A KR 1020107022719 A KR1020107022719 A KR 1020107022719A KR 20107022719 A KR20107022719 A KR 20107022719A KR 20100125402 A KR20100125402 A KR 2010012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yclic
carbon atoms
branched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드 바그너
칼-하인츠 조켈
발터 시몬
Original Assignee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2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ureide or urethane link, otherwise, than from isocyanate radical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1/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5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ureth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4Nitrogen-containing link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 암모늄-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특히 암모늄-폴리우레탄-폴리디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디오가노실록산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암모늄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NOVEL AMMONIUM POLYURETHANE AND/OR POLYCARBONATE COMPOUNDS}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 특히 암모늄-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특히, 암모늄-폴리우레탄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디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과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4급 암모늄 구조를 함유하는 실록산 블록 코폴리머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실록산과 4급 암모늄 단위를 함유하는 유형의 디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DE 3340708, EP 282720, US 6,240,929, US 6,730,766). 다른 한편으로, 실록산/4급 암모늄/폴리에테르 블록 단위의 조합에 기반해서, 트리블록 코폴리머가 개발되었다 (WO 02/10256, WO 02/10257, WO 02/10259, WO 2004/090007, WO 03/078504, WO 2004/041912, WO 2004/042136). 이들 트리블록 코폴리머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이들의 구조가 유연해서 구체적인 제품 요구사항에 알맞게 광범위하게 응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아미노기로 종결된 실록산을 탄화수소-기반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우레아기를 함유하는 디블록 코폴리머를 형성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US 2006/0036055 및 실리콘, Chemie und Technologie, Vulkan Verlag Essen 1989, pp.94-96). 유사한 우레탄 유도체 역시도 보고된 바 있다 (US 2004/0087752).
우레아와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이 GB 1128642에 개시되어 있다. 아미노 또는 히드록시-종결된 실록산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면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중간체가 얻어지며, 이를 예컨대 1차-3차 디아민 또는 트리아민과 반응시켜서 3차 아미노기를 4급화시킨다. 사슬 연장제로서 예컨대 올리고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소모로 인하여, 4급 암모늄기의 양이 감소되는 결과가 야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광범위한 제품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카보네이트-관능화된 실록산을 1차 및 2차 아미노기 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탄화수소와 반응시켜 실리콘(silicones) 또는 대응하는 우레탄기 함유 에테르를 얻는 것도 알려져 있다 (US 5,672,338, US 5,686,547, DE 195 05 892).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실록산-변형 이사급(diquaternary)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 링ㄹ커기로서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 역시 제안된 바 있다(WO 2005/058863).
마지막으로, 아민염 단위가 통합된 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블록 코폴리머의 합성시, 이러한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카보네이트 링커를 사용하는 것 역시도 설명된 바 있다 (C.Novi, A.Mourran, H.Keul, M.Moeller, Macromol. Chem. Phys. 2006, 207, 273-286). 이 화합물들의 단점은 이들이 아민염 형성시 pH-민감성 전하만을 가짐으로 해서, 실질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카보네이트 링커에 기초한 상기한 두 가지 해법의 근본적인 단점은 링커를 경제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이 구하기 어려운 포스젠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4급 암모늄기와 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블록 코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포스젠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반응 단계를 거침이 없이,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에 기반하며, 다양한 제품군의 구체적인 제품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적 적응력을 갖는 것이다.
놀랍게도, 전술한 목적은 4급 암모늄기와 바람직하게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블록 코폴리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구조 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신규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식 중,
R은 수소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되고;
R1은 수소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되며,
R2은 수소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되고,
ST1은 100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또는 다가의,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기를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다:
-O-,
-C(O)-,
-NH-,
-NR3, (여기서, R3는 하기 정의되는 바와 같음) 및,
규소 원자를 2 내지 1000개 함유하는 폴리오가노실록산 단위
Y는 -O-, -S- 및 -NR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6는 수소이거나 또는 4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및 -NR3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 고, (여기서 R3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또는 2개의 R6 잔기가 함께 알킬렌 잔기를 형성하면서 ST1과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R6 잔기는 ST1와 함께 하나 이상의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면서 ST1에 대한 결합을 나타내는 것이고,
ST2는 100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또는 다가의,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다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는 것이다:
-O-,
-C(O)-,
-NH-,
-NR3-,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2 내지 10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산 단위
식 중, R3는 4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O-, -C(O)-, 및 -N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필요 에 따라 실릴기로 치환될 수 있는 것임
R5는 10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및 -N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실릴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두개는 알킬렌 잔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하나 이상은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면서 ST2 잔기에 대한 결합을 형성하고,
ST3는 3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가 또는 다가의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다음 중에서 선택된 기를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O-,
-C(O)-,
식 중,
A-는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R, R1 및 R2 잔기들 중 적어도 한가지는 수소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R, R1 및 R2 잔기들 모두가 수소인 것이 좋다. R, R1 및 R2 잔기가 될 수 있는 알킬로는 바람직하게는 직쇄 또는 분지형의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잔기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1종 이상의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기질에 도포할 때 유연성을 부여해준다.
평균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화학식 (1)의 구조 요소를 두 개 이상 함유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의 구조 요소를 평균 약 2 내지 20개 함유한다.
좋기로는,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은 화학식 (1)의 구조 요소를 2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함유한다. 그러나, 화학식 (1)의 구조 요소를 오직 1개만 함유하는 화합물, 즉, "나비" 화합물이라고 칭해지는 화합물 역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4
이러한 화합물은 예컨대,
화학식 (5)의 화합물 2 몰을
Figure pct00005
(식 중, R, R1, R2 및 ST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이탈기이다)
화학식 (2)의 화합물 2 몰
Figure pct00006
(식 중, ST2 및 R5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p = 2임)
과 반응시킨 다음;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다음 화학식 (3)의 화합물 2 몰
Figure pct00007
(식 중, ST1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q = 2임)
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반응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말단기의 형성 가능성 역시도 설명해준다. 말단기들은 예컨대 CH-산 화합물, 예컨대, 알코올, 아민 또는 물 또는 산과 같은 반응성 일관능성 화합물로부터 유래하거나, 또는 사용된 다관능성 모노머의 미반응 말단기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좋기로는 평균 두 개 이상의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선형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선형 구조라 함은 화학식 (1)의 단위들로부터 형성된 폴리머 주쇄가 실질적으로 선형임을, 즉 측쇄를 갖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형 폴리머 주쇄 내에 시클릭 구조 효소가 포함되는 경우도 이 의미에 포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ST1, ST2 및 ST3 잔기들은 각각 2가 잔기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좋기로는 선형 화합물이며, 단, 화학식 (1)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머 주쇄 내에 시클릭 구조가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역시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내에 포괄되며, 특히, ST1 또는 ST2 잔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하여 폴리머 주쇄의 가지치기가 일어나는 화합물들도 본 발명에 포괄되는데, 이 경우 ST1 또는 ST2 잔기는 필연적으로 반드시 3가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산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에폭사이드를 이용하여 존재하는히드록실기에 의하여 교차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교차결합된 화합물들 역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선형 화합물은 특히 다음 화학식의 출발 화합물:
Figure pct00008
(식 중, ST2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 = 2임), 및 다음 화학식 (3)의 화합물:
Figure pct00009
(식 중, ST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q=2이다)
로부터 출발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화합물인 것이 좋다. 화합물 중의 ST1, ST2 및 ST3는 각각 2가 잔기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화학식 (4)의 폴리오가노실록산 잔기를 적어도 한 개 포함한다:
Figure pct00010
식 중,
R4는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이거나, 및/또는 R4는 알콕시 잔기로서, 그의 알킬 부분이 20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된 알킬 잔기인 이며, 1개 이상의 산소 원자를 갖는 것 (예컨대, 폴리알킬렌옥시알콕시 잔기)이고,
s = 1 내지 999이다.
바람직한 것은 다음 표 1의 정의를 갖는 것이다:
R4 C1 내지 C20,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9,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및 ㅍ페페닐이고
s 1 내지 199, 특히 1 내지 99.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실록산 단위가 다음의 화학식 (4a)의 폴리디메틸실록산 단위인 경우이다:
Figure pct00011
식 중 s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다음의 화합물은 예컨대, 대체적인 R4 = 알콕시 및/또는 알킬에 상응하는 호합물 ST1-(Y-H)2 을 구성한다:
Figure pct00012
화장품 분야, 예컨대 모발 케어용 제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실시 상태에서, s는 바람직하게는 > 199이다.
소프너 분야, 예컨대 섬유 소프너 제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실시 상태에서, s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3인 것이 좋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이 화학식 (4)의 폴리오가노실록산 잔기를 두개 이상 함유하는 것이다.
좋기로는, 구조 요소 ST1 및 ST2의 평균 합계 10 몰% 이상이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화학식 (2)와 (3)의 출발 화합물들의 혼합물
Figure pct00013
(식 중, ST2, R5, p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Figure pct00014
(식 중, ST1, Y 및 q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을 의미하며, 여기서, 출발 화합물들의 일부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포함하고, 출발 화합물의 또 다른 부분은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지 않으며, 출발 화합물들의 비율은 잔기 ST1 및 ST2 의 적어도 10 몰%가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구조 요소 ST1 및 ST2 들 중 오직 1종만이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는, 예컨대, 구조 요소 잔기 ST1 만이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여, 적용시, 그룹 ST1이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함유 및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무함유 구조 요소의 혼합물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기로는 평균적으로 ST1기의 적어도 10 몰%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는 ST2에 대응하는 구조 요소에서만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평균적으로 ST2기 적어도 10 몰%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다.
폴리디오가노실록산-함유기 ST1 및/또는 ST2의 함량은 또한 25 몰% 이상, 50 몰% 이상 및 심지어는 100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에서, Y = -NR6- (식 중, R6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으로 정의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화합물, 특히,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인 것이 좋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Y = -NH-인 경우이다.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폴리에테르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기와 폴리디오가노실록산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 상태는 기질 표면, 특히, 섬유상 기질 표면 상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우수한 직접성(substantivity: 세척 소거에 대한 내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서, 바람직하게는 ST1은 ST2와 동일하지 않은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ST1 및/또는 ST2 잔기들은 폴리오가노실록산-함유 잔기, 폴리에테르-함유 잔기, 폴리오가노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함유 잔기,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탄화수소 잔기, 비시클릭(acyclic), 임의로 산소를 함유하는 탄화수소 잔기 및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임의로 산소를 함유하는 탄화수소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ST1 및/또는 ST2 잔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알킬렌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ST1 및/또는 ST2는 다음 화학식의 구조 요소를 함유한다:
Figure pct00015
식 중, s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r은 1 내지 12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 표 2의 정의를 갖는다
R, R1 및 R2 =
수소,
ST1 = 탄소 원자 2 내지 2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임의로 -O-, -C(O)- 및/또는 2 내지 2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ST2 = 탄소 원자 2 내지 2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NR3- 및 임의로 2 내지 2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여기서 R3 =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및 -NH-을 함유할 수 있음)
ST3 = 탄소 원자 20개 이하를 갖는 2가의, 직쇄형,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화수소 잔기로서, -O- 및-C(O)- 중에서 선택된 기를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음
Y = -NR6-, 여기서
R6 = 수소이거나, 또는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및 -NR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여기서 R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R5 = 2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를 함유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1개 이상의 잔기는 ST2 잔기에 대한 결합을 형성하여 시클릭 구조를 형성한다.
A- = 할로게나이드와 같은 무기 음이온,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설페이트, 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음이온,
단, ST1 및 ST2 구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 표 3의 정의를 갖는다:
R, R1 및 R2 =
수소,
ST1 = 탄소 원자 2 내지 1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임의로 -O-, -C(O)- 및/또는 2 내지 1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ST2 = 탄소 원자 2 내지 1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NR3- 및 임의로 2 내지 1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여기서 R3 = 7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및 -NH-을 함유할 수 있음)
ST3 =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직쇄형 탄화수소 잔기로서, -O- 및 -C(O)- 중에서 선택된 기를 하나 이상 함유함
Y = -NR6- 여기서
R6 = 수소이거나 또는 7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및 -NR3- (여기서 R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중에서 선택된 기를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음
R5 =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를 함유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두개는 C2- 내지 C3-알킬렌 잔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하나 이상은 ST2 잔기에 대한 결합을 형성하여 시클릭 구조를 형성한다.
A- = 할로게나이드, 특히 클로라이드와 같은 무기 음이온,, 카르복실레이트, 특히 C2- 내지 C18-카복실레이트, 알킬폴리에테르 카복실레이트, 알킬 설페이트, 특히 메토설페이트, 설포네이트, 특히 알킬 설포네이트 및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특히 톨루일 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음이온이다
R5 잔기들 중 두 개가 알킬렌 잔기를 형성하는 경우는 이론상 2개의 가능성을 포함한다:
동일한 질소 원자 상에 위치하는 2개의 R5 잔기들은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컨대, 시클릭 아미노 화합물, 예컨대 피페리딘, 피롤리딘, 1-H-피롤, 피롤린 등이 사용되는 경우 생성된다. 피페리딘으로부터는, 예컨대 다음 화학식
Figure pct00016
을 갖는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디에폭사이드를 피페리딘과 반응시킴으로써), 이어서 이를
Figure pct00017
과 4급화 반응시킨 다음, 다음 화학식 (2)의 화합물
Figure pct00018
과 반응시킴으로써 다음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pct00019
또한, 인접하는 질소 원자들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R5 잔기들은 고리를 형성할 수 이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컨대, 화학식 (2)의 화합물로서 디메틸 피페라진을 사용하는 경우 일어난다
Figure pct00020
(p = 2, 두 개의 R5는 에틸렌을 형성하고, 두 개의 R5는 메틸임). 예컨대 화학식 (1b)의 화합물이 생산된다:
Figure pct00021
R5 잔기들 중 하나 이상이 ST2 잔기에 대한 결합을 형성하여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는, 예컨대 다음 상황에 대응한다. 예컨대 메틸 피페라진을 사용함으로써, 다음 화학식 (6)의 화합물
Figure pct00022
을 얻고 (예컨대 디에폭사이드를 메틸 피페라진과 반응시킴으로써), 이를 4급화 반응시켜 예컨대 다음 구조 (1c)의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pct00023
추가 단계에서, 이들 화합물을 예컨대 화학식 (7)의 화합물
X'-R3 (7)
(식 중, X'은 X에 대하여 정의된 바와 같은 이탈기이고, R3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과 반응시킴으로써 질소 원자들 상에서 부가적으로 4급화 시켜서, 다음 화학식 (1d)의 화합물
Figure pct00024
을 얻고, 이 화합물은 부가적으로, 다음 화학식을 갖는 구조 요소를
Figure pct00025
ST2에 함유하는 화합물의 구체예 역할을 하는데, 즉 상기 기는 ST2 중에서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ST1 구조 요소는 탄화수소 기반 또는 실록산 기반의 디-1차 (di-primary) 또는 2차 아민 또는 알코올로부터 유래한다. 디-1차 아미노 구조가 바람직하다.
탄화수소-기반 잔기 ST1는 한편으로는 디-1차 및 2차 아민 또는 알코올로부터 유래되는 구조이다.
이관능성 구조의 경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컨대, 헥사메틸렌과 같이 탄소 원자가 15개 이하인 직쇄형 탄화수소 잔기, 예컨대 다음의 비스-시클로헥실메탄 구조에 기반한 탄소 원자가 15개 이하인 2가의 시클릭 탄화수소 잔기,
Figure pct00026
또는 피페라진이나 Jefflink
Figure pct00027
754 (Huntsman Corp.)와 같은 시판되는 비스-2차 아민, 또는 예컨대 메틸시클로헥실 또는 이소포론 구조에 기반한 1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측쇄형 탄화수소 잔기
Figure pct00028
2,4-톨루일, 2,6-톨루일, 비스-페닐-메탄 및 나프틸렌 구조에 기초하는, 1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
Figure pct00029
에틸렌디아민 및 그의 올리고머, 1,3-프로필렌디아민 및 그의 올리고머,
H2NCH2CH2N(CH3)CH2CH2NH2, H2NCH2CH2CH2N(CH3)CH2CH2CH2NH2 및 HOCH2CH2N(CH3)CH2CH2OH 및 HOCH2CH2NH2 및 이들의 올리고머 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탄화수소 잔기 ST1은 1차 및 2차 아미노-관능화된 프리폴리머로 (더 고차 관능화될 수도 있음)부터 유도된 보다 복잡한 구조물일 수 있다.
그 예로는
-1차 또는 2차 아미노-말단형 폴리에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기반 폴리에테르, 예컨대, ED 및 T-시리즈의 (Huntsman Corp.) Jeffamine
Figure pct00030
유형의 1차 및 2차 아미노-말단형 폴리에테르,
-NH2-말단형 폴리아미드,
-NH2-말단형 우레아
를 들 수 있다.
ST1으로의 실록산 블록의 본 발명에 따른 도입은 바람직하게는 α,ω-1차 또는 2차 아미노-관능성 프리폴리머를 경유하여 일어나는 것이 좋다.
대응하는 α,ω-1차 또는 2차 아미노알킬-말단형 실록산의 제조는 종래 기술 (Silicone, Chemie und Technologie, Vulkan Verlag Essen 1989, pp. 85-90)의 일부이다.
알파, 오메가-위치형 아미노 말단기의 예로는
-CH2CH2CH2NH2, -CH2CH2CH2NHCH2CH2NH2,
-CH2NH2, -CH2NHCH2CH2NH2,
-CH2CH2CH2OCH2CH(OH)CH2NH2
-CH2CH2CH2OCH2CH(OH)CH2NHCH2CH2NH2
또는 암모니아 및 에틸렌디아민과 시클로헥산옥사이드와의 유사한 개환 산물을 들 수 있다.
실록산 단위는 다음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31
식 중, 치환기들은 다음 표 4의 정의를 갖는다.
R4 C1 내지 C20,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9,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메틸 및 페닐이 좋음
s 1 내지 999,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99, 특히 1 내지 99.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실록산 단위가 다음 화학식 (4a)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Figure pct00032
식 중, s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알콕시아미노실록산을 사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괄된다.
Figure pct00033
이는, 반응성 규소-알콕시 구조를 ST1 내로 특이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또한, 1차 및 2차 아미노 말단기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기반 및 실록산-기반 ST1 전구체를 미리 올리고머화시키는 것 역시 본 발명에 포괄된다. 이를 위하여, 이들은 앞선 반응에서 화학량론적으로 부족한 양 및 디에폭사이드와 반응하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따라, ST1에서 아미노실록산을 예컨대, 알콕시아미노실록산과 결합시키거나, 아미노실록산을 아미노폴리에테르와 결합시키거나 또는 방향족 히드로카르빌 아민을 알콕시아미노실록산과 결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화수소 잔기 ST1을 형성하기 위하여고차 관능성 (higher-functional) 1차 및 2차 아민과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괄된다. 그 예로는 N(CH2CH2NH2)3, N(CH2CH2OH)3을 들 수 있다. 가지달린 구조들이 이로부터 생성된다.
이들 빗살형 및 임의로 α,ω-아미노-관능화된 실록산은 종래기술에 이미 알려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음 유형의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CH2CH2CH2NH2, -CH2CH2CH2NHCH2CH2NH2,
-CH2NH2, -CH2NHCH2CH2NH2,
-CH2CH2CH2OCH2CH(OH)CH2NH2
-CH2CH2CH2OCH2CH(OH)CH2NHCH2CH2NH2
또는 암모니아 및 에틸렌디아민과 시클로헥산옥사이드와의 유사한 개환 생성물.
탄화수소 잔기 ST1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관능성 1차 및 2차 아민과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 역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괄된다. 이의 예로는 C1- 내지 C18 지방 아민, ㅇ이일관능성 폴리에테르, 예컨대, M형 Jeffamines,(CH3)2NCH2CH2OH을 들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 잔기 ST1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관능성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담지하는 실록산 프리폴리머를 이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의 예로는 다음 유형의 치환기들을 포함하는 MM*- 및 M2D* 구조를 들 수 있다:
-CH2CH2CH2NH2, -CH2CH2CH2NHCH2CH2NH2,
-CH2NH2, -CH2NHCH2CH2NH2,
-CH2CH2CH2OCH2CH(OH)CH2NH2
-CH2CH2CH2OCH2CH(OH)CH2NHCH2CH2NH2
ST2 기를 도입시키는 출발 화합물들은 실록산을 함유하지 않으며, 예컨대,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헤테로 원자-함유 탄화수소-기반 또는 실록산-기반 물질이다.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이들은 디-3차 탄화수소-기반 물질이다.
특히, 이들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3차 아민일 수 있고, 예컨대, (CH3)2N(CH2)2N(CH3)2, (CH3)2N(CH2)4N(CH3)2, (CH3)2N(CH2)6N(CH3)2 , 및 에테르-함유, 디-3차 아민, 예컨대, (CH3)2N(CH2)3O(CH2)3N(CH3)2 (CH3)2N(CH2)2O(CH2)2N(CH3)2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탄화수소-기반 디-3차 아민은 에폭시, 할로겐, 할로카르복실산 전구체로부터 유도되는데, 이들은 2차 아민에 의하여 3차 아민으로 전환된다.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기반 디에폭사이드 유도체는
- 탄화수소 디에폭사이드, 예컨대,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 에폭시-말단형 폴리에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기반 폴리에테르, 예컨대, 글리시딜-말단형 폴리에테르
- 에폭시-말단형 폴리에스테르,
- 에폭시-말단형 폴리카보네이트
인 것이 좋다.
할로겐-관능성 탄화수소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및 브로마이드는
- 탄화수소 디할라이드
- 할로겐-말단형,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기반 폴리에테르
- 탄화수소 디올 및 폴리에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기반 폴리에테르의 할로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특히 탄화수소 디올 및 폴리에테르의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 클로로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및 클로로부탄산 에스테르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범위에는 또한 이관능성 산 알콕실레이트를 대응하는 글리시딜, 할로겐 또는 할로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트랜스퍼하는 것과 본 발명에 따라 이들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들은 예컨대, 숙신산으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바람직한 클로로카르복실산의 합성은, 디올 성분을 대응하는 할로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할로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과 반응시키는 공지 방식에 의하여 수행된다 (Organikum, Organisch-Chemisches Grundpraktikum, 17. edition, VEB Deutscher Verlag der Wissenschaften, Berlin 1988, pp. 402-408).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탄화수소 잔기 ST2의 전구체들은 보다 복잡한 알파, 오메가-에폭시 또는 α,ω-히드록실-관능성 프리폴리머로부터 유도된 할로겐-말단형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α,ω-히드록실-관능성 프리폴리머들은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
- OH-말단형 폴리에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기반 폴리에테르와 디이소시아네이트
- OH-말단형 폴리에스테르,
- OH-말단형 폴리카보네이트.
와의 반응 생성물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이들 α,ω-히드록실-관능성 프리폴리머들은 대응하는 α,ω-할로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특히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 클로로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및 클로로부탄산 에스테르로 트랜스퍼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선호되는 ST2로의 실록산 블록의 도입은 한편으로는 알파-오메가-3차-아미노알킬-말단형 실록산, 예컨대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말단형 및 N,N-디메틸아미노메틸-말단형 실록산을 경유하여 일어난다. 이러한 α,ω-3차-아미노알킬-말단형 실록산의 합성은 Pt 촉매 존재 하에서 불포화 3차 아민을 대응하는 SiH 실록산과 히드로실릴화시키거나, 또는 클로로메틸히드로겐실란으로부터 출발하는 공지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실록산-기반형 디-3차 아민은 에폭시, 할로겐, 할로카르복실산 전구체로부터 유도되며, 이들은 2차 아민에 의해 디-3차 아민으로 트랜스퍼된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할로겐, 할로카르복실산 전구체들은
- α,ω-에폭시-말단형 실록산, 바람직하게는 α,ω-글리시딜- 및 에폭시시클로-헥실-말단형 실록산,
- α,ω-할로겐알킬-말단형 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클로로메틸-, 클로로프로필- 및 클로로프로페닐-말단형 실록산
- α,ω-할로카르복실-산-에스테르-말단형 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프로피온산 및 클로로부탄산의 에스테르,
- α,ω-할로카르복실-산-에스테르-말단형 폴리에테르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프로피온산 및 클로로부탄산의 에스테르
인 것이 좋다.
ST2 내로 도입되는 이들 α,ω-에폭시-말단형 실록산 및 α,ω-할로겐알킬-말단형 실록산의 제조 방법은 종래 기술에 설명되어 있다 (Silicone, Chemie und Technologie, Vulkan Verlag Essen 1989, pp. 85-90 및 120).
α,ω-할로카르복실-산-에스테르-말단형 실록산의 제조는 WO 02/10256, 실시예 1에 따른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SiH 실록산을 올레핀적으로 또는 아세틸렌적으로 불포화된 알코올의 할로카르복실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킨다.
α,ω-할로카르복실-산-에스테르-말단형 폴리에테르실록산의 제조는 WO 02/10257, 실시예 1에 따른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SiH 실록산을 올레핀적으로 또는 아세틸렌적으로 불포화된 폴리에테르의 할로카르복실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킨다. 별법으로, 폴리에테르실록산을 할로카르복실산, 이들의 무수물 또는 산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US 5,153,294, US 5,166,297).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실록산 블록의 ST2 내로의 도입은, 바람직하게는 α,ω-히드록시알킬 또는 α,ω-히드록시폴리에테르-말단형 실록산 프리폴리머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대응하는 α,ω-에폭시- 또는 할로겐-관능성 실록산 프리폴리머를 경유하여 수행된다.
이들 OH-말단형 실록산-함유 프리폴리머들은 바람직하게는
-α,ω-히드록시알킬-말단형 실록산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α,ω-폴리에테르-말단형 실록산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좋고, 이어서, 에폭시 및 할로겐 유도체로 트랜스퍼된다. 예컨대 무수물 또는 산 클로라이드에 의한 에스테르화에 의해 입수가능한 α,ω-할로카르복실-산-관능성 실록산 프리폴리머들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절한 탄화수소-기반 및 실록산-기반 ST2 전구체들을 미리 올리고머화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디에폭사이드를 화학량론적 부족량의 디-2차 아민, 예컨대 피페라진과 반응시킨 다음, 잔류 말단 에폭시기를 2차 아민 또는 2차-3차 디아민으로 알킬화시킨다. 이들 아민의 예로는 디메틸아민, N-메틸피페라진 및 CH3NHCH2CH2CH2Si[OCH(CH3)2]3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디에폭사이드를 화학량론적 부족량의 1차-아미노알킬-치환된 실란, 예컨대, H2NCH2CH2CH2Si[OCH(CH3)2]3 반응시키면서 사슬을 연장시킨 다음, 나머지 말단 에폭시기를 2차-3차 디아민으로 알킬화시킨다. 이들 아민의 예로는 디메틸아민, N-메틸피페라진 및 CH3NHCH2CH2CH2Si[OCH(CH3)2]3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올리고머화 반응 방법에 따라, ST2에서 탄화수소-, 폴리에테르-, 실록산- 및 실란-기반 구조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ST2 잔기를 형성하기 위해, 고차 관능성 탄화수소-기반 또는 실록산-기반 물질을 사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들 물질들은 상기 처리된 3차 아미노 관능기를 세개 이상 함유한다. 하나의 예가 N[CH2CH2CH2N(CH3)2]3이다.
나아가, 이들 고차-관능성 3차 아민은 전술한 2차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대응하는 에폭시, 할로겐 또는 할로칼복실산 유도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고차-관능성 탄화수소-기반 물질의 에로는 글리세롤, 펜타에리쓰리톨, 소르비톨 및 이들의 에톡실레이트/프로폭실레이트의 글리시딜 또는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고차-관능성 산 알콕실레이트를 대응하는 글리시딜 또는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 유도체로 트랜스퍼하여 이들을 본 발명에 E따라 사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들은 예컨대 트리멜리트산 또는 피로멜리트산으로부터 유도된다.
적절한 고차-관능성 실록산-기반 물질은 예컨대, Pt 촉매의 존재 하에 불포화 3차 아민에 SiH 실록산을 히드로실릴화시키거나 또는 클로로메틸실란으로부터 출발하여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적절한 고차-관능성 실록산-기반 물질은 2차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α,ω- 및/또는 빗살형 에폭시-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할로카르복실-산-에스테르-치환된 실록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들 고차-관능성 탄화수소-기반 또는 실록산-기반 물질의 관능성이 2보다 커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ST2 잔기를 형성하기 위해, 단관능성 탄화수소-기반 또는 실록산-기반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전술한 3차 아미노기들 중 하나를 함유한다.
단관능성 탄화수소-기반 물질의 예로는 (CH3)2NCH2CH2CH2NH2 및 (CH3)3SiOSi(CH3)2-CH2CH2CH2N(CH3)2에 기초한 지방산 아미드를 들 수 있다.
ST2 도입을 위해 에폭시-함유 전구체가 사용되는 경우, 종래기술에 공지인 방식으로 산을 화학량론적 양으로 첨가한다. 음이온은 할로게나이드, 특히 클로라이드와 같은 무기 음이온, 및, 카르복실레이트, 특히 C2 내지 C18-카복실레이트, 알킬폴리에테르카복실레이트, 알킬설페이트, 특히 메토설페이트, 설포네이트, 특히 알킬설포네이트 및 알킬아릴설포네이트, 특히 톨릴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음이온이다.
ST1 및 ST2와 관련한 전술한 설명에 기초해서, 탄화수소-기반 요소와 같이 실록산에 기반하지 않은 요소와 실록산-기반 요소 ST1 및 ST2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 중 광범위하게 서로 혼합시킬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반응성 알콕시실록산과 알콕시실란 역시도 도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차-관능성 및 단관능성 ST1 및 ST2 전구체를 사용하면 선형 폴리머 구조로부터 특이한 이탈 (specific deviation)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형성된 폴리머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이들 단관능성 비실록산-기반, 예컨대 탄화수소-기반 또는 실록산-기반 ST1 및 ST2 전구체들을 첨가한다. 고차-관능성 ST1 및 ST2 전구체들은 폴리머 사슬의 분지도를 제어하는 역학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화학식 (5)의 화합물
Figure pct00034
(식 중, R, R1, R2 및 ST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이탈기임)을 다음 화학식 (2)의 화합물
Figure pct00035
(식 중, ST2 및 R5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p = 2 또는 3임)
와 반응시키고,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화학식 (3)의 화합물
Figure pct00036
(식 중, ST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q=2 내지 10임)
과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Y = NR6 (여기서 R6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Y는 수소인 것이 좋다), X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인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4급화 반응 후 음이온 A-를 형성한다.
4급 암모늄기와 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코폴리머들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화학식 (8)의 화합물
Figure pct00037
(식 중, ST2 및 R5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을 다음 화학식 (9)의 화합물
Figure pct00038
(식 중, y=1 내지 19이고 X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좋다. 이관능성 카보네이트 전구체들은 예컨대,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와 할로칼복실산 또는 이들의 산 클로라이드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프로판산 및 클로로부탄산은 바람직한 대표물질이다.
중간 생성물 (10)
Figure pct00039
이 형성되며, 이를 화학식 (11)의 화합물
Figure pct00040
(식 중, ST1과 Y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과 반응시킨다.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41
을 이관능성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킨 다음, 이어서, ST1 전구체를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40℃의 범위로 둔다. 반응 시간은 수분에서 수시간이다. 반응 시간, 반응 온도 및 얻어진 전환률은 특히, 전구체의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클로로아세트산-기반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반적으로 장쇄 유도체 (y가 더 김) 보다 반응성이 더 높다. 이에 따라, 1차-아민-말단형 ST1 전구체들은 일반적으로, 2차-아민-말단형 또는 OH-말단형 ST1 전구체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더 높다.
전체 반응 순서 또는 개별적인 부분 단계들을 아무런 용매 없이, 또는 용매 존재 하에서 수행하는 것들도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괄된다. 바람직한 용매들은 일반적인 라커 용매, 예컨대 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톨루엔이다. 예컨대 에탄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 또는 고급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유도체와 같은 양성자성 용매들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반응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다음 화학식 (5)의 화합물 1종 이상,
Figure pct00042
(식 중, R, R1, R2 및 ST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이탈기임), 및 다음 화학식 (2)의 화합물 1종 이상,
Figure pct00043
(식 중, ST2 및 R5 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p = 2 또는 3임), 및 다음 화학식 (3)의 화합물 1종 이상
Figure pct00044
(식 중, ST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q=2 내지 10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응성 조성물에서, Y는 바람직하게는 NR6이고 R6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소인 것이 좋다)
상기 반응성 조성물은 단일 성분계 또는 다성분계로서, 특히 2성분계로서 조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임의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이, 후속적인 가교 또는 사슬 연장을 위한 다른 반응성 성분들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반응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는 경화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반응성 화합물의 경화는 특히, 섬유, 경질 표면, 예컨대 플라스틱, 금속 등에 피막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경화는 실온 (20℃) 내지 약 25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가소성, 탄성 또는 듀로플라스틱 성형 제품 또는 밀봉제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급 암모늄기 및 바람직하게는 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블록 코폴리머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유리, 세라믹, 타일, 플라스틱 표면, 금속 표면, 라커 표면, 특히 배의 선각 및 자동차 차체와 같은 경질 표면을 처리 및 마감하는데, 특히, 자동 세차용 건조제 포뮬레이션에서,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로서, 바람직하게는 강철, 알루미늄, 유리,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와 같은 다른 물질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접착시키는데 있어서, 또는 과산화 및 Pt-촉매형 가교에 기반한 탄화수소-기반 폴리머 및 실리콘-기반 엘라스토머 시스템의 예컨대 저온 내충격성 개질제 및 극성 개질제와 같은 개질제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접착제와 밀봉제로서, 케이블 싸개 (케이블 피복재), 튜브, 마스켓, 키보드 매트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용 기본재료, 선택적 가스 투과막과 같은 막의 기본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머의 또 다른 용도는 코팅, 예컨대 방오용, 항접착 피복용, 조직-혼용가능한 피복재, 내화용 피복재 및 생체적합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들은 화장품, 바디 케어 제품, 페인트 첨가제, 세제, 소포용 포뮬레이션 및 수지 또는 역청을 개질시키기 위한 텍스타일 프로세싱시 보조물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기타 용도로는 예컨대 비행기, 선박, 차량과 같은 캐비티 내에서의 밀봉재, 피복재, 절연재, 전자부품용 포장재, 세정제, 세제 또는 케어 제품용 첨가제, 바디케어용 제품의 첨가제로서, 목재, 종이 및 카드보드용 피복재, 이형제, 콘택트 렌즈와 같은 의료 분야의 생체적합성 재료, 텍스타일 섬유 또는 텍스타일 직물용 피복재, 예컨대 가죽, 모피와 같은 천연 의류용 피복재, 예컨대 리토그래프 공정, 광학 데이타 기록 또는 광학 데이타 전송용 광활성계용 재료로서의 용도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서, 이것은 점도 조절제, 대전방지제, 과산화적으로 또는 하이드로실릴화에 의해 (백금 촉매반응) 교차반응하여 엘라스토머를 형성하는 실리콘 고무용 혼합물 성분을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이는 표면 특성의 개질, 가스, 액체 등의 확산 개질,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팽창 양태의 변화, 세탁 전, 세탁 중 및 세탁 후 텍스타일 섬유의 처리를 위한 텍스타일 섬유용 소프너, 천연 및 합성 섬유, 예컨대 모발, 면섬유 및 합성 섬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 개질제, 및 텍스타일 마감제의 유니온 섬유, 뿐만 아니라, 세탁용 세제 및 청소 제품과 같은 세제-함유 포뮬레이션의 용도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새로운 세탁용 세제 포뮬레이션, 화장품 포뮬레이션, 섬유 처리용 포뮬레이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들은 특히 직물 형태의 천연 및 합성 섬유, 예컨대, 면, 모,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기반 합성 섬유를, 특히 섬유 처리제, 특히 음이온, 비이온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탁용 세제 포뮬레이션의 특정 성분으로서 처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세탁용 세제 내로 직접 혼입될 수 있고, 세탁기가 돌아가는 도중에 별도로 첨가하거나 또는 세척 후 첨가될 수 있으며, 처리된 대상기질은 실리콘 특유의 유연함을 얻게 되며, 탄성이 향상되고, 허용가능한 친수성 하에서 주름지는 경향이 감소한다.이들은 섬유와 직물의 세탁 후, 다림질 보조제로서, 그리고 직물의 주름을 예방하고 없애기 위한 보조제로서, 별도의 소프너계, 특히 양이온계 게면활성제에 기반한 소프너계의 구성성분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예컨대 면, 모,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기반 합성 섬유, 특히 직물 형태, 종이 및 나무의 1차 마감 처리시와 같이 섬유의 마감 처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은 모발과 피부에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응용 분야는 예컨대 화장품용 포뮬레이션을 위한 베이스로서 용액, 혼합물, 에멀젼 및 마이크로-에멀젼이다.
전술한 화합물들은 여러가지 다른 점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화장품용 포뮬레이션의 제조를 위한 원료 (feedstock)으로서, 액체, 크림제 또는 페이스트제의 형태로서 순수한 물질, 용액, 혼합물, 에멀젼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을 종래 기술에 공지이거나 코아쥬반트 (co-adjuvant)로서 알려져 있는, 후술하는 카테고리 2의 실리콘 컨디셔너와 구별짓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이하에서는 카테고리 1의 실리콘으로 칭하기로 한다.
기질 처리를 위한 포뮬레이션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다음 단계들
a)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부터 용액, 혼합물 또는 에멀젼 형태로 예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예비 혼합물 a)를 이용하여 임의로 추가의 계면활성제, 보조 물질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또 다른 혼합물을 제조하거나, 또는 교반기, 용해장치, 반죽기, 펌프, 혼합용 스크류, 혼합용 노즐, 저압 및 고압 유화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a) 단계와 b) 단계를 결합시킴으로써 또 다른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공지 기술 (Ullmann's Enzyklopadie)에서와 같이,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용기, 장치 또는 혼합 기기 내에서 여하한 교반기 형태와 같은 기계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모든 구성 성분들을 직접 혼합할 수 있다. 그러나, 예비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예비 혼합물을 제조함으로써 더 빠르고 더 잘 분산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예비 혼합물을 제조하기 않을 경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부분적으로 여러 다양한 성분군이 서로 잘 섞이지 않거나, 분산되지 않거나 또는 유화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예비 혼합물 또는 중간 혼합물은 용액, 페이스트, 크림 또는 기타 에멀젼이나 분산제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화장품 포뮬레이션에서 평균 입도 10 내지 200 nm인 마이크로-에멀젼으로서의 제조 및 사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뮬레이션은 예컨대 헤어 트리트먼트용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알코올 또는 다가알코올 용액 또는 에멀젼으로서 인간이나 동물의 모발이나 털, 또는 피부와 같은 케라틴-함유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화장품 포뮬레이션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에 사용된 원료, 보조 성분 및 혼합 방식에 따라서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또는 백탁 포뮬레이션이 얻어진다.
용액, 예비 혼합물 및 혼합물의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용액과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알코올 용매와 다가 알코올 용매 및 이들과 물과의 혼합물, 오일 함유 및 일반 실리콘 (그 중에서도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용매 및/또는 오일 함유 물질 및/또는 실리콘의 2성분계 및 3성분계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한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에테르 및 글리세린 및 이드르이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오일 유사 물질은 미네랄 오일 제품 및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이들의 합성 오일 및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리콘으로는 25℃에서 평균 점도 범위가 0.65 내지 60,000,000 mPa.s이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정의 (이하의 정의를 참조할 것)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서 25℃에서 평균 점도 범위가 10 내지 60,000,000 mPa.s인, 시클릭 및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INCI에 따라) 시클로메티콘, 시클로테트라실록산, 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디메티콘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용액 및 혼합물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조성물을 갖는다:
0.1 - 99.9 %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 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1 - 99.9 % 용매 및/또는 오일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에멀젼의 조성물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물과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사용된다. 또한, 에멀젼은 보조 성분, 이를테면, 무기 및 유기 산, 염기 및 완충제, 염, 농후제, 에멀젼용 안정화제, 예컨대 "잔탄 검", 보존제, 포말 안정화제, 소포제 및 용매, 예컨대 알코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및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에멀젼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은 그 자체로 에멀젼 제조시 유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장품용 포뮬레이션 제조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에멀젼은 예컨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10 - 5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1 - 35% 계면활성제,
0 - 10% 보조 물질,
0 - 20% 용매,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화장품용 포뮬레이션, 직물 및 기타 섬유 제품의 마감용, 또는 경질 표면의 피복을 위한 마이크로-에멀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높은 함량으로 갖는 마이클-에멀젼을 제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이 투명한 화장품용 포뮬레이션의 제조 가능성에 더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수성 포뮬레이션으로 작업하기도 ("콜드 프로세스") 수월하다는 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용액 및 혼합물 형태로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멀젼 중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바람직한 활성 함량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인 것이 좋다.
특히 바람직한 마이크로-에멀젼은 마이크로-에멀젼의 총량에 대하여 중량%로 나타낼 때 다음의 구성을 가지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0 - 8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 -35% 계면활성제
0 - 10% 보조 물질
0 -20% 용매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로 만들어진 용액, 혼합물 또는 에멀젼을 화장품용 포뮬레이션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용 포뮬레이션은 앞서 제조된 용액 또는 에멀젼을 사용하여 제조되나; 이들은 개별적인 구성성분으로부터 직접 제조될 수도 있다.
화장품용 포뮬레이션:
화장품용 포뮬레이션은 예컨대 다음을 포함한다:
모발 세정 중 또는 세정 후에 모발에 영양을 주거나, 또는 탈색, 컬링 또는 언컬링에 앞서서 모발을 염색 또는 모발에 영양을 준 후에 사용하기 위한, 예컨대 "투인원" 샴푸, "바디 워시" 및 소위 "린스-오프" 제품 또는 헤어 토닉, 영양 크림, 스타일링 크림, 헤어젤, 헤어 스타일렝 제품, 헤어 세팅 제품, 헤어 스프레이, 펌프 스프레이, 블로우-웨이빙 조성물 및 블로우-드라잉 세팅 조성물과 같이 소위 "사용 후 잔류하는 (leave-in)" 제품. 이들 포뮬레이션에는 또한 세발 후에 얻어지는 색상 결과의 내성에 따라 3가지 유형, 즉 -영구, 반영구 및 일시적 모발 염색제로 분류될 수 있는 모발 염색제도 포함된다. 이 경우 모발이라는 용어는 케라틴을 함유하는 섬유를 모두 포괄하지만, 특히 인간의 모발을 가리키는 것이다. 모발 염색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에 더하여, 예컨대, 통상적인 실리콘, 계면활성제, 보조 물질 및 염색제를 함유한다. 이들 성분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모발의 볼륨감을 증가시키고, 빗질을 용이하게 해주며 모발에 윤기를 더하고, 예컨대 인간 및 동물의 모발과 같이 염색된 케라틴-함유 기질로부터 색상이 씻겨져 나가는 것을 감소시켜주는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실록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함유한다.
화장품용 포뮬레이션과 관련하여 설명된 약어들은 INCI (The Cosmetic, Toiletry 및 Fragrance Association, Washington D.C.)에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에 더하여, 여기에 첨가되는 실리콘에는 예컨대 다음이 포함된다:
25℃에서 점도가 0.65-200,000,000 mPa.s인 시클릭, 선형 및 분지형 폴리디메틸실록산, 예컨대 옥타오가노시클로테트라실록산, 옥타메실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오가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도데카오가노시클로헥사실록산, 여기서 유기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며, 구체적으로는 GE Bayer Silicones 사의 SF 1173, SF 1202, SF 1217, SF 1204 및 SF 1258, Baysilone M oils (M3 to M 2,000,000)사의 디메티콘,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사의 SE 30, SF 1214, SF 1236, SF 1276 및 CF 1251 및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사의 디메티콘, 예컨대 Baysilone abhesive ZWTR/OH, 즉, SiOH-말단형 폴리디메틸실록산 2-20kPa.s 및 Dow Corning 사의 DC 1501 및 DC 1503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에멀젼 형태의 전술한 폴리디메틸실록산, 예컨대,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사의 SM 2169, SM 2785, SM 555, SM 2167 및 SM 2112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과 조합 사용하고/사용하거나 전술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혼합물 및 용액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과 함께 조합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이제까지 알려진 아미노-관능성 실리콘에 관한 문헌에서 집중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헤어 케어 제품의 특정한 성질들이 이러한 조합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 (WO 99/44565, WO 99/44567, WO 99/49836, WO 99/53889, WO 97/12594, US 6,028,031, EP 0811371, WO 98/18443, WO 98/43599 및 US 2002/0182161).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사의 SR 1000과 같은 소위 MQ 수지인 고형 실리콘과, 전술한 바와 같은 실리콘 및 지방족 용매, 예컨대 이소도데칸과 같은 용매 중 상기 실리콘의 용액 역시도 적합하다. 오가노관능성 실리콘, 예컨대, 알킬-, 아릴-, 아릴알킬-, 페닐-, 플루오로알킬- 및 폴리에테르-개질 실리콘, 예컨대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사의 타입 SF 1632, SF 1642, SF 1555, Baysilone CF 1301, Baysilone PK 20, FF 157, SF 1188A, SF 1288 및 SF 1388 역시도 적합하다.
계면활성제:
화장품용 포뮬레이션 성분으로서의 계면활성제에 관하여, 다음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 A. Domsch: Die kosmetischen Praprate, Verlag fur Chem. Industrie, 4th edition, 1992, in Kosmetikjahrbuch 1995, Verlag fur chemische Industrie, 1995, 및 H. Stache, Tensidtaschenbuch, 2nd edition, Carl Hanser Verlag, 198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함이 없이 예시 목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뮬레이션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크아릴 설페이트, 올레핀설포네이트, 알킬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아실 글루타메이트, 알킬 에테르 카복실레이트, 메틸 타우라이드(들), 사르코시드, 설포숙시네이트, 단백질-지방산 축합물, 알킬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이 경우 이들의 유리 산 및 알칼리 금속 염 및 마그네슘, 암모늄 및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이 사용될 수 있다.
알킬 및 아실기는 일반적으로 8-18 C 원자를 함유하며 불포화될 수 있다.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카복실레이트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는 1-10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닛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와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
어디까지나 예시 목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의도로, 다음의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 포뮬레이션의 구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베타인, 설포베타인, 아세테이트 및 디아세테이트, 이미다졸린, 알킬아미도베타인, 설포베타인, 아세테이트 및 디아세테이트, 이미다졸린, 프로피오네이트 및 알킬아민 옥사이드.
이 경우 알킬기와 아실기는 8-19 C 원자를 함유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어디까지나 예시 목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의도로, 다음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 포뮬레이션의 구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알킬 에톡실레이트, 아릴 에톡실레이트, 에톡실화 에스테르 폴리글리콜아미드,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롤-지방산 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및 당 계면활성제, 예컨대 알킬 글리코사이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 순수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폴리머 사이에 차이가 있다.
순수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어디까지나 예시 목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의도로, 다음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 포뮬레이션의 구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모노알킬콰트(monoalkylquats), 디알킬콰트, 트리알킬콰트, 테트라알킬콰트, 벤질암모늄염, 피리딘염, 알칸올암모늄염, 이미다졸린염, 옥사졸린염, 티아졸린염, 아민 옥사이드의 염, 및 술폰염, 여기서 "콰트"라는 용어는 4급 암모늄기가 1 개 이상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양이온성 폴리머:
특히 "투인원(2-in-1)" 샴푸의 경우, 순수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더해서, 양이온적으로 변형된 폴리머들 역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머에 대한 집중적인 설명이 US 5,977,038 및 WO 01-41720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이온성 단백질 유도체,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에테르 및 양이온성 구아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CTFA 명칭이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인 양이온성 구아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유형은 Rhodia 사의 Cosmedia Guar C 261 (Henkel), Diagum P 5070 (Diamalt) 및 Jaguar C types 및 Jaguar EXCEL로서 입수 가능하다 .
보조 물질:
특히 화장품 포뮬레이션의 성분으로서의 보조 물질들이 다음 문헌에 설명되어 ㅇ있다: A. Domsch, Die kosmetischen Prparate, Verlag fur Chem. Industrie, 4th edition, 1992; 및 in: Kosmetikjahrbuch 1995, Verlag fur Chemische Industrie, 1995.
어디까지나 예시 목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의도로, 다음의 보조 물질들이 본 발명 포뮬레이션의 구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무기 및 유기 산, 염기, 염,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및 글리세롤, 농후제, 에멀젼용 안정화제, 예컨대 잔탄검, 리오일링제(re-oiling agents), 보존제, 포말 안정화제, 소포제, 진주광택 및 불투명화제, 예컨대,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이산화티타늄, 콜라겐 가수분해물, 케라틴 가수분해물, 실크 가수분해물, 비듬방지 활서어 화합물, 예컨대, 아연 피리티온, 살리실산, 셀레늄 디설파이드, 황 및 타르 제제, 폴리머성 유화제, 비타민, 염료, UV 필터, 벤토나이트, 향유, 향료, 스타일링용 폴리머, 보습제, 식물 추출물 및 추가의 천연 또는 천연-동일 원료.
인간 및 동물의 모발이나 털과 같은 케라틴-함유 기질을 손질하고 영양을 주기 위한 화장품용 포뮬레이션에 지용성 및 수용성 UV 필터 (선스크린 조성물) 또는 UV 필터의 복합제를 첨가하면, 염료 분해가 둔화되고 그에 따라 염색된 케라틴-함유 기질의 UV 조사에 대한 탈색이나 변색이 현저히 줄어들고 심지어는 이러한 탈색이 완전히 방지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염모제용 성분:
염모제의 염료와 기타 성분들이 다음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 A. Domsch, Die kosmetischen Prparate, Verlag fur chem. Industrie, 4th edition, 1992. Dyestuffs are described in: Ordinance on cosmetic agents (Cosmetics Ordinance), Bundesgesetzblatt 1997, part I p. 2412, .sctn.3 및 annex 3 및 in European Community (EC) Directive, 76/68/EEC, annex IV.
다음에서 염모제는 영구적, 반영구적 및 일시적 염모제로 구분된다.
영구적 염모제: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 조건 하에서 염료 전구체들 간의 화학 반응에 의해, 몇 번 (10번 이상)이고 세발해도 염색이 빠지지 않는 영구적인 염색이 형성된다. 대응하는 성분들의 혼합물이 획득가능한 색상 결과를 결정한다. 전구체의 경우, 산화 베이스 (디벨로퍼) 및 커플링 성분 (개질제) 사이에 차이가 있다.
산화 베이스:
어디까지나 예시 목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의도로, 다음의 산화 베이스들이 본 발명 포뮬레이션의 구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m- 및 p-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벤젠), N-치환된 유도체 및 그의 염, o-페닐렌디아민의 N-치환된 유도체, o-, m- 및 p-톨루일렌디아민 (메틸-디아미노벤젠), N-치환된 유도체 및 그의 염, p-아미노-디페닐아민 및 그의 염산염 및 설페이트, o-, m- 및 p-아미노페놀 및 그의 염산염, 2,4-디아미노이소설페이트 (4-메톡시-m-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o-클로로-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피크람산 (2,4-디니트로-6-아미노페놀) 및 2,4-디니트로-1-나프톨설폰산 및 그의 나트륨염.
커플링 성분:
어디까지나 예시 목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의도로, 다음의 커플링 성분들이 본 발명 포뮬레이션의 구성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히드로퀴논 (1,4-디히드록시벤젠), 레조르시놀 (1,3-디히드록시벤젠), 피로카테콜 (1,2-디히드록시벤젠), 알파-나프톨 (1-히드록시나프탈렌), 피로갈롤 (1,2,3-트리히드록시벤젠) 및 2,6-디아미노피리딘.
산화 베이스 및 커플링 성분들은 통상적으로 수중유 에멀젼 내로 게면화성제와 함께 통합되지만, 간단한 용액이나 샴푸들 역시도 포뮬레이션으로서 알려져 있다. 포뮬레이션은 또한 전구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예컨대, 아황산나트륨, 소듐 디티오나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티오글리콜산과 같은 항산화제를 함유하며, 암모니아와 같은 알칼리성 물질에 의해 pH 8 내지12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 범위로 조정된다. 습윤제, 중금속용 착화합물제, 암모니아 냄새를 차단하기 위한 향료, 모발의 감촉을 향상시키고 모발을 보호하기 위한 컨디셔너 및 용매, 예컨대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벤질 알코올로서의 계면화성제도 첨가된다.
영구적인 염모제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색소 용액, 크림 또는 샴푸 및 디벨로퍼 용액을 포함하는 2성분계로서 제공된다. 이 경우 디벨로퍼 용액은 과산화수소 6-12%를 함유하며, 색소 성분을 함유하는 포뮬레이션의 성분들을 필요에 첨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과산화물 용액은 철저하게 안정화되어야만 한다.
반영구적 염모제:
반영구적 염색은 6-10회의 샴푸 세발시에도 염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기본적으로 니트로, 아조 및 안트라퀴논 염료에 속하는 소위 직접 염료가 이 경우에 사용된다. 이들 염료들은 모발 내로 스며들기에 추분히 작다. 흔히 사용되는 포뮬레이션은 용액, 크림, 샴푸 또는 에어로졸 폼이다. 이들 조성물은 영구적 모발 염색과 견줄 정도의 염색 성분을 함유한다.
일시적 염모제:
반영구적 염모제와 대조적으로, 일시적 염색, 또는 틴트는 모발을 침투할 수 없는 보다 큰 염료 분자들을 함유한다. 이들은 1-6회의 세발 동안만 염색을 유지하도록 개발되었다. 이 경우에는 다조 및 염기성 염료와 아진 및 티아진 유도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반영구적 염모제와 영구적 염모제와 관련한 설명이 상기 포뮬레이션의 조성물에도 적용된다. 염모제의 염료 및 기타 성분에 관한 설명이 다음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 A. Domsch, Die kosmetischen Praparate, Verlag fur chem. Industrie, 4th edition, 1992. Dyestuffs are described in: Ordinance on cosmetic agents (Cosmetics Ordinance), Bundesgesetzblatt 1997, part I p. 2412, .sctn.3 및 annex 3 및 in European Community (EC) Directive, 76/68/EEC, annex IV
그러나 각각의 관능 활성 화합물들이 개별적인 화합물 또는 이 카테고리의 몇몇 화합물들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음의 레시피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가, 화장품 포뮬레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용도상 특히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을 손질 및 컨디셔닝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샴푸 포뮬레이션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다음 성분들을 함유하며, 하기 조성에서 각각의 성분 함량은 총 포뮬레이션에 상대적인 중량%로 나타낸 것이다:
0.01 - 1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2 - 15%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쪽성 계면활성제
0 - 1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실리콘- 컨디셔너 (코아쥬반트:co-adjuvants)
0 - 10% 보조 물질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특정 샴푸 포뮬레이션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1 - 12%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1 - 35% 나트륨 또는 암모늄 라우릴 또는 라우레쓰 설페이트
(20 - 30%)
1 - 6%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25 - 35%)
0 - 3%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0 - 5% 폴리콰터늄-10
0 - 12% 실리콘- 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01 - 1% EDTA 이나트륨
0.01 - 1% 페녹시에티놀 (및) 메틸파라벤 (및) 부틸파라벤 (및)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 - 1% 향수 (향료)
0 - 1% 염료
0 - 1% 구연산
0 - 2% 염화나트륨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모발의 손질 및 컨디셔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헤어 컨디셔너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1 - 15%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 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 - 10%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 1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5% 실리콘-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20% 보조 물질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헤어 컨디셔너용 특정 조성물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5 - 15%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비이온성 유화제와 함께 물 중 43.5% 에멀젼으로서)
0 - 15% 실리콘- 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10%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25 - 35%)
0 - 3%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1 - 10% 세테아릴 알코올
0 - 10% 글리세린
0.01 - 1% 페녹시에티놀 (및) 메틸파라벤 (및) 부틸파라벤 (및)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 - 1% 향수(향료)
0 - 1% 염료
0 - 1% 구연산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모발의 손질 및 컨디셔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헤어 케어 트리트먼트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4 - 2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0 - 1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 - 20% 실리콘- 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20% 보조 물질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특정 헤어 케어 트리트먼트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1 - 2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비이온성 유화제와 함께 물 중 43.5% 에멀젼으로서)
0.5 - 10% 스테아릴 알코올 (및) 스테아레쓰-7 (및) 스테아레쓰-10
0 - 20% 실리콘-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10%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25 - 35%)
0 - 3%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0 - 5% 디메티콘
0 - 5% 파라핀 오일
1 - 10% 스테아릴 알코올
0 - 10% 글리세린
0.01 - 1% 페녹시에티놀 (및) 메틸파라벤 (및) 부틸파라벤 (및)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 - 1% 향수 (향료)
0 - 1% 염료
0 - 1% 구연산
0 - 2% 염화나트륨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매우 특정한 헤어 케어 트리트먼트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2 - 5%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비이온성 유화제와 함께 물 중 43.5% 에멀젼으로서)
0 - 5% 실리콘- 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2%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25 - 35%)
0.5 - 5% 글리세린
0.25 - 2.5% 프로필렌 글리콜
0.05 - 0.2% 향수
0.1 - 0.5% 폴리소르베이트 20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일시적, 반영구적 또는 영구적 모발 염색, 헤어 케어 및 컨디셔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염료-함유 포뮬레이션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1 - 1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1 - 10% 목적하는 모발 색상에 따라 염료 전구체 또는 염료,
0 - 15%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쪽성 계면활성제
0 - 1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 아황산나트륨
0 - 5% 완충액
0 - 10% 실리콘- 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10% 보조 물질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영구적 모발 염색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컬러 크림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1 - 1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비이온성 유화제와 함께 물 중 20% 에멀젼으로서)
1 - 5% 목적하는 모발 색상에 따라 모발 염료 전구체 또는 염료
2 - 15%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쪽성 계면활성제
0 - 1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1 - 1% 아황산나트륨
0.1 - 5% pH = 8 - 12용 완충액
0 - 10% 실리콘-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10% 보조 물질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영구적으로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염색 용액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1 - 1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비이온성 유화제와 함께 물 중 20% 에멀젼으로서)
1 - 5% 목적하는 모발 색상에 따라 모발용 염료 전구체
또는 염료
0.1 - 1% 아황산나트륨
5 - 15% 프로필렌 글리콜
5 - 15% 암모니아 (28%)
10 - 30% 올레산
5 - 15% 이소프로판올
10 - 30% 알칸올아미드
0 - 10% 실리콘-컨디셔너 (코아쥬반트)
총 100%가 되게 하는 양의 물.
영구적으로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디벨로퍼 포뮬레이션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1 - 10%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10 - 30% 과산화수소 (30%)
0 - 15%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쪽성 계면활성제
0 - 1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 - 1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 - 5% pH = 2 - 6 으로 하기 위한 완충액 또는 산
0 - 10% 실리콘-컨디셔너 (코아쥬반트)
0 - 10% 보조 물질
총 100% 되게 하는 양의 물.
영구적으로 모발을 염색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디벨로퍼 크림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의 조성을 갖는다:
0.1 - 5%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비이온성 유화제와 함께 물 중 20% 에멀젼으로서)
10 - 30% 과산화수소 (30%)
0 - 5% 실리콘-컨디셔너(코아쥬반트)
1 - 10% 세테아릴 알코올
0.5 - 5% 트리데세쓰-2-카르복사미드 MEA
0.5 - 5% 세테아레쓰-30
0.5 - 5% 글리세린
0.05 - 2% 펜타소듐 펜테테이트
(펜타소듐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테이트)
0.05 - 2% 소듐 스타네이트
0.05 - 2% 테트라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총 100%가 되게 하는 양의 물.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이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염색된 기질 또는 염색할 기질의 처리, 컨디셔닝, 세정 및/또는 케어와 같은 화장용 포뮬레이션의 제조시 특히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포뮬레이션을 특히, 섬유상 또는 평평한 (flat) 기질을 세정, 케어 및 컨디셔닝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기질이 염색된 경우, 그러한 기질의 발색을 최대한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포뮬레이션은 또한 케라틴-함유 물질의 세정, 케어 및 처리와 컨디셔닝에도 사용가능한데, 이는 이들이 예컨대 인간의 모발이나 동물의 털과 같이, 동시적으로 염색이 되는 케라틴-함유 기질로부터 또는 염색된 케라틴-함유 기질로부터의 물빠짐을 줄여주고 및/또는 볼륨감을 주고 및/또는 빗질을 용이하게 하고 및/또는 윤기를 더해주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포뮬레이션은 또한 특히, 염색 전, 염색 중 및/또는 염색 후 모발 또는 케라틴-함유 섬유를 세정, 손질 및 처리하거나, 세정 및 손질하는데 특히 적합한데, 이는 이들을 이용하여 조성된 염모제가 모발이 젖었을 때나 말랐을 때 빗질을 용이하게 해주고 및/또는 모발을 유연하게 해주고 및/또는 윤기를 향상시키며 및/또는 모발에 볼륨감을 더하고 및/또는 틴트를 준 모발 및 염색된 모발로부터 염료가 씻겨 나가는 것을 감소시켜 주기 때문이다.
소프너(softener) 포뮬레이션
투여 제형과 관련하여,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불투명 소프너 분산제나 또는 소프너 에멀젼 또는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용액 내로 혼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불투명 또는 투명 포뮬레이션을 위한 추가 성분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 4급 암모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소프너로서 알칸산 에스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4급 암모늄 화합물,
- 포뮬레이션의 용해도와 투명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2-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콜 및 올리고글리콜의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컨대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와 같은 1가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
- 소프너 성분의 용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디올 및 장쇄 탄화수소의 고급 알코올, 예컨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 에멀젼 안정화용 또는 마이크로-에멀젼 제조를 위한, 비이온생성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분지성 또는 비분지상의 C8 내지 C40 알코올 및 알킬렌 옥사이드의 지방산 에스테르
- 향수
- 점도 조절제
- 염료
- 보존제
부가적인 기능성 성분과 바람직한 대표 성분들이 예컨대 US 6,376,455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세탁용 프레쉬너계 중의 고체 담체에 적용시킨 다음, 이를 프레쉬시키고자하거나 부드럽게 만들고자 하는 직물과 세탁 건조기 중에서 접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담체 및 그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세탁 프레쉬너계는 예컨대 US 4,824,582, US 4,808,086, US 4,756,850, US 4,749,596 및 US 3,686,025에 알려져 있다.
담체와 함께 이러한 세탁 프레쉬너계용의 일반적인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 컨디셔닝제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지방 아민 또는 그의 복합체
- 4급 암모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소프너로서 알칸산 에스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4급 암모늄 화합물,
- 예컨대 지방 알코올 알콕실레이트 또는 소르비탄 에스테르에 기반한 비이온생성 소프너,
- 예컨대 셀룰로스 에테르, 구아 검 또는 테레프탈산 블록 코폴리머에 기초한 "흙 제거제 (soil release agents)".
담체 물질은 세탁 프레쉬너 포뮬레이션의 흡수 능력이 충분한 스폰지형 또는 다공성 시트상 물질이다. "직물" 및 "부직형" 물질이 사용된다. 이들은 모, 면, 사이잘삼, 마,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비닐 화합물,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천연 또는 합성 폴리머에 기초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100 g (1.08 mol) 글리세린, 293.5 g (3.258 mol)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1.2 g 디아자비시클로옥탄을 혼합하고 N2 분위기 하에 플라스크 중에서 80℃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액상면 상의 가스 공간 중의 온도가 64℃로 저하되었다.
50℃/20 mbar에서 휘발성인 모든 성분들이 회수되었다. 126g의 황색 투명 액체가 얻어진다.
Figure pct00045
실시예 2
N2 분위기 하에 플라스크 중에 60g (0.509 mol) 글리세롤카보네이트
Figure pct00046
를 제공하고, 60℃로 가열하였다. 69g (0.509 mol)의 클로로아세트산 클로라이드를 온도 수준을 70℃로 하면서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20mbar에서 휘발성인 모든 성분들을 회수하였다. 89g의 누르스름한 적색 액체가 얻어진다
Figure pct00047
강도 비율 1H-NMR:
-CH2-Cl (2H) 48
-CH2OC(O) (2H) 46
-OCH2- (카보네이트 고리 2H) 47
-OCH- (카보네이트 고리 1H) 23
실시예 3
N2 분위기 하, 플라스크 중에서, 글리세롤카보네이트의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 3.89 (0.02 mol)
Figure pct00048
및 1.72 g (0.01 mol)의 N,N,N',N'-테트라메틸 헥산디아민을 51.8 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에 용해시킨 다음 80℃에서 8 시간 가열하였다.
이어서, 다음 구조를 갖는 46.23g (0.01 mol)의 아미노프로필-치환된 실록산
Figure pct00049
을 적가하고 온도를 120℃로 10시간 동안 승온시켰다.
갈색의 불투명한 액체가 얻어졌으며 이것은 다음의 구조 요소를 갖는 폴리머를 함유한다.
Figure pct00050
실시예 4
N2 분위기 하, 플라스크 중에서 글리세롤카보네이트의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3.89g (0.02 mol)
Figure pct00051
및 1.72 g (0.01 mol) N,N,N',N'-테트라메틸 헥산디아민을 51.8 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80℃에서 8 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이어서, 다음 구조를 갖는 23.12g (0.005 mol)의 아미노프로필-치환된 실록산
Figure pct00052
및 다음 구조를 갖는 아미노-말단형 폴리에테르, Jeffamin ED 600 (Huntsman Corp.) 3.17g (0.005 mol)
Figure pct00053
(식 중, a+c = 3.6이고 b = 9임)
을 적가하고 온도를 120℃로 10 시간 동안 승온시켰다.
갈색의 불투명한 액체가 얻어졌으며 이것은 다음 구조의 요소들을 1:1의 몰 비율로 갖는 폴리머를 함유한다:
Figure pct00054
(식 중, a+c = 3.6이고 b = 9임)
실시예 5
N2 분위기 하, 플라스크에서 다음 구조식을 갖는 39.21 (0.01 mol)의 에폭시 실록산
Figure pct00055
및 2 g (0.02 mol) N-메틸피페라진을 50.4 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에 용해시킨 다음 80℃로 80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글리세롤카보네이트의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 3.89g (0.02 mol)
Figure pct00056
을 적가하고 이 혼합물을 80℃에서 다시 8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마지막으로, 다음 구조를 갖는 아미노-말단형 폴리에테르 Jeffamin ED 600 (Huntsman Corp.) 6.33g (0.01 mol)
Figure pct00057
(식 중, a+c = 3.6이고 b = 9임)
를 적가하고 온도를 120℃로 10 시간 동안 승온시켰다.
다음 구조 요소를 갖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갈색의 불투명 액체가 얻어졌다.
Figure pct00058
실시예 6
N2 분위기 하, 플라스크 중에서, 다음 구조를 갖는 3.8 (0.01 mol)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Figure pct00059
및 2 g (0.02 mol) N-메틸피페라진을 90.1 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80℃로 80 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이어서, 글리세롤카보네이트의 클로로아세트산 에스테르 3.89g (0.02 mol)
Figure pct00060
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8시간 더 유지시켰다.
마지막으로, 다음 구조를 갖는 아미노 실록산 46.23 g (0.01 mol)
Figure pct00061
을 적가하고 온도를 120℃로 10 시간 동안 승온시켰다.
갈색의 불투명한 액체가 수득되며 이것은 다음의 구조 요소를 갖는 폴리머를 함유한다.
Figure pct00062
실시예 3, 4, 5, 및 6에서 0.5-3%의 양으로 얻은 생성물들은 음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게면활성제에 기초한 분말상 및 액상 세탁용 세제에 사용되어 실제로 소프트한 감촉을 더해준다.

Claims (35)

  1. 다음 화학식 (1)의 구조 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
    Figure pct00063

    식 중,
    R은 수소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되고;
    R1은 수소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되며,
    R2은 수소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되고,
    ST1은 100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또는 다가의,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기를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다:
    -O-,
    -C(O)-,
    -NH-,
    -NR3, (여기서, R3는 하기 정의되는 바와 같음) 및,
    규소 원자를 2 내지 1000개 함유하는 폴리오가노실록산 단위
    Y는 -O-, -S- 및 -NR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6는 수소이거나 또는 4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및 -NR3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 고, (여기서 R3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또는 2개의 R6 잔기가 함께 알킬렌 잔기를 형성하면서 ST1과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R6 잔기는 ST1와 함께 하나 이상의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면서 ST1에 대한 결합을 나타내는 것이고,
    ST2는 100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또는 다가의,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다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는 것이다:
    -O-,
    -C(O)-,
    -NH-,
    -NR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2 내지 10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산 단위
    식 중, R3는 4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O-, -C(O)-, 및 -N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필요 에 따라 실릴기로 치환될 수 있는 것임
    R5는 10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및 -N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실릴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두개는 알킬렌 잔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하나 이상은 시클릭 구조를 형성하면서 ST2 잔기에 대한 결합을 형성하고,
    ST3는 3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가 또는 다가의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다음 중에서 선택된 기를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O-,
    -C(O)-,
    식 중,
    A-는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 R1 및 R2 잔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인 것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 R1 및 R2 잔기들은 수소인 것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디오가실록산 단위를 적어도 1개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5.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구조 요소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선형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ST1, ST2 및 ST3는 각각 2가의 잔기인 것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지상인 화합물.
  10. 제9항에 있어서, 분지는 ST1 또는 ST2 잔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하여 일어나는 것인 분지상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다음 화학식 (4)의 폴리오가노실록산 잔기를 한 개 이상 함유하는 것인 화합물:
    Figure pct00066

    식 중,
    R4는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이거나, 및/또는 R4는 알콕시 잔기로서, 그의 알킬 부분이 20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된 알킬 잔기인 이며, 1개 이상의 산소 원자를 갖는 것 (예컨대, 폴리알킬렌옥시알콕시 잔기)이고,
    s = 1 내지 999이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Y = -NR6- (여기서 R6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인 것인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Y = -NH-인 것인 화합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기를 한 개 이상 함유하는 것인 화합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ST1 ≠ST2인 것인 화합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ST1 및/또는 ST2는 다음 화학식의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것인 화합물.
    Figure pct00067

    식 중, s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r = 1 내지 12이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다음 표 5의 정의를 갖는 것인 화합물: R, R1 및 R2 =
    수소,
    ST1 = 탄소 원자 2 내지 2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임의로 -O-, -C(O)- 및/또는 2 내지 2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ST2 = 탄소 원자 2 내지 2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NR3- 및 임의로 2 내지 2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여기서 R3 =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및 -NH-을 함유할 수 있음) ST3 = 탄소 원자 20개 이하를 갖는 2가의, 직쇄형,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화수소 잔기로서, -O- 및-C(O)- 중에서 선택된 기를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음 Y = -NR6-, 여기서 R6 = 수소이거나, 또는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및 -NR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여기서 R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R5 = 2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를 함유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1개 이상의 잔기는 ST2 잔기에 대한 결합을 형성하여 시클릭 구조를 형성한다. A- = 할로게나이드와 같은 무기 음이온,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설페이트, 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음이온, 단, ST1 및 ST2 구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것임.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다음 표 6의 정의를 갖는 것인 화합물. R, R1 및 R2 =
    수소,
    ST1 = 탄소 원자 2 내지 1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임의로 -O-, -C(O)- 및/또는 2 내지 1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ST2 = 탄소 원자 2 내지 100개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NR3- 및 임의로 2 내지 100개의 규소 원자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 (여기서 R3 = 7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및 -NH-을 함유할 수 있음) ST3 =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의, 직쇄형 탄화수소 잔기로서, -O- 및 -C(O)- 중에서 선택된 기를 하나 이상 함유함 Y = -NR6- 여기서 R6 = 수소이거나 또는 7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 및 -NR3- (여기서 R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중에서 선택된 기를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음 R5 =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로서, -O-, -C(O)- -NH-를 함유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두개는 C2- 내지 C3-알킬렌 잔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잔기들 중 하나 이상은 ST2 잔기에 대한 결합을 형성하여 시클릭 구조를 형성한다.
    A- = 할로게나이드, 특히 클로라이드와 같은 무기 음이온,, 카르복실레이트, 특히 C2- 내지 C18-카복실레이트, 알킬폴리에테르 카복실레이트, 알킬 설페이트, 특히 메토설페이트, 설포네이트, 특히 알킬 설포네이트 및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특히 톨루일 설포네이트와 같은 유기 음이온이다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구조 요소 ST1 및 ST2 의 적어도 10 mol-%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것인 화합물.
  20. 화학식 (5)의 화합물을
    Figure pct00068

    (식 중, R, R1, R2 및 ST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이탈기이다)
    화학식 (2)의 화합물
    Figure pct00069

    (식 중, ST2 및 R5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p = 2 또는 3임)
    과 반응시킨 다음;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다음 화학식 (3)의 화합물
    Figure pct00070

    (식 중, ST1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q = 2 내지 10임)
    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Y = NR6 (여기서 R6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바람직하게는 수소인 것인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X는 할로겐인 것인 방법.
  23. 피복제, 표면 개질제, 엘라스토마, 듀로머 (duromers), 접착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표면용 프라이머, 폴리머 첨가제, 세탁용 세제 첨가제, 레올로지제, 화장품용 제제, 섬유 개질제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용도.
  24. 제23항에 있어서, 피복제 또는 예컨대 유리, 세라믹, 타일, 콘크리트 및 강판, 예컨대 자동차 차체 및 선각과 같은 경질 표면의 표면 개질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25. 제23항에 있어서,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강철, 알루미늄, 유리, 플라스틱, 예컨대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다른 기질에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의 제조를 위한 것인 용도.
  26. 제23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 물질의 개질제를 제조하기 위한 것인 용도.
  27. 제26항에 있어서, 개질제는 저온 내충격성 개질제인 것인 용도.
  28. 제26항에 있어서, 개질제는 점도 조절제, 대전방지제, 연무방지제, 과산화적으로 또는 하이드로실릴화에 의해 (백금 촉매반응) 교차반응하여 엘라스토머를 형성하는 실리콘 고무용 혼합물 성분, 세탁 전, 세탁 중 및 세탁 후 텍스타일 섬유의 처리를 위한 텍스타일 섬유용 소프너, 예컨대 모발, 면섬유 및 합성 섬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섬유의 개질제, 및 유니온 직물, 텍스타일 마감제, 및 세탁용 세제 및 청소 제품과 같은 세제-함유 포뮬레이션용의 소프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용도.
  29. - 특히 세탁용 세제, 텍스타일 케어 제품, 텍스타일 마감제 중의 섬유 유연제(소프너)로서,
    - 세탁용 세제, 텍스타일 케어 제품, 텍스타일 마감제 중의 소프너로서,
    -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 물질의 개질제와 같은 폴리머 첨가제로서,
    - 유리, 세라믹, 타일, 콘크리트 및 강철부, 예컨대 자동차 차체 및 선각과 같은 경질 표면의 개질과 같은 표면 개질제로서,
    - 접착제로서,
    - - 강철, 알루미늄, 유리, 플라스틱, 예컨대,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에컨대 폴리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다른 기질에 대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와 같은 금속 및 플라스틱 표면용 프라이머로서
    - 레올로지제로서,
    - 피복제, 밀봉제 또는 엘라스토머제로서,
    - 화장품 제제에서 유화제, 컨디셔너, 퍼밍제, 농후제로서,
    - 모발용 화장품 포뮬레이션에서 컨디셔너로서,
    - 개질제로서,
    - 저온 내충격 개질제로서,
    - 접착제 및 밀봉제 구성성분으로서,
    - 케이블 피복재, 튜브, 가스켓, 키보드용 매트, 예컨대 선택적 가스 투과막과 같은 막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엘라스토머 제조용 출발물질로서,
    - 예컨대 방오, 대전방지용 피복, 조직-적합성 피복, 방염용 피복 및 생체적합 재료용 피복을 위한 피복재로서,
    - 화장품, 바디 케어 제품, 페인트 첨가제, 세탁용 세제, 소포용 포뮬레이션 및 텍스타일 가공 포뮬레이션 중의 보조 성분, 수지 또는 역청 개질제로서,
    - 전기 부품용 패키징 재료로서,
    - 절연재 또는 쉴딩 재료로서,
    - 예컨대 비행기, 선박, 자동차 등의 공간을 응축수 형성과 함께 밀봉하기 위한 재료로서,
    - 클리닝 제, 세제 또는 케어 제품용 첨가제로서,
    - 바디 케어 제품용 첨가제로서,
    - 목재, 종이 및 카드보드용 피복재로서,
    - 이형제로서,
    - 콘택트 렌즈와 같은 의료 분야의 생체적합 재료로서,
    - 텍스타일 섬유 또는 텍스타일 직물용 코팅 재료로서,
    - 예컨대 가죽 또는 모피와 같은 천연 소재 옷감용 피복재로서,
    - 막 재료로서 및
    - 예컨대 리토그래프 공정, 광학 데이타 기록 또는 광학 데이타 전달용 광활성계 재료로서,
    - 점도 조절제, 대전방지제로서,
    - 과산화적으로 또는 히드로실릴화 (백금 촉매)에 의해 교차결합되어 엘라스토머를 형성함으로 해서, 가스, 액체 확산 변화 및/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팽윤 양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실리콘 고무의 혼합물 성분으로서,
    - 텍스타일 섬유용 유연제(소프너)로서,
    - 음이온, 비이온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기반한 포뮬레이션과 함께 세탁 전, 세탁 중, 및 세탁 후 텍스타일 섬유의 처리를 위한 소프너로서,
    - 모발, 면 섬유 및 합성 섬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 및 유니온 섬유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섬유의 개질제로서,
    - 텍스타일 마감제 중에서 및
    - 세탁용 세제 및 클리닝 제품과 같은 세제 함유 포뮬레이션 중에서 사용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용도.
  30. - 고상 또는 액상 세탁용 세제 포뮬레이션 중 상기 포뮬레이션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10 중량% 함량으로 사용되기 위한,
    - 화장품 포뮬레이션 및 텍스타일 케어 제품과 같은 섬유 처리용 포뮬레이션 중 상기 포뮬레이션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되기 위한
    - 유리, 세라믹, 타일, 플라스틱 표면, 금속 표면, 라커 표면, 특히 선각 및 자동차 차체 등과 같은 경질 표면의 처리 및 마감을 위한 포뮬레이션에서 및, 특히 자동차 세차용 건조제 포뮬레이션에서 사용되기 위한,
    - 바람직하게는 강철, 알루미늄, 유리,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와 같은 다른 물질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로서 사용되기 위한,
    - 과산화적으로 및 백금-촉매형 교차 결합에 기반한 탄화수소-기반 폴리머 및 실리콘-기반 엘라스토머 시스템 용의 저온 내충격성 개질제 및 극성 개질제와 같은 개질제로서 사용되기 위한,
    - 면, 모,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기반 합성 섬유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섬유용 포뮬레이션으로서, 특히 텍스타일 형태로 사용되기 위한,
    - 섬유 처리제에서, 특히 음이온, 비이온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탁용 세제 포뮬레이션에서, 예컨대 세탁 과정에 이어서 첨가되는 제제 또는 세탁 중에 별도로 첨가될 수 있는 제제, 세탁 세제의 구성성분인 제제로 사용되기 위한,
    - 특히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베이시스 상에서, 특히, 섬유 및 텍스타일 세탁 후 별도의 소프닝 시스템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 텍스타일의 주름을 방지하거나 주름을 펴기 위한 다림질 보조제로서 사용되기 위한,
    - 특히 텍스타일, 종이 및 나무 형태의 예컨대 면, 모,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기반 합성 섬유와 같은 섬유를 우선 마감(피니싱)하고 손질하기 위한 섬유 피니싱용 포뮬레이션에서 사용되기 위한,
    - 특히 점도를 달리하는 액체, 크림 또는 페이스트제 형태로서, 모발 및 피부의 손질을 위한, 특히 순수한 물질, 용액, 혼합물, 에멀젼 또는 마이크로 에멀젼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 모발 및 피부 손질용 화장품 시스템에서, 특히 모발 세정 중 또는 세정 후에 모발에 영양을 주거나, 또는 탈색, 컬링 또는 언컬링에 앞서서 모발을 염색 또는 모발에 영양을 준 후에 사용하기 위한, 예컨대 "투인원" 샴푸, "바디 워시" 및 소위 "린스-오프" 제품, 또는 영구, 반영구 및 일시적 모발 염색제로서, 헤어 토닉, 영양 크림, 스타일링 크림, 헤어젤, 헤어 스타일렝 제품, 헤어 세팅 제품, 헤어 스프레이, 펌프 스프레이, 블로우-웨이빙 조성물 및 블로우-드라잉 세팅 조성물과 같이 소위 "사용 후 잔류하는 (leave-in)" 제품 중에서 사용되기 위한,
    - 소프너 포뮬레이션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 고상 담체 상에 위치하는 세탁용 프레시너 시스템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용도.
  3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탁용 세제 포뮤레이션, 화장품용 포뮬레이션 또는 섬유 처리용 포뮬레이션.
  32. 다음 화학식 (5)의 화합물 1종 이상,
    Figure pct00071

    (식 중, R, R1, R2 및 ST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이탈기임),
    다음 화학식 (2)의 화합물 1종 이상,
    Figure pct00072

    (식 중, ST2 및 R5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p = 2 또는 3임) 및
    다음 화학식 (3)의 화합물 1종 이상
    Figure pct00073

    (식 중, ST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q = 2 내지 10임)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성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Y = NR6이고 여기서 R6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소인 것인 반응성 조성물.
  34. 제32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반응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을 수 있는 경화된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피복 및 성형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경화된 조성물.
KR1020107022719A 2008-03-11 2009-03-05 신규한 암모늄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KR20100125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3583.6 2008-03-11
DE102008013583 2008-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402A true KR20100125402A (ko) 2010-11-30

Family

ID=4060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719A KR20100125402A (ko) 2008-03-11 2009-03-05 신규한 암모늄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91879B2 (ko)
EP (1) EP2257585B1 (ko)
JP (1) JP5350407B2 (ko)
KR (1) KR20100125402A (ko)
CN (1) CN102027042B (ko)
AT (1) ATE532814T1 (ko)
BR (1) BRPI0910383A2 (ko)
HK (1) HK1154258A1 (ko)
WO (1) WO2009112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3543B2 (en) 2009-04-17 2012-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organosiloxane polymers
WO2012161215A1 (ja) * 2011-05-25 2012-11-29 株式会社 資生堂 コンディショナー組成物
WO2013034705A1 (en) 2011-09-09 2013-03-1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Use of ionic polysiloxanes as a solvent in organic reactions
CA2880822C (en) * 2012-07-27 2017-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siloxane copolymers
CN109996599A (zh) * 2016-06-23 2019-07-09 华纳巴布科克绿色化学学院有限责任公司 可逆转换表面活性剂及使用方法
US10982051B2 (en) 2017-06-05 2021-04-20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Aqueous compositions for hair treatment comprising polyorganosiloxanes with polyhydroxyaromatic moieties
EP3501488B1 (en) 2017-12-21 2021-04-1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Aqueous silicone polymer compositions
CN109608835B (zh) * 2018-12-06 2020-11-13 江南大学 一种接枝改性羊毛角蛋白增韧的pbs生物基复合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4820A1 (de) * 1988-02-12 1989-08-17 Dainippon Ink & Chemicals Cyclocarbonathaltige est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505892C1 (de) 1995-02-21 1996-03-14 Goldschmidt Ag T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rbonatgruppen enthaltenden Organopolysiloxanen
US5672338A (en) * 1996-03-14 1997-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made with hydroxy carbamate functionalized silicones
FR2774902B1 (fr) * 1998-02-13 2002-07-1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base de polyurethannes associatifs et de silicones quaternaires
JP3840347B2 (ja) * 1999-05-11 2006-11-01 財団法人化学技術戦略推進機構 新規なポリヒドロキシウレタンの製造方法
DE10316662A1 (de) * 2003-04-11 2004-11-11 Ge Bayer Silicones Gmbh & Co. Kg Reaktive Amino- und/oder Ammonium-Polysiloxanverbindungen
EP1541568A1 (de) * 2003-12-09 2005-06-15 Deutsches Wollforschungsinstitut an der Rheinisch-Westfälischen Technischen Hochschule Aachen e.V. Reaktive cyclische Carbonate und Harnstoffe zur Modifizierung von Biomolekülen, Polymeren und Oberflächen
DE102005014311A1 (de) * 2005-03-30 2006-10-12 Ge Bayer Silicones Gmbh & Co. Kg Polyamino- und/oder Polyammonium-Polysiloxan-Colpolymer-Verbindungen mit kammartig angeordneten Polyalkylenonideinhei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8894A (ja) 2011-06-30
HK1154258A1 (en) 2012-04-13
CN102027042B (zh) 2013-12-11
BRPI0910383A2 (pt) 2019-03-19
WO2009112417A1 (de) 2009-09-17
US20110033411A1 (en) 2011-02-10
US8491879B2 (en) 2013-07-23
EP2257585B1 (de) 2011-11-09
JP5350407B2 (ja) 2013-11-27
ATE532814T1 (de) 2011-11-15
CN102027042A (zh) 2011-04-20
EP2257585A1 (de)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5587B2 (en) Polyurea- and/or polyurethane-polyorganosiloxane compounds
US8410236B2 (en) Polycarbonate and/or polyurethane polyorganosiloxane compounds
KR20100134653A (ko) 신규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오가노실록산 및/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JP5731119B2 (ja) 新規ポリアミド−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
JP2010521569A5 (ko)
KR20100125402A (ko) 신규한 암모늄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
DE102007027027A1 (de) Neue Polyharnstoff- und/oder Polyurethan-Polyorganosiloxan-Verbind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