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194A - Method of us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Method of us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194A
KR20100124194A KR1020090088161A KR20090088161A KR20100124194A KR 20100124194 A KR20100124194 A KR 20100124194A KR 1020090088161 A KR1020090088161 A KR 1020090088161A KR 20090088161 A KR20090088161 A KR 20090088161A KR 20100124194 A KR20100124194 A KR 2010012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support
support portion
balanc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80285B1 (en
Inventor
이영준
이화정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09008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285B1/en
Publication of KR2010012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erform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is provided to enable more precisely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e and to control the height of a support part touching with molar tooth. CONSTITUTION: A method for perform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comprises a step for generating a left balance inserted into the left molar and a right balance inserted into the right molar; inserting the right and left balances into the left and right molar tooth, and inputting the shape of the front tooth; combining a first support in which the shape of the front tooth is inputted, with a second support(200) and a third support(300); and inputting the shape of the rest tooth.

Description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Method of us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Method of us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본 발명은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 편측저작,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턱관절과 연관된 근육의 이완을 유도하고, 뇌척수액의 순환을 활성화시키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jaw joint bal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solve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caused by external impact, unilateral operation, stress, etc., induces relaxation of muscles associated with the jaw joint, and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It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to activate the.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the jaw joint is a joint that serves as the central axis of the mouth opening and closing movements and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e bilateral joint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chewing function and the pronunciation function. It is composed of the temporal bone and the mandible.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턱관절의 불균형은 상부경추가 이탈하는 원인이 되며, 턱관절과 연관된 근육 밸런스를 깨트리게 되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 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 증상을 발생시킨다.The jaw joint is an important part in which nine of the 12 cranial nerves pass and the distribution of numerous blood vessels, lymph nodes, and nerves.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causes the upper cervical spine to dislodge and breaks the muscle balance associated with the jaw joint. It causes a wide range of systemic symptoms such as headache, dizziness, circulatory disease, otolaryngology, genitourinary disease, respiratory disease, growth disorders, as well as spinal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including the nervous system.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측저 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This imbalance of the jaw joint is caused by external impact or unilateral operation of chewing food on one side, cracking, stress,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caused by daily operation of swallowing saliva.

따라서,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발명되고 있다.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current jaw joint is increasingly recognized, research and efforts are actively progressed, a number of jaw joint protection devices such as a jaw correction pad or mouthpiece, orthodontic device has been invented.

종래의 기술로서, 미국특허등록 제5,259,762호의 'ORAL APPLIANCE', 제5,624,257호의 'ORAL APPLIANCE' 는 치아가 안착되는 몸체부(base portion)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정형화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지는 못하며, 개인별 턱관절 불균형의 차이를 고려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정 높이의 완충 장치를 치아 사이에 삽입하여 치아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턱관절을 보호하는 일부 효과를 달성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의 턱관절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턱관절 불균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매우 미흡하며, 사용자 마다 상이하게 발생하는 턱관절 불균형을 해소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불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As a related art, 'ORAL APPLIANCE' of US Patent No. 5,259,762 and 'ORAL APPLIANCE' of No. 5,624,257 are composed of a base portion on which a tooth is seated, and is designed to have a standardized height. It does not solve the imbalance and does not consider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jaw imbalan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achieve some effects of protecting the jaw joint by inserting a buffer device having a certain height between the teeth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teeth, but it does not solve the user's jaw joint imbalance. The effect described in the technology is limited, and it is very inadequat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jaw joint imbalance, and it is structurally impossible to solve the jaw joint imbalance that occurs differently for each user.

또한, 종래 기술은 어금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opposite sides)의 두께가 앞니가 닿는 중앙 부분(top side)의 두께 보다 두껍게 설계되어 있으나, 이러한 설계의 경우 앞니가 어금니 보다 먼저 닿아 어금니 부분이 상기 몸체부에 닿지 않을 수 있어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 효과가 저감되며, 턱관절 불균형을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alleviate the shock generated in the molar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opposing side on which the molar touches is design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p side where the molar touches. Since the molar portion may not reach the body part because the molar portion may be touched before the molar portion, the impact relief effect of the molar portion is reduced, and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solve the jaw joint imbalance occurs.

또한, 종래기술은 치아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를 따라 내측 및 외측 프랜지부(outer and inner frange portion)가 설계되어 있으나,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랜지부가 치아의 자연스러운 이동까지 제한하여 장치의 착용시 심한 치아의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상기 몸체부 중앙의 상부 및 하부(upper and lower channel)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장치 착용시 앞니의 정상적인 교합을 방해하여 통증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inner and outer flange portions are designed along the body portion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teeth and increase the fixing force, but the inner and outer flange portions limit the natural movement of the teeth. A problem arises that causes severe tooth pain when the device is worn. In particular,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re designed to be co-ordinated, causing aggravation of pain by interfering with normal occlusion of the front teeth when the device is wor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method of using a jaw balance device to minimize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jaw joint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금니가 닿는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각 사용자의 치아 구조에 일치하는 제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에 따라 상이한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보다 정밀한 턱관절 균형 조절이 가능한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that the molar touches, and can be manufactured to match the tooth structure of each user to solve the imbalance of different jaw joints according to the user, more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using a jaw balance device capable of precise jaw balance adjustm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금니가 닿는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높이를 제1 받침부의 높이 보다 높게 설계하여 턱관절 균형에 핵심이 되는 어금니 부분이 먼저 닿도록 함으로써 턱관절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jaw joint imbalance by designing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that the molars touch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so that the molar portion which is the key to the balance of the jaw touches first.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using the jaw balanc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착용시 앞니의 정상적인 교합을 위하여 제1 받침부에 경사를 부여하고, 제1 받침부의 하부 시작점이 상부 시작점 보다 뒤에 위치시켜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jaw joint balance device to give a slope to the first support for normal occlusion of the front teeth when the device is worn, and to increase the user's wearing comfort by placing the lower start poin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behind the upper start point To provide a way.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은 좌측 어금니 부분에 삽입될 좌측 균형물 및 우측 어금니 부분에 삽입될 우측 균형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좌우 균형물을 좌우측 어금니 부분에 삽입하고,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1 받침부를 이용하여 앞니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에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를 결합하고,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를 이용하여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에 나머지 치아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using the TP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 left balance to be inserted into the left molar portion and a right balance to be inserted into the right molar portion, the left and right balance Inserting into the left and right molar parts, inputting the shape of the incisors using the first support part filled with the tooth fixture, and combin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to the first support part into which the shape of the incisor is input; And inputting the shapes of the remaining teeth to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filled with the dental fixture by using the first support part in which the shape of the incisors is input.

본 발명은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여 턱관절과 연관된 근육의 이완을 유도하고, 뇌척수액의 순환을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jaw joint to minimize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to induce relaxation of the muscles associated with the jaw joint, and activate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또한, 본 발명은 어금니가 닿는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각 사용자의 치아 구조에 맞는 개인별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여 보다 정밀하게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고, 턱관절 균형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molar contact portion, it is possible to personally tailored to suit the tooth structure of each user can maintain the balance of the jaw joint more precisely, can solve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Maximize the effect of balancing the jaw joint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턱관절 균형에 핵심이 되는 어금니 부분이 먼저 닿도록 설계하여 턱관절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착용시 앞니의 정상적인 교합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jaw joint imbalance by designing the molar portion, which is the key to the balance of the jaw first, and designed to suit the normal occlusion of the front teeth when worn,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fit.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1 to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jaw joint bal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는 앞니 부분이 안착되는 제1 받침부(100), 좌측 어금니와 그 주변 치아가 안착되는 제2 받침부(200), 및 우측 어금니와 그 주변 치아가 안착되는 제3 받침 부(3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jaw joint bal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100 is seated in the front teeth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seated on the left molars and surrounding teeth 200, and a third support part 300 on which the right molars and the surrounding teeth are seated.

상기 제1 받침부(100)는 앞니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의 높이(h1)가 가장자리의 높이(h7) 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받침부의 상부는 중앙의 높이(h2)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의 높이(h8)가 상기 중앙의 높이(h2) 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받침부의 하부는 중앙의 높이(h3)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의 높이(h9)가 상기 중앙의 높이(h3) 보다 낮게 형성된다.The first base portion 100 is a portion where the front teeth are seated, and the center height h1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h7 of the edg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has the highest height h2 in the center, and the height h8 of the edge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h2 in the center.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has the highest height h3 at the center, and the height h9 of the edge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h3 at the center.

도 3은 도 1의 제1 받침부(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제1 받침부를 A방향, B방향, 및 C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받침부(100)는 중앙의 높이(h1)가 가장자리의 높이(h7) 보다 높게 형성되며,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h1 > h4 > h7). 또한, 윗니가 안착되는 상기 제1 받침부의 상부는 중앙의 높이(h2)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의 높이(h8)가 상기 중앙의 높이(h2) 보다 낮게 형성되며,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h2 > h5 > h8). 상기 가장자리 높이(h8)는 "0"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랫니가 안착되는 상기 제1 받침부의 하부는 중앙의 높이(h3)가 가장자리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완만하게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랫니가 안착되는 상기 제1 받침부의 하부는 중앙의 높이(h3)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의 높이(h9)가 상기 중앙의 높이(h3) 보다 낮게 형성되며,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h3 > h6 > h9). 상기 가장자리 높이(h9)는 "0"일 수 있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first support part 100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pport part of FIG. 3 cut in the A, B, and C directions,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n more detail, the first support part 100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h1 of the center is higher than the height h7 of the edge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h1> h4> h7).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seated in the highest height of the center (h2) is the highest, the height of the edge (h8)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h2) of the center, so as to gradually lower from the center to the edge Formed (h2> h5> h8). The edge height h8 may be "0". Similarly,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lower teeth are seate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enter height h3 is equal to or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dge.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lower teeth are seated has the highest height h3 at the center, and the height h9 of the edge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h3 at the center, and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from the center to the edge. (h3> h6> h9). The edge height h9 may be "0".

상기 제1 받침부의 상부는 윗니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윗니의 정상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의 상부는 중앙의 높이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일반적인 윗니의 형상에 따라 중앙의 경사 각도가 가장자리의 경사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앙의 경사 각도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경사 각도가 작게 형성된다. 가장자리의 경사 각도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is formed to have a gentle inward inward according to the normal position of the upper teeth so that the upper teeth can be comfortably seated. Since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becomes lower toward the edge, natural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en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d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eneral upper teeth,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en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edge. Is formed small.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edge may be formed to be almost horizontal.

상기 제1 받침부의 하부는 아랫니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아랫니의 정상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의 하부도 중앙의 높이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일반적인 아랫니의 형상에 따라 중앙의 경사 각도가 가장자리의 경사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앙의 경사 각도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경사 각도가 작게 형성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inward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normal position of the lower teeth so that the lower teeth can be comfortably seated. Since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lso becomes lower toward the edge, natural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en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d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eneral lower teeth,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en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edge. Is formed small.

치아의 앞니 부분은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시 윗니가 아랫니의 앞에 위치하고, 아랫니는 윗니의 뒤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교합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받침부(100)는 내측으로 경사(θ1)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시작점(115)이 상기 상부의 시작점(111) 보다 뒤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하부의 시작점(115)은 상기 상부의 시작점(111) 보다 1mm 내지 5mm 뒤에 위치될 수 있다.The upper teeth of the teeth are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teeth when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are occluded, and the lower teeth are located behind the upper teeth. Therefore, using the occlusal characteristic, the first support part 100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θ1 inward, and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starting point 115 is located behind the upper starting point 111. For example, the lower starting point 115 may be located 1 mm to 5 mm behind the upper starting point 111.

상기 제1 받침부는(100) 상기 상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상부 외측 벽(110) 및 상기 상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상부 내측 벽(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외측 벽(110)은 상기 상부의 외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상부 내측 벽(112)은 상기 상부의 내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upper outer wall 110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upper portion and a first upper inner wall 112 form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upper portion. have. The first upper outer wall 110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outer edg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first upper inner wall 112 may be formed on all or a por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upper portion.

상기 제1 받침부(100)는 상기 하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하부 외측 벽(114) 및 상기 하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하부 내측 벽(1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외측 벽(114)은 상기 하부의 외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부 내측 벽(116)은 상기 하부의 내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1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lower outer wall 114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lower portion and a first lower inner wall 116 formed along the inner inner edge of the lower portion. can do. The first lower outer wall 114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outer edge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first lower inner wall 116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inner edge of the lower portion.

상기 제1 상부 내외측 벽(110,112)은 상기 제1 받침부의 상부에 치아 고정물을 충진할 때, 치아 고정물의 충진 높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받침부의 상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치아 고정물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는 퍼티, 액상 실리콘 등의 재질이 사용되며, 치아의 보호를 위해 경화 후에 일정 정도의 탄력성을 갖는 재질이 사용된다. The first upper inner and outer walls 110 and 112 make it easy to check the filling height of the dental fixture when the dental fixture is fi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prevents devia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charge of. The tooth fixture is a material such as putty, liquid silicone, which is cu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s used, and a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after curing is used to protect the tooth.

상기 제1 하부 내외측 벽(114,116)은 상기 제1 받침부의 하부에 치아 고정물을 충진할 때, 치아 고정물의 충진 높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치아 고정물이 상기 제1 받침부의 하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first lower inner and outer walls 114 and 116 can easily check the filling height of the dental fixture when the dental fixture is fi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dental fixture is devi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t has a role to prevent.

상기 내외측 벽의 높이(110,112,114,116)는 상기 제1 받침부(100)에서 상기 치아 고정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제1 받침부의 착용시 잇몸에 닿는 등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낮게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내외측 벽의 높이는 0.1mm 내지 5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s 110, 112, 114, and 116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are formed to be as low as possible to prevent the tooth fixtur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100 and to prevent inconvenience such as contact with the gums when the first support part is worn. do.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may be formed about 0.1mm to 5mm.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윗니의 편안한 안착을 위하여 상기 제1 받침부의 상부와 제1 상부 외측 벽(110) 사이에 제1 안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고, 아랫니의 편안한 안착을 위하여 상기 제1 받침부의 하부와 제1 하부 외측 벽 사이에 제2 안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안착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4, 5, and 6, a first sea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upper outer wall 110 for comfortable seating of the upper teeth. The second seat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lower outer wall for comfortable sea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seating part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eating part.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받침부(100)는 앞니가 중앙에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중앙선(15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선(150)은 제1 받침부(100)가 구강 내에 삽입될 때 윗니와 아랫니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제1 받침부의 정면 중앙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support part 100 includes a center line 150 confirming whether the front teeth are located at the center. The center line 150 is form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first support part to easily check that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when the first support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받침부(100)는 좌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2 받침부(200)가 결합되는 제1 좌측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받침부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3 받침부(300)가 결합되는 제1 우측 결합부(12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support part 100 is formed with a first left coupling part 120 to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200 is coupled at a left edge thereof, and at the right edge of the first support part 100. The first right coupling part 122 to which the third support part 300 is coupled is formed.

상기 제2 받침부(200)는 좌측 어금니와 그 주변 치아들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받침부의 제1 가장자리에 상기 제1 받침부의 제1 좌측 결합부(120)와 결합되는 제2 좌측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좌측 결합부(120) 및 제2 좌측 결합부(220)는 암수 부분으로 구성되어 결합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는 경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200 is a portion where the left molars and the surrounding teeth are seated, and a second left coupling coupled to the first left coupling portion 120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t the first edg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part 220 is formed. The first left coupling part 120 and the second left coupling part 220 are formed as male and female parts so as not to be separated during the coupling, and are easily separated when a physical pressure is applied.

도 9는 도 1의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 받침부를 D방향 및 E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받침부의 폭은 좌측 어금니와 그 주변 치아들이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 넓게 형성되고(W1 < W2), 상기 제2 받침부의 높이는 뒷부분의 높이(h11)가 앞부분의 높이(h10) 보다 약간 낮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FIG. 9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of FIG. 1,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upport part of FIG. 9 cut in the D direction and the E direction. Referring to FIGS. 9 and 10, FIG. 2 The width of the supporting part is gradually widened toward the edge so that the left molars and the surrounding teeth are seated (W1 <W2),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is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part h11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part h10. Lower or nearly identical.

따라서, 본 발명의 턱관절 균형 장치는 앞니가 안착되는 제1 받침부의 중앙 높이가 어금니가 안착되는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높이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닿는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높이를 앞니가 닿은 제1 받침부의 두께 보다 낮게 형성하여 어금니가 앞니 보다 먼저 닿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refore, the jaw joint balan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e third base portion on which the molars are placed. In order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molar portion affecting the balance of the jaw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and the third supporting part to which the molars touch is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to which the incisor touches, so that the molars touch before the incisor. To do so.

상기 제2 받침부(200)는 상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상부 외측 벽(210) 및 상기 상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상부 내측 벽(21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외측 벽(210)은 상기 상부의 외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상부 내측 벽(212)은 상기 상부의 내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upper outer wall 210 formed along an outer edge of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upper inner wall 212 formed along an inner edge of the upper portion. Can be. The second upper outer wall 210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outer edg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upper inner wall 212 may be formed on all or a por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upper portion.

상기 제2 받침부(200)는 하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하부 외측 벽(214) 및 상기 하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하부 내측 벽(2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외측 벽(214)은 상기 하부의 외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부 내측 벽(216)은 상기 하부의 내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lower outer wall 214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lower inner wall 216 form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lower portion. Can be. The second lower outer wall 214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lower outer edge, and the second lower inner wall 216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lower inner edge.

상기 제3 받침부(300)는 우측 어금니와 그 주변 치아들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받침부의 제2 가장자리에 상기 제1 받침부의 제1 우측 결합부(122)와 결합되는 제2 우측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우측 결합부(122) 및 제2 우측 결합부(320)는 상기 제1 좌측 결합부(120) 및 제2 좌측 결합부(220)와 대칭 구성으로 형성된다.The third support portion 300 is a portion where the right molars and the surrounding teeth are seated, and a second right coupling coupled with the first right coupling portion 122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the second edg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part 320 is formed. The first right coupling part 122 and the second right coupling part 320 are formed in a symmetrical configuration with the first left coupling part 120 and the second left coupling part 220.

상기 제3 받침부의 폭은 우측 어금니와 그 주변 치아들이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받침부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gradually wider toward the edge so that the right molars and the surrounding teeth are se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the same or similar.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하 치아의 교합시 좌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 보다 우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이 넓은 점에 착안하여 상기 제3 받침부의 높이는 상기 제2 받침부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the same, and the height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the second support based on the poin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upper and lower molar teeth is wid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upper and lower molar teeth when occlusion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It can b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ealth.

상기 제3 받침부(300)는 상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상부 외측 벽(310) 및 상기 상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상부 내측 벽(31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상부 외측 벽(310)은 상기 상부의 외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상부 내측 벽(312)은 상기 상부의 내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hird upper outer wall 310 formed along an outer edge of the upper portion and a third upper inner wall 312 form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upper portion. Can be. The third upper outer wall 310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outer edg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third upper inner wall 312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inner edge of the upper portion.

상기 제3 받침부(300)는 하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하부 외측 벽(314) 및 상기 하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하부 내측 벽(3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부 외측 벽(314)은 상기 하부의 외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하부 내측 벽(316)은 상기 하부의 내측 테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art 3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hird lower outer wall 314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lower portion and a third lower inner wall 316 formed along the inner inner edge of the lower portion. Can be. The third lower outer wall 314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lower outer edge, and the third lower inner wall 316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lower inner edge.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내외측 벽은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상하부에 치아 고정물을 충진할 때, 치아 고정물의 충진 높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치아 고정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make it easy to check the filling height of the tooth fixture when the tooth fixture is fill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the tooth fixture is detached.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from doing.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로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받침부 및 제2 받침부(제3 받침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턱관절 균형 장치의 결합부가 도 8과 다르게 형성된 모습이 보여진다. 11 and 1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aw joint balanc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third support part) The coupling part of the jaw joint balancing device is formed differently from FIG. 8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치아의 이탈 방치 효과를 최대화하고, 치아의 교정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턱관절 장치의 외측벽의 높이가 내측 높이(h2) 만큼 높게 형성된 모습이 보여진다.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jaw joint balanc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of the jaw joint device is maximized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ving the teeth and increase the corrective effect of the teeth. The shape formed as high as the inner height h2 is shown.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ethod of using the jaw joint bal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좌우측의 어금니에 삽입될 좌우측 균형물을 생성한다. 상기 좌측 균형물 및 우측 균형물의 높이는 사용자가 균형물의 착용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마다 치아 구조가 다르고, 치아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각 사용자에 따라 균형물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좌측 균형물의 높이와 우측 균형물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First, the left and right balances to be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molars are produced. The height of the left balance and the right balance may be set to a height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comfortable when wearing the balance. Since the tooth structure is different for each user and the height of the tooth is different, the height of the balance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and the height of the left balance and the right balance may be set differently.

상기 균형물의 높이는 정밀 측정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좌우측 어금니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좌우측 어금니에 균형물을 착용하여 균형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형물은 기 설정된 높이를 갖는 균형물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balance can be set by measuring the left and right molar spacing of the user using a precision measuring mechanism, and the user can be se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lance by wearing the balance directly on the left and right molar teeth. In addition, the balance can be used as it is a balan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사용자가 균형물을 착용하여 상기 균형물의 높이를 설정하는 경우 균형물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균형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측정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균형물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 측정지를 추가하고, 균형물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 측정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균형물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측정지는 0.05mm 내지 10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라면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가 낮을수록 보다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측정지는 종이, 비닐, 셀로판, 실리콘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ts the height of the balance by wearing a balance, in order to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alance, a balance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used as the balance. The height of the balance can be precisely adjusted by adding a measurement sheet to the height of the balance and removing the measurement sheet to reduce the height of the balance. The measurement paper may be used regardless of the material as long as it has a thickness of about 0.05mm to 10mm, and the lower the thickness, the finer the height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measurement paper may be a material such as paper, vinyl, cellophane, or silicon.

또한, 상기 균형물의 높이는 턱관절의 수평 균형 및 상하 균형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턱관절 보호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수평 균형은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좌우 턱관절이 수평하게 위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실제 턱관절의 좌우 위치와 상기 수평 균형과의 차이가 상기 균형물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 균형은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턱관절이 상하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실제 턱관절의 상하 위치와 상기 상하 균형과의 차이에 상기 수평 균형에 의한 균형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균형물의 최종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balance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horizontal balance and the vertical balance of the jaw joint, in this case can increase the effect of the jaw joint protection. The horizontal balance means that the left and right jaw joints are horizont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user's hea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actual jaw joint and the horizontal balance may be set to the height of the balance. The upper and lower balance means that the jaw join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user's head, and considering the height of the balance by the horizontal bala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actual jaw joint and the upper and lower balance. It can be set to the final height.

이어서, 상기 좌우 균형물을 좌우측 어금니 부분에 삽입하고,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1 받침부를 이용하여 앞니의 형상을 입력한다. Subsequently, the left and right balances are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molar parts, and the shape of the incisors is input using the first supporting part filled with the dental fixtur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받침부의 상하부 면에 치아 고정물을 일정 높이로 충진한 후, 상하 치아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1 받침부를 사용자의 아랫쪽 앞니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좌우 균형물을 좌우측 어금니에 삽입하고, 상기 좌우측 어금니가 상기 좌우 균형물에 닿도록 상기 상하 치아가 자연스럽게 교합되도록 한다. 제1 받침부의 중앙선을 이용하여 상하 앞니의 좌우 균형을 맞도록 치아를 교합하는 경우 턱관절 보호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more detail, after filling the tooth fixture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a certain height, the first support portion filled with the dental fixture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open so as to be located in the lower front teeth of the user, The left and right balances are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molar teeth,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naturally occlud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molars reach the left and right balances. When the teeth are occluded to balance the left and right incisors of the upper and lower incisors by using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support part,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jaw joint can be enhanced.

치아 고정물이 일정 강도로 고정될 때까지 기다린 후 상기 제1 받침부를 사용자의 앞니에서 분리하면 상하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Waiting until the dental fixture is fixed to a certain strength and then removing the first support part from the user's front tooth can obtain a result of input of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front teeth.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결과물은 좌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이 상기 좌측 균형물의 높이가 되고, 우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이 상기 우측 균형물의 높이가 되도록 앞니의 고정틀 역할을 담당한다. The resultant in which the shape of the incisors is input serves as a fixing frame of the incisors such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upper and lower molars becomes the height of the left balanc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ight upper and lower molars becomes the height of the right balance.

이어서,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에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를 결합하고,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를 이용하여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에 나머지 치아의 형상을 입력한다. Subsequently,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into which the shape of the incisors is inpu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first support part filled with the dental fixture using the first support part into which the shape of the incisor is input. 3 Enter the shape of the remaining teeth in the bas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에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상하부 면에 치아 고정물을 일정 높이로 충진한 후, 상하 치아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를 앞니 부분에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 치아가 자연스럽게 교합되도록 한다. 상기 치아 고정물이 일정 강도로 고정될 때까지 기다린 후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부를 사용자에게서 분리하면 상하 치아의 형상이 입력된 최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In more detail, after the shape of the incisors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filling the dental fixture to a certain heigh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opened, the shape of the incisor teeth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ing part to the incisor por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teeth naturally occlude. Wait until the tooth fixture is fixed to a certain strength and then remove the first to third support parts from the user to obtain a final result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input.

따라서, 좌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이 상기 좌측 균형물의 높이가 되고, 우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이 상기 우측 균형물의 높이가 되며, 상하부에 사용자의 치아 형상이 입력된 턱관절 균형 장치가 최종적으로 생성된다.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upper and lower molars becomes the height of the left balance, the interval between the right upper and lower molars becomes the height of the right balance, and finally, a jaw joint balance device in which the user's tooth shape is input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좌우 균형물의 높이를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받침부에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부의 상하부에 치아 고정물을 일정 높이로 충진한 후, 상하 치아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치아의 형상에 맞게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 치아가 자연스럽게 교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치아 고정물이 일정 강도로 고정될 때까지 기다린 후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부를 사용자의 치아에서 분리하면 상하부에 사용자의 치아 형상이 입력된 최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balance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a second After combin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filling the dental fixture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 portion, the first to third support portion to match the shape of the tooth in the state of open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Fix and allow the upper and lower teeth to occlude naturally. Subsequently, after the tooth fixture is fixed to a certain strength,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arts are separated from the user's teeth, thereby obtaining a final result in which the user's tooth shape is input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따라서, 좌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이 상기 제2 받침부의 높이가 되고, 우측 상하 어금니의 간격이 상기 제3 받침부의 높이가 되며, 상하 면에 사용자의 치아 형상이 입력된 턱관절 균형 장치가 최종적으로 생성된다.Therefore, the left upper and lower molar spacing becomes the height of the second base portion, the right upper and lower molar spacing becomes the height of the third base portion, and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in which the user's teeth are inpu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finally generat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일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1 받침부의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제1 받침부를 A방향, B방향, 및 C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of FIG. 3 cut in the A direction, the B direction, and the C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저면도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분리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of the jaw joint bal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제2 받침부를 D방향 및 E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of FIG. 9 cut in the D direction and the E directio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분리 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14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jaw joint bal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좌측 어금니 부분에 삽입될 좌측 균형물 및 우측 어금니 부분에 삽입될 우측 균형물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left balance to be inserted into the left molar portion and a right balance to be inserted into the right molar portion; 상기 좌우 균형물을 좌우측 어금니 부분에 삽입하고,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1 받침부(100)를 이용하여 앞니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 및Insert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s into the left and right molar parts and inputting the shape of the front teeth using the first support part 100 filled with the tooth fixture; And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100)에 제2 받침부(200) 및 제3 받침부(300)를 결합하고,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100)를 이용하여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2 받침부(200) 및 제3 받침부(300)에 나머지 치아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The second support part 200 and the third support part 300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00 into which the shape of the front teeth is input, and the first support part 100 into which the shape of the incisors is input is used. Method of using a jaw joint balance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the shape of the remaining teeth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20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300 is filled with a dental fixtu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받침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치아 고정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Method of using a jaw joint bal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tal fixture is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상부,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치아 고정물이 충진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A method of using a jaw joint balance device in which a dental fixture is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nd third support parts,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니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ting of the shape of the incisor is as follows. 상기 치아 고정물이 충진된 제1 받침부를 사용자의 앞니에 위치시키고, 상기 좌우 균형물을 좌우측 어금니에 삽입하고, 상기 좌우측 어금니가 상기 좌우 균형물에 닿도록 상기 상하 치아를 교합시켜 앞니의 형상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The first support part filled with the tooth fixture is placed on the front teeth of the user, the left and right balances are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molar teeth,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engag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molars touch the left and right balance teeth to input the shape of the front teeth. Method of using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치아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ting of the shape of the remaining teeth comprises: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에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의 상하부 면에 치아 고정물을 일정 높이로 충진한 후, 상하 치아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앞니의 형상이 입력된 제1 받침부를 앞니 부분에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 치아를 자연스럽게 교합시켜 나머지 치아의 형상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into which the shape of the front teeth is input,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are filled with a dental fixtur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Method of using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which the shape of the incisors is input to the incisor portion in the open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naturally interlock to input the shape of the remaining teeth. 제1 받침부에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Coupl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부의 상하부에 치아 고정물을 일정 높이로 충진한 후, 상하 치아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치아의 형상에 맞게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 치아를 교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After filling the dental fixture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 portion, and fixing the first to third suppor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ooth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to bite Method of using the jaw joint balance device comprising a.
KR1020090088161A 2009-09-17 2009-09-17 Method for produc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KR101180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61A KR101180285B1 (en) 2009-09-17 2009-09-17 Method for produc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61A KR101180285B1 (en) 2009-09-17 2009-09-17 Method for produc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112A Division KR100926483B1 (en) 2009-05-18 2009-05-18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194A true KR20100124194A (en) 2010-11-26
KR101180285B1 KR101180285B1 (en) 2012-09-06

Family

ID=4340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161A KR101180285B1 (en) 2009-09-17 2009-09-17 Method for produc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2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410A (en) * 2020-09-22 2022-03-29 송영국 Dental appatatus for keeping interocclusal distance
KR20220107440A (en) * 2021-01-25 2022-08-02 이현서 Orthodintic retainer for preventing bruxis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257A (en) 1991-10-31 1997-04-29 Farrell; Christopher J. Oral appliance
EA010998B1 (en) 2004-10-14 2008-12-30 Кристофер Джон Фэррелл Orthodontic appliance
KR100883168B1 (en) 2007-05-23 2009-02-10 정수용 Instrument for protecting the jawb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410A (en) * 2020-09-22 2022-03-29 송영국 Dental appatatus for keeping interocclusal distance
KR20220107440A (en) * 2021-01-25 2022-08-02 이현서 Orthodintic retainer for preventing brux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285B1 (en)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483B1 (e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KR101344394B1 (en) Orthodontic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KR101947634B1 (en) Height-adjustable 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70304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39;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KR101381485B1 (e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Orthodontic
KR100883168B1 (en) Instrument for protecting the jawbone
US20140069441A1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KR101637087B1 (e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Cervical Correction
KR101844663B1 (en) Mouse piece for correct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KR200443404Y1 (en)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KR200461324Y1 (e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Slit
KR101180285B1 (en) Method for producing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KR20180060290A (en) Temporomandibular joint stabilization apparatus
KR200455055Y1 (e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KR101801324B1 (en) Palatal Corrector
KR102125967B1 (en) Physiologic TMJ and Spine balancer
KR102098391B1 (en) hyperdyhamia brace
AU2021228088B9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uses thereof
KR20160079302A (en) Temporomandibular joint splint
KR101745561B1 (en)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IT201800001689A1 (en) DENTAL SPLINT ACTIVATOR OF THE MANDIBULAR LEVER TO BALANCE THE POSTURE AND REACH NEUROMUSCULAR SYMMETRY
KR20180001267A (en) Premanent dentition development guide device
JP2019141604A (en) Height-adjustable 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25140A (en)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