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404Y1 -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 Google Patents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404Y1
KR200443404Y1 KR2020070008527U KR20070008527U KR200443404Y1 KR 200443404 Y1 KR200443404 Y1 KR 200443404Y1 KR 2020070008527 U KR2020070008527 U KR 2020070008527U KR 20070008527 U KR20070008527 U KR 20070008527U KR 200443404 Y1 KR200443404 Y1 KR 200443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teeth
seated
thickness
jaw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5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5715U (en
Inventor
정수용
Original Assignee
정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264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340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용 filed Critical 정수용
Priority to KR2020070008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404Y1/en
Publication of KR20080005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1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4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는,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패드와, 상기 윗니 및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1 가드와, 상기 윗니 및 아랫니의 내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가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는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상기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드는 치아의 고정력을 높이고,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앙에 홈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jaw joint, the intraoral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jaw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seated on the pad, the first guard for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a second guard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wherein the pad has a width of an edge portion at which the molars are seated is wider than a width at the center portion at which the molars are seated, and a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the first guard is formed with a groove in the center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teeth, easily removabl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구강 내에 삽입 시 탈부착이 용이하고. 치아의 불균형을 해소함으로써 치아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턱관절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detachable when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By eliminating tooth imbalance, the jaw joint can be efficiently protected from the pressure exerted from the tooth.

Description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raoral device for the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lane cut along the line AA ′ of FIG. 2.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lane cut along the line BB ′ of FIG.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구강내 장치 110: 패드100: intraoral device 110: pad

112: 치아 고정부 120: 제1 가드112: tooth fixing part 120: first guard

122: 제1 돌출부 130: 제2 가드122: first protrusion 130: second guard

132: 혀 움직임부 134: 제2 돌출부132: tongue movement portion 134: second protrusion

본 고안은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턱관절을 보정하여 턱관절의 교합 불균형을 해소함으로써 턱관절을 보호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device for jaw cor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raoral device for jaw correction that protects the jaw joint by correcting the jaw joint and removing the occlusal imbalan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the jaw joint is a joint that serves as the central axis of the mouth opening and closing movements and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e bilateral joint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chewing function and the pronunciation function. It is composed of the temporal bone and the mandible.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여 두뇌를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턱관절의 균형이 무너지면 전신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턱관절의 불균형은 1번 경추와 2번 경추의 아탈구를 유발하여 경항부 주위의 근육 밸런스를 깨트림으로서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뿐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증상을 야기한다.The jaw joint is a part that can control the brain because 9 of 12 cranial nerves pass and numerous blood vessels, lymph, and nerves are distributed, and when the balance of the jaw joint is broken, it may cause systemic symptoms. In particular,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causes subluxation of the cervical spine 1 and 2, disrupting the balance of muscles around the neck area, causing headaches, dizziness, circulatory disorders, otolaryngology diseases, as well as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spinal join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t causes a wide range of systemic symptoms, including genitourinary diseases, respiratory diseases and growth disorders.

인간은 밤낮으로 하루에 2,400번 이상 무의식적으로 침을 삼키게 되는데 이때 상하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은 약 1.6kg정도가 되고, 음식을 씹을 때 가해지는 압력은 20kg~80kg 정도가 되며, 수면 시간 동안 이갈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당 히 높은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좌우 턱관절의 불균형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엄청나다고 할 수 있으며,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질수록 턱관절의 불균형이 심화되며, 턱관절의 불균형이 심화될수록 상술한 전신증상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Humans unconsciously swallow saliva more than 2,400 times a day and nigh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teeth is about 1.6kg, and the pressure applied when chewing food is about 20kg ~ 80kg. In the event of this, a significant amount of pressure is applied. Therefore, the im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jaw joints is very enormous, and a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eth increases,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s deepens, and as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s deepens, the above systemic symptoms occur. The chances are high.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고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균형장치 등이 많이 고안되고 있다.The importance of mandibular joints is becoming more and more recognized, and research and efforts are continuing. Accordingly, many mandibular orthodontic pads, mouthpieces and orthodontic balance devices have been devised.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213824호로 제안된 턱관절 교정패드, 특허등록 제10-200982호로 윗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 특허등록 제10-200983호로 아랫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 등은 턱관절의 디스크를 교정하기 위하여 유동액을 사용하고, 아랫니 또는 윗니의 잇몸에 장착하는 특징이 있으나, 아랫니 또는 윗니에 착용됨으로써 교정패드의 착용시 잇몸에 고정되기 어려워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치아가 모아질 때 유동액의 이동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a jaw joint correction pad prop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213824, a jaw joint correction pad for wearing on the upper teeth gum as Patent Registration No. 10-200982, and a patent registration No. 10-200983 for wearing on the lower teeth gums The jaw correction pads use fluids to correct the discs of the jaw joints, and are characterized by being attached to the gums of the lower or upper teeth, but are worn on the lower or upper teeth, making it difficult to be fixed to the gums when the correction pad is worn. Easily rel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ar is significantly lower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fluid when the teeth are collect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강 내에 삽입되고,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착용되어 턱관절을 보호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solve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caus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eth, the teeth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ral cavity for jaw correction to protect the jaw joint is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1 가드의 중앙부에 홈을 형성하여 파지가 쉽고, 치 아의 외측에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치아 고정력을 높이고, 탈부착시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groove in the center of the first guard is easy to grip, formed to wrap around the outside of the teeth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for correction of the jaw joint to be easily removable when detachable To provide a dev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드에 치아의 미끄럼을 조절하는 치아 고정부를 형성하고, 제1 가드의 내측 및/또는 제2 가드의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착용시 치아를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써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력을 높이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tooth fix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sliding of the tooth on the pad, by forming a protru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first guard and / or the second guard to easily fix the tooth when wor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that does not easily detach from a tooth and increases fixation for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폭은 좁게 형성하고,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폭은 넓게 형성하여 치아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that can be formed in a narrow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front teeth are seated,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seated wide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teeth.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앞니의 윗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을 앞니의 아랫부분이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형성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치아 고정 효과를 최대화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that increases the fit by forming a portion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tooth is seated in front of a por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tooth is seated, and maximizes the effect of fixing teeth.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혀 움직임부를 구비하여 착용시에도 혀의 이동을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that can increase the fit and secure the tongue by having the tongue movement part form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ongue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tongue freely. It i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 치아의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좌우 단차를 조절하여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턱관절의 보호 효과를 높이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ral device for mandibular joint correction to increase the fit and to increase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jaw joint by minimiz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eth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step to solve the im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teeth. .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는, 윗 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패드와, 상기 윗니 및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1 가드와, 상기 윗니 및 아랫니의 내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가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는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상기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re seated, the first guard for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and the inside of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And a second guard to surround the pad, wherein the pad has a width of the edg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seated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incisors are se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제1 가드 및 제2 가드는 구강내 고정력을 높이고,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앙에 홈을 포함하며, 상기 치아의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상기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first guard and the second guar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in the oral cavity, and includes a groove in the center to be easily removable, the portion where the upper incisor of the tooth is seated in front of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 is seated. Is located.

또한, 상기 패드는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은 균일하고,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은 가장자리로 이동할수록 두꺼워지며 상기 제1 가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ad has a uniform upper surface on which the upper teeth are seated, and a lower surface on which the lower teeth are seated becomes thicker as it moves toward the edge an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uard.

또한, 제2 가드는 제1 슬럿과 제2 슬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럿 및 제2 슬럿 사이에 혀 움직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드의 내측 또는 상기 제2 가드의 외측에 상기 치아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guard is formed with a first slot and a second slot, the tongue movemen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lot and the second slot, the teeth inside the first guard or the outside of the second guard.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to fix it.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6a 및 도 6b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마찬가지로 도 7a 및 도 7b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1 to 5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ine AA 'of FIG. A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surface cut along. 6A and 6B illustrate different embodiments,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lane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2, and similarly FIGS. 7A and 7B illustrate different embodiments.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100)는 패드(110), 제1 가드(120), 및 제2 가드(130)를 포함하고,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 합성수지, 고무, 라텍스,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의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지 아니하며, 향균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합성수지, 고무, 라텍스, 실리콘 재질 등에 항균,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재료가 추가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S. 1 to 5, the intraoral device 100 for jaw joint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110, a first guard 120, and a second guard ( 130), and has a certain level of strength, and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rubber, latex, silicone, and the like, which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In addition, the material does not cause an unpleasant odor in the oral cavity, and antibacterial, sterilizing and deodorizing material may be added to the synthetic resin, rubber, latex, silicone material, etc. to be antibacterial and sterilized.

도 2 및 도 3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드(110)는 상면은 윗니 부분이 안착되고, 하면은 아랫니 부분이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치아가 안착될 수 있도록 U형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detail in Figures 2 and 3, the pad 110 is the upper surface is the upper teeth portion is seated, the lower por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teeth are seated, is formed in a U-shape so that the teeth can be seated.

또한, 패드(110)는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110a)이 앞니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앞니의 폭을 고려하여 좁게 형성되며,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110b)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앞니와 어금니의 치아 두께 차이를 고려하여 중앙 부분(110a)에서 가장자리 부분(110b)으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다.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w1)은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110b)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되고,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w1)은 앞니가 압박을 느낄 정도로 형성하여 치아의 고정력을 높인다. In addition, the pad 110 is narrow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front teeth so that the center portion 110a on which the front teeth are seated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teeth, and the edge portion 110b on which the molars are seated is relatively wid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ooth thickness between the incisors and molar teeth, the width is gradually formed as the width moves from the central portion 110a to the edge portion 110b. The width w1 of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incisors are seated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w2 of the edge portion 110b on which the molars are seated, and the width w1 of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incisors are seated is formed so that the incisor feels the pressure. Increase the fixing power of your teeth.

또한, 패드(110)는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가드(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잇몸의 일부에 치아가 형성되기 때문에 패드가 잇몸까지 연장되면 사용자는 더욱 평안한 착용감을 느끼게 되고 잇몸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예컨대, 평균적인 치아와 잇몸의 길이를 고려하여 패드와 제1 가드의 길이 차이(l)는 80mm 내지 120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ad 11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uard 120 to increase the user's wearing comfort and ensure stability. Since a tooth is formed in a part of the gum, when the pad is extended to the gum, the user feels a more comfortable fit and is stably fixed to the gum.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length of teeth and gums, the length difference l between the pad and the first guard is formed to be about 80 mm to about 120 mm.

또한, 도 4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드(110)는 치아의 안착성 및 사용 편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중앙 부분(110a)에서 가장자리 부분(110b)으로 이동할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특히,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은 균일하게 형성되는 반면,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은 중심 부분(110a)에서 가장자리 부분(110b)으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110b)의 두께(d2)는 앞니 부분이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두께(d1)는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입이 다물어지는 경우, 어금니 부분이 맞물리게 되고, 어금니가 맞물리는 부분에서 가장 큰 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어금니 부분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과도한 압력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은 앞니로부터 어금니로 이동할수록 면적이 넓어지고, 맞물리는 부분의 면적이 커질수록 치아의 압력이 커지게 되므로,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고려하여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에서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 4, the pad 110 has a thicker thickness as it moves from the central portion 110a to the edge portion 110b in order to increase the seating comfort and ease of use of the tooth. In particular,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upper teeth are seated is uniformly formed, while the lower surface on which the lower teeth are seated is gradually thicker as it moves from the central portion 110a to the edge portion 110b. Therefore, the thickness d2 of the edge portion 110b on which the molars are seated is made thick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center portion on which the incisor portion is seated. When the mouth is closed, the molar portion is engaged, and since the molar teeth generate the greatest pressure, the molar portion is formed to have a thicker thickness to protect and fix the teeth from excessive pressure. The area where the teeth engage is wider as the molar moves from the incisor to the molar, and as the area of the interlocking area becomes larger, the pressure of the tooth becomes greater. As it moves toward the seated edge portion,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또한, 도 7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드(110)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는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좌측 어금니 부분과 우측 어금니 부분의 단차를 고려하여 패드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d3)가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d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가장자리 부분과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 차이(d3-d2)는 1mm 내지 10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이 다물어지는 경우, 어금니가 맞물리게 되는데, 치아의 미묘한 구조적 차이에 따라 우측 어금니가 좌측 어금니보다 먼저 맞물리게 되고, 맞물리는 부분 역시 우측 어금니 부분의 면적이 좌측 어금니의 부분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우측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두께를 좌측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미묘한 좌우측 치아 구조의 차이를 보정하며, 이에 따라 턱관절 보정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되며 착용감 역시 좋아지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a,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of the pad 110 may be formed the same thickness of the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ure 7b, the thickness of the left edge portion and the right edge portion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difference. Preferably, the thickness d3 of the right edge portion of the pad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left edge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eft molar portion and the right molar portion. For example, the thickness difference d3-d2 between the right edge portion and the left edg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about 1 mm to about 10 mm. When the mouth is closed, the molars are engaged. The right molars are engaged before the left molars according to the subtle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teeth, and the area of the right molars is wider than that of the left molar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right molars are seated is made thick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left molars are seated, thereby correcting the subtle differences in the left and right teeth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jaw joint correction effect and improving the fit. .

또한, 패드(110)는 치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치아를 원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치아 고정부(112)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패드의 가장자리 부분(110b)에 상면 및 하면 모두 돌출(112a, 112b)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패드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패드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고, 패드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패드의 위치에 상관없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턱관절을 보정하기 위하여는 치아를 압력으로부터 보호하여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는 치아를 보호하는 구강내 장치가 치아에 정확히 고정될 필요성이 있다. 구강내 장치가 치아에 정확히 고정되지 않으면 오히려 턱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구강내 장치를 치아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들이 패드 및/또는 가드에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ad 110 includes a tooth fixing part 112 for preventing slipping of the tooth and fixing the tooth in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drawings, as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d 110b are protruded 112a and 112b to the edge portion 110b of the pad, but not limited thereto. If protruded an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d, it may be formed in plural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pad. In order to correct the jaw joint,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by protecting the teeth from pressure. For this purpose, the intraoral device for protecting the teeth needs to be accurately fixed to the teeth. If the intraoral device is not correctly fixed to the teeth, adverse effects may be exerted on the jaw joint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ixing means for fixing the intraoral device to the teeth are formed in the pad and / or the guard.

또한, 도 5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드(110)는 구강내외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 통로(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 로서, 패드(110)의 중앙 부분에 2개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패드의 위치에 상관없이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pad 110 may have an air passage 114 to allow air to pass in and out of the mouth. In the drawings, as an exemplary embodiment, two air passages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d 110,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singular or plural form regardless of the pad position.

제1 가드(120)는 치아의 외측이 지지되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윗니 외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상부(120a)와 아랫니 외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하부(120b)를 포함한다. The first guard 120 serves to support and fix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upper portion 120a for supporting the upper teeth and a first support lower portion 120b for supporting the lower teeth. .

제1 가드(120)는 치아 및 잇몸 외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패드(110)의 외곽선을 따라 치아 외측을 감싸듯이 형성됨으로써 치아의 외측을 지지한다. 또한, 제1 가드의 상부 및 하부(120a, 120b)는 치아가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치아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져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ard 120 has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gum,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ooth along the outline of the pad 110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tooth.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120a and 120b of the first guard may be formed to have a slope inclined in the tooth direction so that the teeth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또한, 제1 가드는 구강내 장치 부착시 고정력을 높이고, 탈부착시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1 가드의 상부(120a) 중앙에 제1 홈(125)이 형성되며, 제1 가드의 하부(120b) 중앙에 제2 홈(126)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가드의 상부(120a)는 제1 홈(125)을 중심으로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uard is provided with a first groove 125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120a) of the first guar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when attaching the intraoral device, easily detachable when detachable, the lower portion (120b) of the first guard In the center, a second groove 126 is formed.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120a of the first guard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as it moves toward the ed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ove 125.

따라서, 상기 제1 가드의 상부(120a)는 M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드의 하부(120b)는 W형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 홈 및 제2 홈(125, 126)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치를 파지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 편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Therefore, the upper portion 120a of the first guard is formed in an M shape, and the lower portion 120b of the first guard is formed in a W shape. The user gripping the intraoral device by using the first grooves and the second grooves 125 and 126, and can easily perform detachment, thereby increasing the ease of use.

또한, 제1 가드(120)는 제1 가드와 치아를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122)가 수 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uard 120 may have a first protrusion 122 fixing the first guard and the teeth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 가드의 상부(120a)는 내측에 제1 지지 상부와 윗니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7a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가드의 상부(120a)의 중앙 부분 및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120a of the first guard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122a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upper portion and the upper teeth therein, and as shown in detail in FIGS. 1 and 7A,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uard It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outward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 of the (120a).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가드 상부의 중앙 부분 및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돌출부는 치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제1 지지 상부의 위치 및 방향에 상관없이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as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uard, but not limited to this, th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tooth direction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upper portion And it may be formed in the singular or plural regardless of the direction.

또한, 제1 가드의 하부(120b)는 내측에 제1 가드의 하부와 아랫니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드의 하부 중앙 부분에 치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120b of the first guard may have at least one protrusion 122b fixing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teeth of the first guard on the inner side, and horizontally protrudes toward the tooth at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guard. It can be formed in the direction.

마찬가지로, 제1 가드의 하부 중앙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한정되지 아니하며 돌출부는 아랫니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 가드 하부의 위치 및 방향에 상관없이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Similarly,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first guard is not limited to th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ower teeth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singular or plural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ard.

제2 가드(130)는 치아의 내측이 지지되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윗니 내측을 지지하는 제2 가드의 상부(130a)와 아랫니 내측을 지지하는 제2 가드의 하부(130b)를 포함한다.The second guard 130 serves to support and fix the inner side of the tooth, and the upper side 130a of the second guard supporting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side 130b of the second guard supporting the lower teeth. Include.

제2 가드(130)는 치아 및 잇몸 내측에 고정되도록 패드(110)의 내선을 따라 치아 내측 및 입 천정을 감싸듯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가드의 내측은 혀가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인 혀 주머니 낭(140)이 형성된다. The second guard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tooth and the mouth ceiling along the inner line of the pad 110 to be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tooth and gum. Thus,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guard is formed a tongue pocket bag 140 which is a space on which the tongue can be seated.

또한, 제2 가드(130)는 혀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혀를 입 천정에 닿을 수 있도록 하며, 혀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혀 움직임부(132)를 포함한다. 특히 혀 움직임부(132)는 제2 가드 상부(130a)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1 슬럿(135)과 제2 슬럿(136)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혀의 이동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혀가 구강내 장치 중앙에 안착되지 아니하면 오히려 치아가 불균형하게 되고, 턱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혀 움직임부(132)를 구비하여 혀를 구강내 장치에 중앙에 안착시키고, 혀 움직임 경로를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guard 130 includes a tongue movement portion 132 to allow the tongue to move freely, to allow the tongue to contact the ceiling of the mouth, and to place the tongue at the center. In particular, the tongue movement unit 132 is formed to be moved by the first slot 135 and the second slot 136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guard upper (130a), the role of forming a movement path during the movement of the tongue In charge of. If the tongue is not seated in the center of the intraoral device, the teeth may be unbalanced and adverse effects may occur on the jaw join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movement part 132 is provided to seat the tongue in the center of the intraoral device, and form a tongue movement path.

또한, 제2 가드(130)는 치아의 내측 및 입 천정을 감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가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니의 하단과 상단의 두께가 차이나는 것을 고려하여 앞니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제2 가드(130)의 중앙 부분의 하단 두께가 상단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guard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and the mouth ceiling of the tooth,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guard 130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guard. The bottom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guard 130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top thickness so as to be fixed.

또한, 도 6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가드(120) 및 제2 가드(130)는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front)에 위치되도록 제1 가드 및 제2 가드가 형성될 수 있다. 입이 다물어지는 경우, 앞니 부분은 어금니 부분과는 달리 윗측 앞니와 아랫측 앞니가 맞물리지 아니하고, 윗측 앞니 부분이 아랫측 앞니 부분의 앞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본 고안의 구강내 장치는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착용감 및 치아 고정력을 높인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A, the first guard 120 and the second guard 130 may be formed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upper incisor is seated and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 is seated are the same, and FIG. 6B. As shown in, the portion where the upper incisor is seated and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 is seated may be offset. In particular, the first guard and the second guar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ortion where the upper incisor is seated is located in front of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 is seated. When the mouth is closed, the incisor portion is not engaged with the upper incisor and the lower incisor, unlike the molar portion, and the upper incisor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incisor portion. The seat is formed so that the lower inciso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is placed to increase the fit and teeth fixing force.

먼저, 제1 가드 상부(120a)의 두께를 제1 가드 하부(120b)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고, 제2 가드 상부(130a)의 두께를 제2 가드 하부(130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First, the thickness of the first guard upper portion 120a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guard lower portion 120b,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guard upper portion 130a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guard lower portion 130b. The spacing of the portion where the front teeth are seated and the spacing of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s are seated is the same or similar, but the portion where the upper incisors are seated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s are seated.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가드 상부 및 제2 가드 상부를 제1 가드의 하부 및 제2 가드의 하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은 동일 또는 유사하나,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guard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guard upper portion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ar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uar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upper incisor is seated and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 is seated Is the same or similar, but may be formed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upper incisor is seated is positioned before the portion where the lower incisor is seated.

또한, 제2 가드(130)는 제2 가드를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134)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uard 130 may be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134 fixing the second gu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 가드 상부(130a)는 외측에 제2 가드 상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7a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가드 상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uard top 130a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134a for fixing the second guard top to the outside, and as shown in detail in FIGS. 1 and 7A,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the second guard top are provided. It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oject toward the outside.

또한, 제2 가드 하부(130b)는 외측에 제2 가드 하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드 하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uard lower portion 130b may have at least one protrusion 134a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uard on the outer side thereof, and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the second guard lower portion. Can be.

본 고안에 따른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1 가드의 제1 홈(125) 및 제2 홈(126)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치를 한 손으로 잡은 후, 다른 손으로 혀 움직임부(132)를 잡은 다음, 구강내 장치를 구강내로 삽입한다. 이후 혀 움직임부(132)에 혀를 안착시키고, 구강내 장치를 물고 앞니와 턱이 가지런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할 수 있다. 또한,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가드의 제1 홈(125) 및 제2 홈(126)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치를 한 손으로 잡은 후, 탈착과 동시에 혀를 내밀어 주면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If you want to wear an intraoral device for jaw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hold the intraoral device with one hand using the first groove 125 and the second groove 126 of the first guard, and then After grabbing the tongue movement portion 132 by hand, the intraor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n, the tongue is seated on the tongue movement unit 132, and can be worn by biting the intraoral device so that the incisors and chin are align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detachment, the device can be easily detached by holding the intraoral device with one hand using the first groove 125 and the second groove 126 of the first guard, and then sticking out the tongue at the same time as detachment. .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ing.

그리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본 고안에 의하면, 패드에 치아의 미끄럼을 조절하는 치아 고정부를 형성하고, 제1 가드의 내측 및/또는 제2 가드의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착용시 치아를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써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oth fix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sliding of the tooth is formed on the pad, and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guard and / or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guard to easily fix the tooth when worn. It is not easily detached from, and has the effect of raising a fixing forc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가드의 중앙부에 홈을 형성하여 파지가 쉽고, 치아의 외측에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치아 고정력을 높이고, 탈부착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groove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guard, the gripping is easy, it is wrapped around the outside of the teeth to increase the tooth fixing for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t the time of detachment.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폭은 좁게 형성하고,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폭은 넓게 형성하고, 앞니의 윗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을 앞니의 아랫부분이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형성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치아 보호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incisor is seated is formed narrow,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seated is formed wide, and the portion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sor is seated is formed in front of the por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incisor is seated. This can increase the fit and maximize the protection of the teeth.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가드의 중앙에 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혀 움직임부를 구비하여 착용시에도 혀의 이동을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tongue movement portion that forms the movement path of the tongue in the center of the first guard,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the tongue even when wor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wearing comfort, the tongue can be fixed.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좌우 치아의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좌우 단차를 조절하여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턱관절 보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step to eliminate the im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teeth to minimiz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eth to increase the f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rotecting the jaw joint.

Claims (9)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에 있어서,In the oral cavity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jaw joint,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패드;Pads on which upper and lower teeth are seated; 상기 윗니 및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1 가드; 및A first guard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nd 상기 윗니 및 아랫니의 내측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제2 가드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second guard for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상기 패드는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상기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가장자리 두께는 우측의 두께가 좌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The pad has a width of the edg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seated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incisors are seated,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right side is the thickness of the left side. 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는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의 두께는 균일하고,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가장자리의 두께가 중앙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The pad is an 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is uniform,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teeth is thickened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가드는 치아의 고정력을 높이고,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The first guard is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tooth, easily remova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는 치아의 앞니 윗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 상기 앞니 아랫부분이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The intraoral device for the jaw correction is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part of the front teeth of the tooth is seated in front of the portion where the lower part of the front teeth are sea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는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 및 상기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치아를 고정시키는 치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The pad is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oth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tooth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teeth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가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The pad is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uar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가드는 제1 슬럿과 제2 슬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럿 및 제2 슬럿 사이에 혀 움직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The second guard is an 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lot and the second slot is formed, the tongue movemen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lot and the second slo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가드의 내측 또는 상기 제2 가드의 외측에 상기 치아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Intraoral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protrusion for fixing the teeth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guard or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guard is formed.
KR2020070008527U 2007-05-23 2007-05-23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KR2004434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27U KR200443404Y1 (en) 2007-05-23 2007-05-23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27U KR200443404Y1 (en) 2007-05-23 2007-05-23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15U KR20080005715U (en) 2008-11-27
KR200443404Y1 true KR200443404Y1 (en) 2009-02-10

Family

ID=4132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527U KR200443404Y1 (en) 2007-05-23 2007-05-23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40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24Y1 (en) 2011-02-07 2012-07-12 이영준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Slit
KR101381485B1 (en) 2012-06-08 2014-04-04 이영준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Orthodontic
KR20170028582A (en) 2015-09-04 2017-03-14 성진욱 Adjustable orthopedic device for temporomandibul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52B1 (en) * 2011-01-03 2011-07-29 박균섭 Mouthpiec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nasal septum, and mouthpiece structure for correcting unconformity of nasal septum
KR101874692B1 (en) * 2016-08-08 2018-08-02 김성욱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Balancing Appliance
KR101894679B1 (en) * 2017-12-29 2018-10-04 김동환 Airway extension device
CN109259913B (en) * 2018-10-19 2024-04-30 音置声学技术(上海)工作室 Appliance for assisting vocal cord closure training sounding
KR102164585B1 (en) * 2020-03-17 2020-10-12 류성훈 Mouthpiece for temporomandibular treat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24Y1 (en) 2011-02-07 2012-07-12 이영준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Slit
KR101381485B1 (en) 2012-06-08 2014-04-04 이영준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Orthodontic
KR20170028582A (en) 2015-09-04 2017-03-14 성진욱 Adjustable orthopedic device for temporomandibu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15U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403Y1 (en) Device for protecting the teeth
KR100883168B1 (en) Instrument for protecting the jawbone
KR200443404Y1 (en)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KR101344394B1 (en) Orthodontic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US11504213B2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8201560B2 (en) Flexible dental appliance
US9375289B1 (en) Intra-oral device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JP2006528495A (en) Improved occlusal sprint
US7404404B2 (en) Anterior sextant dental bite tray apparatus
JP2018505021A (en) Height-adjustable spr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44663B1 (en) Mouse piece for correct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US9192455B1 (en)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KR101637087B1 (e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Cervical Correction
JP2018531059A (en) Elasticity adjustment device for orthodontics for tooth-skull-facial equipment
JP2018531059A6 (en) Elasticity adjustment device for orthodontics for tooth-skull-facial equipment
US20180325721A1 (en) Dental aligner, method of production, and orthosis comprising such an aligner
KR102098391B1 (en) hyperdyhamia brace
KR102425662B1 (en) Temporomandibular joint splint
KR102285057B1 (en) Mousepiece for correcting TMJ
KR20220000791A (en) Dental correction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US5678991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he correction of class III skeletal and/or dental deviations
JP6120780B2 (en) Oral appliance
US20190336321A1 (en) Intraoral device
WO2023188415A1 (en) Mouth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3

Effective date: 2010112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