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140A -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 Google Patents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5140A KR20180025140A KR1020170064555A KR20170064555A KR20180025140A KR 20180025140 A KR20180025140 A KR 20180025140A KR 1020170064555 A KR1020170064555 A KR 1020170064555A KR 20170064555 A KR20170064555 A KR 20170064555A KR 20180025140 A KR20180025140 A KR 201800251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ar
- jaw
- pad
- jaw joint
- tee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인의 턱 관절 (아래턱 및/또는 윗턱) 및/또는 두개골의 상태에 따라, 턱 관절의 균형있는 교합을 위하여 구강 내에 착용시킬 수 있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djustable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that can be worn in the mouth for balanced occlusion of the jaw joint,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jaw joint (lower jaw and / or upper jaw) and / or skull of the individual.
턱 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의 회전 중심이 되는 관절로서 회전 운동과 활주 운동이 일어나는 관절 부위이다. 턱 관절은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이 동시에 운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턱 관절을 이용하여, 음식물 등을 씹는 저작 운동, 또는 발음을 위한 상하 운동을 위하여는,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이 동시에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턱 관절은, 한쪽 부위의 턱 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부위의 턱 관절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턱 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향의 치료가 필요하다.Jaw joints are joints that open or close their mouths and joints that ar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mandible.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hould perform simultaneous movement of the left jaw joint and the right jaw joint. That is, for the chewing movement of chewing food or the like or the up and down movement for pronouncing using the jaw joint, the left jaw joint and the right jaw joint must simultaneously move. Therefore, the jaw joint has a structure in which,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jaw joints in one region, a problem also occurs in the jaw joints in other regions. Therefore,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jaw joint, it is necessary to tre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ft jaw joint and the right jaw joint can be balanced.
한편, 턱 관절 부근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및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턱 관절의 불균형은 상부 경추가 이탈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턱 관절과 연관된 근육 밸런스는 물론 중추 신경계의 혼란과 더불어 정상적인 머리뼈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전신적인 신경계의 혼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전신적인 신경계의 혼란은,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의 질환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및 운동장애 (틱 장애, 뚜렛장애, 파킨슨씨병) 등 광범위한 전신 병적 증상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vicinity of the jaw joint is an important part where nine out of twelve cranial nerves pass, and numerous blood vessels, lymph and nerves are distributed. Therefore, imbalance of the jaw joint may cause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to dislocate. This causes the muscular balance associated with the jaw joint as well as the disrup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s well as the normal movement of the hair bones to cause a disturbance of the systemic nervous system. Such systematic nervous system disruption is caused by a variety of disorders including spinal cord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s well as headache, dizziness, circulatory diseases, otorhinolaryngological disorders, genitourinary disorders, respiratory diseases, growth disorders and movement disorders (tic disorders, And the like.
턱 관절의 불균형은 각 개인의 생활 습관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개인 주변의 외적 상황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턱 관절의 불균형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특히,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의 불균형의 정도는 각 개인에 따라 그 편차가 다르다.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can be caused by the lifestyle of each individual, or the external circumstances of the individual, such as stress. Thus, the degree of imbalance of the jaw joint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in particular, the degree of imbalance between the left jaw joint and the right jaw joint varies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또는, 각 개인의 출생 시 두개골은 틀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인간의 신체는 많은 기전을 통해 어느 정도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나, 유전적인 요인 또는 환경적인 요인 등에 의해 윗턱과 아래턱의 위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Or, it is common for each person's skull to be deformed at birth. In this case, the human body tries to maintain some degree of balance through many mechanisms, but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jaws may change due to genetic factors or environmental factors.
침을 삼킬 때, 힘은 윗턱 치아를 통해 두개골에 전달 되어 자동적으로 두개골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윗턱이나 아래턱의 위치가 틀어져 있을 경우에는 두개골을 더욱 틀어 버리는 힘으로 작용하여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두개골이 점차 틀어진다면 12개의 뇌신경, 혈관, 뇌 척수액, 및/또는 호르몬 등의 작용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윗턱과 아래턱이 이미 틀어져 있거나 치아 상실로 턱의 위치 변화가 생기면, 음식을 씹을 때나, 하루에 2000번 이상 되는 침을 삼키는 힘은 두개골의 균형을 틀어 버리는 힘으로 작용하여 얼굴이 틀어지며 뇌의 기능도 떨어지게 된다.When swallowing saliva,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kull through the upper jaw, automatically balancing the skull. However, when the upper jaw or lower jaw is misaligned, it acts as a force to turn the skull further, causing many problems. If the skull gradually slips, it can cause problems with the action of twelve cranial nerves, blood vessels, brain spinal fluid, and / or hormones. I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already twisted or the jaw position changes due to the loss of teeth, the force of chewing the food or swallowing the saliva more than 2000 times a day acts as a force to balance the skull, .
턱 관절의 불균형으로 인한, 신경계의 혼란은 척추 질환이나 근 골격계의 질환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 장애및 운동장애 (틱 장애, 뚜렛장애, 파킨슨씨병) 등 광범위한 전신 병적 증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disruption of the nervous system due to the imbalanc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is not only a disease of the spinal or muscular skeletal system but also a disorder of the head and neck, dizziness, cardiovascular diseases, otorhinolaryngology, genitourinary diseases, respiratory diseases, growth disorders and movement disorders (tic disorders, And the like).
혀나 입술, 볼 근육의 근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의 경우에도 개인에 맞는 높이로 착용하는 동안 두개골의 정상적인 운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밤에 이갈이나 이악물기 방지용으로 사용하는 장치에서도 각 개인의 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스포츠용 마우스 가드의 경우에도 개인의 특성에 맞는 장치를 맞춘다면 근육 힘의 증가는 물론 민첩성, 균형성, 전신근육의 조화로운 협력성 향상으로 스포츠 중 일어 날 수 있는 상해를 줄인다는 많은 보고가 있으며 대부분의 프로 선수의 경우 개인맞춤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For devices aimed at improving the tongue, lips, and muscles of the ball muscles, they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normal movement of the skull during wear at personalized heigh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son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ice used to prevent drowsiness and drowsiness at night. In the case of the mouse guards for sports, there are many reports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juries that can occur during sport by improving the coordination of agility, balance, and harmony of the whole body muscles, Most professional players use personalized equipment.
턱 관절의 불균형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특히,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의 불균형의 정도는 각 개인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The degree of imbalance of the jaw joint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in particular, the degree of imbalance between the left jaw joint and the right jaw joint varies greatly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즉, 구강 내에서 턱 관절의 불균형은, 각 개인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다르다. 또한, 특정 개인의 경우에 있어서도, 환경의 변화나, 턱 관절의 주기적인 움직임, 개인의 턱 관절 특성에 따른 힘의 작용으로 인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라 턱 관절의 균형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the disparity of the jaw joint in the mouth differs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Further, even in the case of a specific individual, the balance of the jaw joint may change due to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the periodic movement of the jaw joint, and the action of the for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jaw joint characteristics.
턱 관절의 불균형의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치과 전문의와 같은, 특수 전문가에 의해서, 각 개인의 좌/우측 턱 관절의 불균형에 따른 어금니 높이의 차이를 조절하여 스프린트 등 장치를 제작하여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각 개인은, 주기적으로 전문의를 방문하여, 자신의 변화하는 턱 관절의 균형을 고려한 새로운 구강 내 장치를 제작하여야 하며, 이 경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imbalance of the jaw joint, conventionally, it is common to make a device such as a sprint by adjusting the difference of the molar height according to the un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jaw joints of each individual by a specialist such as a dentist . In this case, each individual should periodically visit a specialist to prepare a new intraoral device that takes into account his / her varying balance of the jaw joints, and in this case, a considerable cost and time are required.
또한, 종래에 존재하던 턱 관절 균형 장치 등 구강 내 장치는, 개인의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관절의 불균형을 고려하지 않고, 정형화된 규격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어금니의 높이를 일정 높이에 맞추게 되어, 종래에 존재하던 턱 관절 균형 장치로는, 좌/우측 턱 관절 사이의 비대칭이 심해 아래턱이 많이 틀어진 경우, 또는 한쪽의 일부 혹은 치아상실로 좌우 씹는 높이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효과적인 치료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traoral device such as a jaw joint balancing device which has conventionally existed was designed so as to have a standardized shape without considering the imbalance of the left jaw joint and the right jaw joint of an individual. Therefore, when the height of the molar teeth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conventional jaw joint balanc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when the asymmetry between the left and right jaw joints is severe and the lower jaw is greatly distorted, There is a problem that effective treatment can not be obtain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개인의 턱 관절 상태 및/또는 두개골 운동의 변화를 고려하여 조절이 가능한 구강 내 장치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raoral devic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which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a change in the jaw joint state and / It is 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윗턱의 앞니 (전치) 및 아래턱의 앞니가 안착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 및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8010) 에 착탈이 되며, 위턱의 어금니 및 아래턱의 어금니가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를 포함하며,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는, 상기 어금니의 내부면이 인접하고, 혀와 어금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가 삽입될 수 있는 암 결합부 (16016) 를 포함하는 내부막 (18012) 를 포함하며,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는,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와 결합 시, 상기 내부막 (18012) 과 접촉되어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를 고정하는 내부 결합부 (18022) 및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부 (18024) 를 포함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부는 특정 두께 (d)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aw joint
바람직하게는,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는, 상기 어금니의 외부면이 인접하고, 상기 어금니와 입술의 안쪽 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가 삽입될 수 있는 암 결합부 (16016) 를 포함하는 외부막 (16014)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는,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와 결합 시, 상기 외부막 (16014) 과 접촉되어 상기 어금니 교환 패드 (18020)를 고정하는 외부 결합부 (16024) 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jaw joint occlusion aiding apparatus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는 상단 패드 (19010) 및 하단 패드 (190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패드 (19010) 와 하단 패드 (19020) 는 ‘ㄱ’ 형 결합면을 통하여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pper 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 결합부 (16016)는, 상기 내부막 (18012)을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는 절단면 (20017)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 (200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ema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패드 (19010) 는 제 1 두께 (d1)로 구비되고, 위턱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제 1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패드 (19020) 는 제 2 두께 (d2)로 구비되고, 아래턱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두께 (d1) 와 상기 제 2 두께 (d2) 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혀가 안착되는 혀 받침부 (70010), 및 상기 혀 받침부 (70010) 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어금니와 상기 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어금니의 내부를 감싸는 내부막 (70022)을 포함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 및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에 착탈이 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어금니가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막 (70022)은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가 삽입될 수 있는 암 결합부 (16016) 를 포함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는,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와 결합 시, 상기 내부막 (70022) 과 접촉되어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를 고정하는 내부 결합부 (18022) 및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부 (18024) 를 포함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부는 특정 두께 (d)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는 상단 패드 (19010) 및 하단 패드 (190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패드 (19010) 와 하단 패드 (19020) 는 ‘ㄱ’ 형 결합면을 통하여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pper 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패드 (19010) 는 제 1 두께 (d1)로 구비되고, 위턱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제 1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패드 (19020) 는 제 2 두께 (d2)로 구비되고, 아래턱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두께 (d1) 와 상기 제 2 두께 (d2) 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 (21000)는, 좌측 윗턱 어금니와 좌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좌측 어금니 받침대 (21010a), 우측 윗턱 어금니와 우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우측 어금니 받침대 (21010b), 윗턱 앞니와 아래턱 앞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앞니 받침대 (21020) 및 상기 윗턱 앞니와 상기 아래턱 앞니 사이의 상기 간격을 조절하는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를 포함하며, 상기 앞니 받침대 (21020) 에는, 상기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 가 삽입될 수 있는 앞니 높이 조절 패드 체결부 (21022)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앞니 높이 조절 패드 체결부 (21022) 는 2개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는, 상기 2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고, 제 1 두께 (d1)를 가지는 제 1 삽입부 (21110) 및 상기 2개의 구멍 중 다른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고, 제 2 두께 (d2)를 가지는 제 2 삽입부 (21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윗턱 치아가 안착되는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아래턱 치아가 안착되는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상기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와 상기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어금니의 지지부 재질의 경도에 따라 일정 범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지는 치아 받침부 (1320) 및 상기 치아 받침부 (1320)에 착탈되며, 좌측 또는 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각각 조절하는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받침부 (1320) 와 상기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는 서로 착탈될 수 있는 암/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하지 않더라도, 개인의 턱 관절의 상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jaw joint of an individual even if a new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is not manufactur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의 좌/우측 턱 관절의 높이 차를 고려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jaw joint occlusion assist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jaw joints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만드는 일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만드는 일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부위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높이 조절을 위한 교환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k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k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height-adjustable sprint without a front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molar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change pad for adjusting the molar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molar retaining part detachably attachable to a jaw articulation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molar bearing
18 is a view showing a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molar
20 is a view showing a femal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illustrating a mouth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만드는 일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k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악 (윗턱) 및/또는 하악 (아래턱)에서, 전치부 (앞니 부위) 가 없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jaw articulation assisting device without an anterior portion (upper jaw) at the upper jaw (upper jaw) and / or lower jaw (lower jaw) can be manufactured.
도면의 (a)를 참조하면, 어금니 사이의 높이를 측정 및/또는 고정할 수 있는 측정지 (1010) 를 양쪽 어금니 부위에 놓고, 사용자에 맞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지의 개수 또는 측정지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사용자에게 효과가 발생하는 높이를, 상악과 하악 사이의, 좌측 어금니 부위와 우측 어금니 부위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어금니 부위의 상악과 하악 사이의 높이와, 우측 어금니 부위의 상악과 하악 사이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the height of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suitable for the user can be determined by placing
사용자에게 맞는 어금니 사이의 높이는, 어금니 사이의 높이를 변화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거나, 사용자의 악력 등의 힘을 측정하여, 악력 등의 힘의 크기가 가장 커지는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The height between the molars suitable for the user can be determined to be the height at which the user feels the most comfortable while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user's grip or the like while varying the height between the molars,
도면의 (b)를 참조하면, 구치부 (어금니 부위)에 결정된 높이의 측정지를 물고, 치아간의 관계를 기록하기 위해 앞니 치아 사이에 인상재 (1020) 를 넣은 후, 해당 인상재를 굳히는 방법으로, 전치부의 치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the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측정지 (1010) 를 제거하고, 양쪽 어금니 부위의 치아 사이에, 따뜻한 물로 연화된 열성형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위치 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형태는 후술한다. 이후 인상재 (1020)를 전치부에 위치시키고, 해당 인상재를 통하여 기록된 치아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열성형수지를 굳힌다. 굳은 열성형수지를 포함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사용자에 맞춰진, 좌측 어금니 부위 및 우측 어금니 부위의 높이를 가질 수 있어, 턱 관절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the drawing, th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만드는 일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k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본적으로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나, 측정지 (1010) 와 인상재 (1020) 를 사용하는 대신, 매직 스틱 (4010)을 사용하여, 치아 관계를 결정하여,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Basically, the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However, instead of using the
도면의 (a)를 참조하면, 매직 스틱 (4010)을 상악과 하악의 전치부에 위치시키고, 매직 스틱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에 맞는 치아 사이의 높이를 찾는다. 사용자에 맞는 치아 사의 높이가 결정되면, 따뜻한 물로 연화된 열성형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하악 또는 상악의 치아에 위치 시킨다. 매직 스틱 (4010)으로 결정된 치아간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열성형수지를 굳힌다. 굳은 열성형수지를 포함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도면의 (b)는, 매직 스틱 (401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B) of the drawing shows a side view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직 스틱 (4010)은, 우측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형태의 매직 스틱 (4010)을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치아 사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태의 매직 스틱 (4010)을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악력 등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지점에서의 매직 스틱에 의한 치아 사이의 높이를, 사용자에게 맞는 치아 사이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By moving this type of
매직 스틱 (4010)은 다양한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The
도면의 (c)는, 매직 스틱 (40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 of the drawing is a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직 스틱 (4010)은, 입 안쪽에 위치되는 후면과, 입 바깥쪽에 위치되는 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직 스틱 (4010)의 단면을 참조하면, 매직 스틱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동할 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이러한 형태의 매직 스틱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태의 앞니 높이 조절대를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악력 등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지점에서의 매직 스틱에 의한 치아 사이의 높이를, 사용자에게 맞는 치아 사이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This type of magic stick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to determine the height at which the user feels most comfortable. The height of the tooth between the teeth by the magic stick at the point at which the measured value is the highest is set to be the distance between the teeth corresponding to the user The height can be determin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3000)의 정면도 (3010), 배면도 (3020), 좌측면도 (3030), 우측면도 (3040), 평면도 (3050), 저면도 (3060)를 포함한다. The figure includes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실리콘 재질 또는 기존의 스프린트에 사용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해당 재질의 경도 [硬度, hardness] 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may be made of a material used for a silicone material or an existing sprint, and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may be changed as needed.
정면도 (3010) 및 저면도 (3060)을 참조하면, 받침대는 윗턱 (상악) 또는 아래턱 (하악)의 치아가 위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가 안착될 수 있고, 열경화성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U 자형 구조의 받침부 (3100) 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도면에서 도시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어금니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악의 적용되는 예를 설명한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shown in the drawings can be used for maxillary or mandibular molar teeth,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mandibl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전치부 (앞니 부위) 에는 받침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악의 치아에 장치가 안착되는 경우, 본 장치는 하악의 앞니 부위를 가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장치는, 턱 관절 교합을 보조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본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장치 착용으로 인한 외관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include a receiving portion in an anterior portion. That is, when the device is placed on the mandible, the device does not cover the forefoot of the mandible. Therefore, this apparatus assists the jaw joint occlusion, and at the same time, even when the wearer wears the present apparatus, a change in appearance due to wear of the apparatus can be minimiz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height-adjustable sprint without a front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a)를 참조하면,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어금니 부위를 덮는 장치로 이루어지며, 장치 앞니 부위의 보강과 개인의 상태에 맞게 조절 및 확장이 필요한 경우를 위해서, TMA(Titanium molybdenum wire)나 Stainless steel wire로 보강한다.Referring to (a) of the drawing, the height-adjustable sprint without the front teeth is composed of a device for covering the molar reg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and to adjust and expand i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ndition, Titanium molybdenum wire or Stainless steel wire.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어금니 받침부 (1610) 및/또는 앞니 받침부 (16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ight-adjustable sprint without the front teeth may include a
도면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어금니 받침부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b) of the drawing, there is shown a molar bearing of a height-adjustable sprint with no front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형태 유지 및 측방 확장을 위해 금속으로 보강된 앞니 지지부 (7000), 윗턱 치아의 구개면에 밀착되어, 윗턱을 지지하는 윗턱 치아 구개 지지부 (7100), 어금니 사이 교합면에 위치하여, 어금니를 지지하는 어금니 받침부 (7200) 및/또는 아래턱 치아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아래 치아를 지지하는 아래턱 치아 설측 지지부 (7300) 를 포함한다.The height-adjustable sprint without the front teeth includes a
전술한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어금니 받침부는 경사가 없는 형태, 경사를 가지는 형태 및/또는 두께의 변화가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molar bearing portion of the height-adjustable sprint without the above-described front teeth can be manufactured in a shape having no inclination, a shape having a slope and / or a shape having a variation in thickness.
어금니 받침부 (7200) 는, 경사가 없는 형태의 경우, 치아 교합면과 평행하게 제작될 수 있다.The
어금니 받침부 (7200) 는, 경사를 가지는 형태의 경우, 위아래 치아 및 악궁의 확장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5-10도 경사를, 아래 방향 또는 윗 방향으로 주어, 씹는 힘에 의해 확장할 수 있게 한다.In the case of a shape having an inclination, the
어금니 받침부 (7200) 는, 두께의 변화가 있는 형태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의 두께가 두껍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아래턱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앞으로 얇아지거나 혹은 두꺼워 지게 제작 될 수 있다. 이의 작용은 사용자의 침을 삼키는 힘에 의해 (보통 2kg/하루에 2000번)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경사 및 두께 변화에 따르는 방향의 변화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아래 치아와 접촉 하는 부위는 (7200 아래면) 열 가성 수지를 이용하여 치아에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The site of contact with the lower teeth (below 7200) can be used to obtain retention in the teeth using a thermoset resi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열성형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어금니의 높이를 개인에 맞게 조절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어금니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shown in the drawings does not use a thermoforming resin and does not adjust the height of the molars to the individual, but can be designed to have an optimum molar height generally applicable.
즉, 도면에 도시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일반적인 시판용 턱 균형 장치와 그 형태가 유사하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4.1 밀리미터 (4.1 mm)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침을 삼켰을 때의 간격을 기준으로 제작될 수 있다.That is,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shown in the figure is similar in shape to a general commercial jaw balancer, but the gap between the teeth can be made 4.1 mm (4.1 mm). The interval between the molar teeth at this time can be made on the basis of the interval when the user swallowed the saliv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는, 윗턱 치아가 안착되는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아래턱 치아가 안착되는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및/또는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와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사이에 위치하며,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지는 치아 받침부 (1320)를 포함한다. The jaw joint
치아 받침부 (1320)는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 간격이 3.8 mm 에서 4.4 mm 사이의 범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료의 강도에 따라 침을 삼켰을 때,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mm가 되도록 치아 받침부 (1320) 가 제작될 수 있다.The
치아 받침부 (1320)는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 간격이 4.1 mm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침을 삼켰을 때의 간격을 기준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치아 받침부 (13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 받침부 (1320)는 어금니의 압력 또는 턱 관절의 변화를 반영하여,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The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및/또는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는, 열성형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The upper-jaw-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부위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molar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부위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0000)는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 또는 마우스 피스에 적용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하여, 도면과 같이,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가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한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의 평면도 (21010) 및 측면도 (21020)을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0000)의 어금니 받침대의 위 또는 아래에 결합되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0000) 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의 결합을 위하여,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0000)는 구멍 (hole; 암 역할)을 가질 수 있고,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는 측면도 (2102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0000)의 구멍에 결합되는 장치 (수 역할)를 가질 수 있다.The jaw joint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는 다양한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0000)를 한번 제작하면, 추후 사용자의 턱 관절의 균형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를 다양한 두께의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로 교환하여 착용할 수 있다.The mola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사시도 (70000), 정면도 (70100), 배면도 (70200), 좌측면도 (70300), 우측면도 (70400), 평면도 (70500) 및 저면도 (70600) 가 도시되어 있다.[0040] Referring to the drawings, a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혀가 안착되는 혀 받침부 (70010), 및/또는 사용자의 상악 어금니 및/또는 하악 어금니가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부 (70020) 을 포함할 수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may include a
어금니 받침부 (70020)는 어금니와 혀 사이에 위치하며, 어금니의 내부를 감싸는 내부막 (70022), 어금니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막 (70024), 및/또는 상악의 어금니 및/또는 하악의 어금니의 교면이 위치하는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lar retaining portion 70020 is located between the molars and the tongue and includes 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전치부를 개방시켜, 본 장치를 착용하여도, 사용자의 외관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the anterior portion and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user's appearance even when the present device is wor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높이 조절을 위한 교환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xchange pad for adjusting the molar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환 패드 (8010, 8020)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에 안착되어, 해당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환 패드는 다양한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교환 패드 (8010, 8020)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일 부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The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에는 구멍 (hole; 암 역할)이 구비될 수 있고, 교환 패드는 해당 구멍에 결합되는 결합부 (8005) 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 (d) 를 가지는 교환 패드를,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와 결합 또는 분리 시키는 것으로,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에 안착하는 사용자의 상악의 어금니와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pedestal
교환 패드는 우측 어금니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우측 교환 패드 (8010) 및/또는 좌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좌측 교환 패드 (80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change pad may include a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사시도 (90000), 정면도 (90100), 배면도 (90200), 좌측면도 (90300), 우측면도 (90400), 평면도 (90500) 및 저면도 (90600) 가 도시되어 있다.A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혀가 안착되는 혀 받침부 (90010), 및/또는 사용자의 상악 어금니 및/또는 하악 어금니가 안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어금니 받침부 결합부 (90020) 을 포함할 수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includes a
사용자가 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저면도 (90600) 에서 도시된, 혀 받침부 (90010) 의 하단부는 사용자의 구강 저에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user uses the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the lower end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molar retaining part detachably attachable to a jaw articulation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어금니 받침부 결합부 (90020) 에 결합될 수 있다.The detachable
도면의 (a) 는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 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도면이다.In the drawing, (a)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etachable
도면의 (b)는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 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B) of the drawing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도면의 (c) 와 (d)는 각각 좌측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와 우측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c)와 (d) 는 각각, 도면의 (a)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C) and (d) of the drawings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olten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는 어금니와 혀 사이에 위치하며, 어금니의 내부를 감싸고, 어금니 받침부 결합부 (90020)와 결합되는 내부막 (10120), 어금니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막 (10140), 및/또는 상악의 어금니 및/또는 하악의 어금니의 교면이 위치하는 받침부 (10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내부막 (10120)은, 어금니 받침부 결합부 (900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의 (b)를 참조하면, 내부막 (10120)의 해당 공간에, 어금니 받침부 결합부 (90020)가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어금니 받침부 (10100) 이 탈부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턱 관절 상태 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받침부 (10160)의 두께 (d)를 가지는 어금니 받침부가 교환되면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 내에서, 받침부 (10160) 의 두께 (d)는 일정할 수 있다. 또는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 내에서, 받침부 (10160) 의 두께 (d)는 외부막에서 내부막으로 갈수록,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또는,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 내에서, 받침부 (10160) 의 두께 (d)는 목구멍에 인접한 어금니 안착하는 부위에서, 앞니에 인접하는 어금니가 안착하는 부위로 갈수록,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In the
탈부착 가능한 어금니 받침부 (10100)가 결합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도 7에서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device to which the detachabl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illustrat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1000) 은, 앞니 받침부 (11100), 어금니 받침부 (11200) 및/또는 체결 장치 (1110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a jaw joint
앞니 받침부 (11100) 에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악 및/또는 하악의 앞니가 안착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user using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어금니 받침부 (11200) 에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좌/우 상악 및/또는 하악의 어금니가 안착될 수 있다.In the
체결 장치 (11101) 는, 앞니 받침부 (11100)과 어금니 받침부 (112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도면의 (b) 및 (c) 는 각각, 앞니 받침부 (11100) 과 어금니 받침부 (11200)를, 도면의 (a) 에 실선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다. 앞니 받침부 (11100) 과 어금니 받침부 (11200)는 각각 체결 장치 (11101) 의 전단부 및/또는 후단부가 삽입되는 구멍 (11050) 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장치 (11101)은 금속이나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앞니 받침부 (11100) 과 어금니 받침부 (11200)의 두께 (d)는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사용자에 따라, 또는 동일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화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가지는, 앞니 받침부 (11100) 와 어금니 받침부 (11200)를 교체하면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앞니 받침부 (11100) 또는 어금니 받침부 (11200)의 두께 (d)는 외부막에서 내부막으로 갈수록,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또는, 어금니 받침부 (11200)의 내에서, 어금니 받침부 (11200)의 두께 (d)는 목구멍에 인접한 어금니 안착하는 부위에서, 앞니에 인접하는 어금니가 안착하는 부위로 갈수록,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B) and (c) of the drawing show cross sections when the front
도면의 (d) 는 앞니 받침부 (11100) 와 어금니 받침부 (11200)가 체결 장치 (11101)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의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1000)를 나타낸다.(D) of the drawing shows the jaw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2010) 및/또는 교환 가능한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device may include a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도면의 (a)를 참조하면,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2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70000) 에서, 어금니 받침부가 변경된 형태의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2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70000) 에서,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에, 교환이 가능한 패드인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가 구비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the drawing, the jaw joint auxiliary apparatus
도면의 (b)를 참조하면, 도면의 (a) 에서 도시된 실선을 따라 잘라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b)를 참조하면, 전술한 혀 받침부 (70010) 및 외부막 (70024)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20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어금니 받침 패드가 체결되는 체결부 (12012) 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2010)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the drawing, a section of a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long the solid line shown in (a) of the drawing, is shown. Referring to FIG. 6B, the above-described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가 도시되어 있다.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는 고정부 (12022) 및/또는 패드 (12024) 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패드 (12024) 가 고정부 (12022) 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패드 (12024) 는 고정부 (12022) 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부 (12022)는 체결부 (12012) 에 삽입되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2010) 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사용시, 사용자의 어금니의 교면은, 패드 (12024) 에 안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the drawing, a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이나 패드 (12024) 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의한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 (또는 간격,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이나 패드 (12024) 만을 교환하여, 턱 관절 교정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r gap, thicknes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ars of the mandible by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can be changed by simply replacing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3010) 및/또는 교환 가능한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을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w articulation aid device may include a jaw articulation
도면의 (a)를 참조하면,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3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 에서, 어금니 받침부가 변경된 형태의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3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 에서, 치아 받침부 (1320) 에, 교환이 가능한 패드인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 (13012) 가 구비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the drawing, the jaw joint
도면의 (b)를 참조하면, 도면의 (a) 에서 도시된 실선을 따라 잘라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301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3010)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the drawing, a section of the jaw articulation aiding apparatus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가 도시되어 있다.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동일한 식별 번호를 가지는 어금니 받침 패드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Referring to (c) of the drawing, a
도면의 (d)를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이 결합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d) of the drawing, a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is shown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치부를 구비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서도,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이나 패드 (12024) 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의한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 (또는 간격,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어금니 받침 패드 (12020) 이나 패드 (12024) 만을 교환하여, 턱 관절 교정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anterior portion, by simply exchanging the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4010) 및/또는 교환 가능한 어금니 받침 패드 (14012) 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may include a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도면의 (a)를 참조하면,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4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 또는 70000) 에서, 어금니 받침부가 변경된 형태의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4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 또는 70000) 에서, 치아 받침부 (1320) 또는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에, 교환이 가능한 패드인 어금니 받침 패드 (14022) 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 (14020) 가 구비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the drawing, the jaw joint
도면의 (b) 를 참조하면, 결합부 (14020) 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치아 받침부 (1320) 또는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에 어금니 받침 패드가 올려질 수 있는 형태로, 결합부 (14020)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결합부 (14020) 에 어금니 받침 패드 (14022) 가 얹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결합부 (14020) 에 어금니 받침 패드 (14022) 가 얹어지는 경우, 일정한 접착력을 가지는 물질이, 결합부 (14020) 와 어금니 받침 패드 (14022)가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어, 일정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결합부 (14020)와 어금니 받침 패드 (14022)가 접촉하는 벽면에, 결합용 홈을 구비하여, 결합부 (14020)와 어금니 받침 패드 (14022)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the dra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서, 어금니 받침 패드 (14020) 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의한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 (또는 간격,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어금니 받침 패드 (14020) 만을 교환하여, 턱 관절 교정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the height (or gap, thickness)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olar teeth of the mandible by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can be changed by simply exchanging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도 7에서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70000) 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use part or all of the jaw
도면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는, 내부막 (70022) 에 결합되어, 어금니 받침부 (70020) 위에 안착되거나, 어금니 받침부를 대신하여, 내부막 (70022) 에 결합되어,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가 안착되는 교환 패드 (1501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a)의 왼쪽에 도시된 교환 패드 (15010) 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70000)의 내부막 (70022) 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A,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도면의 (b)를 참조하면, 도면의 (a) 의 실선으로 잘려진 부분에서, 교환 패드 (15010)가 결합된 상태의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70000) 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교환 패드가 가질 수 있는 어금니 안착되는 받침의 두께 (d)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턱 관절의 균형의 변화에 따라, 다른 두께 (d)를 가지는 교환 패드 (15010) 를 갈아 끼울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the drawing, a section of the jaw
도면의 (c) 및 (d)는 내부막 (70022)와 교환 패드 (15010)이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내부막 (70022)와 교환 패드 (15010)의 결합 방식은 밀폐 용기의 본체와 뚜껑이 결합하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C) and (d) of the drawings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anner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서, 교환 패드 (15010) 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의한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 (또는 간격,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어금니 받침 패드 (15010) 만을 교환하여, 턱 관절 교정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ing device, the height (or gap, thickness)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olar teeth of the mandible by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can be changed by simply replacing the replacement pad 15010. Accordingly, the user can maintain the effect of the correction of the jaw joint by exchanging only the molar support pad 15010, without the need to manufacture a new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jaw joint of the user.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6000)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 및/또는 교환 가능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을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w
도면의 (a)를 참조하면,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6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 또는 70000) 에서, 어금니 받침부가 변경된 형태의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6010) 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310 또는 70000) 의, 치아 받침부 (1320) 또는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에서, 어금니가 안착되는 일부 면이 제외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은,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빈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 에는, 어금니의 내부면이 인접하고, 혀와 어금니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막 (16012) 및/또는 어금니의 외부면이 인접하고, 어금니와 입술의 안쪽 면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막 (16014) 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the drawing, the jaw joint
도면의 (b)를 참조하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 의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b) 를 참조하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의 내부막 (16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에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가 삽입될 수 있는 암 결합부 (16016) 가 구비될 수 있다. 암 결합부 (16016) 는 가로 또는 세로의 구멍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the drawing, a left side view of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c) of the drawing, a molar
도면의 (d) 를 참조하면, 도면의 (c) 에 도시된 실선을 따라 잘려진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와 결합 시, 내부막 (16012) 과 접촉되어 어금니 교환 패드 (16020)를 고정하는 내부 결합부 (16022), 외부막 (16014) 과 접촉되어 어금니 교환 패드 (16020)를 고정하는 외부 결합부 (16024) 및/또는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부 (16026) 를 포함할 수 있다. 어금니 받침부 (16026) 의 두께 (d) 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d) of the drawing, a section of the molar
도면의 (e) 를 참조하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와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가 결합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6000) 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e) of the drawing, a jaw
도면의 (f) 를 참조하면, 도면의 (e) 에 도시된 실선을 따라 잘려진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6000) 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5020) 의 내부 결합부 (16022) 및/또는 외부 결합부 (16024) 는, 내부막 (16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과 결합되어, 어금니 교환 패드 (16020) 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 of the drawing, there is shown a cross section of a jaw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6000)에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의한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 (또는 간격,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만을 교환하여, 턱 관절 교정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 molar
도면의 (a) 를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는 ‘ㄱ’ 형 결합면을 가지는 상단 패드 (17010) 과 하단 패드 (170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패드 (17010) 과 하단 패드 (17020) 의 결합은, 암/수의 체결 형태의 결합 방식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는 상단 패드 (17010) 과 하단 패드 (17020) 는 서로 접촉할 뿐, 별도의 체결은 되지 않고,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 의 내부막 (16012) 및/또는 외부막 (1601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molar
상단 패드 (17010) 에서, 상악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하는 받침부의 두께 (d1) 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the
하단 패드 (17020) 에서, 하악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하는 받침부의 두께 (d2) 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the
상단 패드 (17010) 의 받침부의 두께 (d1) 과 하단 패드 (17020) 의 받침부의 두께 (d2)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어, 다양한 d1 과 d2 의 조합으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에서, 어금니 받침부 (16026) 의 두께 (d)를 조절할 수 있다.The thickness d1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도면의 (b) 를 참조하면, 상단 패드 (17010) 과 하단 패드 (17020)를 포함하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 의 내부막 (16012) 및/또는 외부막 (16014)에 의하여 고정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B, a molar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은 상단 패드 (17010) 과 하단 패드 (17020)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수의 장치로, 다양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의 두께 (d)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hickness d of the various molar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 jaw articulation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6000)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 및/또는 교환 가능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을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w
도면의 (a)를 참조하면,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8010) 는, 전술한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6010) 에서, 외부막 (16014) 이 제외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턱 관절 보조 장치 본체 (18010) 는 어금니의 내부면이 인접하고, 혀와 어금니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막 (18012)이 구비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 의 내부막 (18012) 에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가 삽입될 수 있는 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암 결합부는 가로 또는 세로의 구멍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jaw joint auxiliary apparatus
도면의 (b) 를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b) of the drawing, a molar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와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가 결합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8000) 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c) of the drawing, a jaw
도면의 (d) 를 참조하면, 도면의 (c) 에 도시된 실선을 따라 잘려진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8000) 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와 결합 시, 내부막 (18012) 과 접촉되어 어금니 교환 패드 (18020)를 고정하는 내부 결합부 (18022) 및/또는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부 (18024) 를 포함할 수 있다. 어금니 받침부 (18024) 의 두께 (d) 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의 내부 결합부 (18022) 는, 내부막 (18012)과 결합되어, 어금니 교환 패드 (18020) 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d) of the drawing, a section of the jaw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8000)에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의한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 (또는 간격,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만을 교환하여, 턱 관절 교정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를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molar
도면의 (a) 를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는 ‘ㄱ’ 형 결합면을 가지는 상단 패드 (17010) 과 하단 패드 (190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패드 (19010) 과 하단 패드 (19020) 의 결합은, 암/수의 체결 형태의 결합 방식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는 상단 패드 (19010) 과 하단 패드 (19020) 는 서로 접촉할 뿐, 별도의 체결은 되지 않고,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 의 내부막 (18012) 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molar
상단 패드 (19010) 에서, 상악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하는 받침부의 두께 (d1) 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the
하단 패드 (19020) 에서, 하악의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하는 받침부의 두께 (d2) 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the
상단 패드 (19010) 의 받침부의 두께 (d1) 과 하단 패드 (19020) 의 받침부의 두께 (d2)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어, 다양한 d1 과 d2 의 조합으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에서, 어금니 받침부 (18024) 의 두께 (d)를 조절할 수 있다.The thickness d1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도면의 (b) 를 참조하면, 상단 패드 (19010) 과 하단 패드 (19020)를 포함하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 의 내부막 (18012) 에 고정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B, a molar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은 상단 패드 (19010) 과 하단 패드 (19020)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수의 장치로, 다양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의 두께 (d)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hickness d of the various molar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 femal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결합부 (20016) 은, 도 16 또는 도 18에서 전술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The
도면의 (a) 는 도 16 또는 도 1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암 결합부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에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다.16A and 16B show a state in which the arm coupl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6 or FIG. 18 is provided in the body of the jaw articulation aiding apparatus.
도면의 (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결합부 (20016) 의 상세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b)를 참조하면, 암 결합부 (20016) 는, 전술한 내부막 (16012, 18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의 구멍을 내는 형태에 더하여, 해당 구멍의 일부 방향으로, 내부막 (16012, 18012) 및/또는 외부막 (16014)을 절단하는 절단면 (20017)을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면 (20017) 을 구비하여,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6020, 18020) 가 보다 편하게 삽입되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6010, 18010) 에 결합될 수 있다. (B) of the drawing shows a detailed form of the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암 결합부 (20016) 에 구비된 절단면 (20017)에서, 내부막 (16012, 18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의 상단과 하단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막 (16012, 18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 (20018)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 (20018) 는, 내부막 (16012, 18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의 상단과 하단을 분리 또는 결합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 (20018)는, 절단면 (20017) 에서, 내부막 (16012, 18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의 하단과 일체로 제작되는 ‘ㄱ’ 형태를 가지는 숫 체결부와, 내부막 (16012, 18012) 및/또는 외부막 (16014) 의 상단에 ‘ㄱ’ 형태의 숫 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 (hole) 형태의 암 체결부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어금니 교환 패드를 보다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어금니 교환 패드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place the molar replacement pads and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main body of the jaw joint occlusion apparatus, which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molar replacement pads.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21 is a view illustrating a mouth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 (21000) 는, 좌측 윗턱 어금니와 좌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좌측 어금니 받침대 (21010a), 우측 윗턱 어금니와 우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우측 어금니 받침대 (21010b), 및/또는 윗턱 앞니와 아래턱 앞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앞니 받침대 (210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A, a
앞니 받침대 (21020) 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앞니 받침대를 이용하여, 좌우측 턱 사이의 불균형이 심한 사용자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현저한 턱 관절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앞니 받침대 (21020) 에는,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 가 삽입될 수 있는 앞니 높이 조절 패드 체결부 (21022) 이 구비될 수 있다. 앞니 높이 조절 패드 체결부 (21022) 는 2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구멍에는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 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The
도면의 (b) 를 참조하면,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 는, 앞니 높이 조절 패드 체결부 (21022) 에 구비된 2개의 구멍 각각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구조의 두께 (d1, d2) 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 는 2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고, 제 1 두께 (d1)을 가지는 제 1 삽입부 (21110) 및/또는 2개의 구멍 중 다른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고, 제 2 두께 (d2) 을 가지는 제 2 삽입부 (2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d1, d2의 두께에 따라, 마우스 피스의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앞니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d1과 d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으로, 앞니 받침대 (21020) 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로, 해당 마우스 피스가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the front
도면의 (c) 를 참조하면, 앞니 높이 조절 패드 (21100)가 앞니 받침대 (21020) 의 앞니 높이 조절 패드 체결부 (21022) 에 삽입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C, the front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view showing 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2000) 은,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 및/또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w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 는 도 7 에서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70000) 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 중, 혀 받침부 (70010) 및 어금니의 내부를 감싸는 내부막 (70022)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는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70000) 에서, 어금니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막 (70024), 및/또는 상악의 어금니 및/또는 하악의 어금니의 교면이 위치하는 받침 두께 조절부 (70026) 가 제외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ance apparatus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 와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 의 결합 관계는, 도 18에서 전술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 과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의 결합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8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devi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22000) 에서,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 를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의한 상악과 하악의 어금니 사이의 높이 (또는 간격,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턱 관절의 변형에 따라, 새로운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를 제작할 필요 없이,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 만을 교환하여, 턱 관절 교정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
Claims (4)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18010) 에 착탈이 되며, 위턱의 어금니 및 아래턱의 어금니가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 를 포함하며,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는, 상기 어금니의 내부면이 인접하고, 혀와 어금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 (16016) 를 포함하는 내부막 (18012) 를 포함하며,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는,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18010)와 결합 시, 상기 내부막 (18012) 과 접촉되어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18020)를 고정하는 내부 결합부 (18022) 및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부 (18024) 를 포함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부는 특정 두께 (d) 로 구비되고,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착탈이 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A jaw joint occlusion assistant main body 18010 on which an upper jaw front (anterior) and a lower jaw front are seated; And
A molar restoration replacement pad 18020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ant 18010 and on which the molar teeth of the upper jaw and the molar teeth of the lower jaw are seated; / RTI >
The jaw joint occlusion assistant main body 18010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16016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tongue and molar and in which the inside surfaces of the molar teet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to which the molar restoration replacement pad 18020 can be inserted Film 18012,
The molar restoring pad 18020 includes an inner engaging portion 1802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film 18012 and fixes the molar resting support replacement pad 18020 when the molar resting support replacement pad 18020 is engaged with the main body 18010, And a molar retaining portion 18024 on which the mating surfaces of the molars are seated,
The molar receiving part is provided with a specific thickness d,
And the molar bearing support replacement pa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devic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에 착탈이 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어금니가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막 (70022)은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 (16016) 를 포함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는,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본체 (22100)와 결합 시, 상기 내부막 (70022) 과 접촉되어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 (22200)를 고정하는 내부 결합부 (18022) 및 어금니의 교면이 안착되는 어금니 받침부 (18024) 를 포함하고,
상기 어금니 받침부는 특정 두께 (d) 로 구비되고
상기 어금니 받침 교환 패드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착탈이 되는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A tongue support portion 70010 on which a tongue of a user is seated and an inner membrane 70010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ongue support portion 70010 and is located between the molar teeth of the user and the tongue, A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main body 22100 comprising: And
A molar restoration replacement pad 22200 detachably attached to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main body 22100 and on which the molar teeth of the user are seated; / RTI >
The inner membrane 70022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6016 into which the molar restoration replacement pad 22200 can be inserted,
The molar support exchange pads 22200 include an inner engaging portion 180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film 70022 and fixes the molar support exchange pads 22200 when engaged with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apparatus main body 22100, And a molar retaining portion 18024 on which the mating surfaces of the molars are seated,
The molar receiving part is provided with a specific thickness d
And the molar bearing support replacement pa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jaw articulation assisting devic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555A KR20180025140A (en) | 2017-05-25 | 2017-05-25 |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555A KR20180025140A (en) | 2017-05-25 | 2017-05-25 |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1770A Division KR101745561B1 (en) | 2016-08-31 | 2016-08-31 |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5140A true KR20180025140A (en) | 2018-03-08 |
Family
ID=6172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555A KR20180025140A (en) | 2017-05-25 | 2017-05-25 |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25140A (en) |
-
2017
- 2017-05-25 KR KR1020170064555A patent/KR20180025140A/en active Application F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7634B1 (en) | Height-adjustable 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162586B1 (en) | Or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lass Ⅲ problems of mandibular proganthism | |
US20180042759A1 (en) | Pre-programm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method | |
US7918228B2 (en) | Musculoskeletal repositioning device | |
US20060078840A1 (en) | Dental orthotic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 |
US11833008B1 (en) |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 |
US8585401B2 (en) |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 |
KR100883168B1 (en) | Instrument for protecting the jawbone | |
US10799322B2 (en) | Oral anterior guidance packages, systems, and components | |
KR20180063190A (en) | Elastic brace device for orthodontics for dental skull face devices | |
US20150360115A1 (en) |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 |
KR101844663B1 (en) | Mouse piece for correct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 |
KR200443404Y1 (en) | Oral device for repositioning the jawbone | |
US9526590B2 (en) | AGP night guard—for a bruxism patient with or 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 |
KR20160047778A (en) |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Cervical Correction | |
KR102643742B1 (en) | Temporomandibular joint stabilization apparatus | |
KR102425662B1 (en) | Temporomandibular joint splint | |
KR102125967B1 (en) | Physiologic TMJ and Spine balancer | |
KR101745561B1 (en) |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 |
KR20180025140A (en) | An adjustable temporomandibular occlusion assist device | |
US20220079805A1 (en) | Mandibular protrusion device | |
JP2019141604A (en) | Height-adjustable 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215130978U (en) | Tongue position guider | |
US20240238112A1 (en) | Integrally formed device for mitig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
US20210015658A1 (en) | Oral appliances, packages, systems, and compon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