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997A - 포스파테이즈 및 주석산화물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 Google Patents

포스파테이즈 및 주석산화물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997A
KR20100122997A KR1020090041969A KR20090041969A KR20100122997A KR 20100122997 A KR20100122997 A KR 20100122997A KR 1020090041969 A KR1020090041969 A KR 1020090041969A KR 20090041969 A KR20090041969 A KR 20090041969A KR 20100122997 A KR20100122997 A KR 2010012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biosensor
tin oxide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해식
아지즈무하마드압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2997A/ko
Publication of KR2010012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01Enzyme electrodes
    • C12Q1/005Enzyme electrodes involving specific analytes or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C12Q1/4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involving phosphat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으로 생체분자의 존재 및 농도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스파테이즈 효소와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큰 전극 반응속도를 가지는 생성물이 포스파테이즈에 의해 생성되게 함으로써, 배경 전류는 작지만 전기촉매 특성이 좋지 않은 주석산화물 전극에서도 큰 신호 대 배경 비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환원제를 추가하면 산화환원 순환에 의해 더 큰 신호 대 배경 비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
바이오센서, 전기화학, 포스파테이즈, 주석산화물 전극, 검출 한계

Description

포스파테이즈 및 주석산화물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Electrochemical biosensors using phosphatases and tin oxide electrodes}
본 발명은 생체분자(biomolecule)의 농도 등을 고감도로 측정하는 바이오센서(biosens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스파테이즈(phosphatase) 효소(enzyme)를 표지(label)로 사용하는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
질병의 조기 진단이나 환경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적은 농도로 시료 속에 존재하는 물질을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바이오센서의 감도(sensitivity)를 높이기 위한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었고, 그 중에도 효소(enzyme)를 표지(label)로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효소로는 호스 래디쉬 퍼옥시데이즈(horse radish peroxidase)와 같은 퍼옥시데이즈나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alkaline phosphatase)와 같은 포스파테이즈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서는 퍼옥시데이즈 또는 포스파테이즈의 효소 반응에 의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띄는 물질이 생성되게 함으로써 전기화학적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서 높은 감도를 얻기 위해서는 높은 신호 대 배경 비(signal-to-background ratio)를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효소 반응에 사용되는 기질(substrate)과 효소 반응에 의해 형성된 생성물(product) 사이에 큰 전기화학적 활성의 차이가 존재하여야 한다. 즉, 생성물의 산화가 일어나는 전위(potential)에서 기질의 산화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두 물질의 전기화학적 활성의 차이는 표준환원전위의 차이와 전극 반응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생긴다. 포스파테이즈의 기질로 사용하는 '알코올 작용기에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생성물인 '효소 반응에 의해 포스페이트가 떨어져 나간 물질'에 비해 표준환원전위(standard reduction potential)가 높게 나타난다. 만약 생성물의 전극 반응속도가 빠르다면, 기질의 산화 전류를 최소화하면서 포스파테이즈 생성물의 산화전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생성물의 전극 반응속도가 느리다면, 기질에 의한 전기화학적 신호 간섭이 없이 큰 생성물의 신호를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전기화학 센서에서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주석산화물(tin oxide)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전극은 매우 작고 재현성 있는 배경 전류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센서로 사용되었을 때 큰 신호 대 배경 비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하지만, 이 전극의 전기촉매 특성은 좋지 않기 때문에, 전기촉매 특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기촉매 특성이 우수한 물질(금속촉매 혹은 전자 전달 매개체)로 전극 표면을 변화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포스파테이즈의 기질로 많이 사용하는 파라-아미노페닐 포스페이트(p-aminophenyl phosphate)는 효소 반응에 의해 파라-아미노페놀(p-aminophenol)로 변환된다. 이 파라-아미노페놀은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에서 전기화학적 활성이 높지가 않다. 따라서, 이 기질을 ITO 전극에서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ITO 전극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페로센(ferrocene), 금 나노입자 등으로 변화시켜 전극의 전기촉매 특성을 높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에 전기촉매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입히는 것은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만을 이용한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나프탈렌(naphthalene)과 같이 벤젠(benzene)이 두 개 이상 연결된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알코올은 견고한 분자 구조를 가지므로 빠른 전자 전달 반응(빠른 산화 반응)이 전극에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분자가 포스파테이즈의 생성물이라면,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에서 이 분자를 큰 전극 반응속도로 산화시킬 수 있게 된다.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으로,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가 일어난 뒤 용액 속에 존재하는 환원제에 의해 다시 원래의 형태로 환원이 된 뒤 다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가 되는 것을 반복하는 산화환원 순환(redox cycling)이 있다. 이 방법은 용액 속에 환원제만을 첨가하여 큰 신호의 증폭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신호를 증폭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산화환원 순환은 포스파테이즈를 표지로 사용하는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기존 기술에서 보듯이 포스파테이즈를 표지로 사용하고 ITO와 같은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을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서는 전기촉매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추가적으로 입히지 않고 큰 신호 대 배경 비를 얻는 기술이 필요로 한다. 특히, 측정 방법이 간단하면서 우수한 감도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극 반응속도가 매우 큰 물질을 포스파테이즈의 생성물로 사용하고 ITO와 같은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을 이용함으로써, 고감도이며 제조 용이한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 촉매나 전자전달 매개체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전극(이하,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 또는 '주석산화물 전극'이라고도 한다), 상기 전극에 연결된 포스파테이즈 효소 및 상기 포스파테이즈 효소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질을 포함하며, 상기 기질은 두 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효소에 의해 활성화된 기질은 한 개 이상의 알코올 작용기를 가지며, 상기 활성화된 기질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신호로써 생체분자의 존재 또는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신호는 산화전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오센서는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전극에서 쉽게 산화가 일어날 수 있는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을 포스파테이즈 효소 표지에 의해 생성시켜 이로 부터 발생하는 산화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 물질의 존재 또는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센서에서는 상기 활성화된 기질을 환원제에 의한 산화환원 순환에 의해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되었을 때, 용액 속에 넣어 준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고 이것은 다시 전극에서 산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산화환원 순환에 의해 산화 전류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센서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된 기질의 안정화를 위해 환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이 산소에 의해 쉽게 산화가 되는 물질이더라도 환원제에 의해 용액 속에서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과 효소의 기질을 잘 조합하면 바이오센서의 측정 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센서는 큰 전극 반응속도를 가지는 생성물을 포스파테이즈의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함으로써, 배경 전류가 작지만 전기촉매 특성이 나쁜 주석산화물 전극에서도 큰 신호 대 배경 비를 얻을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센서는 주석산화물 전극과 포스파테이즈 외에 환원제를 이용함으로써 산화환원 순환에 의해 더 큰 신호 대 배경 비를 얻을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저가 격이면서 고감도인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항원 또는 항체를 분석하는 면역분석법(immunoassay)과 DNA를 분석하는 DNA 센서(DNA sensor) 등의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이오센서의 개념도이다. 바이오센서의 측정 과정 중에 도 1과 같이 포스파테이즈(11) 효소와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12)의 연결이 일어나고, 그 뒤 기질(알코올 작용기에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13)을 넣어 주면 생성물(효소 반응에 의해 포스페이트가 떨어져 나간 물질)(14)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물질(14)을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12)에서 산화시키면 산화된 물질(15)이 생성되면서 전자(16)가 발생한다. 이 전자(16)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시료 속의 생체분자의 농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생성물(14)의 표준환원전위가 기질(13)의 표준환원전위보다 매우 낮고 생성물(14)의 전극반응 속도가 매우 빨라서, 생성물(14)의 산화시 기질(13)의 산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12)으로는 주석산화물(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생체특이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생체지표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에서 효소 표지가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극(21)에 생체지표물질(23)과 생체특이적인 결합을 하는 항체 또는 생체분자(22)가 고정되고 있고, 여기에 생체지표물질(23)이 결합한다. 상기 생체지표물질(23)에 생체특이적인 결합을 하는 항체 또는 생체분자(24)가 한번 더 붙게 된다. 상기 생체분자(24)에 표지로 효소(25)가 붙어 있다. 생체지표물질(23)이 표면에 존재할 때만 표지가 붙어 있는 항체 또는 생체분자(24)가 결합하고, 시료 속에 있는 생체지표물질(23)의 양에 따라 표지가 붙어 있는 항체 또는 생체분자(24)의 붙는 양이 달라진다. 따라서, 표면에 존재하는 효소(25)의 양이 달라짐에 따라 효소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생성물의 양도 달라진다. 이 생성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생체지표물질(23)의 양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샌드위치 형태의 바이오센서에 응용될 수 있다.
경쟁 반응(competitive reaction)과 치환 반응(displacement) 등을 이용한 바이오센서에서도 본 발명은 응용될 수 있다. 생체지표물질(26)과 표지로 효소(27)가 붙어 있는 생체지표물질(28)이 경쟁 또는 치환 반응을 통해 생체특이적인 결합을 하는 항체 또는 생체분자(22)에 결합하게 된다. 표면에 존재하는 효소(27)의 양이 많을수록 생체지표물질(26)이 적게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소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생성물의 양은 생체지표물질(26)이 많을수록 적어진다. 이와 같은 원리를 통해 생체지표물질(26)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지표물질(23, 26)은 DNA, RNA, 단백질, 유기물질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기질(14)의 기본 분자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일반적으로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의 전기촉매 특성은 나쁘기 때문에, 이 전극에서 대부분의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의 전극 반응이 느리게 일어난다. 이 경우 전기화학적 활성 물질을 산화나 환원시키기 위해서는 큰 과전압(overpotential)이 필요하게 된다. 주석산화물 전극과 같이 전기촉매 특성이 나쁜 전극에서도 전극반응이 빨리 일어나기 위해서는 산화환원 중에 분자의 구조에 큰 변화가 없고 분자가 견고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도 3처럼 벤젠 고리가 두 개 연결된 나프탈렌 구조를 가지면서 R1, R2, R3, R4, R5, R6, R7, R8 중 하나 이상이 OH 작용기를 가진 분자는 산화 시 분자의 구조에 변화가 작고 견고한 구조를 가져서 전기화학적 산화 반응이 빨리 일어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이오센서에 산화환원 순환을 통해 신호의 증폭을 얻는 것에 대한 개념도이다. 포스파테이즈(41) 효소와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42)의 연결이 일어나고, 그 뒤 기질(43)을 넣어 주면 생성물 (44)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물질(44)을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42)에서 산화시키면 산화된 물질(45)이 생성되면서 전자(46)가 발생한다. 이 때 전극(42)에서 쉽게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 환원제(47)가 용액 속에 존재한다면 산화된 물질(45)은 환원제(47)에 의해 생성물(44)로 바뀌게 되고, 다시 전기화학적으로 전극(42)에서 산화가 일어난다. 이와 같은 과정 과정을 반복하는 산화환원 순환이 일어나면 전극(42)에서 측정되는 전류 값은 크게 증가하게 된다. 전류가 증가함으로써 높은 신호 대 배경 비를 얻게 되고, 검출한계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환원제(47)로는 포스파테이즈(41)의 활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큰 환원 능력이 있는 히드라진(hydrazine)을 포함하는 히드라진 유도체(hydrazine derivative), 트리스(2-카복시에틸)포스핀(tris(2-carboxyethyl)phosphine)을 포함하는 포스핀 유도체 등이 사 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화학 바이오센서에서 사용되는 기질 및 생성물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기질(13)로는 나프톨(naphthol)에 하나의 포스페이트(phosphate)가 붙어 있는 물질(51),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dihydroxynaphthalene)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53),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dihydroxynaphthalene)에 두 개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55), 아미노나프톨(aminonaphthol)에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56), 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dihydroxyanthracene)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58), 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dihydroxyanthracene)에 두 개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6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생성물은 나트톨(naphthol)(52),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dihydroxynaphthalene)(54), 아미노나프톨(aminonaphthol)(57), 혹은 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dihydroxyanthracene)(59)이 된다. 이 생성물 중에서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dihydroxynaphthalene)(54), 아미노나프톨(aminonaphthol)(57), 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dihydroxyanthracene)(59)은 표준환원전위가 낮아서 산소에 의해 쉽게 산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산화 전류를 측정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용액 속에 환원제(47)가 충분히 존재한다면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44)이 안정하게 존재하게 되고, 생성물의 산화 전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산소에 의해 쉽게 산화가 일어나는 생성물(44)이 형성되는 경우에 환원제(47)를 용액 속에 넣어 주면, 생성물(44)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전기화학 측정 시 산화환원 순환을 통해 큰 신호의 증폭도 얻을 수 된다.
도 6은 나프톨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51)과 나프톨(52)의 순환전압전류도(cyclic voltammogram)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ITO 전극에 아미노프로필포스포닉 산(aminopropylphosphonic acid)의 단분자막이 입혀져 있지 않을 때(i)와 입혀져 있을 때(ii)의 나프톨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51)의 순환전압전류도이다. ITO 전극의 배경 전류와 비슷하게 나타나서, 이 전압 범위에서 이 기질의 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6b는 ITO 전극에 아미노프로필포스포닉 산의 단분자막이 입혀져 있지 않을 때(i)와 입혀져 있을 때(ii)의 나프톨(52)의 순환전압전류도이다. 나프톨(52)이 이 전압 범위에서 쉽게 큰 전류를 주며 산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인 ITO 전극에 전기촉매 물질이나 전자전달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질(51)이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에서 생성물(52)을 빠른 전극반응 속도로 산화를 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생쥐 항체(mouse IgG)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의 한 예이다. 생쥐 항체를 측정하기 위해 두 가지의 생쥐 항체에 대한 항체(anti-mouse IgG)가 생쥐 항체에 결합한다. ITO 전극 표면에 비오틴(biotin)이 연결된 항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아비딘(avidin)이 형성되어 있다. 생쥐 항체에 대한 항체(anti-mouse IgG)가 비오틴-아비딘 연결을 통해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료 속에 생쥐 항체(mouse IgG)가 존재하면 항체와 결합하게 된다. 다시 표면에 결합한 생쥐 항체에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가 붙어 있는 항체가 결합을 한다.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의 촉매 반응에 의해 나프톨이 생성된다. 이 나프톨은 ITO 전극 에서 산화되고, 이 때 산화 전류가 발생한다.
도 8은 생쥐 항체의 농도에 따른 순환전압전류도의 봉우리 전류(peak current)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높은 신호 대 배경 비를 얻음으로써, 1.0 pg/mL의 매우 낮은 검출한계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으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이오센서의 개념도.
도 2는 생체특이적인 결합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서 표지가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기질의 기본 분자 구조를 나타낸 그림.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이오센서에 산화환원 순환을 추가하여 큰 신호의 증폭을 얻는 것에 대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화학 바이오센서에서 사용되는 기질 및 생성물의 예.
도 6a는 나프톨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의 순환전압전류도.
도 6b는 나프톨의 순환전압전류도.
도 7은 본 발명을 이용하고 생쥐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의 개념도.
도 8은 생쥐 항체의 농도에 따른 순환전압전류도의 봉우리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5, 27, 41 : 포스파테이즈
12, 21, 42 :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전극
13, 43 : 기질
14, 44 : 기질의 효소 반응 생성물
15, 45 :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된 물질
16, 46 : 전자
22 : 항체 또는 생체분자
23, 26 : 생체지표물질
24 : 표지가 붙어 있는 항체 또는 생체분자
28 : 표지가 붙어 있는 생체지표물질
31 : 기질의 기본 분자 구조
47 : 환원제
48 : 환원제가 산화된 물질
51 : 나프톨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
52 : 나프톨
53 :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
54 :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55 :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에 두 개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
56 : 아미노나프톨에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
57 : 아미노타프톨
58 : 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에 하나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
59 : 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
60 : 디하이드록시안트라센에 두 개의 포스페이트가 붙어 있는 물질

Claims (4)

  1. 금속 촉매나 전자전달 매개체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주석산화물을 기본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전극, 상기 전극에 연결된 포스파테이즈 효소 및 상기 포스파테이즈 효소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질을 포함하며, 상기 기질은 두 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효소에 의해 활성화된 기질은 한 개 이상의 알코올 작용기를 가지며, 상기 활성화된 기질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신호로써 생체분자의 존재 또는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산화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환원제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기질을 산화환원 순환시킴으로써 신호의 증폭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기질의 안정화를 위해 환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KR1020090041969A 2009-05-14 2009-05-14 포스파테이즈 및 주석산화물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KR20100122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69A KR20100122997A (ko) 2009-05-14 2009-05-14 포스파테이즈 및 주석산화물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69A KR20100122997A (ko) 2009-05-14 2009-05-14 포스파테이즈 및 주석산화물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997A true KR20100122997A (ko) 2010-11-24

Family

ID=4340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69A KR20100122997A (ko) 2009-05-14 2009-05-14 포스파테이즈 및 주석산화물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29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55A1 (ko) * 2011-12-16 2013-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환원 순환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KR101433473B1 (ko) * 2011-12-16 2014-08-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환원 순환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KR101492110B1 (ko) * 2010-11-10 2015-02-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주석-셀룰로오스 나노복합재로 만든 일회용 바이오 센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101871895B1 (ko) * 2016-04-20 2018-06-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응집 단백질의 고감도 광 산화 증폭 면역 분석을 통한 체액기반의 퇴행성 신경질환 진단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10B1 (ko) * 2010-11-10 2015-02-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주석-셀룰로오스 나노복합재로 만든 일회용 바이오 센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WO2013089455A1 (ko) * 2011-12-16 2013-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환원 순환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KR101433473B1 (ko) * 2011-12-16 2014-08-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환원 순환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KR101871895B1 (ko) * 2016-04-20 2018-06-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응집 단백질의 고감도 광 산화 증폭 면역 분석을 통한 체액기반의 퇴행성 신경질환 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Nano biosensors: properties, applications and electrochemical techniques
Yang et al. A review of ratiometric electrochemical sensors: From design schemes to future prospects
Zhang et al. Recent advances in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 biosensing methods for pharmaceuticals
Huang et al. Ultrasensitive cholesterol biosensor based on enzymatic silver deposition on gold nanoparticles modified screen-printed carbon electrode
Cao et al. Ultrasensitive luminol electrochemiluminescence for protein detection based on in situ generated hydrogen peroxide as coreactant with glucose oxidase anchored AuNPs@ MWCNTs labeling
Kavosi et al. A highly sensitive prostate-specific antigen immunosensor based on gold nanoparticles/PAMAM dendrimer loaded on MWCNTS/chitosan/ionic liquid nanocomposite
Dennany et al. Simultaneous direct electrochemiluminescence and catalytic voltammetry detection of DNA in ultrathin films
Lai et al. Dual signal amplification of glucose oxidase-functionalized nanocomposites as a trace label for ultrasensitive simultaneous multiplexed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tumor markers
Wu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dopamine and serotonin on a glassy carbon electrode coated with a film of carbon nanotubes
Yánez-Sedeno et al. Electrochemical sensing based on carbon nanotubes
Pundir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hydrogen peroxide with special emphasis on biosensors
Lin et al. An ECL biosensor for glucose based on carbon-nanotube/Nafion film modified glass carbon electrode
Canbay et al. MWCNT–cysteamine–Nafion modified gold electrode based on myoglobin for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nitrite
Zhang et al. An amperometric hydrogen peroxide biosensor based on the immobilization of HRP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electro-copolymerized nano-Pt-poly (neutral red) composite membrane
Ding et al. Assembly of carbon nanotubes on a nanoporous gold electrode for acetylcholinesterase biosensor design
Yu et al. Electrochemical immunoassay based on gold nanoparticles and reduced graphene oxide functionalized carbon ionic liquid electrode
JP4863398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たバイオセンサ
Feng et al. Recent advances of carbon nanotubes‐based electrochemical immunosensors for the detection of protein cancer biomarkers
Li et al. A sensitive electrochemical aptasensor based on water soluble CdSe quantum dots (QDs) for thrombin determination
Muguruma et al. Electronically type-sorted carbon nanotube-based electrochemical biosensors with glucose oxidase and dehydrogenase
Kun et al. A “signal-on” switch electrochemiluminescence biosensor for the detection of tumor cells
Ma et al. Sensitive and selective determining ascorbic acid and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based on electrochemiluminescence of dual-stabilizers-capped CdSe quantum dots in carbon nanotube-nafion composite
Liu et al. A label-free amperometric immunosensor based on horseradish peroxidase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and bilayer gold nanoparticles
Song et al. Dual amplification strategy for the fabrication of highly sensitive amperometric immunosensor based on nanocomposite functionalized interface
Jia et al. Facile construction of poly (indole‑5‑carboxylic acid)@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label-free immunosensing platform for sensitive detection of prostate specific anti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