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261A - 휴대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2261A KR20100122261A KR1020090041212A KR20090041212A KR20100122261A KR 20100122261 A KR20100122261 A KR 20100122261A KR 1020090041212 A KR1020090041212 A KR 1020090041212A KR 20090041212 A KR20090041212 A KR 20090041212A KR 20100122261 A KR20100122261 A KR 201001222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onnector
- fixing part
- housing
- closing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자력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가 자동으로 돌출되는 휴대용 USB 커넥터 장치가 개시된다. USB 커넥터 자동 돌출 휴대용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커넥터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출입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기 출입구 밖으로 돌출시키는 탄성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USB 커넥터, 커넥터 돌출, 자력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장치에 구비된 USB 포트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커넥터를 자동으로 사용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의 급격한 기술발전은 원하는 정보를 휴대단말기나 디지털가전기기 등 새로운 제품들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갖춰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화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가 융합되면서 서비스의 광대역화와 초고속화가 되는 추세에 있어 네트워크의 기술은 대단히 중요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술 등의 발달로 네트워크 망을 통해서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음성과 동영상 정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케이블 모뎀 등과 같은 새로운 통신 수단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차세대 기술로서 제안된 것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다.
그런데 케이블 모뎀은 설치와 사용에 많은 비용이 들고 이동이나 사용 장소 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블 모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무선 모뎀이다. 특히, 사용자의 작업 환경이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점차적으로 랩탑(lap top)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 모뎀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서, 무선 모뎀 장치라 함은 랩탑 컴퓨터나 UMPC 또는 PDA와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 등(이하, '단말기 장치'라 한다)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무선 공중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통화를 하기 위한 장치를 통칭한다. 이러한 무선 모뎀 장치의 형태는 주로 단말기 장치에 공급되는 PCMCIA형태(PC card)와 CF 형태가 있고, 무선 모뎀이 단말기 장치 자체에 내장된 일체형도 생산되고 있다.
한편, 단말기 장치에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과 같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한 방법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USB 포트는 주변기기와 단말기 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규격으로서, 휴대용 커넥터 장치의 접속단자에 주로 채용되며, 근래에는 직렬포트보다 다수의 주변기기를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휴대용 커넥터 장치로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단말기 장치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 장치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뎀 모듈이 내장된 무선 모뎀 장치로 구분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휴대용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가 돌출 구비되므로 휴대 시 돌출된 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USB 수용을 위한 캡(cap)이나 커버부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의 수용구조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휴대용 커넥터 장치를 USB 포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동안 수용구조를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휴대용 커넥터 장치의 크기가 작아서 수용구조를 쉽게 잃어버릴 수 있다. 특히, 휴대성을 높이고 심미성을 높이기 위해서 휴대용 커넥터의 크기가 점차 축소되는 추세인데 수용구조로 인해 휴대용 커넥터 장치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줄이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커넥터의 파손 방지를 위해 커넥터의 수용구조를 구비하면서도, 휴대용 커넥터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외관상 심미성이 높은 USB 휴대용 커넥터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넥터를 자동으로 돌출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의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가 자동 돌출되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커넥터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출입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기 출입구 밖으로 돌출시키는 탄성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구비된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탄성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 지지부가 상기 커넥터를 직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 고정부는 상기 커넥터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개폐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에 구비된 제1 개폐 고정부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개폐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개폐 고정부 중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된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상태의 상기 커버부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3 개폐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개폐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접촉될 때의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3 개폐 고정부 중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된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가 자동 돌출되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는,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접속되는 USB 커넥터, 상기 USB 커넥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USB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힌지축에 결합된 커버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를 상기 출입구 밖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된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개폐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 고정부는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에 일측에 구비된 제1 개폐 고정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켰을 때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될 때의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3 개폐 고정부 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개폐 고정부는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제2 및 제3 개폐 고정부는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개폐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하우징 중 일측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첫째, 휴대 시 및 사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 내부로 커넥터가 수용되고, USB 포트에 장착하기 위해서 커넥터가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휴대가 용이하며 커넥터의 파손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용 커넥터 장치의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커넥터가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므로 외관상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커넥터가 돌출되고 커버부에 의해 커넥터가 수용 고정되므로 휴대용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넥 터 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들로써, 도 1은 커넥터(110)가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2는 커넥터(110)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도 3은 커버부(130)에 의해 커넥터(110)를 하우징(120) 내부로 수용시키는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는 랩탑 컴퓨터나 UMPC 또는 PDA와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 등(이하, '단말기 장치(미도시)'라 한다)에 구비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미도시)에 삽입 및 접속을 위한 커넥터(110)와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는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접속을 위한 USB 커넥터(110)를 구비하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단말기 장치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 장치거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뎀 모듈이 내장된 무선 모뎀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는 단말기 장치의 주변기기 연결용 포트에 접속을 위해 USB 커넥터(110) 등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단자를 USB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커넥터(110)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장치의 포트에 따라 커넥터(110) 역시 그에 걸 맞는 접속단자가 사용된다 할 것이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커넥터(110) 및 커넥터(110)의 돌출을 위한 탄성 지지 부(140)가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20) 내부에는 커넥터(110)와 탄성 지지부(140) 이외에도 커넥터(110)를 통해 단말기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기판이나 커넥터(11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뎀 모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요소의 상세한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커넥터(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되고, 하우징(120) 내외로 커넥터(1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출입구(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20)의 출입구(125)에는 출입구(125)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커넥터(110)가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지지하는 커버부(130)가 구비된다.
탄성 지지부(140)는 하우징(120) 외부로 커넥터(110)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20) 내부에서 커넥터(110)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다. 여기서, 탄성 지지부(140)는 커넥터(110)가 출입구(125)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커넥터(110)에 복원력을 작용시키도록 압축 상태로 구비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125)가 폐쇄된 상태에서 탄성 지지부(140)는 압축된 상태로 커넥터(110) 하부에 구비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125)가 개방되면 탄성 지지부(140)에서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110)가 출입구(125) 외부로 자동 돌출된다.
또한, 커넥터(110)는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출입 구(125) 외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야 하고, 탄성 지지부(140)는 커넥터(110)가 돌출되는 길이를 고려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탄성 지지부(1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스프링이고 일단이 커넥터(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120) 내의 고정부(141)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 지지부(140)는 커넥터(110)를 하우징(120)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110)가 직진 운동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141)는 커넥터(110)의 중심에서 일직선 상에 구비되며, 탄성 지지부(140)는 커넥터(110)의 직선 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될 수 있도록 커넥터(110)의 하부에 연결된 1자형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41)는 탄성 지지부(140)를 하우징(120)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커넥터(110)가 내부로 수용될 때 커넥터(1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111은 커넥터(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커넥터 홀더(111)이다. 커넥터 홀더(111)는 커넥터(110)를 USB 포트에 삽입하거나 USB 포트에서 분리시킬 때 사용자가 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커버부(130)는 출입구(125)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일측에서 힌지축(135)에 고정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130)는 출입구(125)의 일측에 힌지축(135)에 의해 결합되고, 출입구(125)를 폐쇄할 수 있도록 소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30)가 출입구(125)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개폐 고정부(121, 122, 13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고정부(121, 122, 131)는 커버부(130)를 자주 개폐 할 수 있으며, 개폐가 쉽고 구조가 단순한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30)에는 제1 개폐 고정부(131)가 구비되고, 하우징(120)에는 커버부(130)가 출입구(125)를 폐쇄하였을 때 제1 개폐 고정부(13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커버부(130)를 유지시키는 제2 개폐 고정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폐 고정부(131)와 제2 개폐 고정부(121) 중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된 자석이거나 자성체일 수 있다.
한편, 커버부(130)가 출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130)가 자유롭게 방치되는 경우 커버부(130)가 주변 장치나 단말기 장치에서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가 장착된 USB 포트와 이웃한 USB 포트와 간섭이 발생하여 사용이 번거로울 수 있다. 이러한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30)가 출입구(125)를 개방한 상태에서 하우징(120)의 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커버부(130)가 개방되었을 때, 제1 개폐 고정부(13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 개폐 고정부(131)와 인력이 작용하여 제1 개폐 고정부(131)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3 개폐 고정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 고정부(131)와 제3 개폐 고정부(122) 중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된 자석이거나 자성체일 수 있다.
또는, 커버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석으로 형성되고 커버부(130)가 하우징(120)에 자력으로 결합 및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120) 자체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개폐 고정부(131)와 하우징(12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면서 커버부(13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2 및 제3 개폐 고정부(121, 122)는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폐 고정부(131)는 커버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고정부(131)는 커버부(130)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커버부(130)에서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되는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개폐 고정부(121, 122) 역시 하우징(120)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하우징(120) 내측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개폐 고정부(121, 122, 131)의 형태와 크기 및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20) 및 커버부(130) 내에서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나 휴대 시에는, 커넥터(110)가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커버부(130)가 출입구(125)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커버부(130)가 페쇄되면 커넥터(110)의 돌출이 제한되고, 커버부(130) 및 커넥터(110)에 의해 탄성 지지부(140)는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다.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커버부(130)를 개방시키면 탄성 지지부(140)의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110)가 가압되면 개방된 출입구(125)를 통해 커넥터(110)가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된 커넥터(110) 를 사용자가 USB 포트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커버부(130)를 닫으면, 커버부(130)와 커넥터(110)가 접촉되면서 커넥터(110)가 하우징(120)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지지부(140)가 압축되면서 수용된다. 그리고 커버부(130)가 완전히 닫히면 제1 개폐 고정부(131)와 제2 개폐 고정부(121)가 서로 인력이 작용하면서 커버부(130)가 하우징(120)에 고정되고 커넥터(110)가 완전히 하우징(120) 내부로 수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커버부(130)를 개방하면 탄성 지지부(140)에 의해 커넥터(110)가 하우징(120) 외부로 자동 돌출되고, 커버부(130)를 닫으면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 시 커넥터(110)의 오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석에 의해 커버부(130)를 하우징(12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단하며, 휴대용 커넥터 장치(1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빈번한 커버부(130)의 개폐 동작에도 결합력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30)가 힌지축(135)에 의해 회전하는 도어 형태를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입구(125)를 개폐하고 커넥터(110)를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갖는 커버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30)의 일 예로 하우징(120) 일측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하우징(120) 내측에서 일측면을 따라 수용되어 하우징(120)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출입구(125)를 폐쇄시 키거나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슬라이드 도어 방식의 커버부(130)의 경우 하우징(120)에 커버부(13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의 재질 역시 하우징(1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넥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용 커넥터 장치 110: 커넥터
111: 커넥터 홀더 120: 하우징
121: 제2 개폐 고정부 122: 제3 개폐 고정부
125: 출입구 130: 커버부
131: 제1 개폐 고정부 135: 힌지축
140: 탄성 지지부 141: 탄성 고정부
Claims (10)
- 커넥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커넥터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상기 출입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 및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기 출입구 밖으로 돌출시키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구비된 스프링인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탄성 고정부에 연결되며,상기 탄성 고정부는 상기 커넥터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버부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개폐 고정부가 더 구비된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개폐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에 구비된 제1 개폐 고정부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개폐 고정부로 이루어지고,상기 제1 및 제2 개폐 고정부 중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된 자석 또는 자성체인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개방된 상태의 상기 커버부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3 개폐 고정부가 더 구비되고,상기 제3 개폐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접촉될 때의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상기 제1 및 제3 개폐 고정부 중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된 자석 또는 자성체인 휴대용 커넥터 장치.
-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접속되는 USB 커넥터;상기 USB 커넥터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USB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힌지축에 결합된 커버부;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를 상기 출입구 밖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된 탄성 지지부; 및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개폐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개폐 고정부는 자석 또는 자성체인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개폐 고정부는,상기 커버부에 일측에 구비된 제1 개폐 고정부;상기 커버부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켰을 때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개폐 고정부; 및상기 커버부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될 때의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3 개폐 고정부;로 이루어지고,상기 제1 개폐 고정부는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제2 및 제3 개폐 고정부는 상기 제1 개폐 고정부와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 자석 또는 자성체인 휴대용 커넥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개폐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하우징 중 일측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휴대용 커넥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212A KR20100122261A (ko) | 2009-05-12 | 2009-05-12 | 휴대용 커넥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212A KR20100122261A (ko) | 2009-05-12 | 2009-05-12 | 휴대용 커넥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2261A true KR20100122261A (ko) | 2010-11-22 |
Family
ID=4340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1212A KR20100122261A (ko) | 2009-05-12 | 2009-05-12 | 휴대용 커넥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226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18238A1 (en) * | 2014-07-28 | 2016-02-04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otective jacket for a device |
US20170168526A1 (en) * | 2015-12-15 | 2017-06-15 | Fujitsu Limited | Electronic device |
CN111755860A (zh) * | 2019-03-27 | 2020-10-09 |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 电子装置连接系统 |
JP2024095222A (ja) * | 2022-12-28 | 2024-07-10 | 浅間情報通信技術合同会社 | 回転型マルチプラグ |
-
2009
- 2009-05-12 KR KR1020090041212A patent/KR201001222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18238A1 (en) * | 2014-07-28 | 2016-02-04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otective jacket for a device |
CN106662892A (zh) * | 2014-07-28 | 2017-05-10 |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 用于装置的保护套 |
US10187104B2 (en) | 2014-07-28 | 2019-01-2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otective jacket for a device |
US20170168526A1 (en) * | 2015-12-15 | 2017-06-15 | Fujitsu Limited | Electronic device |
US9946305B2 (en) * | 2015-12-15 | 2018-04-17 | Fujitsu Limited | Electronic device |
CN111755860A (zh) * | 2019-03-27 | 2020-10-09 |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 电子装置连接系统 |
CN111755860B (zh) * | 2019-03-27 | 2023-09-12 |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 电子装置连接系统 |
JP2024095222A (ja) * | 2022-12-28 | 2024-07-10 | 浅間情報通信技術合同会社 | 回転型マルチプラ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0139B1 (ko) |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
KR100834636B1 (ko) |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 |
US8150466B2 (en) | Apparatus for detachably installing a smart card in a portable terminal | |
KR100617737B1 (ko) |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기 | |
US20050049016A1 (en) |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 |
KR20100122261A (ko) | 휴대용 커넥터 장치 | |
US20050124395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US20110157791A1 (en) | Cov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US8537142B2 (en) | Stylus | |
KR100533038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 |
US20090124307A1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10014304A (ko) |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 |
CN101170588B (zh) | 用于将智能卡可拆卸地安装到便携式终端中的设备 | |
KR200326417Y1 (ko)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 |
KR101708502B1 (ko) | 휴대용 통신 장치의 단자 커버 개폐 장치 | |
KR100575759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 |
KR101101414B1 (ko) | 무선 모뎀 장치 | |
JP5413976B2 (ja) | 携帯機器 | |
KR200326418Y1 (ko)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 |
KR100677313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 |
KR200342790Y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더스트캡 개폐장치 | |
KR20040038508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잭 접속구 개폐장치 | |
KR100810220B1 (ko) |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 |
KR20100137694A (ko) | 무선 모뎀 장치 | |
KR100681561B1 (ko) |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능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