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414B1 - 무선 모뎀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모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414B1
KR101101414B1 KR1020090039284A KR20090039284A KR101101414B1 KR 101101414 B1 KR101101414 B1 KR 101101414B1 KR 1020090039284 A KR1020090039284 A KR 1020090039284A KR 20090039284 A KR20090039284 A KR 20090039284A KR 101101414 B1 KR101101414 B1 KR 10110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sb
wireless modem
electromagnetic wa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465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모텍
Priority to KR102009003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4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USB 무선 모뎀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 모뎀 장치는, 내부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USB 커넥터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모뎀, USB 모뎀, 전자파 차단

Description

무선 모뎀 장치{WIRELESS MODEM DEVICE}
본 발명은 무선 모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장치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모뎀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의 급격한 기술발전은 원하는 정보를 휴대단말기나 디지털가전기기 등 새로운 제품들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갖춰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화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가 융합되면서 서비스의 광대역화와 초고속화가 되는 추세에 있어 네트워크의 기술은 대단히 중요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술 등의 발달로 네트워크 망을 통해서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음성과 동영상 정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케이블 모뎀 등과 같은 새로운 통신 수단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차세대 기술로서 제안된 것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다.
그런데 케이블 모뎀은 설치와 사용에 많은 비용이 들고 이동이나 사용 장소 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블 모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무선 모뎀이다. 특히, 사용자의 작업 환경이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점차적으로 랩탑(lap top)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 모뎀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서, 무선 모뎀 장치라 함은 랩탑 컴퓨터나 UMPC 또는 PDA와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 등(이하, '단말기 장치'라 한다)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무선 공중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통화를 하기 위한 장치를 통칭한다. 이러한 무선 모뎀 장치의 형태는 주로 단말기 장치에 공급되는 PCMCIA형태(PC card)와 CF 형태가 있고, 무선 모뎀이 단말기 장치 자체에 내장된 일체형도 생산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모뎀 장치는 휴대 및 설치 편의성을 위하여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 장치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무선 모뎀 장치는 단말기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USB 커넥터부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뎀 모듈이 내장된 본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USB는 주변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근래에 직렬포트보다 다수의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의 경우 다수의 주변기기를 용이하게 연결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USB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말기 장치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되는데, 전자파의 유 해성은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특히, 장시간 단말기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유해 전자파의 차단 여부가 큰 문제가 된다. 기존에는 단말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 보안기나 스티커 형태의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보안기는 랩탑 컴퓨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장치의 휴대성을 저하되고 휴대 시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청소 등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파의 특성 상 스티커 형태의 전자파 차단 제품은 효과가 작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 모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 모뎀 장치는, 내부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USB 커넥터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는 칩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는 필름이나 시트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부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말기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며 접착부재, 벨크로, 부착부재 및 자석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 모뎀 장치는, 내부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USB 커넥터부,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USB 커넥터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유닛,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 및 상기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말기 장치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첫째, 무선 모뎀 장치에 전자파 차단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 장치의 사용 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모뎀 장치의 USB 커넥터부와 본체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장치에서 전자파가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위치 및 사용자에게 영향을 많이 미치는 위치에 본체부를 장착함으로써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모뎀 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모뎀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모뎀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무선 모뎀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부(106)가 구비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또는 도 4의 무선 모뎀 장치(100)가 단말기 장치(10)에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 모뎀 장치(100)는 무선 송수신 모듈(101) 및 전자파 차단부(105)가 구비된 본체부(120)와 랩탑 컴퓨터나 UMPC 또는 PDA와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 등(이하, '단말기 장치(10)'라 한다)의 USB 포트(13, 도 3 참조)에 삽입되는 USB 커넥터부(1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부(120)와 USB 커넥터부(110)는 서로 선택적으로 분리 및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USB 커넥터부(110)는 단말기 장치(10)에 구비된 USB 포트(13)에 삽입되는 USB 커넥터(111)와 USB 홀더(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USB 커넥터부(110)를 본체부(120)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USB 결합부(130)가 형성된다.
본체부(120) 내부에는 무선 송수신 모듈(101), 무선 송수신 모듈(101)과 USB 커넥터부(11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102), 케이블(102)의 권취를 위한 권취유닛(103) 및 전자파 차단을 위한 전자파 차단부(105)가 구비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모듈(101)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을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송수신 모듈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실질적으로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케이블(102)은 USB 커넥터(111)와 무선 송수신 모듈(101)을 연결하여 단말기 장치(10)와 무선 송수신 모듈(101)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USB 커넥터부(110)를 USB 포트(13)에 장착하였을 때 본체부(120)를 단말기 장치(10)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케이블(102)이 구비되며, 본체부(120)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USB 커넥터부(110)와 본체부(120)가 분리됨에 따라 본체부(120)에서 밖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권취유닛(103)은 케이블(102)을 모두 본체부(120) 내부에 수용하고 또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고 인출된 케이블(10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용 후 USB 커넥터부(110)와 본체부(120)를 결합시킬 때는 다시 케이블(102)을 권취하여 본체부(12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길이의 케이블(102)이 본체부(120)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체부(120)를 USB 커넥터부(110)에서 원하는 위치만큼 원격지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본체부(1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케이블(102)이 본체부(120) 내부에 수용되므로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다.
본체부(120)의 일측에는 USB 커넥터부(11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USB 결합부(13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결합부(130)는 USB 홀더(112)와 본체부(120)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USB 홀더(112)가 일부 돌출된 제1 착탈부(131)가 형성되고, 본체부(120)에는 USB 홀더(112)의 제1 착탈부(131)와 대응되어 요입된 제2 착탈부(13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2 착탈부(132)에 제1 착탈부(131)가 삽입 및 서로 맞물리면서 USB 커넥터부(110)가 고정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USB 결합부(130)는 USB 커넥터부(110) 전체가 본체부(120)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20) 일측에는 USB 커넥터(111)와 USB 홀더(112)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안착홈 형태의 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USB 커넥터(111)와 USB 홀더(112)가 모두 본체부(120) 내부로 은폐되는 경우, 무선 모뎀 장치(100) 외부로 USB 커넥터부(110)가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지므로 무선 모뎀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USB 커넥터부(1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USB 커넥터부(110)에서 USB 홀더(112)를 생략하고 USB 커넥터(111)로만 형성되어 본체부(120)에서 인출 및 삽입 수용되는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파 차단부(105)는 본체부(120) 내부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파 차단부(105)는 소정의 칩 형태를 갖고 본체부(120) 내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파 차단부(105)의 크기는 본체부(120) 내부에서 무선 송수신 모듈(101)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무선 송수신 모듈(101)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는, 전자파 차단부(10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이나 시트 형태를 가지며, 필름 형태의 전자파 차단부(106)를 본체부(120)의 내측면을 따라 전체 또는 일부면에 부착할 수 있다. 물론, 필름 형 태의 전자파 차단부(106)를 본체부(120)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전자파 차단부(106)는 전자파 차단 물질을 본체부(120)의 내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소정 두께로 도포 또는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파 차단 물질은 은 또는 나노 입자의 은을 코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전자파 차단부(106)를 본체부(120)의 외측면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단부(105, 106)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20)의 일측에는 본체부(120)를 단말기 장치(10)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15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150)는 본체부(120)의 일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단말기 장치(10)에서 본체(12)에 비해 모니터(11) 부분에서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므로 본체부(120)는 모니터(11)에 장착되는 것이 전자파 차단 효과를 높이는데 좀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유해 전자파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모니터(11)에서 사용자를 향한 전면에 본체부(120)가 장착되는 것이 전자파를 차단하는 데 좀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부(120)를 장착하는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어느 위치에나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50)는 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나 체결부(150)는 벨크로와 같은 부착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50)는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모니터(11)는 자성체가 아닐 수 있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접착부재 나 부착부재, 자석 중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되거나 두 가지 이상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20) 내부에 전자파 차단부(105, 106)가 구비되므로 단말기 장치(10)에서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 장치(10) 사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USB 커넥터부(110)와 본체부(12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본체부(1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체부(120)를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는 위치 및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위치에 본체부(12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전자파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0)에 체결부(1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기 장치(10) 또는 단말기 장치(10) 주변의 구조물 등에 자유롭게 본체부(120)를 장착할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케이블(102)을 인출하여 본체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신율이 떨어지는 곳이나 음역지역에서 단말기 장치(10)의 위치 자체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본체부(12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USB 포트(13)에는 크기가 작은 USB 커넥터부(110)가 장착되므로 무선 모뎀 장치(100)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USB 커넥터부(110)가 삽입된 USB 포트(13)와 인접한 USB 포트(13)까지 침범하지 않으므로 USB 포트(13)의 사용에 제한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모뎀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선 모뎀 장치의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무선 모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모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무선 모뎀 장치가 단말기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 장치 11: 모니터
12: 본체 13: USB 포트
100: 무선 모뎀 장치 101: 무선 송수신 모듈
102: 케이블 103: 권취유닛
105, 106: 전자파 차단부 110: USB 커넥터부
111: USB 커넥터 112: USB 홀더
120, 150: 본체부 130: USB 결합부
131: 제1 착탈부 132: 제2 착탈부
150: 체결부

Claims (6)

  1. 내부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USB 커넥터부; 및
    칩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
    을 포함하는 무선 모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는 필름이나 시트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부 내측면에 부착된 무선 모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말기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가 더 구비된 무선 모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며 접착부재, 벨크로 및 자석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사용된 무선 모뎀 장치.
  6. 내부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고 단말기 장치의 USB 포트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USB 커넥터부;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USB 커넥터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유닛;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 및
    상기 본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말기 장치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
    를 포함하는 무선 모뎀 장치.
KR1020090039284A 2009-05-06 2009-05-06 무선 모뎀 장치 KR101101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84A KR101101414B1 (ko) 2009-05-06 2009-05-06 무선 모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84A KR101101414B1 (ko) 2009-05-06 2009-05-06 무선 모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65A KR20100120465A (ko) 2010-11-16
KR101101414B1 true KR101101414B1 (ko) 2012-01-02

Family

ID=4340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284A KR101101414B1 (ko) 2009-05-06 2009-05-06 무선 모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176A (ko) 2017-11-02 2019-05-10 지앨에스 주식회사 Usb 커넥터 프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766A (ko) * 2005-01-06 2006-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08524945A (ja) 2004-12-21 2008-07-10 ラルフ マイヤー データ送信モジュール及びそのモジュールを保持するための周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4945A (ja) 2004-12-21 2008-07-10 ラルフ マイヤー データ送信モジュール及びそのモジュールを保持するための周辺装置
KR20060080766A (ko) * 2005-01-06 2006-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176A (ko) 2017-11-02 2019-05-10 지앨에스 주식회사 Usb 커넥터 프리 장치 및 방법
US11494478B2 (en) 2017-11-02 2022-11-08 Gls Co., Ltd. USB connector-free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65A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7112B2 (en) Sound guide for speaker and handset for mobil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US20150123860A1 (en) Display module including antenna
AU2011203352B1 (en) Silicon case
WO2021104211A1 (zh) 电子设备
WO2021104234A1 (zh) 电子设备
TWI518484B (zh) 擴充底座
WO2021104233A1 (zh) 电子设备
CN110679155B (zh) 一种电子设备
KR101101414B1 (ko) 무선 모뎀 장치
CN206098950U (zh) 一种电子设备
KR20100122261A (ko) 휴대용 커넥터 장치
KR20110062877A (ko) 펜 이어폰
WO2020014818A1 (zh) 电子设备
WO2020014819A1 (zh) 电子设备
WO2020014821A1 (zh) 电子设备
US7012596B2 (en) Color thin film transistor display module with shielding-effect cable
CN208723943U (zh) 电子设备
EP3681134B1 (en) Terminal device and sound-emitting device
JP2000032154A (ja) 無線通信ユニット
CN109151102B (zh) 电子设备
KR200472989Y1 (ko) 띠 타입 케이블을 갖는 이어폰 유닛
KR20080054951A (ko) 휴대용 단말기
CN209930296U (zh) 一种带有天线的手机后盖
KR100456752B1 (ko) 덮개를 갖는 정보 단말기 케이스 시스템
KR101977139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