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022A -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 Google Patents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022A
KR20100122022A KR1020090040999A KR20090040999A KR20100122022A KR 20100122022 A KR20100122022 A KR 20100122022A KR 1020090040999 A KR1020090040999 A KR 1020090040999A KR 20090040999 A KR20090040999 A KR 20090040999A KR 20100122022 A KR20100122022 A KR 2010012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plywood
horizontal member
coupling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9876B1 (en
Inventor
김근섭
전상윤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102009004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87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Abstract

PURPOSE: A system panel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even in case of repetitive use because the corners easy to be broken are reinforced. CONSTITUTION: A system panel(10) comprises a veneer(100) whos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placed concrete, a profile part(200) in which the edges of the veneer are settl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arts(300) which are provided inside the profile part in order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veneer when placing concrete, and corner reinforcing parts(400)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ends of the profile part for reinforcement.

Description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본 발명은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되기 쉬운 시스템 폼의 코너를 보강함에 따라 반복 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s that are not easily broken even after repeated use by reinforcing corners of the fragile system foam.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패널로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패널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하에서 패널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building an apartment or other high-rise building, in order to pour concrete, formwork is usually formed by a plurality of panels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hat is, by extending the plurality of panel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nd placing the concrete in a space formed by standing up to face the panels under such a state, so that the walls forming the building as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formed.

한편, 이러한 거푸집은 크게 갱폼과 유로폼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갱폼은 철판으로 제작한 모든 폼을 말하며, 유로폼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은 합판으로 구성하고 합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프로파일과, 멍에·장선재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한 거푸집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se formwork is largely classified into gangform and euroform, where gangform refers to all forms made of steel plates, and the euroform is made of plywoo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concrete, and the profile of the plywood is settled, and yoke / jangseonjae It is a formwork made of metal and light weight.

유로폼은 가로 600 mm, 세로 1200 mm로 규격화되어 마련되며,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여 최근 널리 이용 중에 있는 거푸집이다.Eurofoam is standardized by 600 mm wide and 1200 mm long, and is a formwork that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due to its light weight and easy installation and assembly.

종래의 유로폼은, 그 테두리를 구성하는 네 개의 프로파일의 각 단부를 대각선으로 제작한 후 상호 용접시키거나, 직선형 단부를 갖는 네 개의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의 단부를 다른 프로파일의 상측에 맞대어 놓고 용접하는 방법으로 프로파일 상호 간을 결합시킨다.Conventional euroforms are produced by diagonally fabricating each end of the four profiles constituting the edges and welding each other, or welding the end of any one of the four profiles having the straight end against the upper side of the other profile. To join the profiles together.

하지만, 종래의 유로폼은, 프로파일의 각 단부를 대각선으로 제작한 후 상호 용접시키는 경우 가공비용이 증가하고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직선형 단부를 다른 프로파일의 상측에 맞대어 놓고 용접시키는 경우 프로파일 상호 간의 연결력이 약하므로 반복 사용시 각 단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uroforms have a problem in that machining costs increase and machining becomes difficult when each end of the profile is made diagonally and then welded together. Since the connection force is weak, there is a problem that each end is easily broken during repeated use.

또한, 유로폼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중공형으로 마련되는데, 이 경우 직선형 단부를 다른 프로파일의 상측에 맞대어 놓고 용접시키면 하측에 위치한 프로파일의 중공부분이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중공부분을 통해 빗물 등이 스며들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파일이 녹슬게 됨으로써 유로폼의 반복 사용 횟수가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lighten the weight of the euroform, the profile is generally provided in a hollow shape. In this case, when the straight end is welded with the upper end of the other profile, the hollow part of the lower profile is exposed as it is, and the rainwater through the hollow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 is soaked, and thus the profile is rusted, and thus the number of repeated use of the Euroform is not guaranteed.

따라서, 파손되기 쉬운 유로폼의 코너를 보강함으로써 반복 사용시에도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유로폼 또는 거푸집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by reinforcing the corner of the fragile euro-foam, the situation is required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euro-foam or formwork that does not easily break even when repeated use.

본 발명의 목적은, 파손되기 쉬운 시스템 폼의 코너를 보강함에 따라 반복 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s that does not break easily upon repeated use by reinforcing corners of the fragile system foam.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합판부; 상기 합판부의 테두리부가 각각 안착되는 프로파일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합판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로파일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부; 및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코너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plywoo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to be poured; A profile part in which edge portions of the plywood part are respectively seate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provided inside the profile part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part when concrete is poured; And corner reinforcing part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ds of the profile part to reinforce the ends of the profile part.

상기 합판부는 사각 형상을 갖는 합판부이며,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합판부의 네 변이 각각 안착되는 네 개의 프로파일부이고, 상기 네 개의 프로파일부는 각각,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클램프체결용 그루브; 및 상기 합판부의 어느 한 변이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합판부 안착용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ywood part is a plywood part having a square shape, the profile part is four profile parts on which four sides of the plywood part are respectively seated, and the four profile parts are each a body part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Clamping grooves are formed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t may include a plywood part seating step formed in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so that any one side of the plywood portion is seated.

상기 프로파일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타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시스템 폼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마찰방지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ofil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anti-friction groove which is form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duce frictional force with the system foam that is adjacently coupled.

상기 코너보강부는, 상기 네 개의 프로파일부 중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된 상기 프로파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rner reinforcing par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one end of any one of the four profile parts; A second coupling part extend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upled to one end of another profile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profile part to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is coupled;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art to each other.

상기 코너보강부는, 상기 코너보강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2 결합부의 일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강도보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rner reinforc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trength reinforcing piece inter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inside the corner reinforcing part.

상기 다수의 보강부는, 상기 시스템 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시스템 폼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프로파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수평재; 상기 제1 수평재의 하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시스템 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수평재; 및 상기 시스템 폼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parts,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members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form and interconnecting two profile part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ystem form;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members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form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material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form.

상기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은, 상기 제1 수평재와 상기 제2 수평재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수평재와 상기 제2 수평재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재 연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rner reinforcement system panel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s interconnecting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상기 수평재 연결판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타이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ie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은, 상기 제1 수평재의 좌우측 하면 및 상기 제2 수평재의 좌우측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타이로드 고정용 쐐기가 결합되는 다수의 쐐기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panel reinforced with corner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wedge coupl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to which the tie rod fixing wedges are coupled.

상기 다수의 제1 수평재, 상기 다수의 제2 수평재 및 상기 다수의 수직재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members, the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respectively.

상기 합판부는, 합판; 상기 합판의 일측면에 플라스틱을 융착하여 마련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플라스틱 융착부; 및 상기 합판의 타측면에 필름을 열압하여 접착되는 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ywood portion, plywood; A plastic fusion unit provided by welding plastic to one side of the plywood and having one side contacting the concrete to be poured; And a film part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by thermopressing the film.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보강부에 의하여 파손되기 쉬운 시스템 폼의 코너를 보강함에 따라 반복 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시스템 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inforcing the corner of the system foam that is easily broken by the corner reinforc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am that is not easily broken even when repeated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합판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받침대가 연결된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지지대가 연결된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타이로드가 체결된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용상태도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panel reinforced with a co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ystem panel reinforced with a corner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of a system panel reinforced with a corner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ywood por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profile portion of the system panel reinforced the corner of Figure 1,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system panel reinforced corner of Figure 1 connected to the pedestal, Figure 6 is a support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ystem panel reinforced with a corner of FIG. 1 connected, and FIG. 7 is a diagram of a state of use of a system reinforced with a corner of FIG.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시스템 판넬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요구되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제작되며 합판과 멍에재·장선재가 일체로 결합된 거푸집을 의미하고, 이하에서 동일하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panel is manufactured to meet the purpos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means a formwork in which the plywood and the yoke material and the Jangsun material are integrally combined.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10, 이하, '시스템 판넬(10)'이라 함)은 합판부(100)와, 합판부(100)의 테두 리부가 안착되는 프로파일부(200)와, 프로파일부(200)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부(300)와, 프로파일부(200)의 각 단부를 보강하는 코너보강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ystem panel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ystem panel 10") is reinforced with a co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ywood portion 100, the edge of the plywood portion 100 The profile part 200 to which the li part is seated,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300 provided inside the profile part 200, and the corner reinforcement part 400 which reinforces each end part of the profile part 200 are included. .

합판부(1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나 기둥의 외주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사각 판재형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110)과, 합판(1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플라스틱 융착부(120)와, 합판(110)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필름부(130)를 포함한다.Plywood portion 100 is a rectangular plate-like configuration in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to be poured to for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ll or pillar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3, plywood 110, and plywood ( It includes a plastic fusion unit 1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110, and a film unit 13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110).

합판(110)은 플라스틱 융착부(120)가 융착되도록 하거나 필름부(130)가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판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합판(110)은 목재를 사용하여 마련되므로 합판부(100) 전체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플라스틱 융착부(120)의 융착이나 필름부(130)의 코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Plywood 110 is to provide a plate surface for the plastic fusion unit 120 is fused or the film portion 130 is coated. Since the plywood 110 is provided using wood, it is possible to lighten the weight of the entire plywood part 100 and to allow fusion of the plastic fusion part 120 or coating of the film part 130.

플라스틱 융착부(12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합판(110)의 일측면에 플라스틱을 융착하여 마련된다. 플라스틱 융착부(120)는 융착되는 플라스틱의 특성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의 수분이 합판(110)에 스며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합판(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라스틱 융착부(120)는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표면에 눌러 붙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경우 시공하고자하는 벽체(Wall) 또는 기둥(Post) 등의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Plastic fusion unit 120 is a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crete to be poured, is provided by fusing the plastic on one side of the plywood (110). The plastic fusion unit 120 prevents the plywood 110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moisture in the concrete being poured into the plywood 110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plastic to be fused. In addition, the plastic fusion unit 120 not only prevents the concrete from being pressed against the surface by providing a smooth surface, but also cleans the surface such as a wall or a post to be constructed when the curing of concrete is completed. It will play a role.

필름부(130)는 합판(110)의 타측면에 필름을 열압하여 접착시킴으로써 마련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부(130)는, 크라프트지(Kraft Paper)에 페놀수 지를 함침한 후 건조하여 완성된 테고필름(Teco Film)을 합판(110)의 타측면에 열압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여기서, 크라프트지는 표백되지 않은 크라프트 펄프로 만든 갈색 종이를 말하며, 페놀수지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를 축중합 하여 만든 수지를 말하고, 함침(Impregnation)은 수지를 직물, 목재, 종이 등의 구조 속의 틈새에 채워 넣는 것을 말한다. The film unit 130 is provided by hot pressing the film to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m unit 130 is completed by impregnating a phenolic resin in kraft paper and drying the bonded Tego film (Teco Film) by thermal pressure b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110. Here, kraft paper refers to brown paper made of unbleached kraft pulp, and phenol resin refers to a resin made by condensation of phenols and aldehydes, and impregnation refers to filling resin in a gap in a structure such as fabric, wood, and paper. Say what to put.

본 실시예의 필름부(130)는 크라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완성되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고 단단하며, 불에 잘 타지 않으면서도 열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Since the film part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leted by impregnating phenolic resin in kraft paper, it is hard to be easily broken and has a strong heat resistance without being burned well.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 판넬(10)을 반복사용 하는 경우라도 본 실시예의 합판부(100)는 일정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합판(110). 플라스틱 융착부(120) 및 필름부(130)의 재질과 결합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ly, even when the 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repeatedly, the plywood par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ertain durability. However, plywood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terial and bonding method of the plastic fusion unit 120 and the film unit 130 may v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matters.

한편, 프로파일부(200)는 합판부(100)의 테두리가 각각 안착되는 구성으로, 합판부(100)의 각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프로파일부(210), 제2 프로파일부(220), 제3 프로파일부(230) 및 제4 프로파일부(24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file portion 20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dge of the plywood portion 100 is seated, respectively, the first profile portion 210, the second profile portion 220, provided along each edge of the plywood portion 100, The third profile part 230 and the fourth profile part 240 are included.

여기서, 제1 프로파일부(210)는 합판부(100)의 하측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며, 제2 프로파일부(220)는 합판부(100)의 좌측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고, 제3 프로파일부(230)는 합판부(100)의 우측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며, 제4 프로파일부(240)는 합판부(100)의 상측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다.Here, the first profile portion 210 is a portion where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plywood portion 100 is seated, the second profile portion 220 is a portion on which the left edge portion of the plywood portion 100 is seated, and the third The profile portion 230 is a portion on which the right edge portion of the plywood portion 100 is seated, and the fourth profile portion 240 is a portion on which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plywood portion 100 is seated.

각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는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프로파 일부(210, 220, 230, 240)와 코너보강부(40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Each of the profile parts 210, 220, 230, and 2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rt of the other props 210, 220, 230, and 240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corner reinforcement par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hall b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는 각각,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211, 221, 231, 241)와, 클램프(500)가 체결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클램프체결용 그루브(212, 222, 232, 242)와, 합판부(100)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합판부 안착용 단턱(213, 223, 233, 243)과, 인접하여 결합되는 시스템 판넬(10) 상호 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마련되는 마찰방지 그루브(214, 224, 234, 24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profile parts 210, 220, 230, and 240 has a body portion 211, 221, 231, 241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groove for fastening the clamp 500, respectively. The formed clamping grooves 212, 222, 232, 242, plywood part mounting stepped walls 213, 223, 233, and 243 on which the edge of the plywood part 100 is seated are adjacently coupled to the system panel. (10) anti-friction grooves 214, 224, 234, and 244 provided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each other.

몸체부(211, 221, 231, 241)는 각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클램프체결용 그루브(212, 222, 232, 242)는 몸체부(211, 221, 231, 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211, 221, 231, 241)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body parts 211, 221, 231, and 241 form a frame of each of the profile parts 210, 220, 230, and 240, and the clamp fastening grooves 212, 222, 232, and 242 are the body parts 211. , 221, 231, 241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1, 221, 231, 2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은 다른 시스템 판넬(10)과 클램프(500)를 사용하여 상호 체결되는데, 클램프체결용 그루브(212, 222, 232, 242)는 이러한 클램프(500)의 체결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astened to each other using the system panel 10 and the clamp 500, and the clamp fastening grooves 212, 222, 232, and 242 are used to fasten the clamp 500. Is prepared to raise.

일반적으로 유로폼은 웨지핀(Wedge Pin)을 사용하여 다른 유로폼과 체결되는데 웨지핀은 체결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파손되기 쉬우므로 반복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the Eurofoam is fastened with other Eurofoam using a wedge pin, but the wedge pin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repeatedly because the fastening force is weak and easy to break.

하지만,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은 체결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높은 클램프(500)를 사용하여 상호 체결됨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fastening not only with strong fastening force but also with high durability clamp 500.

클램프체결용 그루브(212, 222, 232, 242)에는 클램프(500)의 양단에 마련되는 클램프(500)의 체결돌기(511, 도 6 참조)가 삽입되며, 이후 클램프핀(520, 도 6 참조)을 클램프(500)에 끼움으로써 상호 인접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 상호 간이 결합된다.The clamping grooves 212, 222, 232, and 242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s 511 (see FIG. 6) of the clamp 50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lamp 500, and then the clamp pins 520 and 6. ) Is coupled to the clamp 500 is coupled to each other system panels 1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합판부 안착용 단턱(213, 223, 233, 243)은 합판부(100)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몸체부(211, 221, 231, 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211, 221, 231, 241)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plywood portion mounting step (213, 223, 233, 243) is the body portion 211, 221, 2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1, 221, 231, 241 so that the edge of the plywood portion 100 is seated 231, 241 is a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par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부 안착용 단턱(213, 223, 233, 243)의 일단부는 상측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합판부 안착용 단턱(213, 223, 233, 243)에 안착된 합판부(100)의 이탈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 4, one end of the plywood seat mounting step (213, 223, 233, 243)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side is seated on the plywood seat mounting step (213, 223, 233, 24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lywood portion 100 to some extent.

또한, 합판부(100)를 각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에 안착시킨 후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합판부(100)를 각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에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plywood portion 100 is seated on each of the profile portions 210, 220, 230, and 240, the plywood portion 100 is connected to each profile portion 210, 220, 230, 240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piece. Will be fixed).

한편, 마찰방지 그루브(214, 224, 234, 244)는 몸체부(211, 221, 231, 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211, 221, 231, 241)의 타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부분이다.Meanwhile, the anti-friction grooves 214, 224, 234, and 244 are recess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211, 221, 231, 241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211, 221, 231, 241. to be.

상호 인접하는 시스템 판넬(10)을 체결하거나 체결된 시스템 판넬(10)을 상호 분리하는 경우, 마찰방지 그루브(214, 224, 234, 244)는 상호 인접한 시스템 판넬(10) 상호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 및 분리의 편 의를 도모토록 한다.When fastening the adjacent system panels 10 or separating the fastened system panels 10 from each other, the anti-friction grooves 214, 224, 234, and 244 may provide frictional forces acting on the mutually adjacent system panels 10. 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convenience of tightening and disassembly is aimed at.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시스템 판넬(10)은 제2 프로파일부(220)와 제3 프로파일부(230) 상호 간에 클램프(500)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는데, 이 경우 클램프체결용 그루브(212, 222, 232, 242)가 형성된 면과 대향되는 면의 몸체부(211, 221, 231, 241)에는 표면으로부터 라운드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마찰방지 그루브(214, 224, 234, 24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 면적을 최소로 줄인 상태에서 상호 체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two adjacent system panels 10 are coupled by fastening the clamp 500 between the second profile part 220 and the third profile part 230. In this case, the anti-friction groove 214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1, 221, 231, 241 of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clamping grooves 212, 222, 232, 242 are formed recessed from the surface. 224, 234, 244 are formed so that they can be mutually fastened in a state of reducing the contact area to a minimum.

또한, 제1 프로파일부(210) 및 제4 프로파일부(240)에는 각각 제1 프로파일부(210) 및 제4 프로파일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제1 프로파일부(210) 및 제4 프로파일부(2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미도시)을 따라서는 못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지면에 배치되는 각목(다루끼) 등에 시스템 판넬(1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file part 210 and the first profile part 210 and the fourth profile part 2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file part 210 and the fourth profile part 240,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formed through the fourth profile part 240, and fastening members such as nails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not shown) and are disposed on the ground. The system panel 10 can be fixed to the (tread).

한편, 다수의 보강부(300)는 콘크리트 타설시 합판부(100)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프로파일부(200)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수평재(311)와, 제1 수평재(311)의 하측에서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수평재(312)와,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평재(311, 312)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재(320)와, 인접 배치되는 수직재(320) 상호 간을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수평재(330)를 포함 한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300 are provided inside the profile part 200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part 100 when concrete is poured, and are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panel 10.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members 311 to be provided,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members 312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panel 10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and the system panel 10.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320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311 and 3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s 320 and adjacent vertical members 32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panel 10. It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horizontal member (330).

다수의 제1 수평재(311)는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프로파일부(220)와 제3 프로파일부(23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며, 다수의 제2 수평재(312)는 제1 수평재(311)의 하측에 인접 배치되어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프로파일부(220)와 제3 프로파일부(23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The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members 311 interconnects the second profile portion 220 and the third profile portion 23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panel 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members 312. )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to interconnect the second profile portion 220 and the third profile portion 23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panel 10.

한편, 제1 수평재(311)와 제2 수평재(312) 사이에는 각각 수평재 연결판(313)이 개재되어 제1 수평재(311)와 제2 수평재(312)를 상호 연결하며, 제1 수평재(311)의 좌우측 하면과 제2 수평재(312)의 좌우측 상면에는 각각 쐐기결합부(314)가 마련된다.Meanwhile,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313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12 to interconnec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12, and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The wedge coupling portion 314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lower surfaces of the)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12, respectively.

다수의 수평재(311, 312)는 시스템 판넬(10)의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저항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한 것인데,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은 제1 수평재(311), 제2 수평재(312) 및 수평재 연결판(313)에 의하여 구조적인 견고함이 도모되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힘이 제공되게 된다.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311, 312) is to impart a force to resist the surface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nside the system panel 10, the 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second Structural robustness is achieved by the horizontal member 312 and the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313, so that a force capable of sufficiently resisting the surface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s provided.

수평재 연결판(313)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타이홀(313a)이 형성되며, 이러한 타이홀(313a)에는 각각 타이로드(4, 도 7 참조)의 일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됨으로써 대향되게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A plurality of tie holes 313a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3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ie holes 313a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being fixed after being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tie rods 4 (see FIG. 7).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system panels 10 mutually arranged.

수평재 연결판(313)에 형성된 다수의 타이홀(313a)에 대응되는 위치의 합판 부(100) 부분에는 미리 타이홀(313a)과 동일한 크기의 홀(미도시)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 타이로드(4)를 체결할 부분에만 합판부(100)에 홀(미도시)을 가공한 후 타이로드(4)를 체결할 수도 있다.A hole (not shown) having the same size as the tie hole 313a may be processed in the plywood part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ie holes 313a formed on the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313, or If necessary, the tie rods 4 may be fastened after the holes (not shown) are processed in the plywood part 100 only at the portions to which the tie rods 4 are fastened.

종래의 유로폼은 유로폼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로파일부에만 홀이 가공되어 있으므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로폼 상호 간에 타이로드를 체결하는 경우 반드시 정확하게 대향되는 위치에 유로폼을 배치시키고 타이로드를 체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euroforms, holes are processed only in the profile part forming the edge of the euroform, so that when the tie rods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be opposed to each othe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lace the euroforms at the opposite positions and fasten the tie rods is required. there was.

하지만,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의 수평재 연결판(313)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다수의 타이홀(313a)이 선 가공되어 있으므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이 지그재그로 배치된 경우라도 임의의 위치에 타이로드(4)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However, since the plurality of tie holes 313a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e-processed in the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313 of the 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ystem panels 1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re arranged in a zigzag. Even if it is, the tie rod 4 can be fastened to any position (refer FIG. 7).

즉,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은 타이로드(4)의 체결위치를 고려하여 대향되는 시스템 판넬(10)의 설치위치를 특정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at is, the 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specif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ystem panel 10 op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tie rod 4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convenient for construction. .

타이로드(4)를 체결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타이홀(313a)에는 거푸집 마개(미도시)를 체결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As the tie rods 4 are not fastened, fastening a form stopper (not shown) to the unused tie holes 313a to prevent the concrete being poured from leaking.

한편, 쐐기결합부(314)는 제1 수평재(311)의 좌우측 하면과 제2 수평재(312)의 좌우측 상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시스템 판넬(10)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타이로드(4)를 보다 견고히 고정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wedge coupling portion 314 is provid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12, so as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ystem panels 10 disposed oppositely It is a structure which fixes the tie rod 4 more firmly.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로드(4)는 대향되게 배치된 시스템 판 넬(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데, 쐐기결합부(314)는 타이로드(4)가 체결된 상태의 제1 수평재(311) 및 제2 수평재(312)의 사이에 결합되는 쐐기(4a)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쐐기(4a)는 쐐기결합부(314) 사이에 강제로 삽입되어 타이로드(4)를 고정시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tie rods 4 are fastened through the system panels 1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wedge coupling portion 314 is 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tie rods 4 are fastened. The wedge 4a coupl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311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312 is configured to be fixed. The wedge 4a is forcibly inserted between the wedge coupling portions 314 to fix the tie rod 4.

한편, 다수의 수직재(320)는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평재(311, 312)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수직재(320)는 수평재(311, 312) 상호 간을 연결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힘을 부여토록 할 뿐만 아니라 시공용 받침대 등의 외부 구조물이 체결되기 위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320 are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311, 3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panel 10. The vertical member 320 is provided to connect the horizontal members 311 and 312 to each other to provide a force capable of sufficiently resisting the surface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and to provide an external structure such as a construction support.

즉, 수직재(320)를 관통하여서는 관통홀(320a)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320a)에는 시공용 받침대 파이프(1) 또는 시스템 폼 지지대(2) 등이 연결된다.That is, a through hole 320a is formed through the vertical member 320, and the construction pedestal pipe 1 or the system foam support 2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320a.

한편, 다수의 보조 수평재(330)는 인접 배치되는 수직재(320) 상호 간을 시스템 판넬(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보조 수평재(330)는 제2 프로파일부(220) 및 제3 프로파일부(230)에 인접한 수직재(320)의 경우에는 제2 프로파일부(220) 및 제3 프로파일부(230)의 일측면과 수직재(320)의 일측면을 각각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다수의 보조 수평재(330)는 전술한 수평재(310) 및 수직재(320)와 마찬가지로 시스템 판넬(10)에 일정한 구조력을 부여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horizontal members 330 are to interconnect the vertical members 32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panel 10.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vertical member 320 adjacent to the second profile part 220 and the third profile part 230, the auxiliary horizontal member 330 has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profile part 220 and the third profile part 230.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20 are arranged to connect. Like the horizontal member 310 and the vertical member 320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auxiliary horizontal members 330 impart a certain structural force to the system panel 10 to impart a force that can sufficiently resist the surface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

수평재(311, 312)와 보조 수평재(330)에는 각각 관통홀(311a, 312a, 330a)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311a, 312a, 330a)을 따라서는 웰라(3, Waler) 등이 체결 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 상호 간을 보다 견고히 결합시키게 된다.Through-holes 311a, 312a, and 330a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members 311 and 312 and the auxiliary horizontal members 330, respectively, and wells 3 and Walers are fastened along the through-holes 311a, 312a and 330a. Adjacently arranged system panels 10 will be mo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코너보강부(400)는 각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가 상호 연결되는 각 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제1 프로파일부(210)와 제2 프로파일부(220)의 연결지점에 마련되는 제1 코너보강부(410)와, 제1 프로파일부(210)와 제3 프로파일부(230)의 연결지점에 마련되는 제2 코너보강부(420)와, 제2 프로파일부(220)와 제4 프로파일부(240)의 연결지점에 마련되는 제3 코너보강부(430)와, 제3 프로파일부(230)와 제4 프로파일부(240)의 연결지점에 마련되는 제4 코너보강부(44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orner reinforcement part 400 is provided to reinforce each end portion of each of the profile parts 210, 220, 230, and 240, and the first profile part 210 and the second profile part 220. A first corner reinforcement unit 410 provided at a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corner reinforcement unit 420 provided at a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profile part 210 and the third profile part 230, and a second profile. A third corner reinforcement part 430 provided at a connection point of the part 220 and the fourth profile part 240 and a third point provided at a connection point of the third profile part 230 and the fourth profile part 240. It includes a four corner reinforcement portion 440.

코너보강부(410, 420, 430, 440)는 각각,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 중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부(210 또는 220 또는 230 또는 24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와,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가 결합된 프로파일부(210 또는 220 또는 230 또는 240)에 인접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부(210 또는 220 또는 230 또는 24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와,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의 일단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판(413, 423, 433, 443)과,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의 일측면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일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강도보강편(414, 424, 434, 444)을 포함한다.Corner reinforcing parts (410, 420, 430, 440),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any one of the profile portion (210, 220, 230, 240) of the profile portion (210, 220, 230, 240) 411, 421, 431, and 441 and a profile part 210 or 220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s 411, 421, 431, and 441 to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s 411, 421, 431, and 441 are coupled. Or second coupling parts 412, 422, 432, and 442 coupled to one end of any other profile part 210 or 220 or 230 or 240 disposed adjacent to 230 or 240, and first coupling part 411. Connection plates 413, 423, 433, and 443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412, 422, 432, and 442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411, 421, and 421. Strength reinforcing pieces 414, 424, 434, and 444 interconnecting one side of the second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412, 422, 432, and 442.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는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 중 상호 인접 배치되는 두 개의 프로파일부(210 및 220, 210 및 230, 220 및 240, 230 및 240)를 상호 연결한다.The first coupling parts 411, 421, 431, and 44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s 412, 422, 432, and 442 are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o have a '-' shape as a whole, and the profile parts 210 and 220. , 230 and 240 of the two profile parts 210 and 220, 210 and 230, 220 and 240,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terconnected.

또한,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형으로 마련되는데,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는 이러한 중공형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의 단부를 막도록 결합되므로 빗물 등이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의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프로파일부(210, 220, 230, 240)가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ofile portions 210, 220, 230, 240 are provided in a hollow to reduce the weight,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1, 421, 431, 4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2, 422, 432, 442 ) Is coupled to block the ends of the hollow profile portion 210, 220, 230, 240, so that rain water does not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profile portion 210, 220, 230, 240 profile portion (210, 220) , 230, 240 can be prevented from rusting.

연결판(413, 423, 433, 443)은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의 일단부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며, 강도보강편(414, 424, 434, 444)은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의 일측면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일측면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The connecting plates 413, 423, 433, and 443 are formed by inter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411, 421, 431, and 441 and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art 412, 422, 432, and 442. Reinforcing the connecting str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411, 421, 431, 4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2, 422, 432, 442), the strength reinforcing piece (414, 424, 434, 444)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first coupling part 411, 421, 431, 441 and the second coupling by interconnecting one side of 411, 421, 431, 441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412, 422, 432, 442. It is to reinforce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parts (412, 422, 432, 442).

또한, 강도보강편(414, 424, 434, 444)은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ㄱ'자 형상의 내측에 포함되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되는바 시스템 판넬(10)의 탈형의 편의가 도모된다.In addi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piece (414, 424, 434, 444) is a letter 'A' made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1, 421, 431, 4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2, 422, 432, 442) The bar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o as to be included in the inside of the shape, so that the demoulding of the system panel 10 is facilitated.

일반적으로 유로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 후에는 유로폼 각각을 탈형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유로폼은 그 자체의 무게와 콘크리트의 부착력 등에 의해 지면에 일정한 힘으로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지렛대 등을 사용하여 유 로폼의 하측을 들어올린다.In genera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using euroforms, each of the euroforms is demolded, and the euroforms are fixed to the ground by a constant force due to their weight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concrete. Raise the lower side of the Eurofoam.

그러나, 유로폼의 하측에는 지렛대의 일단부가 삽입될 만한 공간이 없으므로, 결국 강제적으로 유로폼의 하측에 지렛대의 일단부를 삽입시키고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유로폼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 과도한 힘을 가하면 유로폼의 하측 프로파일이 찌그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프로파일이 손상된 유로폼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결국 산업폐기물로 처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re is no space for the one end of the lever to be inserted below the euroform, the euroform is lifted by forcibly inserting one end of the lever to the lower side of the euroform and applying a strong force. In this case, if the excessive force is applied, the lower profile of the euroform is frequently distorted, and the damaged euroform of the profile is no longer us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treated as industrial waste.

하지만,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은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내측에 포함되는 강도보강편(414, 424, 434, 444)을 통해 제1 결합부(411, 421, 431, 441) 및 제2 결합부(412, 422, 432, 442)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시스템 판넬(10)의 탈형시 지렛대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시스템 판넬(10)의 탈형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e 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rength reinforcing pieces 414 and 424 included inside the first coupling parts 411, 421, 431, and 44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s 412, 422, 432, and 442. Reinforces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1, 421, 431, 4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2, 422, 432, 442 through the 434, 444,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fficient space to be inserte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emoulding of the system panel 10.

전술한, 프로파일부(200), 보강부(300) 및 코너보강부(400)는 각각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나, 기타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재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ofile part 200, the reinforcement part 300 and the corner reinforcement part 400 are each made of a metallic material, but may be provided using a material having a certain rigidit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a material. It is not limited by.

본 발명의 시스템 판넬(10)은, 코너보강부(400)에 의하여 파손되기 쉬운 시스템 판넬(10)의 코너부를 보강함에 따라 반복 사용시에도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시스템 판넬(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System pane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inforc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system panel 10, which is easily damaged by the corner reinforcing portion 400 to provide a system panel 10 that does not easily break even when repeated use do.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 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ystem panel with the corners of FIG. 1 reinforced. FIG.

도 3은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합판부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ywood of the system panel with the corners of FIG. 1 reinforced;

도 4는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의 부분 확대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profile portion of the system panel with the corners of FIG. 1 reinforced;

도 5는 받침대가 연결된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reinforced system panel of the corner of Figure 1 connected to the pedestal.

도 6은 지지대가 연결된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용상태도이다.FIG. 6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system panel reinforced with the corner of FIG. 1 to which the support is connected. FIG.

도 7은 타이로드가 체결된 도 1의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의 사용상태도다.Figure 7 is a state of use of the system panel reinforced the corner of Figure 1 with a tie rod fasten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시스템 판넬 100 : 합판부10: system panel 100: plywood part

200 : 프로파일부 300 : 보강부200: profile portion 300: reinforcement portion

400 : 코너보강부 411, 421, 431, 441 : 제1 결합부400: corner reinforcing parts 411, 421, 431, 441: first coupling part

412, 422, 432, 442 : 제2 결합부 413, 423, 433, 443 : 연결판412, 422, 432, 442: second coupling portion 413, 423, 433, 443: connecting plate

414, 424, 434, 444 : 강도보강편414, 424, 434, 444: Strength reinforcement

Claims (11)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합판부;A plywood portion having one side contacted with concrete to be poured; 상기 합판부의 테두리부가 각각 안착되는 프로파일부;A profile part in which edge portions of the plywood part are respectively seated;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합판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로파일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부; 및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provided inside the profile part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part when concrete is poured; And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코너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Corner reinforcement system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rner reinforcement provided in each of the end of the profile portion to reinforce the end of the profil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합판부는 사각 형상을 갖는 합판부이며,The plywood portion is a plywood portion having a square shape,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합판부의 네 변이 각각 안착되는 네 개의 프로파일부이고,The profile part is four profile parts on which four sides of the plywood part are respectively seated, 상기 네 개의 프로파일부는 각각,Each of the four profile portions,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Body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클램프체결용 그루브; 및Clamping grooves are formed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상기 합판부의 어느 한 변이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합판부 안착용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a plywood part seating step formed in one end of the body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so that any one side of the plywood part is seat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로파일부에는,In the profile section,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타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시스템 폼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마찰방지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Corner-reinforced system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fric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adjacent system foa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코너보강부는,The corner reinforcement unit, 상기 네 개의 프로파일부 중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one end of any one of the four profile parts;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된 상기 프로파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A second coupling part extend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upled to one end of another profile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profile part to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is coupled; And 상기 제1 결합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a connecting plate inter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코너보강부는,The corner reinforcement unit, 상기 코너보강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면과 상기 제2 결합부의 일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강도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a strength reinforcing piece inter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inside the corner reinforcement pa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보강부는,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상기 시스템 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시스템 폼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프로파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수평재;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members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form and interconnecting two profile parts respectively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ystem form; 상기 제1 수평재의 하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시스템 폼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수평재; 및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members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form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상기 시스템 폼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ystem foam.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수평재와 상기 제2 수평재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수평재와 상기 제2 수평재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재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s interconnecting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평재 연결판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타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Corner plate reinforced system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ie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수평재의 좌우측 하면 및 상기 제2 수평재의 좌우측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타이로드 고정용 쐐기가 결합되는 다수의 쐐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a plurality of wedge engag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to which the tie rod fixing wedges are coupl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다수의 제1 수평재, 상기 다수의 제2 수평재 및 상기 다수의 수직재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members, the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합판부는,The plywood part, 합판;Plywood; 상기 합판의 일측면에 플라스틱을 융착하여 마련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플라스틱 융착부; 및A plastic fusion unit provided by welding plastic to one side of the plywood and having one side contacting the concrete to be poured; And 상기 합판의 타측면에 필름을 열압하여 접착되는 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And a film portion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ywood by hot pressing the film.
KR1020090040999A 2009-05-11 2009-05-11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KR101039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999A KR101039876B1 (en) 2009-05-11 2009-05-11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999A KR101039876B1 (en) 2009-05-11 2009-05-11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22A true KR20100122022A (en) 2010-11-19
KR101039876B1 KR101039876B1 (en) 2011-06-09

Family

ID=4340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999A KR101039876B1 (en) 2009-05-11 2009-05-11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8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60Y1 (en) * 2009-10-24 2012-04-25 (주)블루폼 System panel with height adjustment unit
KR20170050143A (en) * 2015-10-29 2017-05-11 서보산업 주식회사 Assembly type concrete mo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34B1 (en) * 2015-08-24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Assembly round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this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039B1 (en) * 1996-12-26 1999-09-01 정순착 Form and method for building concrete walls
KR100850801B1 (en) * 2008-02-21 2008-08-29 서보산업 주식회사 A concrete mold connect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60Y1 (en) * 2009-10-24 2012-04-25 (주)블루폼 System panel with height adjustment unit
KR20170050143A (en) * 2015-10-29 2017-05-11 서보산업 주식회사 Assembly type concrete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876B1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41B1 (en)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concrete
KR102217099B1 (en) Synthetic wood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improved durability by strengthening coupling structure
KR101348379B1 (en) The building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834006B1 (en)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KR101683196B1 (en) 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KR200456427Y1 (en) Inconer panel with advanced dimensional control
KR101039876B1 (en) System panel with reinforced corner part
KR101018411B1 (en) Beam side form for deep deck and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 concrete beam and slab for deep deck floor system thereof
KR101308053B1 (en)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KR101185149B1 (en) Panel for post and mold using the same
KR100860064B1 (en) A slab panel structure of joint type mold
KR101435004B1 (en) Spacer for Deck Plate
KR100761964B1 (en) A mold for constructing wall of concrete building
KR100586377B1 (en) Fiber Reinforced Composite Panel of Straight and Curved Tubular Profile Having Snap-Fit Connection and Connectors thereof
KR101152588B1 (en) Upper panel for SRC column
KR101308055B1 (en)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KR102120382B1 (en) Synthetic wood deck system with easy construction
KR200459960Y1 (en) System panel with height adjustment unit
US20230052980A1 (en) Formwork panel element and formwork system
KR200461421Y1 (en) Panel with cleaning hole
KR101310843B1 (en) Reinforcement panel and form assembly thereof
KR102599781B1 (en) Assembly type beam mold with a upper plate
KR101035423B1 (en) Timber steel beam and system panel using the same
KR20190001131U (en) Structure of a single line truss girder integrating insulation
KR101876141B1 (en) Recycling utility for beam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