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751A - 다목적 오거 - Google Patents

다목적 오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751A
KR20100121751A KR1020090040599A KR20090040599A KR20100121751A KR 20100121751 A KR20100121751 A KR 20100121751A KR 1020090040599 A KR1020090040599 A KR 1020090040599A KR 20090040599 A KR20090040599 A KR 20090040599A KR 20100121751 A KR20100121751 A KR 2010012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main body
hole
fram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900B1 (ko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이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석 filed Critical 이호석
Priority to KR102009004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4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inclined terrain; having means for stabilizing the vehicle while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4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digging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이나 주택 또는 기타 시설물보호 및 안전을 위하여 담장이나 휀스(fence)설치를 목적으로 땅의 흙을 일정한 크기의 작은 구덩이로 팔 때에는 오거(Auger)를 부착하여 작업을 실시하고 이와 반대로 콘크리트 바닥이나 타일바닥 등 단단한 바닥에 기둥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의 오거를 제거하고 다축드릴공구를 삽입하여 한번 에 다수개의 구멍을 동시에 뚫을 수 있도록 하여 두 가지 기능을 겸비한 것이며 또한 작업구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간편하게 구성한 다목적 오거 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이 간편하도록 바퀴를 설치한 프레임에 엔진을 장착한 본체를 기둥과 관착 시켜 핸들의 조작으로 상하로 조절하여 지면부터 파쇄 하여 서서히 흙을 분쇄하여 구덩이를 파거나 혹은 콘크리트바닥에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다축드릴로 교체하여 바닥 천공작업을 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엔진의 고속회전을 감속기어로 저감 회전 시킨 후 동력을 크러치를 이용하여 전달 또는 단절하여 회전봉이 관착된 동력 축 수평 기어를 회전시키고 이와 맞물린 오거축 수평 기어는 오거 회전봉이 삽입된 오거를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각각의 회전봉에 오거나 다축드릴로 교체 사용하되 두 가지 용도의 기능을 연장 동력선과 연결하여 높고 위험한 장소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종래의 작업방법과 비교해 사람의 인력에 의존하여 구덩이를 파거나 콘크리트 바닥에 일일이 하나하나 세심하게 구멍을 뚫는 비효율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신속하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다목적 오거 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 오거 , 동력전달 크러치 , 베어링

Description

다목적 오거 { Multipurpose Auger}
본 발명은 담장이나 휀스를 설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둥을 세우기 위하여 구덩이를 팔 때 자동으로 땅을 파낼 수 있도록 구성한 오거(Auger)의 기능과, 콘크리트 바닥이나 대리석 바닥에 기둥을 세우기 위하여 기둥을 고정하기위한 구멍을 뚫을 때 한번에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뚫을 수 있도록 구성한 다축드릴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겸하는 것으로 작업내용에 따라서 공구를 바꿔 사용 가능 하고 설비의 이동과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것으로 특히 단시간 내에 여러 군데의 구덩이를 파고자할 경우 효율적이며 간편하게 땅을 팔 수 있도록 한 오거의 기능과 종래의 방법으로 하나하나 세심하게 뚫어야 하던 것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간단한 핸들 조작으로 단번에 4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구성한 다축드릴 기능을 겸하는 다목적 오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대규모 공장이나 중요 시설물 보호 또는 간선도로의 난간 등 을 설치할 목적으로 콘크리트로 포장된 지면 위에 일정한 규격인 2m간격으로 4개씩의 구멍을 뚫고 나서 기둥을 세우고 나서 구멍에 앵커볼트를 체결하고 기둥을 설치해야만 하므로 오차없는 정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정확한 기둥설치를 위해서는 세심한 간격유지가 필요하며 기둥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여 간격이 다르게 뚫렸다면 체결하고자 하는 앵커볼트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둥 고정이 불가능하므로 다시 뚫어야만 하는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며 이와같이 작업의 내용상 일일이 하나하나 구멍을 뚫고 일정한 구멍 간격을 오차 없이 맞추기 위하여 구멍의 위치를 표시해놓고 세심하게 뚫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으로 인하여 매우 비효율적으로 작업이 실시되고 있다.
도한 기둥을 땅에 박고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기둥을 세우고자 하는 위치에 작은 구덩이를 파고 기둥을 세우고 나서 콘크리트로 되 메우기를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몇 개 되지 않는 소량의 기둥을 설치할 때는 종래의 방법으로 인력 에 의존 하여 삽과 곡괭이를 이용하여 구덩이를 파고 흙을 걷어내는 작업이 가능 하지만 대규모의 큰 공장 울타리나 간선도로 의 울타리 공사는 수 Km에 이르므로 사람의 인력에 의존하기에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어왔으며 파고자 하는 구덩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 사용은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으며 작은 구덩이를 파는데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좁은 작업 구간과 높은 절벽 에서는 위험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이 곤란하여 부득히 사람의 인력에 의존하여 실시되고 있으나 인력은 계절과 날씨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추운겨울에는 땅을 파거나 콘크리트 타공 작업은 곤란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종래의 방법으로 실시하는 비효율적인 구멍 뚫기와 구덩이 파는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오거및 다축드릴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동이 편리하도록 엔진 의 회전동력으로 바퀴를 구동하고 땅 의 흙을 일정한 크기의 작은 구덩이를 파고자 할 경우에는 오거를 부착하여 땅을 파내고 이와 반대로 콘크리트 바닥이나 타일바닥 등 단단한 바닥에 기둥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의 오거를 제거하고 다축드릴 공구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구멍을 한번에 정확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하였고 본체 의 각도와 지면의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하였으며 종래의 방법으로 사람의 인력에 의존하여 정확하지 못하고 비능률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구멍의 위치를 표시 하지 않고 곧바로 4개의 천공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작업환경에 따라서 평지와 경사진 언덕도 용이하게 이동하여 간편하고 능률적인 구덩이 파기 작업도 가능하므로 작업용도에 따라서 작업공구를 탈부착 하여 실시 가능하도록 구성 하였다.
또한 본체를 기둥과 관착시켜 핸들의 조작으로 상하로 조절하며 지면부터 파쇄하여 서서히 구덩이를 파거나 구멍을 뚫을수 있도록 하였으며 절벽이나 높은 장소의 위험한 절개지 등 에서도 작업 가능하고 중장비의 사용이 불가능한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도 용이하고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엔진의 회전출력을 이용하여 오거를 회전시켜 구덩이를 파거나 콘크리트 바 닥에 천공 작업을 적절히 작업공구를 교체하여 실시 가능하므로 종래의 비효율적인 방법과 같이 하나하나 일일이 마킹을 표시하고 세심하게 뚫어야 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다축드릴의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땅에 구덩이를 팔 경우 에는 오거를 사용하여 지면과 직각으로 접촉하며 서서히 저속회전하며 지면의 흙과 잡석 등을 파 해치고 분쇄하며 파들어 가면서 구덩이를 파기 때문에 종래의 인력에 의존하던 방법에 비하여 능률적이고 신속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제 1 도 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면 에서와 같이 ㄷ자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1)에는 외부회전축(2)이 돌출한 본체(4)와 엔진(3)과 조립되어 양측에 구비된 슬라이드(25)와 관착되고 본체(4)의 하단에는 나사 모양의 오거(5) 가 삽입 고정되었으며 프레임(1)의 상단과 하단 에 각각 고정되어있는 상부판넬(15)과 하부판넬(27) 사이에는 기둥(50)이 직립 고정하여 본체(4)뒤쪽 에 구비된 핸들(29)과 조립되고 상기의 엔진(3)의 동력 전달 수단인 크러치를 단속하는 스틱(21)과 바퀴(100)와 연결된 체인(33)의 회전 을 제어하는 미숀 스틱(73)이 본체(4)일 측에 구비되었고 바퀴(100)의 회전과 본체(4)의 상하움직임에 대응하는 연동 스프로켓(18)은 체인(33)이 항상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바퀴(100)와 직립되게 고정되었으며 프레임(1)앞쪽 하단에는 양측에 지면 고정 캡(75)과 캐스터(9)가 연접되었으며 하측에 가이드 (45)가 설치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다목적 오거는 담장이나 휀스를 설치 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의 기둥을 세워야 하거나 많은 수량의 구덩이를 팔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시 상기의 오거를 제거하고 다축드릴을 삽입하면 콘크리트 바닥이나 대리석 바닥 등 단단한 바닥에 기둥을 세우고자 4개의 구멍을 뚫을 때 한번 에 정확한 위치와 깊이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프레임(1)과 조립된 본체(4)에 장착한 10<HP>마력 엔진(3)에 시동을 걸면 분당 1800rpm의 고속회전이 되고 본체(4)내부의 기어 조립체를 통하여 회전속도가 약 1/6 수준인 300rpm으로 저감되며 회전력은 5배 이상의 높은 출력으로 증가된다.
이렇게 저속 회전하며 높은 파워를 가진 회전력은 본체(4)일 측에 돌출된 외부회전축(2)을 회전시키며 본체(4)의 하단에 삽입된 오거(5)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땅에 구덩이를 연속해서 파내야 하는 작업 여건상 엔진(3)의 동력은 정지하지 않고 오거(5)만 정지해야 하므로 본체(4)일측에 구비한 스틱(21)을 조작하여 크러치를 분리하면 엔진은 정상 가동 되고 회전동력은 차단되어 오거(5)의 회전을 정지 시킨다.
또한 크러치 차단으로 바퀴(100)를 회전시키는 체인(33)의 회전력 또한 정지되어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그리고 다시 스틱(21)을 조작하여 크러치를 연결하면 엔진(3)의 회전력이 크러치를 통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져 오거(5)가 회전하며 바퀴(100)와 연결된 체인(33)이 회전하며 프레임(1)이 다음작업 위치로 이동 하게된다. 이것은 건물 보호용 담장이나 휀스 설치용으로 기둥을 일정한 거리인 2m 간격으로 세워야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본체(4)를 인력에 의존하여 힘으로 밀거나 당겨서 이동하는 것이 아 니라 엔진의 힘으로 움직이는 것 이므로 효율적인 이동수단이 제공되며 다음 작업 지점에 도달하면 본체(4)의 일측에 구비한 미숀 스틱(73)을 조작하여 내부에 설치된 미숀 크러치를 분리하여 체인(33)의 회전을 정지하고 바퀴(10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작업 전 에 표시해두었던 구덩이를 파고자 하는 위치에 오거(5)를 위치 시킨후 지면의 굴곡 및 경사각을 감안하여 파쇄 작업시 프레임(1)이 흔들리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 하기위하여 캐스터(9)와 연접되어 직립한 지면고정캡(75)을 적절히 조절하여 경사진 지면과 수평이 유지되게 유지하되 지면과 약간 띄어서 캐스터(9)가 지면과 떨어지도록 하여서 오거(5)의 회전력에 프레임(1)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바퀴(100)와 지면 고정캡(75)으로 밀착하여 안정되게 설치 고정된 프레임(1)은 후면의 핸들(29)의 조작으로 기둥(50)과 슬라이드(25)로 관착된 본체(4)는 오거(5)를 회전시켜 땅을 파헤치며 서서히 기둥(50)과 프레임(1)의 수직파이프를 따라서 구덩이를 파들어 가고 본체(4)일측에 돌출한 스프로켓(30)과 연접한 체인(33)은 본체(4)의 하강 움직임에 따라서 항상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하고 연동 스프로켓(18)의 인장력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깊히로 만들어진 구덩이를 파내고 나면 프레임(1)양측에 구비한 슬라이드(25)는 파이프 하단에 고정된 가이드(45)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멈추게 되며 원하는 깊이 의 구덩이 최저점 에 도달 하였으므로 핸들(29)을 역회전 시켜 본체(4)를 상승하여 본래 의 위치로 복귀 한다.
첨부도면 제 2 도 에서는 본 발명의 측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 사시도로서 프레임(1) 일측에 직립한 기둥(50)과 본체(4) 일 측에 구비한 슬라 이드(25)가 핸들(29)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오거(5)가 회전하며 구덩이를 파고 내려갈 때 바퀴(100)와 연결된 체인(33)이 연동스프로켓(18)의 인장력으로 낮아지면서 본래의 인장력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체(4)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하여 프레임(1)의 최고점에 이른 것 과 오거(5)를 구덩이를 파내고 나서의 최저점 즉, 가이드(45)의 위치 점 과 의 거리에서 나타나는 체인(33)의 인장력 보강을 하기위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 이다.
한편 목표했던 위치의 구덩이 파는 작업이 완료되면 오거(5)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지면 고정캡(75)을 조절하여 캐스터(9)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서 프레임(1)을 지면에 안착 시킨 후 미숀스틱(73)을 조작하여 체인(33)을 연동시키면 바퀴(100)가 회전하며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 이다.
첨부도면 제 3 도 의 (가)는 다축드릴(98)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나)는 오거(5)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다)는 연장동력선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것 과 같이 본체(4)에 오거(5)를 장착하여 장소를 이동하며 땅에 구덩이를 파는 과정과 동작을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징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서 콘크리트 바닥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고자 할 때에는 상기의 오거(5)를 제거하고 다축드릴(98)을 삽입하여 일정한 장소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구멍을 뚫는 천공작업을 실시 할 수 잇는 것으로서 다축드릴(98)의 구조와 동작설명은 본 원인이 출원등록 한 실용신안 등록(제20-0438662호)과 공지의 다축드릴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다축 드릴회전축(7)을 중심으로 4개로 분할된 기어들과 각각의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장시킨 4개의 드릴척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고정한 드릴(99)로 구성한 것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거나 더 좋은 아이디어로 발전되고 있는 내용 이므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오거(5)의 구조 또한 특별한 기술적 구성이 아니라 생산현장 등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고 여러 가지 형태의 스크류가 개발되고 제작되어 사용 중인 공지의 기술이며 연장동력선(70)역시 이동식 잡초 제거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회전동력 전달수단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것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주안점을 두고 있는 이동이 간편한 프레임(1)에 본체(4)를 장착하여 실시하는 작업방식은 현장작업 환경이 여러 가지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절벽의 꼭대기 부근이나 높은 지대의 콘크리트 담장위에 기둥을 세우는 경우 본 발명의 장치를 가지고 갈 수 없는 상황에 직면 하게 된다.
따라서 절벽이나 높은 콘크리트 담장과 같은 위험한 장소에는 주변의 가깝고 안정된 장소에 본 발명의 장치를 위치시키고 본체(4)의 일측에 돌출된 외부회전축(2)에 상기의 연장동력선(70)을 연결하고 다축드릴(98)과 고정하여 높은 곳에 가지고 올라가서 천공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을 고려하고 있다.
첨부도면 제 4 도 에서는 받침판과 베어링의 조립상태를 알기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나열한 것으로 받침판 (40) 중앙에는 받침판 홀(46)이 천공되고 주변의 4개소에 받침판 고정홀(51)이 형성되었으며 좌측에는 귀두부에 좌측 써포트 고정 홀(67)이 타공된 ㄷ자형태의 좌측 써포트(61)가 구비되었으며 받침판(40)우측에는 귀두부에 우측 써포트 고정 홀(68)이 타공된 ㄷ자형태의 우측 써포트 (62)가 구비되 었고 양측 써포트 사이에는 각각 앵글(43)이 직립되어있다.
그리고 상기의 받침판(40)상에는 받침판 홀(46)과 일치되도록 중앙 에는 베어링 홈(47)이 형성되었고 주변의 가장자리에 4개소의 베어링 고정 홀(52)이 타공된 베어링(60)과 같은 두께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진 사각 스페이서(41)가 위치하며 베어링 홈(47)내경과같은 크기의 베어링(60)이 사각 스페이서(41) 중앙에 내장되고 상기 베어링(60)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마운트홀(48)이 구비되고 주변에 4개소의 마운트 고정홀(53)이 타공된 마운트(42)를 덮어씌우고 각각 4개소의 받침판 고정홀(51)과 베어링 고정홀(52), 마운트 고정홀(53)이 일치되게 조립하여 고정볼트(56)와 너트(57)로 고정하는 것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받침판(40)과 베어링(60), 사각 스페이서(41), 마운트(42)를 하나의 샌드위치와같이 일치되게 조립하여 실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첨부도면 제 5 도 에서는 본체에 조립된 찬넬의 조립상태와 돌출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 ㄷ자 형태를 가지고 있는 본체(4)의 좌측에는 다수개의 좌측 찬넬고정 홀(59)이 타공된 좌측찬넬(54)이 직립하여 구성되고 본체(4)우측에는 다수개의 우측 찬넬고정 홀(58)이 타공된 우측찬넬(55)이 직립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첨부도면 4도에서 설명한 샌드위치 조립체를 좌우측 찬넬(54)(55)에 삽입하여 각각의 구멍위치와 일치되게 조립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본체(4)중앙 하단에는 다축드릴 돌출구(81)와 오거 돌출구(91)가 형성되어 각각의 구멍에는 다축드릴 회전봉(80)과 오거 회전봉(90)이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첨부도면 제 6 도에서는 본체(4)의 내부 구조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이며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 본체(4)의 중앙에는 다축드릴 회전봉(80)이 직립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외부 회전축(2)이 직설 되었고 좌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의 좌측 써포트 고정 홀(67)이 나열되어 각각의 받침판(40)과 고정볼트(56)로 조립되었고 본체(4) 우측에도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의 우측 써포트 고정 홀(68)이 나열되어 받침판(40)을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다축드릴 회전봉(8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4개층으로 첨부도면 제4도에서 설명한 샌드위치 조립체를 수평 고정하고 있으며 회전 마찰력을 최소화 하고 정확한 직각이 되어 회전하도록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3)에서 전달되는 고속회전 운동에너지는 웜기어(12)를 거치고 회전기어(13)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속도는 웜기어와 회전기어의 감속비와 같은 1/6 수준으로 감속되어 300rpm정도로 저감되지만 회전 출력은 기어와 베어링의 마찰저항을 감안 하여 5배정도의 출력증가로 나타난다.
이것을 동력전달 크러치(34)를 통해 동력 전달하고 동력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스틱(21)이 상향 되도록 조작하면 맞물려 돌아가던 상하의 크러치는 서로 이탈되어 분리되면서 동력이 차단되고 스틱(21)을 하향되게 조작하면 서로 분리되어 상측의 크러치만 돌고 하측의 크러치는 정지된 상태에서 압력스프링(14)의 압력으로 순식간에 치합되어 일치되게 돌아가며 하단의 동력축 수평기어(65)를 회전시키고 다축드릴 회전봉(80)에 삽입된 다축드릴 회전축(7)을 회전 하도록 구성되어있 다.
첨부도면 제 7 도 에서는 본 발명의 동력 전달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열한 계통도로서 엔진(3)에서 발생되는 회전출력은 웜기어(12)를 고속회전 시키며 회전기어(13)와 치합 되어 크러치(34)를 통해서 동력축 수평기어(65)를 회전시키되 압력스프링(14)의 압력으로 치합되어 스틱(21)의 조작에 따라서 이탈되어 동력이 차단되었다가 연결되며 다축드릴 관착구(83)가 형성된 다축드릴회전봉(80)을 회전사키도록 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동력축 수평기어(65)와 맞물려 치합된 오거축 수평기어(76)는 오거 관착구(93)가 형성된 오거 회전봉(90)과 함께 수평 베벨기어(71)와 직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수직 베밸기어(72)를 회전시키고 미숀 스틱(73)이 조합된 미숀 크러치(74)를 통하여 연결된 스프로켓(30)을 따라서 회전하는 체인(33)을 돌려 바퀴(100)를 움직이도록 한 것으로 미숀 스틱(73)의 조작에 따라 프레임(1) 및 본체(4)를 작업장소가 변동할 때마다 이동하거나 정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 이다.
이렇게 배치된 본 발명의 다목적 오거는 다축드릴(98)작업 시 에는 다축드릴 관착구(83)에 다축드릴 회전축(7)을 삽입하고 오거(5)작업 시 에는 삽입 고정 되어있는 상기의 다축드릴(98)을 제거하고 오거 관착구(93)에 오거회전축(8)을 삽입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제 8 도 의 (가)는 본체(4)와 엔진(3) 그리고 슬라이드(25)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본체(4)와 기둥(50)의 상호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 기둥(50)과 연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본체(4)의 상측에는 상부 관통홀(6)이 구성되고 하측에는 하부 관통홀(11)이 구성되었으며 본체(4)중앙에는 베이스(23)가 연접되어 엔진(3)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1)의 수직파이프 와 관착 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25)는 내구성 보강을 위하여 브라켓(26)을 부착하였으며 본체(4)의 내부에 먼지나 기타 오물유입 차단과 안전을 위하여 상부커버(20)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나) 에서는 기둥(50)과 핸들(29)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위하여 나타낸 것으로 기둥(50)의 일 측에는 랙기어(35)가 기둥(50)과 같은 길이로 입설 되고 원통기어(36)는 핸들(29)과 연결된 핸들 기어(37)와 직각으로 치합 되고 상기의 랙기어(35)와 연접되어 핸들(29)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핸들기어(37)는 원통기어(36)를 회전시켜 본체(4)를 랙기어(35)를 따라 상향되거나 혹은 하향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내용의 기술을 이용하여 종래의 방법 과 같이 비효율적인 수단인 삽과 곡괭이를 사용하여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던 방식에서 벗어나 오거를 사용하여 능률적이며 신속한 작업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땅이 얼지 않는 평소는 물론 겨울철 동절기 때 땅이 얼어 있는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내용상 콘크리트 바닥에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상기의 오거를 다축드릴로 교체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종래의 인력에 의존하여 실시하던 작업효율에 비하여 탁월한 작업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다목적 오거 이다.
제 1 도 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 는 본 발명의 측면도
제 3 도 는 의 (가)는 다축드릴의 사시도
(나)는 오거 의 사시도
(다)는 연장 동력선
제 4 도 는 받침판과 베어링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열한 분해도
제 5 도 는 본체와 찬넬 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 는 본체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 7 도 는 본 발명의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계통도
제 8 도 의 (가)는 본체와 엔진 그리고 슬라이드의 조립상태를 설명 하기위한 분해도
(나)는 기둥과 핸들의 조립상태 를 나타낸 조립도.

Claims (1)

  1. 건물이나 시설물 보호를 위하여 설치하는 담장이나 휀스를 설치하는 목적으로 작은 구덩이를 파거나 콘크리트 바닥에 구멍 을 뚫어 기둥을 설치하는 것을 위하여 엔진의 회전동력을 이용한 오거 및 드릴에 있어서, 프레임(1)에는 외부회전축(2)이 돌출한 본체(4)가 엔진과 조합 되어 양측에 구비한 슬라이드(25)와 관착되고 프레임(1) 상단에는 상부판넬(15)이, 하단에는 하부판넬(27)이 설치되고 상 하부 판넬 사이에는 기둥(50)이 직립 고정되었으며 본체(4)뒤쪽에는 핸들(29)을 구비하여 기둥(50)과 연접한 랙기어(35)와 치합된 원통기어(36)는 핸들기어(37)와 일체로 조립되고 엔진의 동력전달 수단인 크러치(34)를 단속하는 스틱(21)과 바퀴(100)와 연결된 체인(33)의 회전을 제어하는 미숀 스틱(73)이 설치되고 바퀴(100)와 본체(4)의 상하이동에 대응하는 연동스프로켓(18)은 체인(33)의 인장력을 유지하고 프레임(1) 앞쪽 하단양측에는 각각 지면 고정캡(75)이 캐스터(9)와 연접되고 프레임(1)의 하측 에는 가이드(45)가 부착되었으며 위험 하고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시 외부회전축(2)과 연결하여 연장동력선(70)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받침판(40)중앙에 천공된 받침판 홀(46)과 주변의 4개소에 받침판 천공홀(51)이 형성되고 좌측 귀두부에 에 좌측 써포트 고정홀(67)이 타공된 ㄷ자 형태의 좌측 써포트(61)가 구비되었으며 받침판(40)우측에는 귀두부에 우측 써포트 고정 홀(68)이 타공된 우측 써포트(62)를 구비하고 양측 써포트 사이에는 각각 앵글(43)이 직립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받침판(40)에는 받침판 홀(46)과 일치되도록 중앙에는 베어링 홈(47) 이 형성되었고 주변의 가장 자리에 4개소의 베어링 고정홀(52)이 타공된 베어링(60)과 같은 두께의 정사각형의 사각 스페이서(41)가 위치하며 베어링 홈(47)내경과 같은 크기의 베어링(60)이 내장되고 베어링(60)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마운트 홀(48)이 구비되었으며 주변의 4개소에는 마운트 고정 홀(53)이 타공된 마운트(42)로 덮어서 서로 일치되게 조합하여 고정 볼트(56)와 너트(57)로 고정한 것을 하나의 샌드위치 와같이 조립하여 좌측은 본체(4)의 좌측에 구비한 다수개의 좌측찬넬 고정 홀(59)이 타공된 좌측찬넬(54)과 조립하고 우측은 본체(4)의 우측에 구비한 우측 찬넬 고정 홀(58)이 타공된 우측찬넬(55)과 일치되게 조립하였으며 상기의 웜기어(12)에서 감속된 회전출력은 다축드릴 관착구(83)가 형성된 다축드릴 회전봉(80)을 회전시키며 동력축 수평기어(65)와 맞물려 치합된 오거축 수평기어(76)는 오거 관착구(93)가 형성된 오거 회전봉(90)과 함께 수평 베밸기어(71)와 직각으로 치합된 수직 베밸기어(72)를 회전 시키고 미숀스틱(73)이 조합된 미숀 크러치(74)를 통해 연결된 스프로켓(30)을 회전시켜 바퀴(100)를 움직여 프레임(1)을 이동해 가면서 콘크리트 바닥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을 때 에는 다축드릴 관착구(83)에 다축드릴 회전축(7)을 삽입하여 실시하고 땅에 구덩이를 팔 때에는 현재 삽입 고정 되 있는 다축 드릴(98)을 제거하고 오거 관착구(93)에 오거 회전축(8)을 삽입하여 실시하는 두 가지의 기능을 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오거 이다.
KR1020090040599A 2009-05-11 2009-05-11 다목적 오거 KR101068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599A KR101068900B1 (ko) 2009-05-11 2009-05-11 다목적 오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599A KR101068900B1 (ko) 2009-05-11 2009-05-11 다목적 오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751A true KR20100121751A (ko) 2010-11-19
KR101068900B1 KR101068900B1 (ko) 2011-10-04

Family

ID=4340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599A KR101068900B1 (ko) 2009-05-11 2009-05-11 다목적 오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6217A (zh) * 2017-12-05 2018-04-20 丰县赵庄镇农业技术推广服务中心 一种林业用植物挖坑装置
CN108222829A (zh) * 2017-12-07 2018-06-29 珠海巧力林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单人操作移动式挖坑机
CN109548433A (zh) * 2018-11-26 2019-04-02 杨智杰 挖坑机移动架
CN113502863A (zh) * 2021-08-11 2021-10-15 金山 一种建筑施工用基坑直道开挖装置
CN116235663A (zh) * 2023-04-17 2023-06-09 河南中林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园林绿化工程种植挖坑机
CN116235663B (zh) * 2023-04-17 2024-05-31 河南中林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园林绿化工程种植挖坑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020A (zh) * 2019-07-30 2019-11-05 山东鹿德驰机械有限公司 新型四边形打孔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24B1 (ko) 2006-04-19 2007-02-02 (주)성헌 공작기계용 다축헤드
KR200438662Y1 (ko) 2007-04-06 2008-02-28 이호석 다 축 드 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6217A (zh) * 2017-12-05 2018-04-20 丰县赵庄镇农业技术推广服务中心 一种林业用植物挖坑装置
CN107926217B (zh) * 2017-12-05 2023-09-08 丰县赵庄镇农业技术推广服务中心 一种林业用植物挖坑装置
CN108222829A (zh) * 2017-12-07 2018-06-29 珠海巧力林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单人操作移动式挖坑机
CN108222829B (zh) * 2017-12-07 2024-04-09 珠海巧力林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单人操作移动式挖坑机
CN109548433A (zh) * 2018-11-26 2019-04-02 杨智杰 挖坑机移动架
CN113502863A (zh) * 2021-08-11 2021-10-15 金山 一种建筑施工用基坑直道开挖装置
CN116235663A (zh) * 2023-04-17 2023-06-09 河南中林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园林绿化工程种植挖坑机
CN116235663B (zh) * 2023-04-17 2024-05-31 河南中林生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园林绿化工程种植挖坑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900B1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900B1 (ko) 다목적 오거
RU2597420C1 (ru) Сборная винтовая свая,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винчивания сборной винтовой сваи
JP2006118336A (ja) 錐状螺旋杭
CN109085014B (zh) 一种岩土高效率采样装置及采样方法
KR20120136767A (ko) 다목적 오거
CN202100192U (zh) 一种螺旋地桩钻机
KR100921176B1 (ko) 1축 내지 4축의 굴착로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다축 교반굴착기
CN112095598A (zh) 一种用于建筑工程桩基建设的两用式桩机
CN215726963U (zh) 一种公路工程用土壤取样装置
CN214408128U (zh) 一种土木工程用取样装置
JP2012112189A (ja) 連結装置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雨水浸透坑掘削装置
KR101844563B1 (ko) 정역구동이 가능한 지반 천공기
JP2004092205A (ja) 軽量ボーリング装置
JP2016010187A (ja) 太陽光パネル架台用基礎杭
KR20090051903A (ko) 수평 굴착기
KR100506151B1 (ko) 드릴비트의 회전장치
US9797199B1 (en) High speed precision guide device for creating holes for piles or other support members
CN212837583U (zh) 一种建筑工程混凝土管桩掏桩装置
JP2006207287A (ja) 螺旋杭と杭打ち法
CN216381210U (zh) 具有驱动机构的土层岩石钻进机
CN216197883U (zh) 边坡加固锚索成孔跟管钻具
CN216277680U (zh) 一种建筑施工用打桩装置
JP3010712U (ja) 植栽樹木の支柱埋設用穿孔機
CN215105206U (zh) 一种用于深处取土的简易取土装置
CN220487485U (zh) 一种预制桩施工成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