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692A -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692A
KR20100121692A KR1020107022406A KR20107022406A KR20100121692A KR 20100121692 A KR20100121692 A KR 20100121692A KR 1020107022406 A KR1020107022406 A KR 1020107022406A KR 20107022406 A KR20107022406 A KR 20107022406A KR 20100121692 A KR20100121692 A KR 20100121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wearer
insole
heel
a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와드 제이. 다난버그
Original Assignee
에이치비엔 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비엔 슈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이치비엔 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12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9/00Shoe-shaped inserts; Inserts covering the inste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뒤꿈치뼈의 전방 모서리 아래에 놓인 영역에 초승달 형상의 제1 융기 영역과 착용자의 종족골 아래에 놓인 제2 융기 영역을 갖는 하이힐용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를 이용하여 구두를 구성하는 방법과 이렇게 얻어진 구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본 발명은 용이하게 구성되고 구두의 맞음새나 모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착용자에게 더 큰 편안함을 제공하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이힐과 관련하여 유용성을 갖는다.
종래의 하이힐은 아주 불편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 표본 조사 정보에 따르면, 이런 구두의 사용자 중 많게는 20%가 착용 직후 구두에 관련된 족통을 경험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착용 후 적게는 네 시간이면 이런 통증을 경험한다고 한다.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발의 해부 모형과 기본적인 구두의 구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1은 족골들과 발바닥의 아래에 놓이는 구두의 부분들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발의 해부 모형과 구두 구조의 기본사항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사람의 발(10)이 갖는 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측면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상, 후방이라 함은 발 또는 뒤꿈치(20)의 후방 방향을 의미하고, 전방이라 함은 발가락 또는 지절골(31)이 위치되는 발(30)의 전방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이라 함은 발에서 족궁(40)이 위치된 측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발의 외부측을 의미하고, 상부 또는 상부면 그리고 저부 또는 바닥 또는 아래라 함은 발이나 구두가 수직한 위치에 있을 때의 배향을 가정한다.
뒤꿈치(20)[족골(tarsus)로도 알려짐]는 거골(21)과 종골(22)을 포함한다. 종골(22)의 후방 하부면은 종골조면으로도 알려진 약간의 융기체(23)를 갖는다. 또한, 족골들은 주상골(41), 설상골(42), 중족골(45)들 및 도1에 도시된 엄지발가락(31)과 같은 지절골 또는 발가락을 포함한다. 중족골 헤드(46)는 중족골 샤프트(47)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다. 종족골들은 1에서 5의 번호가 매겨지는데, 1은 엄지발가락을 지시한다.
또한, 도 1에는 발바닥 아래에 놓인 종래의 하이힐(50)의 여러 부위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두(50)는 일반적으로 구두(50)의 구두창(52)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뒷굽(51)을 갖는데, 이때 구두창(52)은 다시 안창(53)을 지지하고 안창(insole board)(53) 위에는 내피(sock liner)(54)가 배치된다. 종래의 구두에서, 안창은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뒤꿈치 아래에 놓인 영역으로부터 중족골들의 두부위까지 비교적 강성 구조로 되어 있다. 내피는 공통적으로 아주 유연하고 일반적으로 아주 얇은 두께, 통상적으로 0.5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내피는 일반적으로 발바닥이 안착되는 표면이다.
종래의 구두 구성 방법에 따르면, 구둣골은 구두를 구성할 때 구두를 놓는 형틀이다. 제조 동안, 구둣골의 하부면이 안창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뒤이어 갑피가 구둣골 주위에서 형상을 갖게 되어 안창에 부착된다. 최적의 상태로서, 구둣골의 하부면과 안창의 상부면은 구두를 적절히 제조하기 위해 서로 원활하게 맞아야 한다. 각각 구둣골의 하부면이나 안창의 상부면에 여하한 철면체라도 있을 경우, 안창이나 구둣골에는 각각 대응하는 요면체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고품질 구두 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런 철면체와 이에 대응하는 요면체가 구두 제조 동안 조심스럽게 정렬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구두 제조에 또 다른 난이성 및/또는 품질 제어 문제를 일으킨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하이힐은 착용자의 발을 주로 경사면 상에 배치한다. 그 결과, 발은 서 있거나 보행할 때 중력에 의해 족지 공간 내로 전방 가압된다. 이는 결국 볼이나 앞발 영역에 힘을 가해서 발과 신체의 기타 영역에 피로와 불편감을 줄 뿐만 아니라 주로 이들 발의 영역이 불타는 듯한 느낌을 증가시키는 발가락 끼움을 일으킨다.
하이힐의 편안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종래 특허 및 공보물에 개시된 제안을 포함한 수많은 제안이 제시되었다. 예컨대, 현대 족부의학(Current Podiatirc Medicine) 1990년 2월 논문 제29면 내지 제32면에서, 본 출원인은 뒤꿈치 아래에 있는 구두 부분이 족궁 아래로 발의 볼까지 이어지는 연속 경사를 형성하지 않고 뒤꿈치 아래에 놓인 부분이 지면에 대해 비교적 평행한 하이힐 설계를 설명했다. 본 설계는 뒤꿈치를 수용하도록 찻종 모양으로 되고 뒤꿈치를 바닥에 보다 평행한 평면에 두도록 경사진 강성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속창을 사용했다. 또한, 성형된 속창에는 중족골 패드가 합체되었다.
미국 특허 제5,373,650호에서 본 출원인은 뒤꿈치 아래에 놓이는 교정물을 제안했다. 교정물은 뒤꿈치 아래에 놓이는 강성 또는 반강성의 셸로서 족궁 지지부와 함께 발의 중족골 헤드 뒤쪽 지점까지 전방 연장된다. 본 장치에서 뒤꿈치는 지면에 평행하게 지지되거나 후방으로 약간 경사진다.
미국 특허 제5,782,015호에서 본 출원인은 뒤꿈치가 정강이뼈 평면에 대해 보다 평행하거나 약간 하향 경사진 각도를 이루고 구두가 대략적으로 착용자의 뒤꿈치뼈와 동일 평면에 있는 주상골의 헤드를 지지하는 궁형 지지부를 갖는 하이힐 설계를 설명했다. 1998년 4월 9일 공개된 본 출원인의 PCT 국제공개 WO 98/14083호는 힐컵과 해부학적으로 형성된 궁형 장치를 포함하는 강성의 성형 장치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는 하이힐의 편안감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예들이 존재한다. 미국 특허 제1,864,999호, 제1,907,997호, 제4,317,293호, 제4,631,841호, 제4,932,141호, 제4,686,993호 및 제6,412,198호는 각각 하이힐의 편안감을 개선하기 위한 구두 인서트 또는 교정물을 설명한다. 이들 중 일부는 궁형 지지부를 포함한다. 어떤 것은 강성이고 다른 것들은 편안감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쿠션을 제안한다. 종래의 인서트와 교정물은 통상적으로 부피가 비교적 크고 제조후 착용자에 의해 부착될 때 구두의 맞음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착용자 편안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다른 종래 기술들은 구두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각각의 구둣골이 구두 자체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개조될 것을 요한다.
이들 종래의 구성은 전방 미끄럼을 줄이고 발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 의해 지탱되는 착용자의 체중의 비율을 변경시키기 위해 발의 부분들을 지지하거나 이들 부위에 쿠션을 줌으로써 그리고/또는 발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편안감을 개선한다. 이들 종래 기술에서는 특히, 체중을 뒤꿈치 쪽으로 후방 이동시키기 위해 보다 고른 평면 상에 뒤꿈치를 배치하고 족궁을 지지하고 발가락을 상향 경사지게 하고 그리고/또는 체중이 가장 많이 실리는 표면에 쿠션을 줄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어떤 모양의 구두에도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고 구둣골의 개조와 이에 수반되는 제조의 난이성을 요하지 않고 구두에 합체될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구두 인서트를 제공한다. 인서트는 뒤꿈치와 중족골 아래에 두 개의 약간 융기된 영역을 갖는다. 비록 인서트는 단지 두 개의 약간 융기된 영역을 가지만, 아주 뾰족한 뒷굽인 경우에도 착용자 편안감을 크게 증가시킨다. 인서트는 일부 종래 기술과 달리 뒤꿈치가 바닥에 평행한 평면에 재배치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두 개의 약간 융기된 영역 외에, 인서트는 아주 얇게 제조될 수 있음으로 해서, 구두의 맞음새에 대한 어떠한 영향도 최소화하고 구두의 모양이나 외양에 대한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제거한다. 변형예로서, 얇고 유연한 인서트는 착용자에 의해 구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힐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장치와 본 장치를 이용하여 구두를 구성하는 대응 방법이 제공된다. 장치는 (a) 적어도 종골조면의 전방 영역에서 종골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되 상부면이 장치 후방으로부터 종골조면의 전방 영역 아래에 놓인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후방 영역과, (b) 중족골 샤프트들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되 상부면이 제2 및 제3 중족골의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전방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연결하는 가교 또는 중간 영역을 가지며, 장치는 유연하며, 장치의 상부면은 모든 영역 사이에 매끄러운 윤곽을 이룬다. 본 발명의 장치의 특징과 장점은 장치가 구두나 구둣골을 달리 개조할 필요없이 종래의 하이힐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구두는 제조 과정에 구두 내로 장치를 합체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거나 장치는 착용자에 의해 제조 후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족골들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와 발바닥 아래에 놓인 종래의 하이힐의 부분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이다.
도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를 Ⅲ-Ⅲ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4는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Ⅳ-Ⅳ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5는 족골들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가 삽입된 발바닥 아래에 놓인 종래의 하이힐의 부분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편안감을 개선하고 하이힐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하이힐은 약 2.54 ㎝(1 인치) 이상의 뒷굽을 갖는 모든 신는 것들을 포함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잇점은 융기 영역이 중족골 샤프트와 뒤꿈치 아래에 놓이도록 구두에 배치될 때 달성된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하이힐의 안창이나 내피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장치가 배치되는 안창이나 내피의 상부면에 용이하게 순응되기에 충분히 유연하다. 장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고 성형되거나 형상화될 수 있고 일반적인 구두 사용 조건 하에서 유연한 장치를 제조하면서도 본 발명의 잇점을 보유하기에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보유하는 여하한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적어도 (ⅰ) 종골조면의 모서리로부터 종골조면 바로 전방에 있는 뒤꿈치 부분까지 연장되는 뒤꿈치의 부분과 (ⅱ) 제2 및 제3 중족골 샤프트 아래의 영역 아래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장치는 이들 영역을 넘어 연장될 수 있고 안창이나 내피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장치는 내피 아래에 배치될 때 내피보다 좁다. 이러한 좁은 크기는 내피의 모서리가 본 발명의 장치의 모서리를 따라 안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구두의 모양에 따라 이런 좁은 구성이 특히 바람직할 것이다.
장치는 두 개의 뚜렷한 융기 영역, 즉 착용자의 종골조면의 전방 영역에서 종골조면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종골 아래에 놓인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융기하는 제1 선명 융기 영역과, 그 정점이 제2 및 제3 중족골 샤프트들 아래에 또는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발의 중족골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구두 내에 위치되는 제2 선명 융기 영역을 갖는다. 제1 및 제2 융기 영역은 가교 또는 중간 영역에 의해 연결된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좁다와 넓다라는 것은 구두 또는 장치의 측면 치수를 의미하고 융기, 하강, 두께, 깊이 또는 높이라는 것은 장치의 수직 치수를 의미함을 이해해야 한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100)는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고무(TPR), 염화 폴리비닐(PVC)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와 같이, 예컨대 성형 가요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가요재로 형성된다. 장치의 융기 영역은 20 내지 90 사이의 쇼어 A 경도,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50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전체 장치가 동일한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장치(100)는 중족골 단부(110)와 뒤꿈치 단부(120)를 갖는다. 장치는 두 개의 융기 영역(130, 140)을 갖는다. 후방 영역에 위치된 제1 융기 영역(130)은 일반적으로 초승달 형상이고 착용자의 뒤꿈치뼈 또는 종골(22)의 종골조면(23) 바로 전방에 있는 영역 아래에 놓이도록 구두 내에 위치된다. 초승달 형상의 제1 융기 영역(130)은 초승달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되도록 장치 후방으로부터 융기한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 후방으로부터 융기하는 융기 영역이라 함은 융기 방향과 초승달의 배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치가 종골조면을 넘어 후방 연장될 때, 융기 영역은 장치의 단부로부터 시작될 필요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단부로부터 시작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제2 융기 영역(140)은 전방 영역에 위치되고 착용자의 중족골 샤프트(47)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융기 영역의 정점은 제2 및 제3 중족골 샤프트 아래에 또는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융기 영역은 중족골 헤드의 방향 쪽으로 정점까지 융기하는 일반적으로 곡면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한다. 전방 융기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뒤꿈치 단부(120) 쪽으로 위치되는 얇은 외관과 전방 단부(110) 쪽으로 위치되는 넓은 외관을 갖는다.
융기 영역들의 정점들은 바람직하게는 중족골 샤프트들 아래의 전방 융기 영역의 바로 전방에 있고 종골 아래의 융기 영역 바로 후방에 있는 장치의 상부면보다 2 내지 8 mm 높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점들은 유사한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정점은 하이힐의 높이가 높을수록 높고 하이힐의 높이가 낮을수록 낮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정점은 구두의 크기가 작을수록 낮고 구두의 크기가 클수록 높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정점은 뒷굽 높이가 2.54 내지 12.7 ㎝(1 내지 5 인치)인 미국 크기 1호 여자용 구두의 경우 대략 3 ㎜이고 미국 크기 16호(또는 예컨대, 영국, 유럽 및 일본 구두 크기 척도에서 동등한 크기) 여자용 구두의 경우 대략 6 ㎜이다. 융기 영역에 의해 덮힌 면적도 구두 크기에 따라 변하는데, 면적의 크기는 길이 및/또는 폭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통상적으로, 높이와 면적 모두에 있어 융기부의 크기는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구두의 길이와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반 비례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구두 크기에 대한 비율에 따라 정해진다. 그러나, 작은 범위의 크기는 장치에 관련된 편안감 개선도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동일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달성된 편안감에 대한 제한 요소는 두 융기 영역의 정점 위치, 즉 종골의 아래에 있지만 종골조면 전방에 있는 영역과 중간 중족골 아래에 있지만 중족골 헤드 후방에 있는 영역의 위치인 것처럼 보인다.
장치의 기단부와 말단부, 즉 뒤꿈치의 이면 아래와 융기 영역(140)의 전방은 융기 영역보다 얇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기단부와 말단부는 안창의 상부면을 감싸는 갑피의 상부면과 같은 높이가 되는 깊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기단부와 말단부는 또한 안창의 표면에 놓인 갑피의 모서리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영역에 어느정도 일치하는 형태가 된다. 장치의 기단부와 말단부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0.2 내지 1 ㎜의 두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융기 영역(130)과 제2 융기 영역(140) 사이에 있는 장치의 가교 또는 중간 구역 또는 영역은 융기 영역보다 얇다. 이 영역의 두께는 부분적으로 구두의 제조 공정 동안 구조적 통일성의 문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보다 강한 재료를 사용하는 이 영역은 1 ㎜이하일 수 있으며, 이상적으로 1 ㎜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교 또는 중간 구역 또는 영역은 두께가 융기 영역(130, 140)보다 얇아야만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약 4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국 크기 6인 여자용 구두의 경우 약 2 ㎜이고 미국 크기 10(또는 그 밖의 크기 비율에서 동등한 크기)인 여자용 구두의 경우 약 3 ㎜이다. 이렇게 가교 또는 중간 영역이 얇을수록 장치는 보다 용이하게 내피의 형상에 맞춰질 수 있게 된다. 이런 가교 또는 중간 영역의 최소 폭은 또한 최적의 최소 폭이 전방 및 후방 영역의 구조를 서로에 대해 유지하는 폭으로 하는 제조시 고려 사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최대 폭은 구두의 외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폭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가교 또는 중간 영역은 안창보다 얇으며, 장치의 단부와 마찬가지로, 가교 또는 중간 영역은 안창 둘레를 감싸고 일반적으로 안창 상에서 갑피의 모서리들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형상에 일치하는 갑피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놓인다. 도6은 전방 영역(210)과 중간 또는 가교 영역이 후방 영역(220)보다 얇은 장치의 변형예(200)를 도시한다. 전방 정점은 요소(240)이고 후방 정점은 요소(230)이다.
종래기술의 내용과 달리, 본 발명의 장치 내에서 착용자의 족궁을 지지하기 위한 융기 영역을 제공하기 보다 족궁 아래에 놓인 가교 또는 중간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가 제1 및 제2 융기 영역(130, 140)의 정점보다 얇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즉, 종래의 족궁 지지부가 일반적으로 구두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곳에서 족궁 아래에 놓인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인접 영역보다 낮거나 우묵하게 되어 족궁의 일부가 지지되지 않는 상태로 둔다.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상부면은 불편감을 줄 수 있는 날카로운 전이부나 모서리가 없이 매끄러운 윤곽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융기 영역의 정점과 장치의 주변 영역 사이의 전이부는 매끄럽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 융기 영역이 합체된 하나의 유연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장치가 상술한 융기 영역 중 하나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장점을 함께 달성하는 두 개의 분리된 유연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융기 영역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을 구현하고 다른 융기 영역을 합체한 구두 또는 구두 부분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하나의 유연한 장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장치의 실시예들 중 어떤 것이 합체된 구두들을 제공한다.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제조 공정 동안 구두(50)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갑피, 안창 및 구두창을 조립하는 단계와, (b) (ⅰ) 종골조면의 전방 모서리의 전방 영역에서 종골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되 상부면이 장치 후방으로부터 종골조면의 전방 영역 아래에 놓인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후방 영역과 (ⅱ) 중족골 샤프트들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되 상부면이 중족골 헤드 뒤쪽 위치로부터 제2 및 제3 중족골의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전방 영역과 (ⅲ) 상기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연결하는 가교 또는 중간 영역과 (ⅳ) 모든 영역 사이에서 매끄럽게 전이되는 상기 장치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유연한 장치를 안창 상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c) 안창과 장치에 내피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힐 구성 방법도 제공한다. 이들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는 제조자의 선택에 따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구두(50)의 안창(53) 위에 배치되고, 내피(54)가 안창의 상부면과 장치(100)에 부착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예컨대, 제조후 안창(53)이나 내피(54) 위에 배치됨으로써, 제조후 또는 판매후 설치될 수 있다. 장치(100)는 아교, 감압성 접착제(PSA), 예컨대 벨크로(등록상표)(Velcro®)와 같은 찍찍이(hook and loop) 또는 못이나 압정과 같은 기계식 체결구와 같은 수단을 통해 안창(53)과 내피(54)에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치의 융기 영역을 적소에 유지시키는 모든 가능한 수단이 구두 내에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장치(100)는 내피와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으며 내피와 일체일 수 있다.
장치의 용이한 적정 배치를 위해, 장치에는 장치를 배향시키는 표식이나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표식은 화살표일 수 있으며, 장치 자체에 장치를 배향시키는 역할을 하는 점이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융기 영역은 별개의 조각으로 제조되어 개별적으로 구두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의 두 융기 영역 사이의 영역은 안창이나 내피와 일체화되고 유연할 필요는 없다. 다른 제조 변형예는 융기 영역 중 하나를 안창에 합체시키는 것이며 합체된 융기 영역도 유연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변형예는 내피에 융기 영역들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합체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용이한 제조를 위해, 분리된 융기 영역들이 가교 또는 중간 구역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장치가 바람직하다. 모든 경우, 구두의 안창 위에 장착되는 장치의 부분들은 이들 부분이 장착되는 안창의 상부면에 쉽게 순응하도록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 기술보다 우수한 뜻밖의 장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후방 융기 영역은 단지 수 밀리미터의 높이를 갖지만, 장치는 발이 지탱하는 무게를 뒷굽 쪽으로 그리고 발바닥의 볼 밖으로 상당량 이동시키도록 만든다. 그 결과, 장치는 하이힐의 착용과 관련된 발가락 통증과 일반적인 하요통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하이힐의 착용에 고질적인 족통은 즉석 장치를 사용하여 완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목을 재배치한다.
또한, 본 장치는 종래의 구두 제조에 사용되는 구둣골의 개조를 조금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본 장치는 제조자나 착용자에 의해 종래 방식으로 구성된 구두에 간단히 배치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실질적으로 구두 내부에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구두의 맞음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발에 유용한 공간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Claims (19)

  1. 구두창, 갑피 및 안창을 갖는 하이힐에 있어서,
    안창 상에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a. 제1 상부면을 갖고, 종골조면의 모서리 전방에 있는 착용자의 종골의 적어도 일부 영역 아래에 놓인 안창 부분 상에 위치된 후방 영역으로서, 제1 상부면 영역은 장치 후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정점은 종골조면 바로 전방에서 종골의 상기 영역 아래에 놓인, 후방 영역과,
    b. 제2 상부면을 갖고, 착용자의 중족골의 샤프트들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놓인 안창 부분 상에 위치된 전방 영역으로서, 전방 영역의 제2 상부면은 착용자의 제2 및 제3 중족골의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전방 영역과,
    c. 전방 및 후방 영역보다 얇고,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연결하며, 매끄러운 윤곽을 이루는 제3 상부면을 갖는, 중간 영역을 포함하고,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지탱하는 무게를 뒤꿈치 쪽으로 그리고 발의 볼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힐.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 영역의 융기부의 정점은 융기부 바로 전방의 표면에 비해 2 내지 8 ㎜ 높고,
    전방 영역의 융기부의 정점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구두의 크기와 높이에 비례하여 사이즈가 조정되는
    하이힐.
  3. 제2항에 있어서,
    전방 영역의 융기부의 정점은 미국 사이즈 1호 여성 구두용 3 ㎜에서 미국 사이즈 16호 여성 구두용 6 ㎜까지의 범위에 있는
    하이힐.
  4. 제1항에 있어서,
    후방 영역의 융기부의 정점은 융기부 바로 후방의 표면에 대해 2 내지 8 ㎜ 높고,
    후방 영역의 융기부의 정점의 높이는 구두의 크기와 높이에 비례하여 사이즈가 조정되는
    하이힐.
  5. 제4항에 있어서,
    후방 영역의 융기부의 정점은 미국 사이즈 1호 여성 구두용 3 ㎜에서 미국 사이즈 16호 여성 구두용 6 ㎜까지의 범위에 있는
    하이힐.
  6. 제1항에 있어서,
    전방 융기부는 착용자의 중족골 헤드 쪽으로 넓어지고 종족골 샤프트들의 후방 쪽으로 테이퍼되는 형상을 갖는
    하이힐.
  7. 제6항에 있어서,
    전방 융기부는 타원체 형상인
    하이힐.
  8.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이 있는
    하이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부분은 장치의 중앙측으로부터 장치의 측면측으로 연장되는
    하이힐.
  10. 제1항에 있어서,
    융기부들은 장치에서 가장 두터운 부분들이고,
    전방 및 후방 영역의 융기부들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
    하이힐.
  11. 제1항에 있어서,
    융기부와 융기부로부터 장치의 나머지 부분으로의 변화부 이외의 장치의 모든 부분은 두께가 0.5 내지 1 ㎜인
    하이힐.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융기부들은 20 내지 9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하이힐.
  1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융기부들은 35 내지 5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하이힐.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융기부들은 약 4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하이힐.
  15.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장치는 전체적으로 대략 동일한 쇼어 A 경도를 갖는
    하이힐.
  16. 구두창, 갑피 및 안창을 갖는 하이힐에 있어서,
    안창 상에 장착된 가요성이 있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a. 제1 상부면을 갖고, 종골조면의 모서리 전방에 있는 착용자의 종골의 적어도 일부 영역 아래에 놓인 안창 부분 상에 위치된 후방 영역으로서, 제1 상부면은 장치 후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정점은 종골조면 바로 전방에서 종골의 상기 영역 아래에 놓인, 후방 영역과,
    b. 제2 상부면을 갖고, 착용자의 중족골의 샤프트들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놓인 안창의 부분 상에 위치된 전방 영역으로서, 전방 영역의 제2 상부면은 착용자의 제2 및 제3 중족골의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전방 영역과,
    c. 전방 및 후방 영역의 정점들보다 얇고,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연결하며, 매끄러운 윤곽을 이루는 제3 상부면을 갖는, 중간 영역을 포함하고,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지탱하는 무게를 뒤꿈치 쪽으로 그리고 발의 볼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힐.
  17. 구두창, 갑피 및 안창을 갖는 하이힐에 있어서,
    안창 상에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a. 제1 상부면을 갖고, 종골조면의 모서리 전방에 있는 착용자의 종골의 적어도 일부 영역 아래에 놓인 안창 부분 상에 위치된 후방 영역으로서, 제1 상부면은 장치 후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정점은 종골조면 바로 전방에서 종골의 상기 영역 아래에 놓인, 후방 영역과,
    b. 제2 상부면을 갖고, 착용자의 중족골의 샤프트들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놓인 안창 부분 상에 위치된 전방 영역으로서, 전방 영역의 제2 상부면은 착용자의 제2 및 제3 중족골의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전방 영역과,
    c. 전방 및 후방 영역보다 얇고,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연결하며, 매끄러운 윤곽을 이루는 상부면을 갖는, 중간 영역을 포함하고,
    장치는 20 내지 90의 쇼어 A 경도를 갖고,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지탱하는 무게를 뒤꿈치 쪽으로 그리고 발의 볼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힐.
  18. 구두창과, 갑피와, 착용자의 중족골 샤프트들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놓이는 전방 영역을 갖는 안창을 구비한 하이힐로서, 상기 전방 영역의 제1 상부면은 착용자의 제2 및 제3 중족골의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하이힐에 있어서,
    착용자의 종골조면의 모서리 전방에 있는 착용자의 종골의 적어도 일부 영역 아래에 놓인 안창 영역 내의 안창 상에 장착된 가요성이 있는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의 제2 상부면은 장치 후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정점은 종골조면 바로 전방에서 종골의 상기 영역 아래에 놓이고,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지탱하는 무게를 뒤꿈치 쪽으로 그리고 발의 볼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힐.
  19. 구두창과, 갑피와, 착용자의 중족골 샤프트들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놓이는 전방 영역을 갖는 안창을 구비한 하이힐로서, 상기 전방 영역의 제1 상부면은 착용자의 제2 및 제3 중족골의 샤프트들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하이힐에 있어서,
    착용자의 종골조면의 모서리의 종골 전방의 적어도 일부 영역 아래에 놓인 안창 영역 내의 안창 상에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의 제2 상부면은 장치 후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의 정점까지 점차 상승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정점은 종골조면 바로 전방에서 종골의 상기 영역 아래에 놓이고,
    장치는 20 내지 90의 쇼어 A 경도를 갖고,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지탱하는 무게를 뒤꿈치 쪽으로 그리고 발의 볼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힐.
KR1020107022406A 2004-10-13 2004-10-13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KR20100121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4/033795 WO2006043923A1 (en) 2004-10-13 2004-10-13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683A Division KR101170196B1 (ko) 2004-10-13 2004-10-13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692A true KR20100121692A (ko) 2010-11-18

Family

ID=349591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406A KR20100121692A (ko) 2004-10-13 2004-10-13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KR1020077010683A KR101170196B1 (ko) 2004-10-13 2004-10-13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683A KR101170196B1 (ko) 2004-10-13 2004-10-13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809134A1 (ko)
JP (1) JP4685874B2 (ko)
KR (2) KR20100121692A (ko)
CN (1) CN100502714C (ko)
AU (1) AU2004324161A1 (ko)
BR (1) BRPI0419116A (ko)
CA (1) CA2583612A1 (ko)
HK (1) HK1109031A1 (ko)
MX (1) MX2007004383A (ko)
WO (1) WO2006043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20914A1 (en) * 2008-03-06 2009-09-11 Pointe Noir Pty Ltd. Flexible platform shoe
US20120047767A1 (en) * 2010-08-30 2012-03-01 Brown Shoe Company, Inc. Anatomical shoe insert assembly
KR101388687B1 (ko) * 2012-10-19 2014-04-24 박영설 보행시 아킬레스건의 단련이 가능한 하이힐
US10390587B2 (en) * 2016-03-01 2019-08-27 Hbn Shoe, Llc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US10477915B2 (en) 2016-03-01 2019-11-19 Hbn Shoe, Llc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WO2019070455A1 (en) 2017-10-05 2019-04-11 Benincasa Brands, Llc PERSONALIZED SOLE INSERT FOR HIGH HEEL SHOE
AU2018370855B2 (en) * 2017-11-21 2020-05-28 Hbn Shoe, Llc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US10702008B2 (en) 2018-02-26 2020-07-07 Hbn Shoe, Llc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hoes
US11540588B1 (en) 2021-11-24 2023-01-03 Hbn Shoe, Llc Footwear insole
US11805850B1 (en) 2023-07-19 2023-11-07 Hbn Shoe, Llc Cuboid pa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0715A (en) * 1923-06-07 1925-08-25 Edward E Stout Shoe insole
US1864999A (en) 1929-04-19 1932-06-28 William Gluckman Foot appliance
US1819539A (en) * 1929-10-24 1931-08-18 Martin P Bringardner Arch support
US1907997A (en) 1930-05-29 1933-05-09 Stacy M Nickerson Arch support for footwear
US2246944A (en) * 1939-01-18 1941-06-24 Francis J O Neil Foot gripper for shoes
DE2908019C3 (de) 1979-03-01 1986-07-31 Sigle, Rolf, 7014 Kornwestheim Fußstützende Sohle
US4631841A (en) 1985-03-14 1986-12-30 Hickey John L Shoe insert device
US4686993A (en) 1985-07-26 1987-08-18 Paragon Podiatry Laboratories Low profile functional orthotic
US4689898A (en) * 1985-09-11 1987-09-01 Fahey Brian W Running shoe
DE8716407U1 (ko) 1987-12-11 1988-08-11 Hoenes, Albert, 7000 Stuttgart, De
US5782015A (en) 1988-01-21 1998-07-21 Dananberg; Howard J. Comfortable high heel shoe
US4866860A (en) * 1988-07-25 1989-09-19 Wolverine World Wide, Inc. Metatarsal head shoe cushion construction
US4955148A (en) * 1989-04-14 1990-09-11 Rigoberto Padilla Foot support assembly
AU4045093A (en) * 1992-04-03 1993-11-08 Langer Biomechanics Group Inc., The High-heeled shoe orthotic device
US5787608A (en) * 1996-07-30 1998-08-04 Greenawalt; Kent S. Custom-made footwear
IL129277A (en) * 1996-10-02 2002-12-01 Hbn Shoe L L C Sho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10234417A (ja) * 1997-02-21 1998-09-08 Toda Masako 靴用中敷き構造
JP3915398B2 (ja) * 2000-11-17 2007-05-16 東レ株式会社 織物
US6915598B2 (en) * 2002-08-06 2005-07-12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Insole with arch spring
US20040211086A1 (en) * 2003-04-23 2004-10-28 Hbn Shoe, Llc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196B1 (ko) 2012-08-01
WO2006043923A1 (en) 2006-04-27
JP4685874B2 (ja) 2011-05-18
KR20070098791A (ko) 2007-10-05
CN100502714C (zh) 2009-06-24
BRPI0419116A (pt) 2007-12-11
CN101065032A (zh) 2007-10-31
AU2004324161A1 (en) 2006-04-27
HK1109031A1 (en) 2008-05-30
EP1809134A1 (en) 2007-07-25
MX2007004383A (es) 2007-07-17
JP2008515589A (ja) 2008-05-15
CA2583612A1 (en)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132B2 (en)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EP3672439B1 (en) Human shoe
CN108135325B (zh) 用于高跟鞋的装置和构造高跟鞋的方法
JP5138682B2 (ja) 人間の足構造と歩行とに適したエルゴノミックな靴底
CN108968227B (zh) 鞋类及其制造
US20040194344A1 (en) User-customizable insoles for footwear and method of customizing insoles
US10729205B2 (en)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EP1433396A1 (en) Sho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170196B1 (ko)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AU2018370855B2 (en)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JP3961970B2 (ja) 履き物用中敷きおよび履き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