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526A - 권취용 에어 샤프트 - Google Patents

권취용 에어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526A
KR20100120526A KR1020090039387A KR20090039387A KR20100120526A KR 20100120526 A KR20100120526 A KR 20100120526A KR 1020090039387 A KR1020090039387 A KR 1020090039387A KR 20090039387 A KR20090039387 A KR 20090039387A KR 20100120526 A KR20100120526 A KR 2010012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ug
hollow core
winding
shaf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욱제
Original Assignee
양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욱제 filed Critical 양욱제
Priority to KR102009003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0526A/ko
Publication of KR2010012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4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movable actuator including wedge-like or lob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심재를 고정하는 러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권취용 에어 샤프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압축공기 공급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슬릿공이 형성된 샤프트 본체;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며 하부에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일부분에 자성부가 형성된 러그; 상기 샤프트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러그의 자성부와 밀착되며 상기 러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로 구성된다.
Figure P1020090039387
자성부, 러그, 중공심재, 지관

Description

권취용 에어 샤프트{AIR SHAFT FOR WIND-UP}
본 발명은 권취용 에어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심재를 고정하는 러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권취용 에어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중공심재라고도 불리며, 그 내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축형상물로서, 이것은 인쇄용지, 라미네이트, 부직포, 금속성 호일, 각종 테이프 및 필름, 비닐지와 같은 시트상 제품을 권취할 때 중심을 이루는 물품이다.
그리고, 상기 지관은 권취설비에 장착되어 일정 속도로 회전하며 시트상 제품을 그 외주면에 감게 된다. 이때, 상기 지관은 스스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구동장치에 장착될 때에 에어샤프트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 샤프트는 상기 지관을 착탈 가능하게 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편, 종래의 에어 샤프트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샤프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에어 샤프트는 중공형의 샤프트 본체(11) 외주면에 다수개의 슬릿공(15)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압축공기가 주입되기 위한 니플(16)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샤프트 본체(11)의 타단에는 상기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팽창튜브(14)가 삽입된다.
한편, 샤프트 본체(11)에 형성된 슬릿공(15)에는 지관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러그(13)가 설치된다. 상기 러그(13)에는 양단에 스프링(13a,13b)이 고정된다. 또한 중간에는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 홈(13d)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러그(13)는 샤프트 본체(11)의 내부에서 슬릿공(15)을 통해 결합되어 논슬립 홈(13d)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러그(13)의 양단에 고정된 스프링(13a,13b)은 샤프트 본체(11)의 내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샤프트 본체(11)의 내부에는 팽창튜브(14)가 삽입되고, 팽창튜브(14)의 일단은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니플(16)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에어 샤프트는 니플(16)을 통해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샤프트 본체(11)의 내부에 삽입된 팽창튜브(14)를 팽창시키고 샤프트 본체(11)의 슬릿공(15)에 위치하는 러그(13)를 외부로 밀어올린다.
즉, 압축공기로 팽창튜브(14)를 팽창시켜 러그(13)를 외부로 밀어올림으로써 중공심재(지관)의 내부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종래의 에어 샤프트는 축의 일단부로 접속되는 공압라인을 통해 압축공기를 급송하여 생기는 내부압력을 이용하여 러그(13)를 외주 방향으로 돌출시켜 지관을 고정시키고, 반대로 압축공기를 배기시키면 지관이 해방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샤프트에 채용된 팽창튜브(14)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마모되거나 손상됨으로써 일정주기마다 교체작업을 해야 하므로 유지 성능이 떨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어 샤프트에 채용된 러그(13)의 구조는 양단에 스프링(13a,13b)이 설치되어 샤프트 본체(11)의 슬릿공(15) 내에서 일정폭만큼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러그(13)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심재를 고정하는 러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권취용 에어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름류나 종이류가 중공심재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심재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중공심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용 에어 샤프트로서, 일측에 압축공기 공급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슬릿공이 형성된 샤프트 본체;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며 하부에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일부분에 자성부가 형성된 러그; 상기 샤프트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러그의 자성부와 밀착되며 상기 러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된 가압 샤프트를 포함한 권취용 에어 샤프트가 제공된다.
상기 가압 샤프트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 본체의 압축공기 공급구에 연통된 포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포스트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압 샤프트의 경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자성부와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영역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샤프트 본체의 외부에서 러그를 가압 샤프트에 장착할 수 있어 시공성능이 현저히 상승되고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권취용 에어 샤프트는 샤프트 본체(20), 러그(22), 가압 샤프트(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 본체(20)는 일단에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니플(2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 본체(20)는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니플(26)을 통해 내부로 압축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본체(20)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마다 슬릿공(27)이 형성된다. 이때 슬릿공(27)은 샤프트 본체(20)의 외주면에 다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그(22)는 샤프트 본체(20)에 형성된 슬릿공(27)에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면에는 중공심재(200; 도 3)에 밀착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슬립방지 홈(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러그(22)의 하부는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 경사면에는 자성부(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자성부(25)는 경사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샤프트(30)는 포스트부(31)와 복수의 경사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스트부(31)는 일단이 폐쇄된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 본체(20)의 니플(26)를 통해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포스트부(31)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포스트부(31)에는 일정 가격마다 다수의 경사부(32; 예컨데 도 2와 같이 35a,35b)가 형성된다. 경사부(32)에는 러그(22)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기울기면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러그(22)의 기울기면은 자성부(25)와 밀착되도록 철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샤프트 본체(20)의 니플(26)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러그(22)는 중공심재(200)와 밀착되지 않은 상태를 이룬다. 즉, 가압 샤프트(30)가 압축공기에 의해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러그(22)는 샤프트 본체(2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와 같이 샤프트 본체(20)의 니플(26)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가압 샤프트(30)는 일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 압축공기가 포스트부(31)로 공급되면 가압 샤프트(30)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러그(22)는 경사부(32)의 기울기면을 따라 외주방향으로 이동되고 중공심재(20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러그(22)가 중공심재(200)의 내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샤프트 본체(20)가 회전하게 되면 중공심재(200)도 같이 회전된다. 따라서 중공심재(200)에 필름류나 종이류를 권취시킬 수 있다.
한편, 권취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해제하고 압축공기를 배기하여 러그(22)가 경사부 몸체(36)의 기울기면(35a,35b)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경사부(32)의 기울기면(35a,35b)에 밀착된 러그(22)는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중공심재(200)의 고정이 해제된다.
특히 러그(22)의 설치시 가압 샤프트(30)가 샤프트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샤프트 본체(20)의 외부에서 슬릿공(27)을 통해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러그(22)의 경사면에 자성부(25)가 형성되고, 가압 샤프트(30)의 경사부 몸체(36)의 외주면에 자기영역(3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력을 갖는 자성부(25)와 자기영역(35a) 상에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서로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는 중공심재(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러그(22)가 경사부 몸체(3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은 종래의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와 같이, 종래의 권취용 에어샤프트는 각각의 러그(22a,22b,22c)가 이탈되지 않도록 슬릿공(27)의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러그(22a,22b,22c)의 양단에는 돌출부(28a,28b)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8a,28b)가 슬릿공(27)의 내부에 홈에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러그(22a,22b,22c)가 샤프트 본체(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시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홈사이에 마모가 발생되면 원활한 작동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도 7b와 같이 본 발명은, 러그(22a,22b,22c)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샤프트 본체(20)의 외부에서 슬릿공(27)을 통해 삽입시켜 장착이 가능하다. 특히 러그(22a,22b,22c)의 하부면에 형성된 자성부(35a,35b,35c)를 통해 가압 샤프트(30)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치 않아 시공효율이 현저히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샤프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중공심재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은 종래의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에어 샤프트의 러그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20: 샤프트 본체 22: 러그
25: 자성부 26: 니플
30: 가압 샤프트 32: 경사부
200: 중공심재

Claims (3)

  1. 필름류나 종이류가 중공심재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심재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중공심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용 에어 샤프트로서,
    일측에 압축공기 공급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슬릿공이 형성된 샤프트 본체;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며 하부에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일부분에 자성부가 형성된 러그;
    상기 샤프트 본체에 삽입되고 상기 러그의 자성부와 밀착되며 상기 러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된 가압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에어 샤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샤프트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 본체의 압축공기 공급구에 연통된 포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포스트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에어 샤프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샤프트의 경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자성부와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에어 샤프트.
KR1020090039387A 2009-05-06 2009-05-06 권취용 에어 샤프트 KR20100120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87A KR20100120526A (ko) 2009-05-06 2009-05-06 권취용 에어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87A KR20100120526A (ko) 2009-05-06 2009-05-06 권취용 에어 샤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526A true KR20100120526A (ko) 2010-11-16

Family

ID=4340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387A KR20100120526A (ko) 2009-05-06 2009-05-06 권취용 에어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05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1596A (ja) * 2017-01-11 2018-07-19 昭男 渡辺 巻管チャック装置
KR20190028179A (ko) * 2017-09-08 2019-03-18 창 남궁 지관 고정용 프릭션 샤프트
CN110589550A (zh) * 2019-09-06 2019-12-20 陈学祥 一种具有干燥杀菌功能的纺布收卷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1596A (ja) * 2017-01-11 2018-07-19 昭男 渡辺 巻管チャック装置
KR20190028179A (ko) * 2017-09-08 2019-03-18 창 남궁 지관 고정용 프릭션 샤프트
CN110589550A (zh) * 2019-09-06 2019-12-20 陈学祥 一种具有干燥杀菌功能的纺布收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106B1 (ko) 저토크 슬리터용 에어샤프트
KR101373596B1 (ko)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KR20100120526A (ko) 권취용 에어 샤프트
ES296715U (es) Dispositivo para sujetar carretes de bobinado de forma tubular
JP2019163167A (ja) スリッター用フリクションシャフト
KR20140083406A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US3414210A (en) Expanding arbor for winding and unwinding of strips
CN204917334U (zh) 一种宽幅纸张涂布机进料换卷机构
CN208776015U (zh) 一种分切机的纸筒固定辊
KR200417275Y1 (ko) 저토크 슬리터용 에어샤프트
CN101734522A (zh) 一种收、放卷装置
CN108136800A (zh) 带驱动器以及相关联的卷筒
US7481391B2 (en) Air shaft
KR101113118B1 (ko) 리프타입 에어샤프트
KR101350199B1 (ko) 에어샤프트용 립타입 어댑터
JP5557155B2 (ja) ロール媒体保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368591Y1 (ko) 저토크슬리터용 에어프릭션 구조
CN206014103U (zh) 凸键式气胀轴改进结构
CN205820453U (zh) 新型气涨轴
KR101002406B1 (ko) 프린터의 지관고정용 가변로울러
KR20190002718U (ko) 보빈 고정장치
CN208631843U (zh) 放卷装置
US20050150996A1 (en) Reel spool shaft for use with cores
CN206049047U (zh) 一种方便组装的送纸辊
JPH0683670U (ja) 巻取りボ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