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511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511A
KR20100120511A KR1020090039367A KR20090039367A KR20100120511A KR 20100120511 A KR20100120511 A KR 20100120511A KR 1020090039367 A KR1020090039367 A KR 1020090039367A KR 20090039367 A KR20090039367 A KR 20090039367A KR 20100120511 A KR20100120511 A KR 2010012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xing
fastening
hook
fasten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9362B1 (en
Inventor
강점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362B1/en
Publication of KR2010012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5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assembly is provided to prevent a fastening lever form being pressed by a external force in state of a fixing projection hanging on a fixing hole, thereby preventing the combination between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ON: A fastening lever(35) is changes elastically in direction of getting near to the outer surface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a first connector(30). To cover the one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 internal space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40). A fastening jaw(37)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fastening lever. A fixing rib(36) prevents the fastening lever from transformed to direction which gets nears to the outer surface of a connector in state of combined of a second connector and a first connector.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전선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pair of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s.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In general, 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terminal, and is widely used in power circuits such a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or automobiles. The use of the connector in thes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can assemble a plurality of parts separately and then insert them into the final product, which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simplifying maintenance work as well as device manufacturing.

그리고,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된다.The connector assembly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and the terminals installed therei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ount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refrigerator, or ca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터미널수용실(1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12)은 상기 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12)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According to thi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0 are formed by the housing 11. The housing 11 is generally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12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1. The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12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11 back and forth. The terminal accommodation room 12 is provided with a terminal (not shown).

상기 하우징(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고정구(14)가 삽입되는 삽입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2')는 대략 상기 터미널수용실(12)에 삽입되는 터미널의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housing 1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2 ′ into which the terminal fixture 14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The insertion portion 12 ′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 insertion direction of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12.

상기 하우징(11)의 삽입부(12')에는 터미널고정구(14)가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고정구(14)는 대략 바 형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고정구(14)는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되어 터미널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terminal fixture 1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 ′ of the housing 11. The terminal fixture 14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an insulator in a substantially bar shape. The terminal fixture 1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serves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arbitrarily removed.

상기 하우징(11)의 상면 일측에는 체결레버(1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16)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서, 상대 커넥터에 구비된 체결턱에 걸어져 커넥터 간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레버(16)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 상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탄성변형이 되면서 상대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10)가 결합되도록 한다.A fastening lever 1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 The fastening lever 16 is a part for 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not shown), and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jaw provided in the mating connector to be coupled between the connectors. The fastening lever 16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terms of its material and shape, and may allow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connector 10 to be coupled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체결레버(16)의 자유단부에는 조작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6')는 외력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상기 체결레버(16)가 상기 하우징(11)의 외면을 향해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n operating portion 16 ′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16. The manipulation part 16 ′ is intend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 by being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체결레버(16)의 조작부(16')는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데,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16)의 조작부(16') 가 상기 하우징(11)의 외면을 향해 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서로 결합된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가 임의로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operating part 16 'of the fastening lever 16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nnector 10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perating part 16' of the fastening lever 16 is exposed to the housing by external force. 11) can be pressed toward the outer surfac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or 10 and the mating connector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released arbitrari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록킹홀더(미도시)를 사용하여 어느 일측 커넥터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되어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체결레버(16)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체결레버(16)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locking holder (not shown) is used to be inserted forward from the rear of any one connector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is not released. That is, by supporting one side of the fastening lever 16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16 is pressed arbitrarily.

그러나 이와 같은 록킹홀더는 상기 커넥터(10) 및 상대 커넥터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록킹홀더를 일일이 커넥터(10)마다 설치, 분리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홀더는 상기 하우징(11)과 별도로 제작되므로 이의 제작에 필요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However, such a locking hold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nector 10 and the mating connector,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and remove the locking holder for each connector (10). And because the locking holder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1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required for its manufacture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체결레버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of the connector from being arbitrarily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됨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to prevent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to be released arbitrari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수용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외면과 가까 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체결턱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receiving chamber into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fastening lever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A first connector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is formed therein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one side facing the fastening leve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having a fastening jaw formed therein, and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has a cantilever shape. Protruding, a fixing rib is integrally formed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from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양측에 각각 기저부가 연결되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되는 방향으로 고정공이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fixing rib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ee ends of the fastening levers, respectively, and have free end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do.

상기 제2커넥터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에는 각각 상기 고정공을 향해 돌출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In the second connector, a pair of guide bars are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ach of the guide bars ha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xing hole to walk through the fixing hole through elastic deformation.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가이드바로부터 돌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으로부터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리브의 고정공에 걸어지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변형슬릿이 형성된다.The fixing protrus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guide bar; The hook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is hooked to the fixing hole of the fixing ribs, and the hook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a deformation slit to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선단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레버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부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레버가 눌러지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ixed rib has a bas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and the free e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extends, and the fastening lever is pressed in the free end of the free end. The hanger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와 마주보는 제1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돌기가 걸어지는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facing the free end of the locking lever is formed to protrude a fixing piece which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hook projection is engaged.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양측에 각각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레버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부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이후크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규제턱이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ixed rib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ee ends of the fastening levers, respectively, and the free ends are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s extend, and hook hook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ree ends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front end of the hook hook is formed so that the restricting jaw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ib protrudes.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걸이슬릿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이슬릿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상기 규제턱이 걸어져 고정되는 한 쌍의 규제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A pair of guide rib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so as to protrude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oth sides of the guide ribs are formed so that the hook slits are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ibs are inserted. In the inner surface, a pair of regulating projections to which the regulating jaw of the hook hook is fixed by being protruded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상기 고정리브의 기저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고정리브의 두께보다 얇은 몰드목부가 형성된다.A mold neck portion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ed rib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of the fixed rib.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형성된다.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 force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fastening lever, the operation portion is formed with the fixed rib.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의 체결레버의 양측에는 고정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제2커넥터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고정공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리브의 고정공에 걸어진 상 태에서는 체결레버가 외력에 의해 눌러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와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with a fixing rib which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xing hole, the second connector is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is walked in the fixing hole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Therefore, since the locking lever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y an external force while the fix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of the fixing rib,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he reliability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체결레버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즉,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리브와 상기 고정공에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원가가 줄어들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록킹홀더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ing lever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that is, the fixing ribs formed with the fixing holes and the fixing protrusions that are engaged with the fixing hole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respectivel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locking holder, there is also an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labo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부분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using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struction of the embodiment is shown in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30)의 외관 및 골격은 제1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31)의 내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3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 터미널수용실(3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32)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first connector 30 are formed by the first housing 31. The first housing 31 is general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erminal housing chamber 32 is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31 by penetrating back and forth through the first housing 31. The terminal receiving room 32 is provided with a terminal (not shown).

상기 제1하우징(3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고정구(T)가 삽입되는 삽입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2')는 대략 상기 터미널수용실(32)에 삽입되는 터미널의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housing 3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32 ′ into which the terminal fastener T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The insertion portion 32 ′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 insertion direction of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32.

상기 제1하우징(31)의 삽입부(32')에는 터미널고정구(T)가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고정구(T)는 대략 바 형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고정구(T)는 상기 제1하우징(31)에 삽입되어 터미널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terminal fixing tool 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32 ′ of the first housing 31. The terminal fixture (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an insulator in a substantially bar shape. The terminal fixture (T)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31 serves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coming off arbitrarily.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33)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3)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3)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35)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a pair of guide ribs 33 are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rib 3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31. The guide rib 33 serves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3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에는 체결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는 상기 가이드리브(33)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체결부(34)는 상기 제1하우징(3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는 상기 제1하우징(31)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35)가 형성되는 부분이다.A fastening part 34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The fastening part 34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ribs 33. The fastening part 3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housing 31. The fastening part 3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the first housing 31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fastening part 34 is a part where the fastening lever 35 to be described below is formed.

상기 체결부(34)에는 록킹홀더(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공간(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공간(34')의 내면은 록킹홀더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록킹홀더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록킹홀더는 상기 제1하우징(31)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41)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 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4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pace 34 ′ penetrating through the inside so that the locking holder (not shown) can be inserted therein.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34 ′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holder, thereby serving to surround the locking holder. The locking holder may be used to more firmly maintai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41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체결부(34)의 일측에는 체결레버(35)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5)는 상기 체결부(34)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31)의 후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체결레버(35)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41)의 체결턱(미도시)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31)을 제2하우징(41)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레버(35)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을 통해 제2하우징(41)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35)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A fastening lever 3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34. The fastening lever 35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34 and extends toward the rear end of the first housing 31. The fastening lever 35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jaw (not shown) of the second housing 4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to couple the first housing 31 to the second housing 41. The fastening lever 35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due to its material and shap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1 through elastically deformable. In this case, the fastening lever 35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상기 체결레버(35)는 상기 체결부(34)의 일측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제2커넥터(40)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레버(35)를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제2하우징(41)의 체결턱으로부터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턱(37)을 이탈시키게 된다. The fastening lever 35 has a ba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34, and a free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35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40. In this way, the operator elastically deforms the fastening lever 35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hook jaw 37 to be described below from the fastening jaw of the second housing 41. Departed.

상기 체결레버(35)의 자유단부에는 조작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35')는 외력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상기 체결레버(35)가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을 향해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체결레버(35)가 제2하우징(41)의 체결턱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35')가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을 향해 눌리게 되면 상기 체결레버(35)가 함께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제1하우징(31)이 제2하우징(41)과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An operating part 35 ′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35. The operation part 35 ′ is intended to elastically deform the fastening lever 35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by being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when the operating part 35 'is press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while the fastening lever 35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jaw of the second housing 41, the fastening lever 35 Is mov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so that the first housing 31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housing 41.

상기 조작부(35')의 양측에는 고정리브(36)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36)는 상기 조작부(35')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3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40)의 고정돌기(45)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고정리브(36)는 고정돌기(45)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레버(35)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Fixing ribs 36 are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art 35 ′, respectively. The fixed rib 36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from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art 35 '. The fixing rib 36 is a part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fixing rib 36 is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45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35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상기 고정리브(36)는 외팔보 형상으로, 즉, 상기 조작부(35')의 양측에 각각 기저부가 연결되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고정리브(36)를 제2커넥터(40)의 고정돌기(4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고정돌기(45)에 고정리브(36)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리브(36)의 기저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고정리브(36)의 두께보다 얇게 몰드목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리브(36)가 상기 몰드목부(36a)를 중심으로 고정돌기(45)를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쉽게 변형 가능하게 한다.The fixed ribs 36 have a cantilever shape, that is, base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art 35 ′, and free ends are extended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this, the operator elastically deforms the fixing rib 36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xing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thereby coupling the fixing rib 36 to the fixing protrusion 45.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 the base portion of the fixed rib 36, the mold neck portion 36a is formed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ed rib 36, the fixed rib 36 is The mold neck 36a can be easily deformed to be rotated toward the fixing protrusion 45.

상기 고정리브(36)의 선단에는 고정공(3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36')은 제2커넥터(40)의 고정돌기(45)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36')의 내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돌기(45)의 걸이부(46b)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36')은 고정돌기(45)의 걸이부(46b)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고정공(36')은 고정돌기(45)의 걸이부(46b)가 관통하여 상기 고정공(36')은 고정돌기(45)의 걸이부(46b)가 관통하여 상기 고정공(36')과 인접한 상기 고정리브(36)의 가장자리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체결레버(35)가 임의로 눌러지지 않도록 제2커넥터(40)에 고정되는 것이다.A fixing hole 36 ′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rib 36. The fixing hole 36 ′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is inserte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36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46b of the fixing protrusion 45 to be described below. The fixing hole 36 ′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hook portion 46b of the fixing protrusion 45 penetrates. That is, the fixing hole 36 'penetrates the hook portion 46b of the fixing protrusion 45, and the fixing hole 36' penetrates the hook portion 46b of the fixing protrusion 45 to the fixing hole ( By engaging the edge of the fixing rib 36 adjacent to 36 '), the fastening lever 35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40 so as not to be pressed arbitrarily.

그리고 제2하우징(41)의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레버(35)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걸이턱(3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7)은 제2하우징(41)의 체결턱(미도시)에 걸어지는 부분이다.In addition, a hooking jaw 37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lever 35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41. The hooking jaw 37 is a portion that is hooked to the fastening jaw (not shown) of the second housing 41.

상기 걸이턱(37)에는 상기 체걸레버(35)의 기저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3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7')은 제2하우징(41)의 체결턱에 접촉하면서 상기 체결레버(35)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걸이턱(37)이 체결턱에 보다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Guide hangers 37 ′ are formed on the hanger 37 so as to gradually lower toward the base of the sieve lever 35. The guide inclined surface 37 ′ elastically deforms the fastening lever 35 while contacting the fastening jaw of the second housing 41, thereby inducing the hooking jaw 37 to be more easily walked on the fastening jaw. .

상기 제1커넥터(30)에는 제2커넥터(40)가 결합된다(도 4 참조). 상기 제2커넥터(40)에는 상대 터미널(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상대 터미널은 상기 제1커넥터(30)의 터미널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두 커넥터(30,4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40)는 상기 제1커넥터(30)와 마찬가지로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41)이 형성한다. The second connector 4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30 (see FIG. 4). The second connector 40 is provided with a mating terminal (not shown), and the mating terminal is coupled with the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3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connectors 30 and 40. Like the first connector 30, the second connector 40 ha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formed by the second housing 4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1)의 내부공간(42)에는 상기 제1커넥터(30)의 제1하우징(31)이 삽입된다. 상기 내부공간(42)은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housing 31 of the first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42 of the second housing 41. The inner space 42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상기 내부공간(42)의 내면에는 체결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5)의 걸이턱(37)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하우징(41)에는 체결턱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의 위치는 상기 제1하우징(31)과 제2하우징(41)이 결합하여 상기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이 완전히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턱(37)과 접하는 상기 제2하우징(41)의 위치이다. A fastening jaw (not show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42. The fastening jaw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housing 4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oking jaw 37 of the fastening lever 35.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jaw is that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second housing 41 of the second housing 41 in contact with the hanger (37)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and the mating terminal is completely connected Location.

상기 제1하우징(31)과 마주보는 상기 제2하우징(41)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44)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44)는 상기 내부공간(42)의 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2하우징(41)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31)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44)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가이드리브(3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44)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 pair of guide bars 44 ar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41 facing the first housing 31 to protrude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bar 44 extends from the second housing 41 adjacent to the inlet of the internal space 42 toward the first housing 31. The guide bar 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33 of the first housing 31. The guide bar 44 serves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first housing 31.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리브(36)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바(44)의 외면에는 고정돌기(45)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5)는 상기 고정리브(36)의 고정공(3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5)는 상기 고정리브(36)를 상기 제2하우징(4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fixing protrusions 45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ar 44 facing the fixing ribs 36, respectively. The fixing protrusion 4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36 ′ of the fixing rib 36. The fixing protrusion 45 serves to fix the fixing rib 36 to the second housing 41.

상기 고정돌기(45)는 상기 가이드바(44)로부터 돌출되는 몸체부(46a)와 상기 몸체부(46a)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리브(36)의 고정공(36')을 통과하는 걸이부(46b)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46a)는 상기 고정리브(36)의 고정공(36')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리브(36)와 고정돌기(45)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protrusion 45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46a and the body portion 46a protruding from the guide bar 44 to pass through the fixing hole 36 'of the fixing rib 36. It consists of a part 46b. The body portion 46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6 ′ of the fixing rib 36 to guide the coupling of the fixing rib 36 and the fixing protrusion 45.

상기 몸체부(46a)의 선단에는 걸이부(46b)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46b)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46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이부(46b)가 상기 고정공(36')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부(46b)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이부(46b)가 상기 고정공(36')에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e tip of the body portion 46a, the hook portion 46b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The diameter of the hook portion 46b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46a. This is to prevent the hook portion 46b from escaping from the fixing hole 36 '. The hook portion 46b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tip. This is to ensure smooth insertion when the hook portion 46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6 '.

상기 걸이부(46b)는 상기 고정공(36')을 관통하여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걸이부(46b)가 상기 고정공(36')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고정리브(36)는 상기 제2하우징(40)에 고정된다. The hook portion 46b is a portion that is hooked through the fixing hole 36 '. That is, as the hook portion 46b is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36 ', the fixing rib 36 is fixed to the second housing 40.

상기 걸이부(46b) 및 상기 몸체부(46a)에는 변형슬릿(47)이 형성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슬릿(47)은 상기 걸이부(46b)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리브(36)가 상기 고정돌기(45)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47)은 상기 고정리브(36)의 고정공(36')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47)은 상기 고정돌기(45)의 삽입 시 상기 걸이부(46b)가 상기 고정리브(36)의 고정공(36')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걸이부(46b)를 탄성변형되게 하는 부분이다. Deformation slits 47 are formed in the hook portion 46b and the body portion 46a. As shown in FIG. 4, the deformation slit 47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tip of the hook portion 46b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ib 36 is coupl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45. The deformed slit 47 is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fixing hole 36 ′ of the fixing rib 36. The deformed slit 47 passes through the hook portion 46b so that the hook portion 46b smoothly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36 'of the fixed rib 36 when the fixing protrusion 45 is inserted. It is an elastic deformation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레버(35)의 고정리브(50)는 조작부(35')에 체결레버(35)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50)는 외팔보 형상, 다시 말해, 상기 조작부(35')의 선단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레버(35)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the fixed rib 50 of the fastening lever 35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35 extends to the operation part 35 ′. Can be formed. That is, the fixed rib 50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that is, a base part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part 35 ′, and a free end part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35 extends. .

이를 통해, 작업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리브(50)를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편(6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시켜, 고정편(60)에 고정리브(5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리브(50)의 기저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고정리브(50)의 두께보다 얇게 몰드목부(50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리브(50)가 상기 몰드목부(50a)를 중심으로 고정편(60)을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쉽게 변형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리브(50)는 상기 체결레버(35)가 임의로 눌러지지 않도록 상기 체결레버(3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rough this, the operator deforms the fixing rib 50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xing piece 60 to be described below, as shown in Figure 5b, to couple the fixing rib 50 to the fixing piece 60 Let's go. In this case, a mold neck portion 50a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of the fixed rib 50 so as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ed rib 50 so that the fixed rib 50 is fixed around the mold neck portion 50a. It is easily deformable to be able to rotate towards the piece 60. The fixing rib 50 supports the fastening lever 35 so that the fastening lever 35 is not pressed arbitrarily.

상기 고정리브(50)의 선단에는 걸이돌기(51)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51)는 상기 체결레버(35)가 눌러지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돌기(51)는 상기 고정리브(50)가 고정편(60)을 향해 변형된 상태에서 고정편(6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이돌기(51)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편(60)의 고정공(6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편(6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A hooking protrusion 51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ed rib 50. The hook protrusion 51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35 is pressed. That is, the hook protrusion 51 protrudes in a direction facing the fixing piece 60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rib 50 is deformed toward the fixing piece 60. The hook protrusion 51 is a part coupled to the fixing piece 60 by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61 of the fixing piece 6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걸이돌기(51)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편(60)의 결합공(61)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hook protrusion 51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is lowered toward the tip. This is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61 of the fixing piece 6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체결레버(35)의 조작부(35')와 마주보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에는 고정편(6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6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리브(50)의 걸이돌기(51)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The fixing piece 60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facing the operation part 35 ′ of the fastening lever 35. As shown in FIG. 5B, the fixing piece 60 is a portion to which the hook protrusion 51 of the fixing rib 50 is coupled.

상기 고정편(60)에는 결합공(6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61)은 상기 고정리브(60)의 걸이돌기(5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61)은 상기 걸이돌기(51)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걸이돌기(51)가 상기 결합공(61)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고정리브(60)가 상기 고정편(60)에 결합되는 것이다. A coupling hole 61 is formed in the fixing piece 60. The coupling hole 61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protrusion 51 of the fixed rib 60 is inserted. The coupling hole 61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hook protrusion 51 passes. That is, the fixing protrusion 60 is coupled to the fixing piece 60 by passing the hook protrusion 51 through the coupling hole 61.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35)가 임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리브(60) 및 상기 고정리브(60)와 결합되는 고정편(60)이 상기 제1하우징(31)에 모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원가가 줄어들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된다.As such, the fixing rib 60 and the fixing piece 60 coupled with the fixing rib 60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35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first housing 31.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레버(35)의 고정리브(80)는 조작부(35')의 양측에 상기 체결레버(35)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80)는 외팔보 형상, 다시 말해, 상기 조작부(35')의 양측에 각각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레버(35)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a, the fixed rib 80 of the fastening lever 35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35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ortion (35 '). It can be extended to. That is, the fixing rib 80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that is, a base part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art 35 'and the free end part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35 extends. .

이를 통해, 작업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리브(8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슬릿(85)에 상기 고정리브(8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리브(80)의 기저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고정리브(80)의 두께보다 얇은 몰드목부(80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리브(80)가 상기 몰드목부(80a)를 중심으로 걸이슬릿(85)을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쉽게 변형이 가능하게 한다.Through this, the operator deforms the fixed ribs 80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6b, to couple the fixed ribs 80 to the hanger slit 85 to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a mold neck portion 80a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rib 80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of the fixing rib 80, and the fixing rib 80 is hooked around the mold neck portion 80a. Easily deformable to be rotated towards the slit 85.

상기 고정리브(80)의 자유단부의 선단에는 걸이후크(8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81)는 상기 고정리브(80)의 자유단부의 선단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81)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슬릿(85)의 규제돌기(86)에 걸어져 상기 고정리브(80)를 상기 제1하우징(3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6b 참조).At 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of the fixing rib 80, the hook hook 81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hook hook 81 is formed at the base of the free end of the fixed rib 80, and extends at the free en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hook hook 81 is engaged with the restricting protrusion 86 of the hook slit 85 to be described below to fix the fixing rib 80 to the first housing 31 (see FIG. 6B). .

상기 걸이후크(81)의 선단에는 규제턱(82)이 형성된다. 상기 규제턱(82)은 상기 고정리브(80)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규제턱(82)은 걸이슬릿(85)의 규제돌기(86)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걸이후크(81)가 걸이슬릿(8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6b 참조).A restriction jaw 82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ook hook 81. The regulating jaw 82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ib 80 protrudes. The restricting jaw 82 is engaged with the restricting projection 86 of the hook slit 85, thereby preventing the hook hook 8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ok slit 85 (see FIG. 6B).

한편, 상기 제1하우징(31)의 가이드리브(33)의 양측에는 걸이슬릿(8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릿(85)은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부와 상기 가이드리브(33)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릿(85)는 상기 고정리브(8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릿(85)은 상기 고정리브(8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hanger slits 8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ib 33 of the first housing 31. The hanger slit 85 is formed to penetrate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31 and the guide rib 33. The hanger slit 85 is formed to be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ib 80 is inserted. The hanger slit 85 is a portion on which the fixed rib 80 is hooked.

상기 걸이슬릿(85)의 일단부 내면에는 한 쌍의 규제돌기(86)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돌기(86)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규제돌기(86)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규제돌기(86)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후크(81)가 상기 걸이슬릿(8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걸이후크(81)의 규제턱(82)이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A pair of regulating protrusions 86 are form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hanger slit 85. The regulating protrusion 86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regulating projections 86 are formed to protrud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6B, the regulating protrusion 86 is a part in which the restricting jaw 82 of the hook hook 81 is fixed by being fixed so that the hook hook 81 is not separated from the hook slit 85. to be.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35)가 임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리브(80) 및 상기 고정리브(60)와 결합되는 걸이슬릿(85)이 상기 제1하우징(31)에 모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원가가 줄어들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된다.As such, the fixing rib 80 and the hook slit 85 coupled with the fixing rib 60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housing 31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35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작업자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체결레버(35)의 걸이턱(37)이 상기 제2하우징(41)의 내부를 향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2하우징(41)의 내부공간(42)으로 상기 제1하우징(31)을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41)에는 터미널이 구 비된 상태이다. First, the worker places the hooking jaw 37 of the fastening lever 35 of the first housing 31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41 so that the inner space 42 of the second housing 41 is located. ) Inserts the first housing (31). In this case, a terminal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41.

이와 같이 상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레버(35)의 걸이턱(37)이 상기 제2하우징(41)의 체결턱에 접하게 되어, 상기 제1하우징(4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As such,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the hooking jaw 37 of the fastening lever 35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jaw of the second housing 41.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41)의 내부공간(42)으로 상기 체결레버(35)를 계속 삽입하게 되면, 상기 걸이턱(37)이 체결턱에 걸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레버(35)는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고, 상기 걸이턱(37)은 체결턱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는 서로 결합된다(도 4 참조). In this state, when the fastening lever 35 is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42 of the second housing 41, the hooking jaw 37 is hooked to the fastening jaw. 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lever 35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gain, and the hooking jaw 37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jaw so that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4). Reference).

이때, 상기 체결레버(35)의 조작부(35')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력에 의해 임의로 눌러질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part 35 ′ of the fastening lever 35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may be arbitrarily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35)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레버(35)의 조작부(35')에 형성된 고정리브(36)를 각각 상기 고정돌기(45)를 향해 탄성변형시킨다. As such, in order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35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the operator elastically fixes the fixing ribs 36 formed on the operation part 35 'of the fastening lever 35 toward the fixing protrusions 45, respectively. Transform.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하우징(41)의 고정돌기(45)에 형성된 걸이부(46b)가 상기 고정리브(36)의 고정공(36')을 통과하면서 상기 변형슬릿(47)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 즉,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In this case, while the hook portion 46b formed in the fixing protrusion 45 of the second housing 41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36 'of the fixing rib 36, the width of the deformation slit 47 is increased.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narrowing direction, that is, the arrow A direction shown in FIG.

이와 같이, 상기 고정리브(36)를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을 향해 계속 누르게 되면, 상기 걸이부(46b)는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고정리브(36)의 고정공(36')에 걸어진다. As such, when the fixing rib 36 is continuously press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the hook portion 46b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nd is fixed to the fixing hole 36 ′ of the fixing rib 36. Walks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리브(36)는 상기 고정돌기(45)에 고정됨으로, 상 기 체결레버(35)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 즉,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눌리는 것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the fixing rib 36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45, so that the locking lever 35 is clos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FIG. 4. Pressing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B is prevented.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36)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35)가 임의로 눌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록킹홀더를 결합시키지 않아도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lever 35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pressed by the fixing rib 36, a separate locking holder does not need to be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가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 ev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housing constitu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housing constitu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제1커넥터 31: 제1하우징30: first connector 31: first housing

32: 터미널수용실 32': 삽입부32: Terminal room 32 ': Insertion part

33: 가이드리브 34: 체결부33: guide rib 34: fastening portion

35: 체결레버 35': 조작부35: Tightening lever 35 ': Control panel

36: 고정리브 36': 고정공36: fixed rib 36 ': fixed hole

37: 걸이턱 37': 안내경사면37: hanger 37 ': guide slope

40: 제2커넥터 41: 제2하우징40: second connector 41: second housing

42: 내부공간 44: 가이드바42: interior space 44: guide bar

45: 고정돌기 46a: 몸체부45: fixing protrusion 46a: body

46b: 걸이부 47: 변형슬릿46b: hanger 47: deformed slit

Claims (10)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수용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A first connector having a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the fastening lever being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체결턱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 inner space is formed therein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one side facing the fastening leve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having a fastening jaw formed therein.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리브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 fixed rib protrudes in a cantilever shape at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and prevents the fastening lever from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while the fastening leve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양측에 각각 기저부가 연결되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되는 방향으로 고정공이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fixing rib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ee ends of the fastening levers, respectively, and have free end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커넥터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에는 각각 상기 고정공을 향해 돌출되어 탄성변형을 통 해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In the second connector, a pair of guide bars are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guide bars ar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xing holes, respectively, and have fixing protrusions walking through the fixing holes through elastic deformation. Characterized by a connector assembl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고정돌기는,The fixing protrusion, 상기 가이드바로부터 돌출되는 몸체부와;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guide bar; 상기 몸체부의 선단으로부터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리브의 고정공에 걸어지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 hook portion formed to protrude further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ooked to the fixing hole of the fixing rib.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변형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hook assembly and the connecto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ormation slit is formed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선단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레버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부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레버가 눌러지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fixed rib has a bas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and the free e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extends, and the fastening lever is pressed in the free end of the free end.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rojec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와 마주보는 제1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돌기가 걸어지는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편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 는 커넥터 어셈블리.And a fix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facing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the fixing piece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hook projection is engag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양측에 각각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레버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유단부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이후크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규제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fixed rib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ee ends of the fastening levers, respectively, and the free ends are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levers extend, and hook hook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ree ends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protrude, the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hook hook protruding the restriction ja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ib protrude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걸이슬릿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이슬릿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상기 규제턱이 걸어져 고정되는 한 쌍의 규제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pair of guide rib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so as to protrude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oth sides of the guide ribs are formed so that the hook slits are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ibs are inserted. And a pair of regulating protrusions on which the regulating jaw of the hanger hook is fix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고정리브의 기저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고정리브의 두께보다 얇은 몰드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nd a mold neck portion thinner than a thickness of the fixed rib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of the fixed rib.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고정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is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portion receives a force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fastening lever is formed, wherein the fixing rib is formed on the connector.
KR1020090039367A 2009-05-06 2009-05-06 Connector assembly KR101009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67A KR101009362B1 (en) 2009-05-06 2009-05-06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67A KR101009362B1 (en) 2009-05-06 2009-05-06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511A true KR20100120511A (en) 2010-11-16
KR101009362B1 KR101009362B1 (en) 2011-01-19

Family

ID=4340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367A KR101009362B1 (en) 2009-05-06 2009-05-06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3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16A (en) * 2017-11-23 2019-05-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KR20210055523A (en) 2019-11-07 2021-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009Y1 (en) * 1996-09-25 1999-12-01 정진택 Connector housing capable of fixing circle-type electric terminal
JP2004110137A (en) * 2002-09-13 2004-04-08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424439Y1 (en) 2006-05-30 2006-08-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Rear holder for connector
KR20080114337A (en) * 2007-06-27 2008-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A rear-holder for modification preventing of lever and connector having this
KR200466410Y1 (en) * 2008-12-18 2013-04-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16A (en) * 2017-11-23 2019-05-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KR20210055523A (en) 2019-11-07 2021-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362B1 (en)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786B1 (en) Connector assembly
KR20080004986U (en) Connector clip
KR20080114337A (en) A rear-holder for modification preventing of lever and connector having this
KR101009362B1 (en) Connector assembly
KR20110032881A (en) Connector assembly
KR101820143B1 (en) Wiring connector
KR20100013632A (en) Connector assembly
KR20090132362A (en) Connector assembly
KR200442526Y1 (en) Connector housing
KR100936255B1 (en) Panel mounting type connector assembly
KR200448593Y1 (en) Connector
KR200466410Y1 (en) Connector
KR20120073696A (en) Connector
KR200467964Y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52247Y1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114366A (en) Connector assembly
KR100948132B1 (en) Box for car
KR101830436B1 (en) Wiring connector
KR100874971B1 (en) Cassette block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KR101830435B1 (en) Wiring connector
KR100955051B1 (en) Bulb holder
KR20090072743A (en) Connector
KR20100070138A (en) Box for car
KR20100070833A (en) Connector
KR20100055815A (en) Connector position assurrance having retainer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