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616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616A
KR20190059616A KR1020170157395A KR20170157395A KR20190059616A KR 20190059616 A KR20190059616 A KR 20190059616A KR 1020170157395 A KR1020170157395 A KR 1020170157395A KR 20170157395 A KR20170157395 A KR 20170157395A KR 20190059616 A KR20190059616 A KR 2019005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position securing
securing member
connecting member
le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8138B1 (en
Inventor
김운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13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 securing member. The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 securing member comprises: a housing body unit; a locking lever unit arranged to elastically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housing body unit; and a position securing unit connected to be able to rotate in an end unit of the locking lever unit and latched or unlatched in a latching terminal in which the end is formed at the top of a housing through rotation.

Description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에 형성되는 락킹 레버에 위치 확보 부재를 일체화하여 안정적으로 락킹 레버의 잠금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capable of maintaining a locking state of a locking lever stably by integrating a position securing member with a locking lever formed in the housing, .

통상,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와 커넥터, 또는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들을 결합시켜 통전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다수개의 단자들을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하기도 한다.Generally, an electrical connector refers to a device that allows a connector and a connector, or connection devices connectable with a connector, to be energized. Such a connector has a space for receiving a terminal therein, and further,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ccommodated in a single connector.

이러한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접속장치와의 확실한 전기적, 기계적 결합을 필수적인 사항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확실한 결합을 보증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수단이 사용된다.Since such a connector is for electrical connection, relia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coupling with other connection devices is essential. Thus, various means are used to ensure this reliable coupling.

특히 차량용 전기배선 시스템과 같이 안전 사고에 커넥터의 결합보증여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더욱 확실한 커넥터의 결합 보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 등에 의해 커넥터가 결합이 해제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가 있다.Especially, when the guarantee of the connector is important for the safety accident such as the electric wiring system for the vehicle, a more reliable connection guarantee of the connector is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as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connector from being disengaged by a wire harness or the like.

CPA는 커넥터의 잠금레버와 결합하여 커넥터의 결합시에는 잠금레버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며, 잠금레버의 해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CPA를 우선적으로 해제한 후에야 잠금레버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잠금레버의 해제에 의한 커넥터의 결합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CPA is combined with the lock lever of the connector so that the lock lever is not released when the connector is engaged. If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lock lever, the CPA must first be released before the lock lever can be rel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tional disengagement of the connector by releasing the lock lever.

도 1은 종래의 CPA를 구비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nector having a CPA.

도 1을 참조 하면, 종래의 CPA(1000)는 커넥터 하우징(20)으로 진입하여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PA 1000 enters a connector housing 20 and is coupled.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을 가진 결합부(102)가 상기 하우징에 진입하여 결합을 하게 되어 CPA(100)를 하우징(200)에 고정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elastic coupling part 102 enters the housing and engages the CPA 100 to fix the CPA 100 to the housing 200.

이 때 상기 하우징(200)과 결합부(102)의 결합을 유도할 가이드(11)가 상기 CPA(10)에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CPA 10 is provided with a guide 11 for guiding the coupling between the housing 200 and the coupling part 102.

상기 가이드(11)는 하우징(20)에 구비된 안내경로를 따라 하우징(20) 내로 진입하여 CPA(10)가 하우징(20)에서 제자리로 진입 가능하게 한다.The guide 11 enters the housing 20 along a guide path provided in the housing 20 so that the CPA 10 can enter the housing 20 in a straight line.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가이드(11)는 CPA(10)의 외곽에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하우징(20)에서의 진퇴시 파손의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guide 11 has a shape elong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PA 10, there is a risk of breakage of the guide 11 when the housing 20 moves forward and backward.

즉, 하우징(20)으로의 다수회의 삽입, 이탈을 반복할 경우 지지점이 동일 축 선상에 존재하여 가이드(11)의 변형력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다.That is, when the insertion and detachment of a plurality of times to the housing 20 are repeated, the supporting points are on the same axial line, and the deforming force of the guide 11 can not be sufficiently absorbed.

상기의 지지점은 CPA(10)가 하우징(20)으로 일부가 수용되어 있을 때, 가이드(11)의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의 힘을 받게 되면 하우징(20)에 대해 CPA(10)의 지지점은 가이드(11)의 끝부분이 되는 것이다.When the CPA 10 is partially received in the housing 20, the support point of the CPA 10 relative to the housing 20 is not guided by the guide 20, (11).

따라서, 수직방향 외력에 대해 지지점을 중심으로 가이드(11)를 포함한 CPA(10) 전체가 변형을 일으킨다.Therefore, the entire CPA 10 including the guide 11 about the fulcru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external force is deformed.

이러한 변형에 대해 얇고 긴 가이드(11)는 변형을 흡수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다.For this deformation, the thin and long guide 11 is not sufficient to absorb deformation.

따라서, 길게 연장된 가이드(11)는 하우징(20)으로의 진퇴시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를 가진다.Therefore, the elongated guide 11 has a problem that it is damaged by deformation that occurs when the guide 11 moves back and forth to the housing 20. [

또한 가이드(11)가 외곽에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외곽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커넥터의 크기가 증가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원재료 및 금형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Also, since the guide 11 is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y, the size of the outer periphery is increas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connector increases and the space occupies a large amount, and the cost of the raw material and the mold increases.

더하여, 상기와 같이, CPA가 별도로 구비되는 부품으로 하우징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 상태에서 외력이 일정 이상으로 작용되는 경우, 하우징으로부터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이탈될 수 있고, 분실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PA is coupled to the housing by a separately provided component,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n the coupled state, the coupling state can be released from the housing and can be released, have.

이에 따라,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는 락킹 레버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커넥터 어셈블리를 리워크하는 경우, CPA를 재분리함에 따르는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lever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released to cause a safety accident, and in the case of rewiring the connector assemb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flow due to re-separation of the CPA is increas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18629호(등록일자 : 2008.03.26)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위치확보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0818629 (Registered on Mar. 26, 2008), and the prior art discloses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position securing member.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락킹 레버에 위치 확보 부재를 일체화하여 안정적으로 락킹 레버의 잠금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a locked state of a locking lever by integrating a position securing member with a locking lever formed in a housing and also facilitating maintenance .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l positioning member.

상기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 몸체부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의 상단에 상하 탄성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킹 레버부; 및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됨에 따라 그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위치 확보부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integral positioning member includes: a housing body portion; A locking lever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and elastically flowable; And a position secur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and is engaged or released by a locking end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as the locking portion is pivoted.

상기 위치 확보부는, 위치 확보 부재와,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일단과,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를 연결하여 회동 을 안내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sition securing portion includes a position securing member,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일단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from the end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되, 그 두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hickness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is gradually decreased along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일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되, 그 두께는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gradually decreas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위치 확보 부재 및 상기 락킹 레버부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integral with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and the locking lever portion.

상기 걸림단은, 상기 락킹 레버부의 일단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 몸체부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타단은,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단의 내측부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ing end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ortion located at one lower end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rotated downward to be caught by the inner side of the latching end.

상기 걸림단의 외측부에는,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 1경사면과 경사 접촉되는 제 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aging step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상기 연결 부재의 폭은, 상대적으로, 상기 락킹 레버부 및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connecting member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and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또한,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에는, 와이어가 더 매설될 수도 있다.Further, a wire may be embedded in the connecting member.

여기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연결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에 격자 형상을 이루어 배치될 수도 있다.Here, the wire may b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or may be arranged in a grid shape inside th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락킹 레버에 위치 확보 부재를 일체화하여 안정적으로 락킹 레버의 잠금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integrated with the locking lever formed in the housing to stably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lever and to facilitate maintenance.

도 1은 종래의 도 1은 종래의 CPA를 구비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단면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닫힘 상태를 이루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가 닫힘 상태에서의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nector having a CPA.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rotated downward to form a closed stat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assembly in a closed state of the position determin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term "an upper (or lower)" or a "top (or lower)" of the substrate means that any structure is disposed or arranged in any manner, as long as any structure is provided 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include any other configurat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nfiguration provided or disposed on (or under) the substr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단면도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는 크게 하우징 몸체부(100)와, 락킹 레버부(200)와, 위치 확보부(300)를 갖는다.2 to 5,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 assuranc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body 100, a locking lever portion 200, and a position securing portion 300.

상기 하우징 몸체부(100)는 양측이 관통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이는 상대물이 삽입되는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housing body 100 has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opposite sides of the housing body 100 are inserted, there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ounterparts are inserted.

상기 하우징 몸체부(100)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using body part 100 may be made of resin such as plastic.

상기의 하우징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락킹 레버부(200)가 형성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00, a locking lever part 200 is formed.

상기 락킹 레버부(200)는, 레버 몸체(210)와, 벤딩 몸체(220)로 구성된다.The locking lever unit 200 includes a lever body 210 and a bending body 220.

상기 벤딩 몸체(220)는 하우징 몸체부(100)의 일단에서 벤딩되어 상하를 따라 탄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ending body 220 is bent at one end of the housing body 100 to form elasticity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s.

상기 레버 몸체(210)는 상기 하우징 몸체부(100)의 상단을 따라 일정 길이를 형성하고, 그 일단은 상기 벤딩 몸체(220)에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 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우징 몸체부(100)의 타단에 배치된다.The lever body 2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00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bending body 220 integral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100 And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body part 100 at the upper part.

이에, 상기 레버 몸체(210)는 그 일단이 벤딩 몸체(220)에 연결되는 상태로 상하를 따라 일정의 탄성을 형성하고, 상하를 따라 탄성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The lever body 210 may have elasticity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ver body 210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lever body 210 is connected to the bending body 220, and may be elastically mo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부(300)는 상기 락킹 레버부(20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됨에 따라 그 끝단이 상기 하우징 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단(33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형성된다.The position secur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locking lever part 200 and has a locking end 33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art 100 as it is rotated, As shown in Fig.

상기 위치 확보부(3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 secur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위치 확보부(300)는 위치 확보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로 구성된다.The position securing unit 300 includes a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and a connecting member 320.

여기서, 상기 위치 확보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320)는 상기 레버 몸체(2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and the connecting member 320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member 3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to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연결 부재(320)의 일단은 레버 몸체(210)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320)의 타단은 상기 위치 확보 부재(310)의 일단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상기와 같은 연결 부재(320)는 유연성을 갖는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위치 확보 부재(310)를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on member 320 is flexible and guides the positioning member 310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부재(320)의 두께(t3)는 그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레버 몸체(210)의 타단의 두께(t1) 및 위치 확보 부재(310)의 일단의 두께(t2) 보다 얇게 형성되어 위치 확보 부재(310)의 회동 또는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thickness t3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and the thickness t2 of one end of the position- So that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can be easily rotated or rotated.

여기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몸체(210)의 타단은, 상기 연결 부재(320)의 일단과 연결되되, 그 두께(t1)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4,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and the thickness t1 of the lever body 210 is gradually decreased along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

상기 위치 확보 부재(310)의 일단은, 상기 연결 부재(320)의 타단과 연결되되, 그 두께(t2)는 상기 연결 부재(320)의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and the thickness t2 thereof may be gradually thinn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 부재(320)의 양단과, 연결되는 위치 확보 부재(310)의 일단 및, 레버 몸체(210)의 타단의 사이에는 원통 형상의 몸체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는 안내 부재(320)의 양단에서의 강도를 보완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320)의 양단이 수회 회전됨으로 인해 끊어지는 등의 물리적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ylindrical body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one end of the position assurance member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have. The cylindrical body may serve to prevent physical damage such as breakage of the guide member 320 due to rotation of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320 for guiding rotation by complementing the strength at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320.

한편, 상기 하우징 몸체부(100)의 타단측 상단에는 걸림단(330)이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hooking end 330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00.

상기 걸림단(330)의 형성 위치는, 회전되는 위치 확보 부재(310)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ing position of the engaging end 330 is located on the rotation path of the position fixing member 310 to be rotated.

이에, 하방으로 회전되는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은 상술한 하우징 몸체부(100)의 타단측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330)에 걸릴 수 있다.Thus,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which is rotated downward, can be caught by the engaging end 330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housing body 100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걸림단(330)의 외측부에는 제 1경사면(331)이 형성되고,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에는 제 2경사면(31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경사면(311)은 상기 제 1경사면(331)에 경사 접촉되는 면으로, 상기 제 1,2경사면(331, 311)의 경사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A first inclined surface 331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aging end 330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311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assuring member 310.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1 is a surface inclin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1 and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331 and 311 may be equ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1,2경사면(331, 311)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 접촉이 가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331 and 311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or may be curved so as to be curved.

후자의 경우, 상기 제 1경사면이 볼록하고, 제 2경사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first inclined surface may be convex,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concave, or vice versa.

이에, 상기 걸림단(330)의 제 1경사면(331)은, 하방을 따라 회전되는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경사면(311)과 경사 접촉됨으로써,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은 걸림단(330)의 상단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안내되고,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은 걸림단(330)의 내측부에 걸리도록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face 331 of the engaging end 330 is inclinedly contacted with the second inclined face 31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assuring member 310 rotated downward,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ing member 310 can be moved so as to be caught by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end 330.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닫힘 상태를 이루는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가 닫힘 상태에서의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rotated downward to form a closed stat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assembly in a closed state of the position determin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6 to 8, an operation state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치 확보 부재(310)는 연결 부재(320)를 통해 연결되는 레버 몸체(210)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태로 상방으로 회전되어 위치되는 상태를 이룬다.2 to 5,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20, and is rotated upward.

여기서,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은 하우징 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단(330)과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를 이룬다.Here,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is in a state of being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end 33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art 100.

이에, 하우징 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버 몸체(210)는 벤딩 몸체(220)에 의해 하우징 몸체부(100)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방으로 일정 위치에 회전되어 위치된 상태를 이룬다.The lever body 21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00 is rotated up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using body 100 by the bending body 220 .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몸체(210)는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통해 하방으로 회전되어 락킹 상태를 이룰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6 to 8, the lever body 210 may be rotated downwardly through an external force acting downward to achieve a locked state.

이어,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310)는 그 일단이 연결 부재(320)를 통해 레버 몸체(210)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 역시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 또는 회전될 수 있다.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ed or rotat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20 .

그리고, 하방으로 회전되는 위치 확보 부재(310) 타단은, 위치 확보 부재(310)의 회전 경로에 위치되는 걸림단(330)에 접촉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which is rotated downwar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end 330 located in the rotation path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이때,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경사면(311)은, 걸림단(330)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제 1경사면(331)에 경사접촉되는 상태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may be guided to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1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aging end 330 is tilted.

이어,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은 상기 제 1경사면(331)을 따라 이동되면서 걸림단(330)의 상단을 타고 넘을 수 있고,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 내측면은, 걸림단(330)의 내측부에 면접촉되어 걸린다.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may move over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end 330 while being moved along the first inclined face 331, 330 in a face-to-face mann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310)는 원 위치로의 회전이 규제되는 상태를 이룬다.Accordingly,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rota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is restricted.

이와 동시에, 연결 부재(320)가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레버 몸체(210)의 타단과, 위치 확보 부재(310)의 일단은 서로 경사접촉되는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이룰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10 in the reg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 320 is formed and the 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can be formed as a whol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slant contact with each other.

이에, 레버 몸체(210)는 하방으로 회전 위치되어 락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ver body 210 is rotated downward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상기의 작동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310)는 레버 몸체(210)의 락킹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외력 또는 외부 진동에 의해 레버 몸체(21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락킹 해제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operation,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locking state of the lever body 210 constant, and the lever body 210 is rotated upward by external force or external vibration, Can be solved.

역으로, 상기 레버 몸체(21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고자하는 경우,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을 걸림단(33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레버 몸체(210)는 원위치로 회전 복귀되어 락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ever body 210, when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is released from the engaging end 330, the lever body 2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Can be released.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락킹 레버에 위치 확보 부재를 일체화하여 안정적으로 락킹 레버의 잠금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opera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position-securing member with the locking lever formed in the housing,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lever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310)의 타단 외측면과, 걸림단(330)의 내측부가 서로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retaining end 330 may be fixed to each other.

상기 걸려 고정되는 구조는 단차 결합 구조도 가능하고, 경사 걸림 구조도 가능 할 수도 있다.The hanging and fixing structure may be a stepped coupling structure, or an inclined engagement structure may be possible.

또 한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부재(320)의 폭은, 상대적으로, 상기 락킹 레버부(200) 및 상기 위치 확보 부재(310)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dth of the connecting member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200 and the positioning member 310.

상기의 구성에 따라, 반복적으로 위치 확보 부재(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부분의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반복 회전에 따르는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reakage caused by the repeated rotation by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portion that repeatedly guides the rotation of the position assuring member 310. [

더하여, 상기 연결 부재(320)의 내부에는, 와이어가 더 매설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wire may be buried in the connecting member 320.

상기 와이어는, 상기 연결 부재(32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상기 연결 부재(320)의 내부에 격자 형상을 이루어 배치될 수도 있다.The wires may b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320 or may b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inside the connection member 320.

이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연결 부재(320) 내부에 와이어가 매설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연결 부재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wire to be embedded in the connecting member 320, it is possible to solve such a problem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broken.

더하여, 상술한 예에서 걸림단(330)이 하우징 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위치 확보 부재의 타단이 걸리는 구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걸림단은 하우징 몸체부(100)의 타단 내측벽부에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latching end 33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art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caught. However, the latching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housing body part 100, A pair of side walls may be formed.

이러한 경우, 성기 걸림단에는 측방으로 개방되는 ㄷ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하방으로 회전되는 위치 확보 부재(310)의 측단이 끼워지지고, 상기 위치 확보 부재(310)의 측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상기 홈을 통과하여, 걸림단의 하단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c-shaped groove is formed in the crotch portion so as to be laterally opened. A sid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which is rotated downward, is fitted in the groove, an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The stopper may pass through the groove to be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step.

이에, 본 발명에 따르는 위치 확보 부재(310)는 그 양측단이 한 쌍의 걸림단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레버 몸체(210)의 락킹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ly, since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pair of latching ends at both ends thereof, the locking state of the lever body 210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이상, 본 발명의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하우징 몸체부
200 : 락킹 레버부
210 : 레버 몸체
220 : 벤딩 몸체
300 : 위치 확보부
310 : 위치 확보 부재
311 : 제 2경사면
320 : 연결 부재
330 : 걸림단
331 : 제 2경사면
100: housing body part
200: Locking lever part
210: Lever body
220: Bending body
300:
310: Positioning member
311: second inclined surface
320: connecting member
330:
331: second inclined surface

Claims (8)

하우징 몸체부;
상기 하우징 몸체부의 상단에 상하 탄성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킹 레버부; 및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됨에 따라 그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위치 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A housing body portion;
A locking lever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and elastically flowable; And
And a position securing portion that is pivotal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and is engaged or released by a locking end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as the locking portion is pivoted.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보부는,
위치 확보 부재와,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일단과,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를 연결하여 회동 을 안내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A position-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일단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Securing member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positioning member from the end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레버부의 단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되, 그 두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일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되, 그 두께는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end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thickness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being gradually thinned along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one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gradually thinned alo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위치 확보 부재 및 상기 락킹 레버부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Wherein the positioning member and the locking lever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sitioning member and the locking lever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상기 락킹 레버부의 일단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 몸체부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타단은,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단의 내측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gaging end
A locking lever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ortion located at one lower end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rotated downward to be caught by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en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의 외측부에는,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 1경사면과 경사 접촉되는 제 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aging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which is in slant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폭은,
상대적으로, 상기 락킹 레버부 및 상기 위치 확보 부재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위치 확보 부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dth of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locking lever portion and the positioning member are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lever portion and the position securing member.
KR1020170157395A 2017-11-23 2017-11-23 Connector assembly KR102428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95A KR102428138B1 (en) 2017-11-23 2017-11-23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95A KR102428138B1 (en) 2017-11-23 2017-11-23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616A true KR20190059616A (en) 2019-05-31
KR102428138B1 KR102428138B1 (en) 2022-08-03

Family

ID=6665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95A KR102428138B1 (en) 2017-11-23 2017-11-23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1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75U (en) * 1986-06-23 1988-01-08
JP2002190350A (en) * 2000-12-20 2002-07-05 Sumitomo Wiring Syst Ltd Lever connector
KR20090006785U (en)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KR20100120511A (en) * 2009-05-06 2010-1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75U (en) * 1986-06-23 1988-01-08
JP2002190350A (en) * 2000-12-20 2002-07-05 Sumitomo Wiring Syst Ltd Lever connector
KR20090006785U (en)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KR20100120511A (en) * 2009-05-06 2010-1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138B1 (en)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400B2 (en) Latch for a cable assembly
US928161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JP6419210B2 (en) Connector mating guarantee
US739624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JP6073373B2 (en) Wire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9190742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safety spring bar
US20120329305A1 (en) Actuator for a connector
JP2009187863A (en) Lever fitting-in type connector
US5807130A (en) Two way electrical connector
KR10089495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m lever retainer
KR100866090B1 (en) Connector assembly
US9397451B2 (en) Connector device
JP2008305695A (en) Connector
US10116090B2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JP2003068397A (en) Lever connection connector
US20200059039A1 (en) Lever type connector
KR100988786B1 (en) Connector assembly
US10290973B1 (en) Lever release for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JP4248001B2 (en) Lever connector
JP6245526B2 (en) connector
KR20190059616A (en) Connector assembly
US10700474B2 (en) Plug connector having unlocking function
US20160036149A1 (en) Connector
KR101513281B1 (en) Terminal protected device of connector
KR100818629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