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426A -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 Google Patents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426A
KR20100120426A KR1020090039229A KR20090039229A KR20100120426A KR 20100120426 A KR20100120426 A KR 20100120426A KR 1020090039229 A KR1020090039229 A KR 1020090039229A KR 20090039229 A KR20090039229 A KR 20090039229A KR 20100120426 A KR20100120426 A KR 2010012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unction
gas
blower
container
c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100B1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호 filed Critical 박진호
Priority to KR102009003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1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적인 요소의 기능은 최소로 하여 전자파에 대한 위험도를 낮추고 친환경소재를 이용하여 좌욕기를 제작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우며, 좌욕기의 몸체 내부에 건조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 후에, 직접 습기를 제거할 필요없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용기가 수납되는 용기 수용부와, 상기 용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양초가 구비된 제1가열부와, 상기 개방부의 주위에 형성에 형성된 좌석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 인입된 가열된 공기를 상기 개방부로 이송하는 송풍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욕기, 건조, 수용용기, 폐열, 발향기

Description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seat type seam bath with 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적인 요소의 기능은 최소로 하여 전자파에 대한 위험도를 낮추고 친환경소재를 이용하여 좌욕기를 제작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우며, 좌욕기의 몸체 내부에 건조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 후에, 직접 습기를 제거할 필요없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욕기는 여성의 경우 냉대하, 생리불순, 자궁암, 자궁내의 살균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부인병이나 자궁이 자연스럽게 수축되지 못하면서 발생 되는 산부인과 질환 등에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좌욕기는 근래에 전자파에 대한 2차위험을 없애고 생산단가가 낮은 친환경소재의 좌욕기들이 많이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49422호에 기재된 발명이 개발되었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술적 특징은 중심부분에 통공(14)을 구비 하는 상면이 시트부(12)로 형성되고, 개폐 가능한 상자체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공(14)의 하부에서 양초를 지지할 수 있는 양초지지부(22), 그리고 상기 통공(14)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초에 의하여 가열되어 증기나 원적외선 발생을 위한 용기(30)를 포함하되, 도어(18)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량 조절부(20)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측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양초측인 상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양초지지부(22)의 후방 일부를 막도록 상부로 형성된 공기안내부(24)와 상기 양초부분의 공기를 상부로 올리기 위한 안내통(2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좌욕기는 본체(10)내부에 수용되는 용기(30)의 하부면을 양초가 가열하여 상기 용기(30)에 수용되는 액체가 기화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통공(14)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좌욕기는 무게가 가벼워 이동하기는 용이하나 재질이 원목으로 이루어져 습기에 약하고 외부충격에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도어(18)에 형성된 공기유입량 조절부(20)는 단순히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양초가 발화되기 위한 산소의 공급수단에 불과하여 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건조부가 없어 사용 후, 사용자가 마른 수건이나 휴지 등으로 환부의 습기를 직접 제거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가열수단으로 사용되는 양초가 단순히 가열만 가능할 뿐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 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를 내열산청토와 페트라이트를 재료로 형성되는 도자기로 구성하여 내열성 및 내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친환경소재로 제작되어 건강에도 이로운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기를 구비하여 좌욕에 사용된 폐열로서 용이하게 환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수단인 가스를 이용하여 가열온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용기가 수납되는 용기 수용부와, 상기 용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양초가 구비된 제1가열부와, 상기 개방부의 주위에 형성된 좌석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 인입된 가열된 공기를 상기 개방부 로 이송하는 송풍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석부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공기가 순환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노즐과, 상기 가스노즐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부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 구성되는 제2가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가스통을 수납하는 가스통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통 수납부에는 상기 가스통에 연결되는 어뎁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어뎁터와 상기 가스노즐을 연결하는 가스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부는 양초 수납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양초 받침대와, 상기 양초 받침대가 수납되는 받침대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를 내열산청토와 페트라이트를 재료로 형성되는 도자기로 구성하여 내열성 및 내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친환경소재로 제작되어 건강에도 이로운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송풍기를 구비하여 좌욕에 사용된 열로서 용이하게 환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가열수단에 별도의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적절한 온도 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양초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뚜껑에 방향공이 형성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2가열부가 형성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크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200), 뚜껑(230), 좌석부(240) 그리고 제1가열부(2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하단부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200)는 내열산청토와 페라이트를 재료로 만들어지는 도자기 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친환경소재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좌석부(240)가 형성되는데, 상기 좌석부(240)의 내부에는 공간부(245)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45)에는 공기가 통하는 통기공(247)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1,2가열부(250,300)에 의하여 가열된 내부공기가 상기 통기공(247)을 통하여 공간부(245)로 순환하게 되므로 상기 좌석부(240)가 적당한 온도로 예열되어 사용자가 좌석부(240)에 앉을 때에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좌석부(240)를 사용자의 하체가 의지되기 용이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곡선을 갖게 형성되어 하체가 밀착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좌석부(240)의 형상이 된다.
이때, 상기 몸체(200)의 상단부 중심에는 개방부(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부(220)에 사용자의 환부를 위치하게 하여 후술할 용기(270)에 수용된 수용액이 기화되어 상기 개방부(220)에 노출된 사용자의 환부를 찜질 방식으로 좌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220)의 하부에는 용기 수용부(210)가 형성되어 용기(270)가 수납되는데, 상기 용기(270)는 내부에 쑥액과 같은 몸에 이로운 약용식물이 첨가된 수용액을 수용하여 가열함으로써 몸에 이로운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어 상기 개방부(220)에 위치한 환부를 찜질하게 된다.
이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7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발 열판(272)을 구비하는 대신에 나선 연삭하여 돌기(274)를 형성하여 열이 전달되는 면을 넓게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길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70)는 하부면에 발열판(272)을 구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가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220)에는 뚜껑(230)이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220)을 커버하게 되는데, 상기 뚜겅(230)의 하부 테두리에는 패킹(233)이 형성되어 몸체(2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배기되지 않게 보다 밀착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30)에는 상하 관통되게 방향공(235)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방향공(235)은 상기 용기(270)에 쑥 등의 약용식물 대신에 방향제가 포함된 수용액을 수용하고 하부에서 가열함으로써 방향 효과와 더불어 건조한 실내를 가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수용부(210)의 하부에는 제1가열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270)의 하부면을 가열하게 되는데, 상기 제1가열부(250)는 양초(258)를 수용하는 양초 받침대(255)와 상기 양초 받침대(255)가 수납되는 받침대 수용부(252)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초 받침대(255)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양초 받침대(255)의 가장자리에는 양초(258)가 수용되는 다수의 양초 수납부(257)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259)이 형성되어 상기 양초(258)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하부로 대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00)의 측면 하부에는 다수의 미세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1가열부(250)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200)의 측면에는 도어(260)가 형성되는데, 상기 도어(260)는 상기 제1가열부(250)와 용기 수용부(210)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260)을 통하여 양초 받침대(255)와 용기(270)를 몸체(200)의 내부공간으로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부(250)의 하부 측면에는 송풍기(4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송풍기(400)는 제1가열부(2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몸체(200)의 측부에 형성된 송풍관(410)을 통하여 상기 개방부(220)로 이송함으로써, 상기 개방부(220)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환부에 묻어있는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관(410)의 상단에는 배출구(415)가 형성되어 제1가열부(25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사용자의 환부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환부에 묻은 습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200)의 측면에 상기 송풍기(400)를 제어하는 제어부(280)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송풍기(4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열부(25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300)를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제2가열부(300)는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스노즐(310), 점화부(320) 그리고 온도센서(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노즐(310)을 몸체(20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가스를 분사하게 되고, 상기 점화부(320)는 상기 가스노즐(3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노즐(310)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노즐(310)에 근접하게 온도센서(33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가스노즐(310)에 점화 여부를 감지하여 불필요한 가스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의 측면 하부에는 휴대용 가스통(342)이 수납되는 가스통 수납부(34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스통 수납부(340)에는 상기 휴대용 가스통(342)이 연결되는 어뎁터(345)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용 가스통(34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도어(34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뎁터(345)와 가스노즐(310)을 연결하는 가스관(미도시)이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휴대용 가스통(342)의 가스를 가스노즐(310)로 이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적인 요소의 기능은 최소로 하여 전자파에 대한 위험도를 낮추고 친환경소재를 이용하여 좌욕기를 제작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우며, 좌욕기의 몸체 내부에 건조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 후에, 직접 습기를 제거할 필요없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좌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좌욕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초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뚜껑에 방향공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2가열부가 형성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몸체 210 : 용기 수용부
220 : 개방부 230 : 뚜껑
233 : 패킹 235 : 방향공
240 : 좌석부 245 : 공간부
247 : 통기공
250 : 제1가열부 252 : 받침대 수용부
255 : 양초 받침대 258 : 양초
259 : 관통공 260 : 도어
270 : 용기 272 : 발열판
274 : 돌기 300 : 제2가열부
310 : 가스노즐 320 : 점화부
330 : 온도센서 340 : 가스통 수납부
342 : 휴대용 가스통 345 : 어뎁터
349 : 수납부 도어 400 : 송풍기
410 : 송풍관 415 : 배출구

Claims (5)

  1.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용기가 수납되는 용기 수용부와,
    상기 용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양초가 구비된 제1가열부와,
    상기 개방부의 주위에 형성된 좌석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 인입된 가열된 공기를 상기 개방부로 이송하는 송풍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공기가 순환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노즐과,
    상기 가스노즐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부와,
    상기 가스노즐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로 구성되는 제2가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가스통을 수납하는 가스통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통 수납부에는 상기 가스통에 연결되는 어뎁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어뎁터와 상기 가스노즐을 연결하는 가스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양초 수납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양초 받침대와,
    상기 양초 받침대가 수납되는 받침대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1020090039229A 2009-05-06 2009-05-06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10111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29A KR101113100B1 (ko) 2009-05-06 2009-05-06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29A KR101113100B1 (ko) 2009-05-06 2009-05-06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26A true KR20100120426A (ko) 2010-11-16
KR101113100B1 KR101113100B1 (ko) 2012-06-12

Family

ID=4340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229A KR101113100B1 (ko) 2009-05-06 2009-05-06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094A (ko) * 2015-05-12 2016-11-22 (주)프로텍메디칼 다용도 온열치료기
KR20190119380A (ko) * 2018-04-12 2019-10-2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마 발향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901A (ko) * 1999-06-26 2001-01-15 성용상 초음파 게르마늄 한방 훈증기
KR200249422Y1 (ko) * 2001-07-04 2001-11-16 천진병 좌욕기
KR100659749B1 (ko) 2005-05-20 2006-12-19 김기종 발향 및 조명 기능을 갖는 좌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094A (ko) * 2015-05-12 2016-11-22 (주)프로텍메디칼 다용도 온열치료기
KR20190119380A (ko) * 2018-04-12 2019-10-2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마 발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100B1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466B1 (ko)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KR101113100B1 (ko)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JP3207337B2 (ja) サウナ室用芳香発生及び加湿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サウナ浴装置
KR102309340B1 (ko)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KR20100025059A (ko) 조류용 사체처리장치
KR20190000133U (ko) 습식 겸용 건식 좌훈 족욕 장치
WO2023063579A1 (ko) 여성용 외음부 살균드라이기
WO2023058856A1 (ko) 개별제어가 가능한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CN204534945U (zh) 一种节能消毒超声波加湿器
CN2885232Y (zh) 一种治疗肛肠疾病的药液熏蒸器
KR100700313B1 (ko) 휴대용스팀난방장치
KR100659749B1 (ko) 발향 및 조명 기능을 갖는 좌훈기
CN219127352U (zh) 一种熏蒸足浴器
CN219332479U (zh) 一种带干湿熏蒸的足浴盆
CN216364852U (zh) 多功能坐浴盆
KR102609501B1 (ko) 여성용 음부 훈증세정기
KR200383138Y1 (ko) 전기 보일러
KR200315880Y1 (ko) 좌욕 훈증기
KR102338822B1 (ko) 복합식 가습기
CN105066427A (zh) 一种便携式加热盒
KR200265723Y1 (ko)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CN209422600U (zh) 药熏分体火罐
CN209359065U (zh) 一种防止海带返潮霉变储存装置
KR100607978B1 (ko) 전기 보일러
KR200389150Y1 (ko) 훈증장치가 구비된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