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422Y1 - 좌욕기 - Google Patents

좌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422Y1
KR200249422Y1 KR2020010020142U KR20010020142U KR200249422Y1 KR 200249422 Y1 KR200249422 Y1 KR 200249422Y1 KR 2020010020142 U KR2020010020142 U KR 2020010020142U KR 20010020142 U KR20010020142 U KR 20010020142U KR 200249422 Y1 KR200249422 Y1 KR 200249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main body
air
do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병
Original Assignee
천진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진병 filed Critical 천진병
Priority to KR2020010020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42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좌욕기는, 중심부분에 통공(14)을 구비하는 상면이 시트부(12)로 성형되고, 개폐 가능한 상자체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공(14)의 하부에서 양초를 지지할 수 있는 양초지지부(22); 그리고 상기 통공(14)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초에 의하여 가열되어 증기나 원적외선 발생을 위한 용기(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18)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량 조절부(20)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측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양초측인 상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양초지지부의 후방 일부를 막도록 상부로 형성된 공기안내부와; 상기 양초부분의 공기를 상부로 올리기 위한 안내통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좌욕기{Seat type steam bath}
본 고안은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등과 같이 유선상의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죽염수나 게르마늄을 주원료로 하여 보다 효과적인 좌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좌욕기는 주로 쑥을 주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자체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이동성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어서, 외부 또는 가정에서도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좌욕기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고, 연기를 발생시키는 등과 같이 건식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그 효과적인 측면에서 불투명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의 좌욕기에 의하면, 이동성에 대한 제약은 물론이고, 전기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장소 및 형태에 따라 사용상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성이 용이하고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증기나 원적외선을 이용함으로써 효과면에서도 더욱 우수한 좌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 좌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시트부
14 ..... 통공 20 ..... 공기유입량 조절부
30 ..... 용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한 좌욕기는, 중심부분에 통공을 구비하는 상면이 시트부로 성형되고, 개폐 가능한 상자체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공의 하부에서 양초를 지지할 수 있는 양초지지부; 그리고 상기 통공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초에 의하여 가열되어 증기발생을 위한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도어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량 조절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유입량 조절부는, 도어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기본판과; 상기 기본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일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된 회동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구멍의 일치정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측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양초측인 상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양초지지부의 후방 일부를 막도록 상부로 형성된 공기안내부와; 상기 양초부분의 공기를 상부로 올리기 위한 안내통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있어서, 이동 및 사용성이 우수하고, 증기를 이용한 충분한 좌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욕기의 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좌욕기는, 일정한 박스형의 본체(10)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본체(10)는 원목으로 만드는 것이 경량성 및 외관성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1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시트부(12)는 사용자가 앉기에 가장 편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상기 시트부(12)의 중심부분에는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14)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욕을 위한 증기나 원적외선이 상부로 올라오기 위한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통공(14)에 대하여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홈(15a,15b)이 성형된다. 이러한 홈(15a,15b)은, 상기 통공(14)을 통하여 상부로 올라오는 뜨거운 증기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후 외부로 배기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홈(15a,15b)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증기가 신체에 접촉하여 매우 뜨겁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홈(15a,15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사람의 신체 구조적으로 상기 시트부(12)에 앉으면 완전히 밀폐되지는 않게 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좌욕을 위한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기는 하겠지만, 이와 같은 홈(15a,15b)을 형성함으로써, 뜨거운 증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증기의 원활한 배출은, 실질적으로 인체에 접촉하는 증기의 양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는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8)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상기 도어(18)는 힌지(19)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몸체(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양측면에는, 이동성을 고려하여 사람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6)는 몸체(10)의 일부분에 구멍을 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18)에는 공기유입량 조절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입량 조절부(20)는,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개의 구멍(20b)이 성형된 기본판(20a)과, 상기 기본판(20a)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복수개의 구멍(20d)이 성형되어 있는 회동판(20c)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판(20c)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구멍(20b,20d)의 일치 여부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구멍(20b,20d)들의 일치 여부에 따라서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와, B-B선 단면도인 도 3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몸체(1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몸체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몸체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좌욕기의 몸체(10)의 내부에는 양초(Sc)를 지지할 수 있는 양초지지부(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초지지부(22)의 주변에는 상기 양초지지부(22)의 일부를 감싸도록 성형되는 공기안내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안내부(24)는 전방의 도어에 형성된 공기유입량 조절부(2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양초지지부(22)의 후방에서 막고, 이러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양초지지부(22)의 상방에 설치되는 양초(Sc)의 주변에는 안내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26)은 상기 공기안내부(24)와 일체로 성형되면서, 그 상부에 만들어져 있다. 상기 안내통(26)은, 양초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양초(Sc)의 상단부에는, 용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용기(30)에는, 좌욕을 위한 원적외선이나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게르마늄 세석이나 죽염수와 쑥, 그리고 여러가지 한약재가 첨가될 수 있다. 이렇게 여러가지 성분을 이용하여 원적외선이나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게르마늄 세석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나 쑥의 유황성분 등에 의하여 좌욕의 효과가 더욱 배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용기(30)는 용기지지부(32)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지지부(32)에 서랍식으로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면부호 40으로 표시한 것은, 내부에 물이 내장된 온수박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온수박스(40)는 좌욕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용 의자로서 사용할 때 일정한 보온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온수박스(40)를 사용하게 되면, 양초(Sc)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하여 그 내부의 물이 데워지게 되고, 따라서 따뜻하게 되기 때문에, 추운 계절에는 편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온수박스(40)는, 별도로 휴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온수박스(40)의 양측단부(40a,40b)가 서랍식으로 수납될 수 있는 가이드(11)를 상기 본체(10)에 성형하여 두는 것에 의하여, 상기 온수박스(40)를 착탈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는 다른 공지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온수박스(40)를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온수박스(40)의 일측에는 증기배출구(41)가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양초(Sc)에 의하여 온수박스(40)의내부에 있는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구(41)를 통하여 온수박스(4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비울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양초를 이용하여 좌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양초(Sc)를 점화한 후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예를 들면 3~4분), 상기 용기(30)에 있는 쑥 및 한약재 등을 가지고 있는 죽염수(또는 물)가 끓게 되어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증기는, 쑥의 성분 또는 한약재의 성분이 일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위생적인 좌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30)에 죽염수 대신에 게르마늄 세석을 담고 가열하게 되면, 원적외선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게르마늄 세석을 이용한 건식 좌욕도 가능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양초 대신에, 일정한 등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이 때 상기 양초지지부는 등불이 상기 용기(30)에 근접할 수 있는 지지부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좌욕기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지 않고, 양초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성 및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게르마늄 세석을 이용하여 건식 좌욕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증기를 이용한 좌욕시 쑥을 비롯한 여러가지 한약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선택적으로 원하는 좌욕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중심부분에 통공(14)을 구비하는 상면이 시트부(12)로 성형되고, 개폐 가능한 상자체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공(14)의 하부에서 양초를 지지할 수 있는 양초지지부(22); 그리고
    상기 통공(14)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초에 의하여 가열되어 증기발생을 위한 용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도어(18)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도어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량 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량 조절부는;
    도어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기본판과;
    상기 기본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일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된 회동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구멍이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측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양초측인 상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양초지지부의 후방 일부를 막도록 상부로 형성된 공기안내부와;
    상기 양초부분의 공기를 상부로 올리기 위한 안내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는 온수가 들어있어서, 본체의 상면에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온수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나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는 상기 통공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홈(15a,15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
KR2020010020142U 2001-07-04 2001-07-04 좌욕기 KR200249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42U KR200249422Y1 (ko) 2001-07-04 2001-07-04 좌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42U KR200249422Y1 (ko) 2001-07-04 2001-07-04 좌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422Y1 true KR200249422Y1 (ko) 2001-11-16

Family

ID=7306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42U KR200249422Y1 (ko) 2001-07-04 2001-07-04 좌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4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386A (ko) * 2003-12-12 2005-06-20 윤기정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1113100B1 (ko) * 2009-05-06 2012-06-12 박쌍영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20160060940A (ko) * 2014-11-21 2016-05-31 조영동 발효소금을 이용한 훈증이 결합된 힐링 사우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386A (ko) * 2003-12-12 2005-06-20 윤기정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1113100B1 (ko) * 2009-05-06 2012-06-12 박쌍영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20160060940A (ko) * 2014-11-21 2016-05-31 조영동 발효소금을 이용한 훈증이 결합된 힐링 사우나
KR101675644B1 (ko) * 2014-11-21 2016-11-11 조영동 발효소금을 이용한 훈증이 결합된 힐링 사우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KR100841524B1 (ko) 원적외선 좌훈기
KR200249422Y1 (ko) 좌욕기
KR200404189Y1 (ko) 족욕기
KR20080102609A (ko) 좌욕 기능을 구비한 건식 족욕 장치
KR200380846Y1 (ko) 반신 사우나 장치
KR100318664B1 (ko) 치료용 좌욕기
KR20050115087A (ko) 좌욕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반신욕 사우나기
KR200370232Y1 (ko) 건식용 반신욕기기
RU2061515C1 (ru) Тепловая камера
JP2008054755A (ja) ミストサウナ装置
KR200384533Y1 (ko) 황토판넬을 이용한 반신욕기기
KR101435097B1 (ko) 척추 조사 기능을 부가한 근육통 완화 및 혈행 개선 근적외선 온열 좌욕기
CN203483753U (zh) 远红外线理疗仪
KR102104370B1 (ko) 스팀 반신욕기
KR200410448Y1 (ko) 건식 반신욕 장치
KR20070059530A (ko) 건식 반신욕 장치
KR200379130Y1 (ko) 건식 반신욕장치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200433893Y1 (ko) 건식 반신욕 장치
KR200386044Y1 (ko) 근적외선, 아로마 쑥뜸이 가능한 좌욕겸용의자
KR200311117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캡슐형 사우나치료기
CN2190988Y (zh) 单人亭式桑那浴间
KR200497628Y1 (ko) 증기안내수단을 구비하는 족욕기
KR940005416Y1 (ko) 다목적 가정용 싸우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