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416A - 조명 유도용 볼라드 - Google Patents

조명 유도용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416A
KR20100120416A KR1020090039212A KR20090039212A KR20100120416A KR 20100120416 A KR20100120416 A KR 20100120416A KR 1020090039212 A KR1020090039212 A KR 1020090039212A KR 20090039212 A KR20090039212 A KR 20090039212A KR 20100120416 A KR20100120416 A KR 20100120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illumination
light
bollard body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187B1 (ko
Inventor
최진선
Original Assignee
최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선 filed Critical 최진선
Priority to KR102009003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1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21S8/08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of bollard type, i.e. with lighting fixture integrated into the standard or mounted on top of it and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이나 도로에 설치되도록 하는 조명 볼라드에 있어서,
내부의 조명과 문양이 투과되도록 하는 투과부와, 각종 문양이 인쇄되어 상기 투과부의 이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시트부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볼라드 본체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캡(14)을 형성한 볼라드 본체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조명을 발광하도록 하는 LED부와, 상기 LED부의 조명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형성한 조명부재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조명통공과, 상기 조명통공으로 유도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는 유도등부와, 상기 유도등부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판을 형성한 유도조명부재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볼라드 본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와, 지면에 볼트 조립되도록 한 볼트공을 형성한 고정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라드 시설물 경계석 조형시설물 조명시설물

Description

조명 유도용 볼라드 { Lighting bollard for guide }
본 발명은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도록 하여 조명으로 길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라드의 내부에서 조명을 발광시키도록 하고 별도의 안내 및 유도 조명을 형성함으로써, 볼라드의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특히 야간에 도로나 공원 등에서 다양하게 가변되는 조명으로 미려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하고, 공원 산책길 등을 조명으로 안내,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인도와 차도의 경계용으로 또는, 차량의 도로 진입 차단용으로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볼라드는, 주로 석재를 소재로 하여 제작되도록 하여, 도로의 지면에 일정깊이로 매립,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볼라드는, 재질이 석재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에 한계가 있어 도로나 공원 등의 미관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근래들어 이러한 볼라드의 소재를 다양화하여 디자인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된 도로경계용 시설물은 다양한 주제와 조경의 공원이나 도로 등에 적합한 시각적 장식효과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출원인은 2008년 6월 19일자로 특허출원 제2008-57741호의 ‘ 도로경계용 조형시설물’을 특허출원하였고, 2008년 7월 25일자로 특허출원 제2008-72666호의 ‘ 도로구획용 조명시설물과 그 제조방법’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볼라드는,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 색상을 가변시키도록 하고, 볼라드의 외면으로 조명이 투시되도록 하여, 볼라드 자체의 시각적인 디자인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볼라드는, 볼라드 자체에서 발광되는 조명으로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가 있지만, 도로나 공원 등의 조명의 밝기가 낮은 문제점과, 길안내와 길 방향의 유도에 대한 기능으로는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볼라드는 도로와 공원의 지면과 바닥면에 고정상태가 비교적 견고하지 못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도록 하여 조명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라드의 내부에서 조명을 발광시키도록 하고 별도의 안내, 유도 조명을 형성함으로써, 볼라드의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특히 야간에 도로나 공원의 산책길에서 보행자에게 길 안내와 방향을 편리하게 안내하고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원이나 도로에 설치되도록 하는 조명 볼라드에 있어서,
내부의 조명과 문양이 투과되도록 하는 투과부와, 각종 문양이 인쇄되어 상기 투과부의 이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시트부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볼라드 본체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캡을 형성한 볼라드 본체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조명을 발광하도록 하는 LED부와, 상기 LED부의 조명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형성한 조명부재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조명통공과, 상기 조명통공으로 유도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는 유도등부와, 상기 유도등부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판을 형성한 유도조명부재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볼라드 본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와, 지면에 볼트 조립되도록 한 볼트공을 형성한 고정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볼라드 자체에서 발광되는 조명으로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뿐만 아니라, 야간에 도로나 공원의 산책길 등을 별도의 안내 및 유도 조명으로 보행자가 편리하게 길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도로나 공원 등의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볼라드의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문양이 구비된 볼라드 본체(1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명의 색상을 가변시키록 한 조명부재(2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도조명을 발광시키도록 하는 유도조명부재(3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를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볼라드 본체(10)는 내부의 조명과 문양이 투과되도록 하는 투과부(11)와, 각종 문양이 인쇄되어 상기 투과부(11)의 이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시트부(12)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13)와, 볼라드 본체(10)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캡(14)을 형성한다.
상기 조명부재(20)는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조명을 발광하도록 하는 LED부(21)와, 상기 LED부(21)의 조명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는 제어부(22)를 형성한다.
상기 유도조명부재(30)는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조명통공(31)과, 상기 조명통공(31)으로 유도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는 유도등부(32)와, 상기 유도등부(32)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판(33)을 형성한다.
상기 유도등부(32)는 LED로 구비하고 조명색상을 고정하거나 가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명부재(20)의 LED부(21)의 상단에 고정,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41)와, 상기 볼라드 본체(10)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42)와, 지면에 볼트 조립되도록 한 볼트공(43)을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볼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공원이나 도로 등의 상기 볼라드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고정부(13)를 상기 고정부재(40)의 삽입부(41)에 삽입, 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4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된 상기 지지대(42)에 의하여, 상기 볼라드 본체(10)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의 볼트공(43)에 볼트(1)를 체결하여, 공원과 도로의 지면, 또는 바닥면에 볼라드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캡(14)에 의하여, 볼라드 내부로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20)의 LED부(21)에서 조명이 점등되고, 상기 제어부(22)에서 주기적으로 조명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하게 되면, 발광되는 조명은 상기 시트부(12)와 투과부(11)를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조명부재(30)의 고정판(33) 상면에 고정, 설치된 유도등부(32)에서 유도조명이 발광되고, 상기 조명통공을 통하여 조명이 발산되기 때문에, 야간에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된 볼라드 주위의 조도를 높여, 조명과 안내 및 유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로 확산되는 조명으로 인하여, 공원의 산책길 등을 보행자에게 안내 및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특징은 바람직한 작용효과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 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라드 본체 11 : 투과부
12 : 시트부 13 : 고정부
14 : 캡 20 : 조명부재
21 : LED부 22 : 제어부
30 : 유도조명부재 31 : 조명통공
32 : 유도등부 33 : 고정판
40 : 고정부재 41 : 삽입부
42 : 지지대 43 : 볼트공

Claims (1)

  1. 공원이나 도로에 설치되도록 하는 조명 볼라드에 있어서,
    내부의 조명과 문양이 투과되도록 하는 투과부(11)와, 각종 문양이 인쇄되어 상기 투과부(11)의 이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시트부(12)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13)와, 볼라드 본체(10)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캡(14)을 형성한 볼라드 본체(1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조명을 발광하도록 하는 LED부(21)와, 상기 LED부(21)의 조명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는 제어부(22)를 형성한 조명부재(2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조명통공(31)과, 상기 조명통공(31)으로 유도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는 유도등부(32)와, 상기 유도등부(32)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판(33)을 형성한 유도조명부재(3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41)와, 상기 볼라드 본체(10)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42)와, 지면에 볼트 조립되도록 한 볼트공(43)을 형성한 고정부재(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도용 볼라드.
KR1020090039212A 2009-05-06 2009-05-06 조명 유도용 볼라드 KR101033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12A KR101033187B1 (ko) 2009-05-06 2009-05-06 조명 유도용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12A KR101033187B1 (ko) 2009-05-06 2009-05-06 조명 유도용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16A true KR20100120416A (ko) 2010-11-16
KR101033187B1 KR101033187B1 (ko) 2011-05-06

Family

ID=4340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212A KR101033187B1 (ko) 2009-05-06 2009-05-06 조명 유도용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1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772B1 (ko) * 2011-09-19 2012-06-25 유한회사 완암산업 울타리용 지주
ITPC20120021A1 (it) * 2012-08-07 2014-02-08 Solution Group S P A Dispositivo d¿illuminazione per esterni
KR20210148707A (ko) 2020-06-01 2021-12-08 (주)도담산업 볼라드 하단캡
KR20220049139A (ko) * 2020-10-14 2022-04-21 이종구 심미감 및 장식미 향상의 조형경관 조명등
KR102523062B1 (ko) * 2022-09-05 2023-04-18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인조석과 자연석이 결합된 단주 구조체
KR20230056162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컴퍼니 조명 볼라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44B1 (ko) 2014-06-12 2016-02-03 심현진 개량된 조명부를 갖는 볼라드
KR101994991B1 (ko) * 2018-07-16 2019-07-01 울산과학기술원 조명 기구 및 조명 기구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9997B2 (ja) * 2001-03-30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収納ケース
US7150117B2 (en) 2001-04-09 2006-12-19 Venegas Jr Frank Back-lit stenciled post cover
KR100473530B1 (ko) * 2002-01-04 2005-03-09 씨제이 주식회사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30094955A (ko) * 2002-06-11 2003-12-18 김석희 광고간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772B1 (ko) * 2011-09-19 2012-06-25 유한회사 완암산업 울타리용 지주
ITPC20120021A1 (it) * 2012-08-07 2014-02-08 Solution Group S P A Dispositivo d¿illuminazione per esterni
EP2696335A1 (en) * 2012-08-07 2014-02-12 Solution Group S.p.A. Outdoor lighting device
KR20210148707A (ko) 2020-06-01 2021-12-08 (주)도담산업 볼라드 하단캡
KR20220049139A (ko) * 2020-10-14 2022-04-21 이종구 심미감 및 장식미 향상의 조형경관 조명등
KR20230056162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아낌없이주는나무컴퍼니 조명 볼라드
KR102523062B1 (ko) * 2022-09-05 2023-04-18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인조석과 자연석이 결합된 단주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187B1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187B1 (ko) 조명 유도용 볼라드
KR100939477B1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101037196B1 (ko) 조명 안내용 볼라드
KR101464104B1 (ko) 간접조광식 도로경계석
KR100948665B1 (ko) 경관조명 가로등 지주
KR200443453Y1 (ko)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
KR20090078603A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방음 펜스
KR20080001758U (ko) 경계석 장착용 발광램프
KR200410453Y1 (ko) 청사초롱 타입 보행주등
KR100826612B1 (ko) 차도용 조명등기구
KR20110028973A (ko) 투명 커버가 구비된 가로등주
KR101104293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0924713B1 (ko) 가로등용 조명 광고판
KR101153226B1 (ko) 조명이 가능한 도로 경계석
KR200421214Y1 (ko) 가로등
KR101123239B1 (ko) 가로등과 그 제조방법
KR20110041117A (ko) 가로수용 조명등장치
KR200357124Y1 (ko) 조명등 겸용 엘이디 횡단보도 표지장치
CN100383830C (zh) 导向式交通信号灯
KR20037397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측방조명 수단을 갖는 보안등 지주구조
KR200413508Y1 (ko) Led 조형물 부착 경관 가로등
KR200326190Y1 (ko) 측방 조명 가로등
KR200418904Y1 (ko) 가로등
KR20110004372U (ko) 경관 가로등
KR101196058B1 (ko) 안전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