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735A -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 Google Patents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735A
KR20100119735A KR1020100093587A KR20100093587A KR20100119735A KR 20100119735 A KR20100119735 A KR 20100119735A KR 1020100093587 A KR1020100093587 A KR 1020100093587A KR 20100093587 A KR20100093587 A KR 20100093587A KR 20100119735 A KR20100119735 A KR 2010011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user
language
translator
work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정
장정식
Original Assignee
야후!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후! 인크. filed Critical 야후! 인크.
Priority to KR102010009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9735A/ko
Publication of KR2010011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언어 번역기 및 그 인터페이싱 방법이 제공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언어 번역기는 텍스트 입력부, 번역 엔진, 작업 환경 판정부 및 출력부를 포함한다. 텍스트 입력부는 제1 언어의 제1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번역 엔진은 제1 텍스트를 제2 언어의 제2 텍스트로 번역하도록 구성된다. 작업 환경 판정부는 현재의 작업 환경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출력부는 제2 텍스트를 현재 작업 환경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번역 결과를 타이핑하거나 카피-앤-페이스트(copy-and-paste)할 필요가 없으므로, 언어 번역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Description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LANGUAGE TRANSLATOR HAVING AN AUTOMATIC INPUT/OUTPUT INTERFACE}
본 발명은 언어 번역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언어 번역기에 관한 것이다.
언어 번역기의 출현은 외국어로 된 모르는 단어 또는 텍스트의 의미를 알아내기 위해 사전을 참고로 할 필요를 덜어주었다.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번역기는 흔히 컴퓨터 시스템, 모바일 장치, 전자 사전에 통합되거나, 예컨대 웹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통상의 번역기에 대한 예로는 Google®에서 제공되는 Google Translator Interface Platinum, Yahoo! Inc, etc의 BABELFISH 등이 있다.
종래의 언어 번역기는 일반적으로 번역 동작을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 사용자가 단어 또는 문장을 수동 입력할 것을 요한다. 즉, 사용자는 번역을 위한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 인터페이스에 타이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작업하고 있는 문서로부터 단어 또는 문장을 카피-앤-페이스트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번역된 단어 또는 문장을 번역기의 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 환경, 예컨대 워드 프로세서, 인터넷 채팅 프로그램, 인스턴트 메신저, 또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와 같은 관심 애플리케이션으로 다시 카피-앤-페이스트하는 부담을 가진다.
상기 언급된 일련의 수동 작업들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시간을 소모하는 작업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대한 불편을 경감시키기 위해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번역기 및 그와 관련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텍스트 번역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언어의 텍스트가 장치상의 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고, 번역기 인터페이스와는 다른 장치상의 현재 작업 환경이 판정되며, 제2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가 번역기 인터페이스로부터 현재 작업 환경으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하는 것은 복수의 현재 액티브인(active) 작업 환경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하는 것은 현재 및 과거의 액티브 작업 환경들을 포함하는 작업 히스토리 리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언어의 텍스트를 입력받는 것은 번역 인터페이스의 투명한 부분을 텍스트 위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를 현재 작업 환경에 제공하는 것 외에,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또한 언어 번역기의 출력 인터페이스에 번역된 텍스트를 제공하거나 TTS 기능을 이용하여 번역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이하의 효과 중 일부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번역결과가 사용자의 작업 환경으로 바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복사/붙여넣기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둘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번역결과를 출력할 현재 작업 환경을 지정 내지 변경할 수 있다.
셋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번역기에서 자동으로 현재 작업 환경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력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넷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텍스트를 수동으로 타이핑할 필요가 없다.
다섯째, 번역 결과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언어 번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기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번역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기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구비한 번역기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입력 애플리케이션 위에 배치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을 위한 현재 액티브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액티브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가 번역기 인터페이스상에 드롭 다운 메뉴로 표시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애플리케이션 위에 배치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와, 지정된 위치에 번역 결과를 갖는 출력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의 간략화된 다이어그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이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특정한 상세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공지의 프로세스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은 발명의 설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자세히 기술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의 예로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휴대용 컴퓨팅 장치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언어의 광범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로 구현되거나 광범위한 컴퓨팅 모델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컴퓨터 시스템상의 운영 체제, 이를테면 윈도우즈, 유닉스, 리눅스 등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 ActiveX, 스크립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DVD, 디스켓 등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원격의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언어 번역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언어 번역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즉 단어 또는 문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입력부(110)는 키보드, 터치 스크린, 터치 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입력부(110)는 언어 번역기의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입력부(110)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위에 투명하게 위치될 수 있는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제공하여 그곳의 텍스트를 캡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에 텍스트를 타이핑하거나 윈도우를 텍스트 위에 위치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는 타이핑된 텍스트 또는 위치된 텍스트를 캡쳐하고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는 이미지 파일(예컨대, PDF 파일)의 일부를 텍스트로 인지하도록 동작 가능한 문자 인식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언어 번역기(100)는, 텍스트가 번역되는 목적 언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언어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언어 선택부는 리스트 컨트롤 윈도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스트로부터 가용 언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어 번역기(100)는 텍스트 입력부(110)에 연결되는 번역엔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번역 엔진(140)은 소정 언어(이하, "제1 언어")의 텍스트를 목적 언어(이하, "제2 언어")로 번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번역 엔진(140)은 제1 언어의 텍스트를 상술된 언어 선택부에서 선택된 제2 언어로 번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번역 엔진(140)은 언어 번역기(100)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에 존재할 수 있다. 번역 엔진(140)은 공지의 번역 엔진 또는 프로그램, 혹은 향후 개발될 임의의 번역 엔진 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번역 엔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언어 번역기(100)는 텍스트 입력부(110)와 통신하는 작업 환경 판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부(110)에 텍스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현재 실행 중인 작업 환경들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받음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정보를 받지 않고 자동으로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할 수 있다.
먼저, 작업 환경 판정부(150)가 사용자의 선택을 받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언어 번역기(100)가 실행되는 운영 체제(예컨대 WINDOWS®)의 도움으로,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실행 중인 작업 환경(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을 행할 수 있는 리스트 컨트롤 윈도우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언어 번역기(100)가 동작하는 동안 또는 번역 엔진(140)에 의한 번역이 완료한 후 사용자가 활성화시키는(activate)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작업 환경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번역 완료 후, 사용자에 의해 인스턴트 메시징 환경이 새로이 실행되거나 또는 백그라운드의 인스턴트 메시징 환경이 활성화되는 경우,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그 인스턴트 메시징 환경을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제, 작업 환경 판정부(150)에서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을 자동으로 판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언어 번역기(100)이 실행되는 운영 체제의 도움으로,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사용자의 작업 히스토리를 획득하여, 획득된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사용자의 작업 내용 중,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작업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언어 번역기(200)를 활성화시키기 직전에 작업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현재 작업 환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현재 작업 환경으로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아이콘 또는 텍스트, 또는 기타 적절한 표시자(indicator)로 표시하기 위해 출력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현재 작업 환경으로 결정된 작업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사용자가 다른 작업 환경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작업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언어 번역기(100)는 번역 엔진(140) 및 작업 환경 판정부(150)와 통신하는 출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번역 엔진(140)으로부터 번역된 텍스트를 수신하고, 작업 환경 판정부(150)로부터 현재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번역된 텍스트를 현재 작업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환경 판정부(150)로부터의 정보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작업 환경에 해당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출력부(120)는 번역된 텍스트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커서 위치에 출력하거나 붙여넣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출력부(120)는 번역된 텍스트를 별도의 출력 인터페이스 윈도우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120)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부(120)는 또한 작업 환경 표시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기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ㄷ도시된 바와 같이, 번역기 인터페이스(300)는 입력 인터페이스(310) 및 출력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310)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312)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작업 환경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320)는 단어 출력 인터페이스 윈도우(322) 및 작업 환경 표시 인터페이스 윈도우(324)를 포함할 수 있다. 번역기 인터페이스(300)는 선택적으로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한다. 번역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330)는, 선택을 위해, 제1 언어 및 제2 언어로 가용한 언어들을, 예를 들면 메뉴 또는 리스트의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 또는 리스트에서 원하는 제1 및 제2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구비한 번역기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번역기 인터페이스(400)는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12)를 포함한다. 나머지 인터페이스들(414, 422, 424 및 430)은 번역기 인터페이스(300)의 대응되는 것들과 유사하다.
상술한 작업 환경 판정부(150)를 이용하여, 번역 결과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번역 결과를 카피-앤-페이스트하는 추가적인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사용자는 번역 결과가 제공되는 현재 작업 환경을 지정 내지 변경할 수 있으므로, 번역 결과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번역될 텍스트는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캡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번역될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에 수동으로 타이핑할 필요가 없다. 또한, 번역 결과가 애플리케이션 상으로 직접 제공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번역기(예컨대, 언어 번역기(100))를 이용하는 번역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202)에서, 번역될 제1 텍스트가 텍스트 입력부(110)로 입력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번역기 인터페이스(300)의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312)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 가능한 번역기 인터페이스(400)의 투명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이용하여, 투명한 방식으로 번역될 텍스트 위에 투명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위치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투명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는 자동으로 번역될 텍스트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를 입력 애플리케이션 위에 배치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번역기 인터페이스(400)를 사용자의 작업 환경(510) 위로 이동시켜, 번역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문장(예컨대, 도 5에서, "translation program") 위에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12)를 위치시킬 수 있다.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12)는 투명하므로,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를 통해 작업 환경의 텍스트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번역기 인터페이스(400)의 투명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를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번역될 단어 또는 문장을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 입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번역될 단어 또는 문장을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카피-앤-페이스트하는 추가적인 노력을 아낄 수 있다.
도 5에서는 작업 환경(510) 내의 텍스트 위에 투명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를 위치시키는 동작만을 도시하였으나, 투명한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12)에 번역될 단어 또는 문장을 직접 입력하는 것도 여전히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한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 내에 단어 또는 문장이 위치하게 되면, 언어 번역기는 즉시 상기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번역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 내에 단어 또는 문장이 위치한 경우, 사용자의 사전 결정된 동작(예컨대, 버튼 클릭)에 대응하여 번역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 내에 단어 또는 문장의 일부만이 위치하는 경우, 언어 번역기(100)는 단어 또는 문장의 그 일부만을 번역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 내에 단어 또는 문장의 일부만이 위치하는 경우, 언어 번역기(100)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 내에 위치한 단어 또는 문장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체 어구 또는 문장을 감지하여 이를 번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410)와 출력 인터페이스(420)는 분리될 수 있다. 이 일시예에서,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410)만을 이동시켜 번역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문장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410)로부터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12)만을 분리시켜 번역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문장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번역될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이보다 큰 부분에 맞도록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4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단계 204에서, 입력된 제1 텍스트는 번역 엔진(140)으로 전달된다. 단계 206에서, 번역 엔진(140)은 제1 텍스트를 사전 결정된 언어 또는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330)로부터 선택된 언어의 제2 텍스트로 번역한다. 그 후, 단계 208에서, 번역 엔진(140)은 제2 텍스트를 출력부(120)로 전달한다.
단계 210에서,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한다. 사용자는 작업 환경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314)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언어 번역기(300)의 작업 환경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314)를 클릭하면, 작업 환경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314)는 운영체제 상에서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번역 결과가 제공될 목적 작업 환경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선택을 위한 현재 액티브 작업 환경의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아이콘과 같은 다른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b은 일 실시예에서 현재 액티브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드롭 다운 메뉴로서 번역기 인터페이스(300)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언어 번역기는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번역기의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사용자의 작업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했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입력창에 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언어 번역기를 활성화하는 경우, 언어 번역기(100)의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자동으로 그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작업 환경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언어 번역기는 사용자의 작업 히스토리 또는 기타의 기준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작업 환경을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어 번역기의 작업 환경 표시 인터페이스 윈도우(324)에 현재 작업 환경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작업 환경으로 판정되어 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계 212에서, 출력부(120)는 판정된 작업 환경에 번역된 텍스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단계 210에서 상요자에 의해 작업 환경 리스트(610)의 세 번째 아이템(즉, 이메일 작성기)이 현재 작업 환경으로 선택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서, 입력 애플리케이션 위에 배치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와, 지정된 위치에 번역 결과를 갖는 출력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어 번역기(100)는 메모장(702) 내에서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12)에 의해 오버래핑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전체 문장(즉, "We made translation program")을 감지하여, 이를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언어 번역기는 번역된 텍스트(720)를 이메일 작성기(710)에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번역된 텍스트(720)는 현재 작업 환경의 커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번역된 텍스트(720)는 현재 작업 환경의 텍스트의 맨 끝에 추가될 수 있다.
번역된 텍스트는 번역기 인터페이스(400)의 텍스트 출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22)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번역기의 텍스트 출력 인터페이스 윈도우(422)에 표시된 번역 결과를 검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조작에 의해 번역 결과가 현재 작업 환경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번역 결과는 사용자의 사전 결정된 동작에 응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번역될 텍스트를 입력한 후, 사용자가 소정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클릭하거나 활성화시킬 때까지 번역 결과의 출력이 보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면, 작업 환경 판정부(150)는 클릭된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작업 환경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번역기에 번역될 텍스트를 입력하면, 번역기는 번역 결과를 곧바로 출력하지 않는다. 그 후,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거나 활성화시키면, 언어 번역기는 클릭된 애플리케이션을 현재 작업 환경으로 인식하여 클릭된 애플리케이션에 번역된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언어 번역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특정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2와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환경 판정부(150)가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하는 단계(210)는 출력부(120)가 번역된 텍스트를 출력하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작업 환경으로 번역 결과를 직접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번역기로부터 번역 결과를 카피하여 원하는 작업 환경에 붙여넣기 해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언어 번역기는 번역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번역기에 번역될 텍스트를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예컨대 투명 입력 인터페이스(412)를 이용하여 번역될 텍스트를 선택하면, 번역된 어구 또는 문장은 TTS 모듈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부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팅 환경의 임의의 다양한 변화에서도 전자 사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강화하도록 채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된 유저 집단이 컴퓨터(802)(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테이블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803)(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804)(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806)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구현들이 고려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가능한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서비스들이 집중화된 방식으로 제공될 것이다. 이는 도 8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복합적으로 분산화된 장치(multiple distributed device)들 및 데이터 스토어들에 대응하는 서버(808) 및 데이터 스토어(810)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사전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예를 들면, TCP/IP-기반 네트워크, 텔레컴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와이어리스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네트워크 912에 의해 표현됨)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 구조들이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기록매체 내 저장되고,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피어-투-피어 모델을 포함하는 다양한 컴퓨팅 모델을 통해, 자립형 컴퓨팅 디바이스(stand-alone computing device) 상에서, 또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이 다른 위치에서 달성되거나 채용될 수 있는 분산화된 컴퓨팅 모델에 따라 실행될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형태의 실시예도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텍스트 번역을 수행하는 컴퓨터 구현화된 방법(computer-inplemented method)으로서,
    장치의 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언어의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번역 인터페이스와는 별개인, 상기 장치상의 현재 작업 환경을 판정하는 단계; 및
    제2 언어의 상기 텍스트의 번역을 상기 번역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작업 환경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00093587A 2010-09-28 2010-09-28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KR20100119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587A KR20100119735A (ko) 2010-09-28 2010-09-28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587A KR20100119735A (ko) 2010-09-28 2010-09-28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943A Division KR101059631B1 (ko) 2008-07-04 2008-07-04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및 그 인터페이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735A true KR20100119735A (ko) 2010-11-10

Family

ID=4340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587A KR20100119735A (ko) 2010-09-28 2010-09-28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97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631B1 (ko)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및 그 인터페이싱방법
US10698604B2 (en) Typing assistance for editing
JP5248321B2 (ja) 翻訳文の柔軟な表示
EP3882784A1 (en) Event argument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0515151B2 (en) Concept identification and capture
US10152301B2 (en) Providing interface controls based on voice commands
US73107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and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program entities
US9043300B2 (en) Input method editor integration
US20140035823A1 (en) Dynamic Context-Based Language Determination
US20140040741A1 (en) Smart Auto-Completion
KR20110000553A (ko) 서비스 시작 기술
US9335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erpt creation by designating a text segment using speech
JP200318661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状態に基づく自動的なソフトウェア入力パネル選択
WO2008122243A1 (fr) Procédé et système permettant d'appeler rapidement une commande de programme et système destiné à un procédé d'entrée
US11853689B1 (en) Computer-implemented presentation of synonyms based on syntactic dependency
KR20120103599A (ko) 퀵 액세스 유틸리티
US20130197897A1 (en) Character translation system, character transl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3403197B1 (en) Content authoring inline commands
CN110785762B (zh) 用于编写电子消息的系统和方法
CN104363349A (zh) 短消息处理方法及应用该方法的便携式终端
CN113626441A (zh) 基于扫描设备的文本管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00119735A (ko) 자동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번역기
KR100916816B1 (ko) 일본어 앨리어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장음 및 촉음에대한 오류를 줄이고 일본어 입력기 사용 시 단자 찾기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60336012A1 (en) Visual voice 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