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608A -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608A
KR20100119608A KR1020090038615A KR20090038615A KR20100119608A KR 20100119608 A KR20100119608 A KR 20100119608A KR 1020090038615 A KR1020090038615 A KR 1020090038615A KR 20090038615 A KR20090038615 A KR 20090038615A KR 20100119608 A KR20100119608 A KR 20100119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anel
ceiling
support portio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한
우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세한
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한, 우성환 filed Critical 김세한
Priority to KR102009003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9608A/ko
Publication of KR2010011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04F13/087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the covering layer comprising mutual alignment or inter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실이나 기타 특정한 목적으로 지하에 건축된 지하공간의 내벽에 결로와 습기의 방지, 단열 및 방음을 목적으로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내벽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마감재와 그러한 마감재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공간의 벽면에 부착되어 지지역할을 하는 기둥재, 상기 기둥재에 결합되면서 단열 및 결로방지 기능을 하는 벽체판넬, 벽체판넬과 바닥면 사이에 구성되는 배수프레임, 벽체판넬과 천장의 사이에 구성되는 천장몰딩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는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특히 각 마감재 들은 금속판재로 구성되면서 단열 및 방음 난연 등의 기능을 갖는 소재(이하 단열재로 통칭함)를 일체화하고 표면의 금속판재 외면에는 미려한 문양을 전사인쇄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며, 매우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실, 지하공간, 결로방지, 내벽마감, 단열시공

Description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An escarp finish between underground spac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실이나 기타 특정한 목적으로 지하에 건축된 지하공간의 내벽에 결로와 습기의 방지, 단열 및 방음을 목적으로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내벽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마감재와 그러한 마감재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하공간에는 대기 중의 온도와 차이가 크다는 특성상 공기의 온도와 벽면의 온도차에 공기 중의 습기가 물방울로 맺히게 되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결로와 습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공간의 내벽을 마감하는 구성을 보면, 첫째, 지하공간의 내벽에 직접 단열재를 붙이고 그 위에 석고보드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었으며, 둘째, 단열기능이 있는 도료 등을 직접 도포하는 방법, 그리고 셋째, 지하공간의 내벽면과 별도로 내부에 다시 벽돌을 쌓아 이중벽을 만들고 그 사이에 단열재를 채우거나 또는 별도 설치한 이중벽의 벽면에 단열재와 석고보드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들에 의하면 그 단열 정도가 부족하고 결로현상을 근원적으로 막기에는 부족한 것이어서, 결로현상에 의한 물기가 흘러내리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에 부족한 것은 당연한 것이고, 기본적으로 시공된 단열재의 표면에 마감을 위하여 별도의 마감재를 부착 또는 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결국 시공에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열 상태가 부족하고 틈새에 단열이 누락되는 경우도 많아서 내벽을 마감한 도료나 판재 벽지 등이 훼손 또는 오손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낭비되었고, 인체에 유해한 소재를 사용하여 환경과 건강에 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별도의 내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우수하기는 하지만 매우 넓은 공간을 낭비하여야 하고 엄청난 공사비용과 시공시간이 소요되는 등 많은 단점을 갖는 것이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성이면서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매우 강력한 단열효과와 결로현상의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하공간용 마감재의 구성과 시공구조를 안출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적은 비용과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과 시공을 할 수 있으면서 미관이 매우 뛰어나게 지하공간의 내벽면을 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방화성능의 향상 바닥공간의 배수기능 구비, 개보수 및 유지관리의 용이 등 여러 면에서 효과적인 지하공간용 내벽면 마감재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공간의 벽면에 부착되어 지지역할을 하는 기둥재, 상기 기둥재에 결합되면서 단열 및 결로방지 기능을 하는 벽체판넬, 벽체판넬과 바닥면 사이에 구성되는 배수프레임, 벽체판넬과 천장의 사이에 구성되는 천장몰딩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는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특히 각 마감재 들은 금속판재로 구성되면서 단열 및 방음 난연 등의 기능을 갖는 소재(이하 단열재로 통칭함)를 일체화하고 표면의 금속판재 외면에는 미려한 문양을 전사인쇄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며, 매우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공간의 벽체를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면서 매우 간단한 시공과정과 구조로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금속판체와 일체화된 단열재와 본 발명의 마감재의 시공에 의해 마련되는 벽체와 벽체판넬 사이의 공간에 의해 효과적으로 결로방지와 단열 및 보온이 가능하게 되며, 매우 미려한 디자인을 갖고 있어서 미관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지하공간의 벽체를 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시공완료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A에서 본 부분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둥재와 벽체판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천장몰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마감재는 지하공간의 벽면(1)에 먼저 고정시키는 기둥재(10), 상기 기둥재(10)에 결합되면서 전체 벽면을 커버하는 벽체판넬(20), 그리고 상기 벽체판넬(20)의 맨 하단과 바닥면(2)의 사이에 구성되는 배수프레임(30), 그리고 벽체판넬(20)과 천장(3) 사이에 결합되는 천장몰딩(40)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기둥재(10)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상하로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형태로서 측면부(11)와 전면부(12)로 구성되고 전면부(12)에는 양측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결합돌부(13)가 구성되며, 측면부(11)과 전면부(12) 및 결합돌부(13)의 후면 공간에는 단열재(14)가 채워져 일체화된다.
벽체판넬(20)은 전면부(21)와 측단면부(22) 및 상하단면부(23)(24)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구성되고 내부에 단열재(25)가 채워져 일체화되도록 하며, 후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기둥재(10)의 결합돌부(13)가 수용되는 결합요부(26)를 구성하였는데, 결합요부(26)가 구성되는 위치는 측면 끝단으로부터 기둥재(10)의 두 개 결합돌부(13) 간의 거리 절반만큼 이격된 위치이다.
또한 벽체판넬(20)의 상단면(23) 중앙부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결홈(23')을 구성하고 하단면(24) 중앙부에도 상기 연결홈(23')에 삽입되도록 연결돌부(24')를 구성하였으며, 벽체판넬(20)의 전면부(21)에는 임의의 문양을 전사방식으로 표현하여 디자인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배수프레임(30)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지지부(31)와 그 위에 '
Figure 112009026612437-PAT00001
Figure 112009026612437-PAT00002
'형으로 형성된 받침부(32)를 형성하여 받침부(32) 아래의 지지부(31) 옆이 배수통로(4)가 되도록 하였고, 받침부(32) 상면에는 상기 벽체판넬(20) 연결돌부(24')가 삽입되는 연결홈(33)을 구성하였으며, 받침부(32)의 내부에는 단열재(34)를 채워 일체화하였다.
또한 천장몰딩(40)은 금속판재로 경사지면서 곡면을 갖는 경사부(41)와 상면 일부에 해당하는 절곡부(42) 및 후면 일부에 해당하는 후면부(43)를 형성하며, 나 머지 공간은 단열재(44)를 채워 일체화하면서 상면과 후면에는 천장(3)과 벽체판넬(20)에 잘 밀착되도록 직각부(45)를 갖는 형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마감재를 설치하는 순서와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지하공간의 벽면(1)과 바닥면(2)이 닿는 부분에 배수프레임(30)을 설치하는데, 배수프레임(30)의 지지부(31) 하단이 바닥면(2)에 닿게 한 상태로 벽면(1)에 고정하게 되면, 그 위로 받침부(32)가 돌출되는 형태가 되고, 받침부(32)의 아랫부분이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4)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부(32) 위로부터 벽면(1)에 일정한 간격이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기둥재(10)를 먼저 고정시키고 기둥재(10)의 결합돌부(13)에 벽체판넬(10)의 결합요부(26)가 삽입되도록 결합하며, 상하부의 벽체판넬(20)간은 연결홈(23')에 연결돌부(24')가 삽입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전체 벽면(1)의 마감이 가능하게 된다. 배수프레임(30)의 받침부(32) 상면의 연결홈(33)에는 벽체판넬(20)의 연결돌부(24')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벽면(1)을 마감하면서 벽면(1)과 천장(3)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천장몰딩(40)을 설치하는데, 천장(3)에 닿은 맨 위의 벽체판넬(20) 앞으로 후단이 밀착되도록 천장몰딩(40)을 천장(3)에 고정시킴으로서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 5는 바닥마감재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즉 먼저 배수프레임(30)을 고정시키고 그 위 벽면(1)에 기둥재(10)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 후 벽체판넬(20)을 기둥재(10)에 조립하며, 이후 벽체판넬(20)과 천장의 경계 부분에 천장몰딩(40)을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료되므로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우 뛰어난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자체가 단열재를 일체화하고 있고 벽체판넬(20) 후면에는 기둥재(10)에 의해 벽면(1)과의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공간(S)의 공기층이 단열 및 보온작용을 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결로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로방지 외에도 단열, 소음방지 작용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벽체판넬(20)은 상하방향으로 연결홈(23') 및 연결돌부(24')에 의해 연결되므로 틈새 없이 결로현상 방지와 단열 및 보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측방으로는 벽체판넬(20) 간에는 밀폐수단이 없지만 기둥소재(10)의 사이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측방향으로도 틈새 없이 완벽한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어 효과적으로 결로방지와 보온단열이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벽체판넬(20)은 전면에 전사된 문양이 표현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가 실내장식에 유용한 디자인이 되어 도배 등 별도의 마감수단이 필요 없이 훌륭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수프레임(30)의 구성에 의해 벽체판넬(20)의 하단부가 단정하게 마감되면서도 바닥면(2)의 배수를 위한 공간이 자동으로 형성되어 습기방지와 청소 등 여러 면에서 편리성을 가지게 되며, 벽면판넬(20)의 상단부와 천장(3) 사이에도 천장몰딩(40)을 시공하면 매우 단정하고 미려하게 천장부분도 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완료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A에서 본 부분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둥재와 벽체판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천장몰딩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벽면 2: 바닥면
3: 천장 4: 배수통로
10: 기둥재 11: 측면부
12: 전면부 13: 결합돌부
14: 단열재
20: 벽체판넬 21: 전면부
22: 측면부 23: 상단면부
23': 연결홈 24: 하단면부
24': 연결돌부 25: 단열재
26: 결합요부
30: 배수프레임 31: 지지부
32: 받침부 33: 연결홈
34: 단열재
40: 천장몰딩 41: 경사부
42: 절곡부 43: 후면부
44: 단열재 45: 직각부

Claims (4)

  1. 기둥재(10)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상하로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형태로서 전면부(12)에는 양측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결합돌부(13)가 구성되며, 측면부(11)과 전면부(12) 및 결합돌부(13)의 후면 공간에는 단열재(14)가 채워져 일체화되고;
    벽체판넬(20)은 전면부(21)와 측단면부(22) 및 상하단면부(23)(24)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구성되고 내부에 단열재(25)가 채워져 일체화되도록 하며, 후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기둥재(10)의 결합돌부(13)가 수용되는 결합요부(26)를 구성하되, 결합요부(26)가 구성되는 위치는 측면 끝단으로부터 기둥재(10)의 두 개 결합돌부(13) 간의 거리 절반만큼 이격된 위치로하여 벽체판넬 연결시 기둥재의 중간에서 벽체판넬이 맞닿도록 하며;
    또한 벽체판넬(20)의 상단면(23) 중앙부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결홈(23')을 구성하고 하단면(24) 중앙부에도 상기 연결홈(23')에 삽입되도록 연결돌부(24')를 구성하며,
    벽체판넬(20)의 전면부(21)에는 임의의 문양을 전사방식으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판넬(20)과 바닥면(2) 사이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지지부(31)와 그 위에 '
    Figure 112009026612437-PAT00003
    Figure 112009026612437-PAT00004
    '형으로 형성된 받침부(32)를 형성하여 받침부(32) 아래의 지지부(31) 옆이 배수통로(4)가 되도록 하고,
    받침부(32) 상면에는 상기 벽체판넬(20) 연결돌부(24')가 삽입되는 연결홈(33)을 구성하며,
    받침부(32)의 내부에는 단열재(34)를 채워 일체화한 배수프레임(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천장(3)에 닿는 벽체판넬(20)의 끝단을 마감하는 구성으로서,
    금속판재로 경사지면서 곡면을 갖는 경사부(41)를 갖고,
    공간은 단열재(44)를 채워 일체화하면서 상면과 후면에는 천장(3)과 벽체판넬(20)에 잘 밀착되도록 직각부(45)를 갖는 형태의 천장몰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4. 지하공간의 벽면(1)과 바닥면(2)이 닿는 부분에 배수프레임(30)을 설치하되, 배수프레임(30)의 지지부(31) 하단이 바닥면(2)에 닿게 한 상태로 벽면(1)에 고정하게 되면, 그 위로 받침부(32)가 돌출되는 형태가 되고, 받침부(32)의 아랫부분이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4)가 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32) 위로부터 벽면(1)에 일정한 간격이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기둥재(10)를 먼저 고정시키고,
    기둥재(10)의 결합돌부(13)에 벽체판넬(10)의 결합요부(26)가 삽입되도록 결합하면서 상하부의 벽체판넬(20)간은 연결홈(23')에 연결돌부(24')가 삽입되도록 조립하여 벽면과 벽체판넬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며, 배수프레임(30)의 받침부(32) 상면의 연결홈(33)에는 벽체판넬(20)의 연결돌부(24')가 삽입되도록 하며,
    벽면(1)과 천장(3)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천장몰딩(40)을 설치하되, 천장(3)에 닿은 맨 위의 벽체판넬(20) 앞으로 후단이 밀착되도록 천장몰딩(40)을 천장(3)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시공구조.
KR1020090038615A 2009-05-01 2009-05-01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KR20100119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15A KR20100119608A (ko) 2009-05-01 2009-05-01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15A KR20100119608A (ko) 2009-05-01 2009-05-01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608A true KR20100119608A (ko) 2010-11-10

Family

ID=4340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615A KR20100119608A (ko) 2009-05-01 2009-05-01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9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07B1 (ko) * 2019-01-31 2019-06-25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07B1 (ko) * 2019-01-31 2019-06-25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54B1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KR100649984B1 (ko) 조립식 타일 외장재
EP2255045A1 (en) Alumini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KR20120002908U (ko) 조립식 타일마감재
KR20100119608A (ko) 지하공간의 내벽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KR20160090639A (ko) 내외장재 설치 장치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219093B1 (ko)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CN215166847U (zh) 外墙系统
CN107152108B (zh) 一种装配式隔墙系统
JP2016033282A (ja) 建具用額縁、改装建具及び建具用額縁の施工方法
KR102264712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478306B1 (ko) 양면 일체형 단위벽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위벽체의 연결구조
KR20130003853U (ko)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KR20130086879A (ko) 조립식 욕실용 저소음형 벽판넬 설치 구조
KR20110039933A (ko)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CN204728604U (zh) 整体卫浴壁板
KR100704923B1 (ko) 건축용 외장재
KR101346574B1 (ko) 커튼 박스
KR101295416B1 (ko)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구조체
JP2015190174A (ja) 建築用パネルおよびパネル素体
KR200456674Y1 (ko) 인테리어용 입체 몰딩재
KR101629107B1 (ko) 건축용 장식 패널
CN204456755U (zh) 一种塑木地板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